KR20030060779A - 손잡이 및 제2의 장난감 물품과의 연결용 커플링 부품을 구비한 장난감 물품 - Google Patents

손잡이 및 제2의 장난감 물품과의 연결용 커플링 부품을 구비한 장난감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0779A
KR20030060779A KR1020027017212A KR20027017212A KR20030060779A KR 20030060779 A KR20030060779 A KR 20030060779A KR 1020027017212 A KR1020027017212 A KR 1020027017212A KR 20027017212 A KR20027017212 A KR 20027017212A KR 20030060779 A KR20030060779 A KR 200300607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y
toy article
coupling
handle
connec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7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46407B1 (ko
Inventor
반퇴넨브로엑로날드
슬루에이스로베르투스마리아
Original Assignee
브레이키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레이키 비.브이. filed Critical 브레이키 비.브이.
Priority to KR1020027017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6407B1/ko
Publication of KR200300607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07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6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64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집품으로 및/또는 게임에서의 사용에 매우 적합한 장난감 물품으로서, 손잡이와 그리고 제2 장난감 물품과의 연결을 이루기 위한 커플링 부품을 포함하며, 이 커플링 부품은 연결부재를 통해 상기 손잡이에 부착되며, 이 커플링 부품이 소정의 힘 또는 토크가 가해지면 끊어지게 되도록 되어 있는 장난감 물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장난감 물품 {TOY ARTICLE}
이러한 종류의 장난감 물품은 원래 공지되어 있고, 예를 들면 콘프레이크 박스나 포테이토칩 봉지에 들어 있다. 매우 잘 알려진 이러한 장난감 물품으로는 플리포?(flippo?)가 있다. 이는 예를 들면 엷은 판이 겹쳐서 된 판지 또는 플라스틱의 원형 디스크로서, 그 위에 그림이 인쇄되어 있고 어린이용 수집품 및 게임 보조기구로 사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수집품으로 및/또는 게임에서의 사용에 매우 적합한 장난감 물품으로서, 손잡이를 포함하는 장난감 물품에 관한 것이다.
이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두 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서로 커플링되기 직전의 본 발명에 따른 2개의 동일한 절단 키(break-off key)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서로 연결되어 연결부재의 어느 하나가 떨어져나간 후의 도 1에 따른 절단 키의 상세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절단 키의 평면도.
도 3B는 도 3A에 따른 절단 키의 측면도.
도 3C는 도 3A에 따른 절단 키의 정면도.
본 발명의 목적은, 전제부에 언급된 종류의 장난감 물품으로서, 특히 게임을 행하는 것과 관련하여 부가적인 가능성을 제공하는 장난감 물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장난감 물품은 제2의 장난감 물품과의 연결을 이루기 위한 커플링 부품(coupling piece)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 커플링 부품은 연결부재를 통해 상기 손잡이에 부착되며, 소정의 힘 또는 토크가가해지면 끊어지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장난감 물품은 사용자에 의해 제2의 장난감 물품과 커플링되는데, 이 때 제2의 장난감 물품은 제1의 장난감 물품과 동일할 수 있다. 다음으로 한 명의 사용자 또는 두 명의 사용자가 힘 또는 토크를 발생시켜 두 장난감 물품 중 어느 하나의 연결부재가 끊어지게 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커플링 부품이 부러지지 않은 장난감 물품의 사용자가 승자가 되는 게임 또는 시합을 할 수 있게 된다.
연결부재가 소정의 힘 또는 토크에서 떨어져나감에 의해 부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경우 연결부재가 떨어져나간 장난감 물품은 눈에 보이게 결함이 있게 되어 더 이상 잠재적으로 참가할 수 있는 표본 집단의 일부를 구성할 수 없게 된다. 또한 떨어져나간 커플링 부품 및/또는 손잡이는 게임의 승자를 위한 전리품으로서 기능할 수도 있다.
제2의 장난감 물품과 커플링되도록 되어 있는 커플링 부품의 부분이 형상이 동일한 커플링 부품에 커플링될 때, 상술한 집단의 일부를 형성하는 장난감 물품은 모두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는 제조의 관점에서 장점을 가지는데, 왜냐하면 이러한 경우에는 단지 하나의 주형 또는 주형 세트만이 필요하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이러한 장난감 물품의 모든 소유자는 다른 모든 소유자와 게임 또는 경기를 할 수 있게 된다.
매우 적절한 실시예로는 제2의 장난감 물품과 커플링되도록 되어 있는 커플링 부품의 부분이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와 상보적인 캐비티를 포함하는 것이 있다. 이러한 구조가 사용되는 경우 제1 및 제2의 장난감 물품이 쉽게 서로 끼워맞춰질 수 있고 또한 연결부재 또는 연결부재들에 충분히 큰 힘 또는 토크를 가할 수 있다는 점은 명백하다. 만일 돌출부가 쐐기형상이면, 연결이 이루어질 때 커플링 부품이 서로 맞물릴 것이고, 따라서 하나의 장난감 물품의 커플링 부품은 연결부재 중 어느 하나가 끊어진 후에도 다른 장난감 부품의 커플링 부품에 연결된 채로 남게될 것이며, 이는 이후 단계에서 해제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커플링 부품은 단 한번의 스냅연결(once-only snap connection)에 의해 연결부재에 또는 손잡이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스냅 연결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연결에 관련된 부분 중 적어도 하나를 눈에 보이게 영구적으로 파손시킴에 의해 단지 부러질 수 있을 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난감 물품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커플링 부품 또는 손잡이는 원통형 부위를 포함하는데, 이 원통형 부위에 의해 커플링 부품 또는 손잡이가 각각 손잡이 또는 커플링 부품의 원통형 캐비티 내에 고정된다. 이러한 실시예가 사용되는 경우, 발생된 토오크가 연결부재에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장난감 물품에서 연결부재는 원통형 캐비티의 바닥 또는 벽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커플링 부품과 연결부재 및/또는 손잡이 사이에는 일정량의 유극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극에 의해 서로 인접하거나 둘러싸는 부분 사이에 일정한 자유 이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게임 또는 시합이 시작하기 전에 예를 들면 커플링 부품을 손잡이에 접착시킴에 의해 장난감 물품이 부정하게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다수의 장난감 물품의 수집물(collection)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수집물은 예를 들면 다양한 소비제품에 걸쳐 배포 및/또는 게임 또는 게임 쇼에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제1 절단 키(1) 및 제2 절단 키(2)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는 서로 완전히 동일하다. 절단 키(1, 2)는 손잡이(3)을 포함하는데, 이 경우 중앙난방시스템의 배수 키의 형태이다. 절단 키(1)의 손잡이(3)의 상측은 편평하고 가늘지만, 그 두께가 하측(도 1의 우측)을 향하여 증가하며, 여기에서 원통형 캐비티(5)를 형성하는 중공의 원통형 부분(4)을 포함한다. 커플링 부품(6)은 원통형 캐비티(5) 내에 수용된다. 상기 커플링 부품(6)(이는 아답터라고도 호칭될 수 있다)은 원통형 부위(7)를 포함하는데, 이것의 외경은 원통형 캐비티(5)의 내경보다 더 작다. 커플링 부품(6)의 원통형 부위(7)의 회전 대칭축은 원통형 캐비티(5)의 회전대칭축과 (실질적으로) 일치한다.
커플링 부품(6)의 하측은 제2 절단 키(2)의 커플링 부품(6')에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2개의 커플링 부품(6, 6')은 각각 돌출부(9, 9') 및 이와 상보적인 캐비티(8, 8')를 포함한다. 절단 키(1)는, 돌출부(9)를 캐비티(8')내에 삽입시키고 이와 동시에 돌출부(9')를 캐비티(8)내에 삽입시킴에 의해, 절단 키(2)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절단 키(1)는 연결부재 또는 절단 핀(10)을 포함하는데, 이는 원통형 캐비티(5)의 바닥에 고정되어 있다. 절단 핀(10)은 원통형 캐비티(5)로부터 멀리 향하는 단부에 쐐기형상 두께부(11)를 포함하는데, 이 두께부는 직각의 에지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커플링 부품(6)에는 그 상측에 절단 핀(10)을 수용하기 위한 오목부(12)가 제공되어 있다. 오목부(12)는 직각의 에지(13)를 포함하는데, 이는 쐐기형상 두께부(11)의 직각의 에지와 맞물림되어 이러한 방식으로 스냅 연결을 이루게된다. 오목부(12)에 경사진 벽(14)을 제공함으로써 전술한 스냅 연결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는 연결이 이루어지고 토크 모멘트가 어느 하나 또는 양 손잡이(3, 3')에 의해 커플링 부품(6, 6') 사이의 연결에 가해진 후의 실린더형 캐비티(5, 5') 및 커플링 부품(6, 6')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토크의 결과로 이러한 위치에서 상기 절단 핀(10')의 강도보다 큰 힘이 절단 핀(10')의 다리부에 가하여 졌다. 결과적으로 절단 핀(10')은 전단되어 절단 키(2)가 눈에 보이게 영구적으로 파손되었다.
돌출부(9, 9')가 쐐기형상이기 때문에, 제2 절단 키(2)의 커플링 부품(6')은 제1 절단 키(1)의 커플링 부품(6)에 클램핑되어 있어서, 전자의 커플링 부품은 전술한 대칭축의 방향으로 절단 키(1, 2)를 서로 멀리 당김에 의해 원통형 캐비티(5')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절단 핀(10, 10')의 강도는 몇몇 방식으로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절단 핀(10)의 반지름 방향 거리가 가해진 토크가 절단 핀(10)의 전단력으로 변화되는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 절단 핀(10)이 원통형 캐비티(5)의 대칭축과 가까이 배치될수록, 가해진 토크로부터 발생되는 절단 핀(10)의 다리부에서의 전단력이 더 커질 것이고, 절단 핀(10)은 더 빨리 끊어질 것이다.
또한 절단 핀의 강도는 그 두께를 변화시킴에 의해 또는 절단 핀 재료의 첨가물로서 재료의 특성을 약화시키거나 또는 반대로 그 성질을 향상시키는 첨가물에 의해 개조될 수 있다. 더욱이, 실제로 동일한 재료로부터 동일한 방식으로 생산된 절단 키라 할지라도 강도에 있어서 상당한 차이를 나타낸다는 것은 자명해졌다. 이러한 차이는 제조 공차에 기인하는 것이다.
도 3A 내지 3C는 본 발명에 따른 장난감 물품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즉 디스크 형상의 손잡이(32)를 포함하는 제2 타입의 절단 키(31)이다. 디스크 형상의 손잡이(32)는 구멍(33)을 가지는데, 이것에 의해 사용자는 하나 이상의 절단 키(31)를 끈이나 열쇠다발에 부착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손잡이(32)는비교적 큰 표면적을 가지는데, 이는 그림이나 텍스트를 그 위에 위치시키도록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 절단 키(31)는 중공의 원통형 부위(34)를 포함하는데, 이는 원통형 캐비티(35)를 포함한다. 커플링 부품(36)은 상기 원통형 캐비티(35) 내에 위치하는데, 이 커플링 부품은 예를 들면 절단 키(31)와 동일한 제2 절단 키(도시생략)의 동일한 커플링 부품과 커플링될 수 있도록 형상화되어 있다. 커플링 부품(36)은 스냅 연결에 의해 절단 핀(37)에 연결되는데, 이는 원통형 캐비티(35)의 바닥에 위치한다. 개구부(38)는 절단 핀(37)의 위치에서 중공의 원통형 부위의 벽에 형성된다. 이러한 타입의 구성에 의하면 단순하고 정확한 방식으로 절단 키(31)를 생산하는 것이 가능한 바, 이는 전단 핀(37)의 두께가 주형 내에서 쉽게 개조될 수 있으며 이 주형 내에서 절단 키(31)가 상기 주형 내의 이동 부분에 의해 형성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사출성형 공정에서 상기 이동 부분이 안쪽으로 이동하는 정도에 따라, 결과적인 전단 핀은 더 두껍거나 더 얇게되고 따라서 더 강하거나 더 약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난감 물품은 다양한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는데, 재료로는 예를 들면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올레핀과 같은 플라스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나 이상의 부분에 설탕과 같이 먹을 수 있는 재료를 사용하는 것도 생각해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난감 물품은 다양한 형상 및/또는 색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는데, 이는 예를 들면 장난감 연결부재를 형성하는 연결 부재가 끊어지게 되는토크 또는 힘의 표시 또는 코드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난감 물품은 매우 다양한 게임 또는 경기를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장난감 물품을 콘프레이크 박스나 포테이토칩 봉지에 넣음으로써 장난감 물품이 예를 들면 전국적으로 배포되고, 자신이 매우 강한 표본을 가지는 자라면 결승전에 참여하는 날이 조직되는 경기가 고려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장난감 물품의 손잡이 및/또는 커플링 부품은 특히 그것들이 모든 종류의 특별한 색으로 만들어졌거나 또는 그것들에 그림 또는 텍스트가 제공되었다면 수집품으로 기능할 수 있다. 게다가 장난감 물품이나 그것의 특정 부분은 일종의 쿠폰으로 기능할 수 있어서, 예를 들면 10개의 표본이 소프트 드링크 한병 또는 치약 한개와 교환될 수 있다.
본 장난감 물품의 손잡이 및/또는 커플링 부품에는 문자 또는 그림문자와 같은 표장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함께 "BACKPACK"이라는 단어의 스펠링이 되는 문자가 각각 제공된 수개의 장난감 물품의 소유자는 상기 장난감 물품을 실제의 베낭(backpack)과 교환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표장은 연결부재가 손상되지 않는 한 보이지 않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색상과 그림의 조화가 사용되어 손잡이가 장난감 물품의 판매자가 놀이판을 제공하는 게임에서의 부품으로 적합하도록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하고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이는 청구범위에서 한정된 발명의 보호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방식으로 변화될 수있다.
따라서 장난감 물품은 포테이토칩, 콘프레이크, 껌, 가루비누 또는 기타 물품의 포장에 담길 수도 있다. 또한 커플링 부품을 소프트드링크 병 뚜껑의 내부에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한데, 이에 의해 뚜껑은 본 장난감 물품의 손잡이로서 기능할 수도 있다. 장난감 물품은 당연히 그 자체로 판매될 수도 있다.

Claims (13)

  1. 수집품으로 및/또는 게임에서의 사용에 매우 적합한 장난감 물품으로서, 손잡이를 포함하는 장난감 물품에 있어서,
    제2의 장난감 물품과의 연결을 이루기 위한 커플링 부품으로서, 연결부재를 통해 상기 손잡이에 부착되며, 소정의 힘 또는 토크가 가해지면 끊어지게 되는 커플링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난감 물품.
  2. 제 1 항에 있어서, 연결부재가 소정의 힘 또는 토크에서 떨어져나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난감 물품.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제2의 장난감 물품과 커플링되도록 되어 있는 커플링 부품의 부분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커플링 부품에 커플링될 수 있도록 형상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난감 물품.
  4. 선행하는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의 장난감 물품과 커플링되도록 되어 있는 커플링 부품의 부분이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와 상보적인 캐비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난감 물품.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쐐기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난감 물품.
  6. 선행하는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가 전단 핀으로 되어 있거나, 또는 전단 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난감 물품.
  7. 선행하는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커플링 부품은 단 한번의 스냅연결에 의해 연결부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난감 물품.
  8. 선행하는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커플링 부품 또는 손잡이는 원통형 부위를 포함하는데, 이 원통형 부위에 의해 커플링 부품 또는 손잡이가 각각 손잡이 또는 커플링 부품의 원통형 캐비티 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난감 물품.
  9. 제 8 항에 있어서, 연결부재는 원통형 캐비티의 바닥 또는 벽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난감 물품.
  10. 선행하는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커플링 부품과 연결부재 사이에는 일정량의 유극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난감 물품.
  11. 선행하는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손잡이 및/또는 커플링 부품에는문자 또는 그림문자와 같은 표장이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난감 물품.
  12. 제 11 항에 있어서, 표장은 연결부재가 손상되지 않는 한 보이지 않도록 되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난감 물품.
  13. 선행하는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다수의 장난감 물품의 수집물.
KR1020027017212A 2002-12-17 2001-07-19 장난감 물품 KR1008464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7017212A KR100846407B1 (ko) 2002-12-17 2001-07-19 장난감 물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7017212A KR100846407B1 (ko) 2002-12-17 2001-07-19 장난감 물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0779A true KR20030060779A (ko) 2003-07-16
KR100846407B1 KR100846407B1 (ko) 2008-07-16

Family

ID=41640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7212A KR100846407B1 (ko) 2002-12-17 2001-07-19 장난감 물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6407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92858A (en) 1971-07-01 1974-02-19 N Cross Sectional gam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6407B1 (ko) 2008-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03274A (en) Bottle item
US4103774A (en) Capsule
US5851415A (en) Snow mold
US6640989B2 (en) Composite container with integral support, related method and mold
US5858262A (en) Mold for forming multi-sided, fully contoured, three-dimensional toy figures
US6739935B2 (en) Toy article
US5462278A (en) Blow molded plastic container including an internal wall having a visual display
KR100846407B1 (ko) 장난감 물품
US6409569B1 (en) Container for liquid dissolvable capsules containing compressed, expandable toy figures
AU3439901A (en) Chocolate product having break-away portion
RU2243801C2 (ru) Игровое изделие с ручкой и соединительной деталью для соединения со вторым игровым изделием
ZA200301438B (en) Toy article with handle and coupling piece for connection with a second toy article.
US6966451B2 (en) Spinning eye and mouth character candy dispenser
KR200252114Y1 (ko) 개봉이 용이한 볼용기
AU2007100590A4 (en) Confection support
KR20230136087A (ko) 말캉한 완구를 제조하는 놀이완구 및 이를 이용한 말캉한 완구 제조방법
WO2000071478A3 (es) Procesos para fabricar envases, frascos, vasos y similares internamente divididos, y popotes bifurcados, y productos resultantes
WO1995026309A1 (en) Combined packaging and plaything
US4846755A (en) Vibratory spinning toy
JPH0115435Y2 (ko)
GB2299157A (en) A handle for a confectionery item
RU2003109270A (ru) Игровое изделие с ручкой и соединительной деталью для соединения со вторым игровым изделием
GB2440122A (en) Building blocks toy
GB2324267A (en) Moulding figurines
NZ270921A (en) Packaging container; comprises component packaged with the container as a marketing induc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