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0670A - Method for Presenting Various Reply Messages for Use in Mobile Communication - Google Patents

Method for Presenting Various Reply Messages for Use in Mobile Communic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0670A
KR20030060670A KR1020020001589A KR20020001589A KR20030060670A KR 20030060670 A KR20030060670 A KR 20030060670A KR 1020020001589 A KR1020020001589 A KR 1020020001589A KR 20020001589 A KR20020001589 A KR 20020001589A KR 20030060670 A KR20030060670 A KR 200300606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terminal
call
transmitting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15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남호기
이철희
Original Assignee
남호기
이철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호기, 이철희 filed Critical 남호기
Priority to KR1020020001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60670A/en
Publication of KR20030060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0670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4Automatic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Automatic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subscribers; Arrangements for recording convers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voice messaging, e.g. dicta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hort messaging services [SMS] or e-m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image or video mess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PURPOSE: A method for transmitting a message informing of call disability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rovided to prestore a message informing a transmitter that a receiver cannot answer the phone, thereby automatically transmitting the stored message to the transmitter when a call is made. CONSTITUTION: A receiver stores a message informing of a call disable state(S700). A transmitter performs a dial up function to attempt a call connection with a receiving terminal(S702). A wireless base station decides whether the receiving terminal is busy(S704). If not, the base station decides whether an absent service is activated(S708). If so, the base station supplies an announcement informing a transmitting terminal that a call disable message exists in the receiving terminal(S712). The transmitter selects whether to confirm the call disable message set by the receiver(S714). If so, the call disable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transmitting terminal(S718). The transmitting terminal displays the message as text or images or outputs the message as a voice(S720).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통화 불능을 알려주는 메시지 전달 방법{Method for Presenting Various Reply Messages for Use in Mobile Communication}Method for Presenting Various Reply Messages for Use in Mobile Communication}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통화가 불가능한 상태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전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수신자가 전화를 받을 수 없는 상태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전화를 받을 수 없는 상황을 알려주는 메시지를 미리 저장하여, 전화가 걸려오면 자동으로 저장된 메시지가 송신자에게 전송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통화 불능을 나타내는 메시지 전달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delivering a message indicating a state in which a call is impossibl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ore specificall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tores a message in advance indicating a situation in which the receiver cannot answer the call while the receiver cannot answer the call, and the stored message is automatically transmitted to the sender when the call is receiv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ssage delivery method indicating a call failure.

주지하다시피, 최근의 전자 공학 및 통신 공학의 비약적인 발전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도 다양한 기능을 갖게 되었다. 즉, 무선 통신 및 데이터 처리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함에 따라 사람들은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음성 통화뿐만 아니라 인터넷 접속, 화상 통신 및 동영상 메시지 전송 등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게되었다.As is well known, recent advances in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engineering have resulted in a variety of mobile terminals. That is,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wireless communication and data processing technology, people can use not only voice calls but also Internet access, video communication and video message transmission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하지만, 이동 통신 단말기를 사용하는 중에 이동 통신 단말기로 인하여 난처한 경우를 당하게 되는 일도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즉, 전화벨이 울리면 곤란한 상황, 예컨대, 회의중, 수업중, 영화나 음악 감상중, 도서관에서 공부하는 경우 등에 전화벨이 울려 난처한 경우를 겪게 된다.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원을 미리 꺼놓거나 진동 모드(Mode)로 설정한다면 이와 같은 난처한 상황은 발생하지 않으나 종종 이런 것을 잊어버리기도 한다.However, there are frequent occurrences of embarrassment du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le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other words, when the telephone rings, it may be a difficult situation, for example, during a meeting, during class, watching a movie or music, or when studying in a library. I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turned off in advance or set to the vibration mode, such an embarrassing situation does not occur, but it is often forgotten.

또한, 위와 같은 상황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원을 사전에 꺼놓으면 전화를 건 상대방은 수신자가 무슨 일로 전화를 받지 못하는지 알 수가 없어 궁금증과 함께 불쾌함을 느낄 수도 있다. 그리고, 이동 통신 단말기를 미리 진동 모드로 설정해 놓으면 전화벨이 울려서 겪게 되는 난처함은 피할 수 있지만, 통화를 하기 힘든 상황에는 별로 효용성이 없다. 또한, 이동 통신 단말기를 진동 모드로 설정하였더라도 수신자가 전화를 받을 수 없는 경우에는 발신자는 다이얼업(Dial-Up)을 한 후부터 일정 시간 동안 발신음(Ring-Back Tone)을 듣고 난 후에야 수신자가 부재중이거나 전화를 받을 수 없다는 안내 멘트(Announcement), 예컨대, "고객님의 휴대폰 전원이 꺼져 있어 음성사서함으로 연결됩니다." 또는 "고객님이 전화를 받지 않아 음성사서함으로 연결됩니다." 등의 멘트를 교환기로부터 듣게 된다. 이러한 경우, 발신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는 안내 멘트가 제공되기까지의 시간 동안 주파수 채널, 통신 선로와 교환기를 점유함으로 트래픽(Traffic)을 증가시켜 통신 서비스 업체에게 손실로 작용하고 있는 실정이다.In addition, in the above situation, if the pow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turned off in advance, the calling party may not know what the receiver does not receive the call and may feel uncomfortable with the question. In addition, i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set to the vibration mode in advance, it is possible to avoid the embarrassment caused by the ringing of the phone, but it is not very useful in a situation where it is difficult to make a call. In addition, if the receiver cannot answer the call even if the mobile terminal is set to the vibrate mode, the caller must hear the ring-back tone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dial-up, Announcement about not being able to answer a call, for example, "Your mobile phone is powered off and will be connected to your voicemail." Or "You haven't answered a call and will be connected to voicemail." You hear the back of the message from the exchange. In this case, the caller's mobile terminal increases the traffic by occupying a frequency channel, a communication line, and a switch for a time until the announcement is provided, thus causing a loss to a communication service company.

따라서, 최근에는 수신자가 일정 시간 동안 전화를 받지 않는 경우에는 수신자가 미리 저장한 음성 메시지를 송신자에게 제공하여 전화를 받을 수 없다는 것을 알려주는 서비스, 예컨대, 각 통신 서비스 업체에서 제공하는 '인사말'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이 서비스는 통신 서비스 업체의 교환기 등에서 제공하는 기능으로서, 이러한 인사말 기능에서는 일반적으로 전화를 받을 수 없는 수신자는 단지 전화를 받을 수 없다는 내용의 단순 메시지만을 녹음하게 된다. 예컨대, 단순 메시지는 "지금은 운행중이므로 전화를 받을수 없으니 잠시 후 전화해 주시기 바랍니다" 또는 "지금은 회의중이므로 전화를 받을수 없으니 잠시 후 전화해 주시기 바랍니다" 등과 같은 메시지를 녹음하게 된다. 따라서, 송신자는 무슨 이유로 수신자가 전화를 받을 수 없는지를 알 수 없게 된다. 또한, 이러한 음성 안내 서비스는 하나의 음성 메시지만을 녹음하게 되어 있어, 사용자 입장에서는 자신의 상황에 맞는 다양한 메시지를 녹음하거나 저장해 두는 것이 원천적으로 봉쇄되어 있다.Therefore, in recent years, when the receiver does not answer the phone for a certain time, a service that informs the sender that the receiver cannot receive a call by providing a pre-stored voice message, for example, a 'greeting' service provided by each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Is being provided. This service is provided by a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s exchange, etc. In such a greeting function, a simple message indicating that a receiver who cannot answer a call can only receive a call is recorded. For example, a simple message may record a message such as "Calling can not be received because it is currently in operation. Please call me later." Thus, the sender cannot know why the receiver cannot answer the call. In addition, such a voice guidance service is to record only one voice message, the user is essentially blocked from recording or storing a variety of messages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the user.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신자가 전화를 받을 수 없는 경우에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전화를 받을 수 없는 상황을 알려주는 메시지를 미리 저장하여, 전화가 걸려오면 자동으로 저장된 메시지가 송신자에게 전송되도록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통화 불능을 나타내는 메시지의 전달 방법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that the receiver can not answer the call to store the message in advance telling the situation that the mobile terminal can not answer the call, the automatically stored message is sent to the sender when the call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delivering a message indicating a communication failur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be trans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 불능을 알려주는 메시지를 전달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or transmitting a message indicating a call fail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통상적인 이동 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ypic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whi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통화 불능을 알려주는 다양한 문자 메시지의 설정 과정을 나타내는 예시도,3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setting various text messages informing of a call failur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통화 불능을 알려주는 다양한 음성 메시지의 설정 과정을 나타내는 예시도,4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setting various voice messages for notifying a call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통화 불능을 알려주는 다양한 이미지 메시지의 설정 과정을 나타내는 예시도,FIG. 5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setting various image messages informing of a call failur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단말기를 이용한 통화 불능을 알려주는 메시지를 작성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creating a message informing of a call failure using a comput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신 단말기에서 통화 불능을 알려주는 메시지가 송신 단말기로 전달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transmitting a message indicating a call failure in a receiving terminal to a transmitting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100 : 송신 단말기 102 : 수신 단말기100: transmitting terminal 102: receiving terminal

104, 112 : 무선 기지국 106, 110 : 이동 통신 교환국104, 112: wireless base station 106, 110: mobile communication switching center

108 : 공중 전화 교환망 116 : 컴퓨터 단말기108: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116: computer terminal

118 : 이동 통신 사업자 서버 200 : 제어부118: mobile service provider server 200: control unit

202 : 키입력부 204 : 표시부202: key input unit 204: display unit

206 : 메모리 208 : 송신부206: memory 208: transmitter

210 : 수신부 212 : 오디오부210: receiver 212: audio unit

214 : 듀플렉서214: duplexer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전화 통신망을 이용하여 송신 단말기와 수신 단말기사이에서 통화 불능을 나타내는 메시지의 전달 방법에 있어서, 메시지를 상기 수신단말기에 등록하는 단계, 송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수신 단말기로 다이얼업(Dial-Up)하여 수신 단말기로 전화 연결하는 단계, 송신 단말기로 메시지가 설정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안내 멘트(Announcement)를 전송하는 단계, 송신자 단말기에서 메시지를 확인하고자 할때, 수신 단말기로부터 송신 단말기로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및 메시지가 송신 단말기를 통해 출력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통화 불능을 나타내는 메시지 전달 방법을 제공한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n a method for transferring a message indicating a call failure between a transmitting terminal and a receiving terminal using a telephone communication network, registering a message with the receiving terminal, dialing up to a receiving terminal using a transmitting terminal ( Dial-up to connect to the receiving terminal, transmitting an announcement indicating that the message is set to the transmitting terminal, and when the sender terminal wants to check the message, the message is transmitted from the receiving terminal to the transmitting terminal. And transmitting a message through a transmitting terminal and providing a message indicating a call failure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 불능을 알려주는 메시지를 전달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or transmitting a message indicating a call fail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은 송신 단말기(100), 수신 단말기(102), 무선 기지국(104, 112), 이동 통신 교환국(106, 110), 공중 전화 교환망(108), 인터넷(114), 컴퓨터 단말기(116), 이동 통신 사업자 서버(118)를 포함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ansmitting terminal 100, a receiving terminal 102, a wireless base station 104, 112, a mobile communication switching center 106, 110, a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108, the Internet 114, a computer. A terminal 116, a mobile service provider server 118.

송신 단말기(100)는 통화 불능의 메시지를 등록한 단말기로 전화 연결을 요청하고, 수신 단말기(102)는 송신 단말기(100)의 전화 연결 요청을 받는 단말기로서 통화 불능의 메시지를 등록한 단말기이다.The transmitting terminal 100 requests a telephone connection to a terminal that has registered a non-call message, and the receiving terminal 102 is a terminal that receives a telephone connection request of the transmitting terminal 100 and registers a non-call message.

무선 기지국A, B(104, 112)는 각각 송신 단말기(100)와 수신 단말기(102)에 무선으로 연결되어, 각 단말기(100, 102)의 통화 요청을 유선망을 통하여 각 이동통신 교환국(106, 110)으로 전송하는 무선 송수신기를 갖는 기지국을 말한다. 이동통신 교환국A, B(106, 110)는 각각의 무선 기지국A, B(104, 112)들이 효율적으로 운용될 수 있도록 하는 통제 기능과 공중 전화 교환망(108)의 교환기와의 연동 기능을 가지고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송신 단말기(100)와 수신 단말기(102)가 다른 셀(Cell)에 속해 있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송신 단말기(100)와 수신 단말기(102)가 동일한 셀에 속해 있는 경우에는 동일한 하나의 무선 기지 국과 이동 통신 교환국이 모든 과정을 처리한다. 여기서, 셀이란 하나의 무선 기지 국이 담당하는 무선 통신 서비스 영역을 말하는데, 이는 주파수 자원을 효율적으로 재활용하기 위해서 제안된 개념이다.The wireless base stations A and B 104 and 112 are wirelessly connected to the transmitting terminal 100 and the receiving terminal 102, respectively, so that each mobile communication switching station 106, A base station having a wireless transceiver for transmitting to 110. The mobile switching centers A and B 106 and 110 have a control function for allowing the respective wireless base stations A and B 104 and 112 to operate efficiently and an interworking function with the switch of the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108. . Meanwhile, 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se where the transmitting terminal 100 and the receiving terminal 102 belong to different cells has been described, but the transmitting terminal 100 and the receiving terminal 102 belong to the same cell. In the case, the same single base station and mobile switching center handle all processes. Here, the cell refers to a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 area that is handled by one wireless base station, which is a proposed concept for efficiently recycling frequency resources.

이동 통신 사업자 서버(118)는 사용자가 자신에게 접속하여 입력한 통화 불능의 메시지나 자신이 미리 저장하고 있는 통화 불능의 메시지를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100, 102)에 제공한다. 즉, 사용자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 102)나 컴퓨터 단말기(116)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 사업자 서버(118)에 접속하여 통화 불능의 메시지를 작성하거나 이동 통신 사업자 서버(118)에 미리 저장된 통화 불능의 메시지를 선택하여 자신의 이동 통신 단말기(100, 102)에 내재된 저장 장치에 저장할 수 있다. 컴퓨터 단말기(116)로부터 이동 통신 사업자 서버(118)로의 접속은 인터넷(114)을 통해 이루어진다. 여기서, 컴퓨터 단말기(116)는 주변 장치로서 모니터, 키보드 (keyboard) 및 마이크를 포함한다.The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server 118 provide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100 and 102 of the user with a non-call message that the user accesses and inputs or a call-free message stored in advance. That is, the user connects to the mobile service provider server 118 by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100 and 102 or the computer terminal 116 to compose a message that is not available or to store a call previously stored in the mobile service provider server 118. Message may be selected and stored in a storage device embedded in it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102). The connection from the computer terminal 116 to the mobile operator server 118 is via the Internet 114. Here, the computer terminal 116 includes a monitor, a keyboard and a microphone as peripheral devices.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통상적인 이동 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알려주는 블럭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ypic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whi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구성은 제어부(200),키입력부(202), 표시부(204), 메모리(206), 송신부(208), 수신부(210), 오디오부(212) 및 듀플렉서(214)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the configu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 unit 200, a key input unit 202, a display unit 204, a memory 206, a transmitter 208, a receiver 210, and an audio unit ( 212) and duplexer 214.

제어부(200)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The controller 20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키입력부(202)는 다수의 숫자키 및 기능키를 구비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소정의 키를 누를 때 해당되는 키데이터를 발생하여 제어부(200)로 전송한다.The key input unit 202 includes a plurality of numeric keys and function keys, and generates corresponding key data when the user presses a predetermined key and transmits the corresponding key data to the control unit 200.

표시부(204)는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액정 표시부(LCD : Liquid Crystal Display)를 포함하고, 제어부(200)에 의해 제어되며, 키입력부(202)에서 발생되는 키데이터 및 제어부(200)의 각종 정보 신호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한다.The display unit 204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that displays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200, and generates key data generated by the key input unit 202 and various information of the control unit 200. The signal is received and displayed.

메모리(206)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소정의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으며, 제어부(200)에 의해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이 수행될 때 입출력되는 데이터 및 이동 통신 사업자 서버(118)로부터 전송되는 문자, 음성, 이미지(Image) 및 동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능을 한다.The memory 206 stores a predetermined program that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nputs and outputs data input and output when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erformed by the control unit 200 and the mobile operator server 118. It saves text, voice, image and video data.

듀플렉서(Duplexer)(214)는 안테나(AT)를 통해 무선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하며, 송수신되는 신호를 분리하여 처리한다. 즉, 듀플렉서(214)는 송수신 주파수를 분리하여 원하는 대역의 주파수만을 통과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부품으로 기지국이나 통신 단말기를 통해 전파를 송출할 때 불필요한 영역의 전파를 제거하는 일종의 전파 필터링 (Filtering) 장치이다.The duplexer 214 communicates with a wireless base station through an antenna AT, and separates and processes signals transmitted and received. That is, the duplexer 214 is a component that separates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frequency to pass only the frequency of the desired band and is a kind of radio wave filtering device that removes the radio wave of the unnecessary area when transmitting the radio wave through the base station or the communication terminal. to be.

수신부(210)는 안테나(AT)를 통해 듀플렉서(214)로 입력되고, 듀플렉서(214)에 의해 분리된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200)로 전송하거나, 수신한 무선 신호를 증폭 및 필터링하여 오디오부(212)로 출력한다.The receiver 210 is input to the duplexer 214 through the antenna AT, receives the radio signal separated by the duplexer 214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200, or amplifies and filters the received radio signal to audio. Output to the unit 212.

송신부(208)는 이하 설명될 오디오부(212)로부터 출력된 무선 신호를 증폭 및 필터링하여 듀플렉서(214)를 거쳐 안테나(AT)를 통해 송신한다.The transmitter 208 amplifies and filters the radio signal output from the audio unit 212,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and transmits the radio signal through the duplexer 214 through the antenna AT.

오디오부(212)는 제어부(200)의 제어를 받아 마이크(MIC)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무선 신호로 변조하고, 수신부(210)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 신호를 복 조하여 스피커(SP)에 음성 신호로서 송출한다.The audio unit 212 modulates a voice signal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MIC into a wireless signal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200, and demodulates the wireless signal received through the receiver 210 to the speaker SP. It is sent as an audio signal.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통화 불능을 알려주는 다양한 문자 메시지의 설정 과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FIG. 3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setting various text messages informing of a call failur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통화 불능 상태를 설정하는 서비스(이하 '부재중 서비스'라 한다)의 초기 메뉴 화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재중 서비스의 초기 메뉴 화면은 문자, 음성 및 이미지 메시지를 포함하는 통화 불능 상태를 나타내는 메시지의 종류로 되어 있다. 물론, 앞으로 전자 ·통신의 기술 개발이 계속 이루어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저장 용량이 증가하고 데이터의 전송 속도가 개선되면 동영상 데이터도 통화 불능 상태를 나타내는 메시지로 사용될 수 있다.3A is an initial menu screen of a ser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missing service') for setting a state of incapacity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initial menu screen of the missed ser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ype of a message indicating a call unavailable state including text, voice, and image messages. Of course, if the technology development of the electronic communication continues to increase the data storage capacit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data transmission speed is improved, video data may also be used as a message indicating the incapable state.

사용자가 도 3A에서 문자 메시지를 선택하면 문자 메시지 작성과 문자 메시지 설정의 메뉴를 포함하는 도 3B로 진행한다. 문자 메시지 작성 메뉴는 사용자가자신의 이동 통신 단말기의 키버튼을 이용하여 직접 문자 메시지를 작성하여 입력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문자 메시지 설정은 부재중 서비스로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문자 메시지를 이용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사용자가 도 3B에서 문자 메시지 설정을 선택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부재중 서비스의 문자 메시지의 목록이 디스플레이되는 도 3C로 진행한다. 도 3C를 보면,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저장한 전화를 받지 못할 몇가지 상황(회의중, 영화 관람중, 음악 감상중, 수업중, 운동중)이 표시되어 있다. 물론, 사용자는 도 3C에 열거된 다섯 가지 경우 외에도 자신이 전화를 받지 못하게 되는 여러 가지 상황을 입력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는 도 3C에서 자신이 전화를 받지 못하는 상황을 나타내는 특정 번호를 선택하여 부재중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If the user selects a text message in FIG. 3A, proceeds to FIG. 3B which includes a menu of text message creation and text message setup. The text message creation menu provides a function for the user to directly write and enter a text message using a key button of his mobile terminal, and the text message setting provides a function of using a text message stored in the mobile terminal as an missed service. do. If the user selects the text message setting in Fig. 3B, the process proceeds to Fig. 3C in which a list of text messages of the missed service stor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displayed. Referring to FIG. 3C, several situations (in a meeting, watching a movie, listening to music, in class, exercising) are displayed when a user cannot receive a call store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course, in addition to the five cases listed in FIG. 3C, the user may enter and store various situations in which the user does not answer the call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FIG. 3C, the user can select a specific number indicating the situation where he / she cannot answer the call and use the missed service.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통화 불능을 알려주는 다양한 음성 메시지의 설정 과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FIG. 4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setting various voice messages for notifying a call failur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는 도 3A와 마찬가지로 부재중 서비스의 초기 메뉴 화면이다. 사용자가 도 4A에서 음성 메시지를 선택하면 음성 메시지 녹음과 음성 메시지 설정의 메뉴를 포함하는 도 4B로 진행한다. 음성 메시지 녹음 메뉴는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의 마이크를 통해 통화 불능을 나타내는 상황을 자신의 음성으로 입력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음성 메시지 설정은 부재중 서비스로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음성 메시지를 이용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도 2를 동시에 참조하여 보면, 사용자가 마이크를 통해 음성을 입력하면 오디오부(212)에서 입력된 음성 신호를 디지틸 데이터로 변환하여 제어부(200)로 전송한다. 제어부(200)는 오디오부(212)로부터 수신한 무선 신호를 메모리(206)에 저장한다. 사용자가 도 4B에서 음성 메시지 설정을 선택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부재중 서비스의 음성 메시지의 목록이 디스플레이되는 도 4C로 진행한다. 도 4C를 보면,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저장한 음성 메시지의 일부분이 문자로 표시되어 있다. 여기서, 문자는 저장된 음성 메시지의 첫부분부터 표시되며, 표시부(204)에 표시되는 문자의 길이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도 3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사용자는 도 4C에 열거된 다섯 가지 상황 외의 여러 가지 상황을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저장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들이 이동 통신 단말기를 구입한 후에 자신이 직접 통화 불능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녹음하여 저장하는 방법도 가능하지만,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조 단계에서 일반 사용자들이 자주 처하게 되는 통화 불능 상황을 미리 이동 통신 단말기에 녹음하여 저장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사용자는 도 4C에 디스플레이된 문자를 보고 특정 번호를 바로 선택하거나 디스플레이된 문자에 대응하는 저장된 음성 메시지를 들어본 후 특정 번호를 선택하여 부재중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4A is an initial menu screen of the missed service as in FIG. 3A. If the user selects the voice message in Fig. 4A, proceed to Fig. 4B which includes a menu of voice message recording and voice message setting. The voice message recording menu provides a function for the user to input a situation indicating that the call is unavailable through the microphone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voice message setting provides a function of using a voice message stored in the mobile terminal as an missed service. do. Referring to FIG. 2 simultaneously, when a user inputs a voice through a microphone, the voice signal input from the audio unit 212 is converted into digital data and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200. The controller 200 stores the radio signal received from the audio unit 212 in the memory 206. If the user selects the voice message setting in Fig. 4B, the process proceeds to Fig. 4C in which a list of voice messages of the missed service stor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displayed. 4C, a portion of the voice message stored by the user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displayed in text. Here, the text is displayed from the beginning of the stored voice message, and the length of the text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04 may vary depending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described in FIG. 3, the user may store various situations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ddition to the five situations listed in FIG. 4C.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record and store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user cannot talk directly after the user purchase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is also possible to record and save to. The user may use the missed service by viewing the text displayed in FIG. 4C and immediately selecting a specific number or listening to a stored voice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displayed text and then selecting the specific number.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통화 불능을 알려주는 다양한 이미지 메시지의 설정 과정을 나타내는 예시도다.FIG. 5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setting various image messages informing of a call failur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도 5A는 도 3A 및 도 4A와 마찬가지로 부재중 서비스의 초기 메뉴 화면이다. 사용자가 도 5A에서 이미지 메시지를 선택하면 이미지 메시지 등록과 이미지 메시지 설정의 메뉴를 포함하는 도 5B로 진행한다. 이미지 메시지 등록 메뉴는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의 키버튼을 통해 통화 불능 상태를 나타내는 상황을 입력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이미지 메시지 설정은 부재중 서비스로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이미지 메시지를 이용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사용자가 도 5B에서 이미지 메시지 설정을 선택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부재중 서비스의 이미지 메시지의 목록이 디스플레이되는 도 5C로 진행한다. 도 5C는 설명의 편의상,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이미지 메시지가 이미지의 형태가 아닌문자로 표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에서는 이미지의 형태로 서비스 된다. 사용자는 도 5C에 디스플레이된 다양한 이미지를 보고 특정 번호를 선택하여 부재중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FIG. 5A is an initial menu screen of the missed service similarly to FIGS. 3A and 4A. If the user selects the image message in FIG. 5A, proceeds to FIG. 5B which includes a menu of image message registration and image message setting. The image message registration menu provides a function for the user to input a situation indicating a state of incapacity through a key butt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image message setting provides a function of using an image message stor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an missed service. If the user selects the image message setting in Fig. 5B, the process proceeds to Fig. 5C in which a list of image messages of the missed service stor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displayed. In FIG. 5C,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 image message stored in a us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displayed in text, not in the form of an image, but is serviced in the form of an imag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view the various images displayed in FIG. 5C and select a particular number to use the missed service.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단말기(116)를 이용한 통화 불능 상태를 알려주는 메시지를 작성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creating a message indicating a state of a call unavailable state using the computer terminal 116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는 컴퓨터 단말기(116)를 사용하여 이동 통신 사업자 서버(118)에 접속한다(S600). 사용자는 이동 통신 사업자 서버(118)에서 제공하는 웹페이지(Web Page) 상에서 부재중 메시지 메뉴를 선택하여 등록할 부재중 메시지 종류가 디스플레이된 웹페이지를 제공받는다(S602). 사용자는 부재중 메시지 종류가 디스플레이된 화면에서 작성하고자 하는 메시지 종류를 선택한다(S604). 사용자가 단계 S604에서 문자 메시지를 선택하면, 사용자는 문자 메시지를 입력받는 화면을 제공받아 키보드를 이용하여 문자 메시지를 작성하여 입력하고(S606), 입력된 문자 데이터는 이동 통신 사업자 서버(118)로 전송되어 저장된다(S608). 만약, 사용자가 단계 S604에서 음성 메시지를 선택하면, 사용자는 음성 메시지를 입력받는 화면을 제공받아 마이크를 이용하여 음성 메시지를 입력하고(S610), 입력된 음성 데이터는 이동 통신 사업자 서버(118)로 전송되어 저장된다(S612). 만약, 사용자가 단계 S604에서 이미지 메시지를 선택하면, 사용자는 이동 통신 사업자 서버(118)에서 제공하는 이미지 목록이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제공받아(S614), 자신이 원하는 이미지를 선택한다(S616).The user connects to the mobile service provider server 118 using the computer terminal 116 (S600). The user selects an absence message menu on a web page provided by the mobile service provider server 118 and receives a web page displaying the type of missed message to be registered (S602). The user selects a message type to be written on the screen on which the missed message type is displayed (S604). When the user selects a text message in step S604, the user is provided with a screen for inputting a text message, writes and inputs a text message using a keyboard (S606), and the input text data is sent to the mobile service provider server 118. It is transmitted and stored (S608). If the user selects a voice message in step S604, the user is provided with a screen for receiving a voice message, inputs a voice message using a microphone (S610), and the input voice data is sent to the mobile service provider server 118. It is transmitted and stored (S612). If the user selects an image message in step S604, the user is provided with a screen on which the list of images provided by the mobile service provider server 118 is displayed (S614), and the user selects the desired image (S616).

사용자는 자신이 작성하거나 선택한 메시지가 이동 통신 사업자 서버(118)전송될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및 비밀 번호를 입력한다(S618). 이동 통신 사업자 서버(118)는 입력된 전화번호와 비밀 번호가 서로 일치하는지를 판단하여 (S620), 전화번호와 비밀 번호가 일치하지 않으면 단계 S618로 돌아간다. 그렇지 않고, 전화번호와 비밀 번호가 일치하면 이동 통신 사업자 서버(118)는 무선 통신망을 경유하여 사용자가 입력하거나 선택한 메시지 데이터를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한다(S622). 이동 통신 단말기는 이동 통신 사업자 서버(118)로부터 전송된 메시지 데이터를 수신하여 메모리(206)에 저장한다(S624).The user inputs the phone number and passwor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which the message written or selected by the user is to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service provider server 118 (S618). The mobile service provider server 118 determines whether the entered telephone number and password match each other (S620), and if the telephone number and password do not match,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618. Otherwise, if the phone number and the password match, the mobile service provider server 118 transmits the message data input or selected by the user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via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622).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ceives the message data transmitted from the mobile operator server 118 and stores it in the memory 206 (S624).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신 단말기(102)에서 통화 불능을 알려주는 메시지가 송신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FIG.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transmitting a message indicating a communication failure to a transmitting terminal 100 in a receiving terminal 102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과 동시에 참조하여 살펴보면, 수신자는 도 3 내지 도 6에서 설명한 과정을 거쳐 수신 단말기(102)에 통화 불능 상태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저장한다(S700). 송신자는 송신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수신 단말기(102)로 다이얼업(Dial-Up)을 수행하여 수신 단말기(102)와 전화 연결을 시도한다(S702). 무선 기지국 B(112)는 수신 단말기(102)가 통화중인지를 판단하여(S704), 수신 단말기(102)가 통화중이라면 송신 단말기(100)로 통화중 신호음을 전송한다(S706). 그렇지 않고, 수신 단말기(102)가 통화중이 아니라면 무선 기지국 B(112)는 수신 단말기(102)의 메뉴중 부재중 서비스가 활성화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S7O8). 만약, 부재중 서비스가 활성화되어 있지 않다면 전화 연결이 이루어지거나, 일정 시간 경과후 송신 단말기(100)에 전화 연결이 실패했음을 알리는 안내 멘트가 제공된 후 전화 연결 시도가 종료된다(S710). 그렇지 않고, 부재중 서비스가 활성화되어있다면 송신 단말기(100)로 수신자의 통화 불능 메시지가 있음을 알려주는 멘트가 제공된다(S712). 송신자는 수신자가 설정한 통화 불능 메시지를 확인할 것인지의 여부를 선택한다(S714). 만약, 송신자가 통화 불능 메시지의 확인을 원하지 않는다면, 송신자는 수신 단말기(102)에 음성 메모를 남기거나 바로 전화 연결 시도를 종료한다(S716). 그렇지 않고, 송신자가 통화 불능 메시지의 확인을 원하면, 설정되어 있는 통화 불능 메시지가 수신 단말기(102)로부터 송신 단말기(100)로 전송된다(S718). 송신 단말기(100)는 수신 단말기(102)로부터 수신한 통화 불능 메시지가 문자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이면 표시부(204)에 문자나 이미지로 디스플레이되고, 음성 데이터이면 스피커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된다(S720).Referring to FIG. 1 and at the same time, the receiver stores a message indicating a call disabled state in the receiving terminal 102 through the proces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6 (S700). The sender attempts a telephone connection with the receiving terminal 102 by dialing up to the receiving terminal 102 using the transmitting terminal 100 (S702). The wireless base station B 112 determines whether the receiving terminal 102 is busy (S704), and if the receiving terminal 102 is busy, transmits a busy signal to the transmitting terminal 100 (S706). Otherwise, if the receiving terminal 102 is not in a call, the wireless base station B 112 determines whether the missed service in the menu of the receiving terminal 102 is activated (S7O8). If the missed service is not activated, the telephone connection is made, or aft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the call connection attempt is terminated after the announcement is provided to the transmitting terminal 100 indicating that the telephone connection has failed (S710). Otherwise, if the missed service is activated, a comment is provided to the transmitting terminal 100 informing that there is a call unavailable message of the receiver (S712). The sender selects whether or not to check the unavailable message set by the receiver (S714). If the sender does not want to confirm the unavailable message, the sender leaves a voice memo on the receiving terminal 102 or immediately terminates the call connection attempt (S716). Otherwise, if the sender wants to confirm the unavailable message, the set unavailable message is transmitted from the receiving terminal 102 to the transmitting terminal 100 (S718). If the disabling message received from the receiving terminal 102 is text data or image data, the transmitting terminal 100 is displayed as a text or an image on the display unit 204, and if it is voice data, it is output as voice through a speaker (S720).

앞에서 설명하였듯이, 종래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부재중 서비스 기능은 송신자에게 수신자가 사정상 전화를 받을 수 없다는 단순한 정보만을 제공할 뿐 무슨 이유로 전화를 받지 못하는지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기가 어려웠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문자, 음성 및 이미지를 이용하여 전화를 받을 수 없는 다양한 상황을 자신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저장하여 전화를 건 상대방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통화 불능 메시지를 작성하거나 등록을 할때 이동 통신 단말기뿐만 아니라 컴퓨터 단말기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issed service function provided by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s the sender with only the simple information that the receiver cannot answer the phone, but it is difficult to provide the information about the reason for not receiving the call. 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may store various situations in which his or her phone cannot receive a call using text, voice, and image in hi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provide the called party with the call. In addition, when the user composes or registers a call disablement message, the user can use the computer terminal as well a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facilitate the user's convenience.

Claims (7)

전화 통신망을 이용하여 송신 단말기와 수신 단말기 사이에서 통화 불능 상 항임을 알려주는 메시지의 전달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for transmitting a message informing that the call is impossible between the sending terminal and the receiving terminal using a telephone communication network, (a) 상기 메시지를 상기 수신 단말기에 등록하는 단계;(a) registering the message with the receiving terminal; (b) 상기 송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 단말기로 다이얼업(Dial-Up)하여 상기 수신 단말기로 전화 연결하는 단계;(b) dialing up to the receiving terminal using the transmitting terminal and making a telephone call to the receiving terminal; (c) 상기 송신 단말기로 상기 메시지가 설정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안내 멘트(Announcement)를 전송하는 단계;(c) transmitting an announcement indicating that the message is set to the transmitting terminal; (d) 상기 송신자 단말기에서 상기 메시지를 확인하고자 할때, 상기 수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송신 단말기로 상기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d) when the sender terminal wants to check the message, transmitting the message from the receiving terminal to the transmitting terminal; And (e) 상기 메시지가 상기 송신 단말기를 통해 출력되는 단계(e) outputting the message through the transmitting terminal;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통화 불능 상황임을 알려주는 메시지 전달 방법.Message delivery method for informing that the communication is not available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메시지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내장된 메모리의 일정 영역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통화 불능을 나타내는 메시지 전달 방법.And the message is stored in a predetermined area of a memory built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메시지는 통화 불능의 상태를 나타내는 문자, 음성, 이미지 및 동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통화 불능을 나타내는 메시지 전달 방법.And the message includes text, voice, image, and video data indicating a state of incapacity of a call.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메시지는 상기 단말기 또는 컴퓨터 단말기를 이용하여 등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통화 불능을 나타내는 메시지 전달 방법.And the message is registered using the terminal or the computer terminal.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단계 (a)에서,In step (a), 상기 컴퓨터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메시지를 상기 단말기에 입력하는 방법은,The method for inputting the message to the terminal using the computer terminal, (a1) 상기 컴퓨터 단말기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 사업자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a1) accessing a mobile service provider server using the computer terminal; (a2) 상기 이동 통신 사업자 서버에서 제공하는 웹페이지 상에서 특정 메시지를 입력하거나 선택하는 단계;(a2) inputting or selecting a specific message on a web page provided by the mobile service provider server; (a3) 상기 특정 메시지를 전송할 상기 단말기의 전화번호와 비밀 번호를 입력하는 단계;(a3) inputting a telephone number and a password of the terminal to which the specific message is to be transmitted; (a4) 상기 이동 통신 사업자 서버에서 상기 전화번호와 상기 비밀 번호의 인증이 이루어지는 단계; 및(a4) authenticating the phone number and the password at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server; And (a5) 상기 단말기로 상기 특정 메시지를 전송하여 상기 단말기에 등록하는 단계(a5) transmitting the specific message to the terminal and registering the terminal with the terminal;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통화 불능을 나타내는 메시지 전달 방법.Message delivery method indicating the inability to call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메시지가 문자인 경우는 상기 단말기 및 상기 컴퓨터 단말기의 키입력부를 이용하고, 상기 메시지가 음성인 경우는 상기 단말기 및 상기 컴퓨터 단말기의 마이크를 이용하여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통화 불능을 나타내는 메시지 전달 방법.When the message is a text, a key input unit of the terminal and the computer terminal is used, and when the message is voice, input is performed using a microphone of the terminal and the computer terminal. Message delivery method indicating.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메시지가 이미지인 경우는 상기 단말기 및 상기 컴퓨터 단말기에 저장된 상기 이미지 목록중에서 특정 이미지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통화 불능을 나타내는 메시지 전달 방법.And when the message is an image, selecting a specific image from the list of images stored in the terminal and the computer terminal.
KR1020020001589A 2002-01-10 2002-01-10 Method for Presenting Various Reply Messages for Use in Mobile Communication KR2003006067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1589A KR20030060670A (en) 2002-01-10 2002-01-10 Method for Presenting Various Reply Messages for Use in Mobile Communic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1589A KR20030060670A (en) 2002-01-10 2002-01-10 Method for Presenting Various Reply Messages for Use in Mobile Communic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0670A true KR20030060670A (en) 2003-07-16

Family

ID=32217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1589A KR20030060670A (en) 2002-01-10 2002-01-10 Method for Presenting Various Reply Messages for Use in Mobile Communic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60670A (en)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3789A (en) * 2002-08-08 2004-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Message method for addressee's stat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482927B1 (en) * 2002-06-25 2005-04-14 (주)에이치인포메이션 Inform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rejection calling of portable terminal
KR100661829B1 (en) * 2005-03-11 2006-12-27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Mobile communication system,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profile SMS transmission service
KR100752849B1 (en) * 2004-01-20 2007-08-29 엘지전자 주식회사 set up methode of absence mode
KR100753364B1 (en) * 2006-03-08 2007-08-30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Server and method for giving reasons of call drop using text message
KR100755929B1 (en) * 2006-02-01 2007-09-06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for processing call and method thereof
KR100808190B1 (en) * 2006-04-06 2008-0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The handset for having the function of automatic response in the optimized mod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007080B1 (en) * 2003-05-19 2011-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Status information service method in mobile phon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84140A (en) * 1995-09-14 1997-03-28 Nec Corp Radio communication equipment
KR20000018813A (en) * 1998-09-04 2000-04-06 서평원 Method for an auto reception answering guide in mobile phones
KR20000066072A (en) * 1999-04-13 2000-11-15 윤종용 Portable terminal for answering automatically and auto answering method
KR20010003363A (en) * 1999-06-23 2001-01-15 이형도 Auto-answer method in communication device
KR20010011055A (en) * 1999-07-24 2001-02-15 윤종용 Method for automatically transmitting a character message in mobile terminal
KR20010096783A (en) * 2000-04-14 2001-11-08 노대성 Controlling method of auto answering mode in mobil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84140A (en) * 1995-09-14 1997-03-28 Nec Corp Radio communication equipment
KR20000018813A (en) * 1998-09-04 2000-04-06 서평원 Method for an auto reception answering guide in mobile phones
KR20000066072A (en) * 1999-04-13 2000-11-15 윤종용 Portable terminal for answering automatically and auto answering method
KR20010003363A (en) * 1999-06-23 2001-01-15 이형도 Auto-answer method in communication device
KR20010011055A (en) * 1999-07-24 2001-02-15 윤종용 Method for automatically transmitting a character message in mobile terminal
KR20010096783A (en) * 2000-04-14 2001-11-08 노대성 Controlling method of auto answering mode in mobile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2927B1 (en) * 2002-06-25 2005-04-14 (주)에이치인포메이션 Inform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rejection calling of portable terminal
KR20040013789A (en) * 2002-08-08 2004-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Message method for addressee's stat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1007080B1 (en) * 2003-05-19 2011-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Status information service method in mobile phone
KR100752849B1 (en) * 2004-01-20 2007-08-29 엘지전자 주식회사 set up methode of absence mode
KR100661829B1 (en) * 2005-03-11 2006-12-27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Mobile communication system,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profile SMS transmission service
KR100755929B1 (en) * 2006-02-01 2007-09-06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for processing call and method thereof
KR100753364B1 (en) * 2006-03-08 2007-08-30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Server and method for giving reasons of call drop using text message
KR100808190B1 (en) * 2006-04-06 2008-0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The handset for having the function of automatic response in the optimized mod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30352B1 (en) A mobile station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mobile station in conferencing mode for us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7133503B2 (en) Incoming call control by the called party
KR20040069072A (en) Mobile phone, tele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downloading multimedia data of the receiving part
KR2010004377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all mode in a mobile terminal
JP2003319062A (en) Handfree portable telephone and handfree switching program
US6547620B1 (en) Communication apparatus, memory medium and method
KR20030060670A (en) Method for Presenting Various Reply Messages for Use in Mobile Communication
US20050159146A1 (en) Method for registering absent subscriber messages and setting absent subscriber mode
US20050221809A1 (en) Method for informing a mobile phone of a transferred incoming call
JP2004222094A (en) Communication equipment and communication system
KR100506246B1 (en) How to display caller information, including caller name of communication terminal
KR100736562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larm Function During Calling and Method thereof
KR20010048639A (en) Method for waitng an incomming call in wireless communication set
KR10063759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ring service
KR20020069987A (en)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function of personal assistant using short message service and implementing method
JP3748329B2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JP3221438B2 (en) Mobile phone equipment
KR100360897B1 (en) Mobile Phone For Voiceless Call By Using Answering Message
JP2000307718A (en) Device and method for calling telephone set
JP2002073493A (en) Portable music player system
JP2001127913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450137B1 (en) Method for transferring voice messages
KR100576004B1 (en)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transmitting automatic response message
JPH11261720A (en) Portable telephone set and its communication method
JPH10210137A (en) Portable tele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