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0412A - 인터넷을 이용한 개인정보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터넷을 이용한 개인정보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0412A
KR20030060412A KR1020020001102A KR20020001102A KR20030060412A KR 20030060412 A KR20030060412 A KR 20030060412A KR 1020020001102 A KR1020020001102 A KR 1020020001102A KR 20020001102 A KR20020001102 A KR 20020001102A KR 20030060412 A KR20030060412 A KR 200300604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sonal information
user
index
persona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1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승훈
Original Assignee
지승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승훈 filed Critical 지승훈
Priority to KR1020020001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60412A/ko
Publication of KR20030060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0412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을 이용한 개인정보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개인정보를 제공하는 사이트를 개설하여 사용자에게는 자신의 독특한 이미지와 함께 개인의 신뢰, 건강, 특기, 수입 등과 같은 세부항목을 수치화 하여 입력할 수 있도록 하고, 관리자에게는 상기에서 입력되는 개인정보를 오프라인에서 조사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점수와 비교할 수 있는 실제 조사 점수를 입력하여 표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터넷을 통해 공개되는 개인정보의 신뢰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입력되는 개인정보를 등급별 또는 수치화된 세부항목별로 검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보교환, 전자상거래의 상대방을 보다 정확하고, 편리하게 검색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인터넷을 이용한 개인정보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Method and system to manage a private infomation through internet}
본 발명은 인터넷을 이용한 개인정보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것으로, 보다 더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신뢰지수, 건강지수, 특성지수, 수입지수 등과 같은 세부항목별로 수치화하고, 상기 개인정보를 사용자의 개인 캐릭터와 함께 인터넷을 통해 공개함으로써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상호 교환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인터넷을 이용한 개인정보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인터넷의 급속한 발달로 컴퓨터, 휴대폰, PDA 등을 사용하여 개인과 개인, 개인과 기업, 기업과 기업간의 정보교환 및 전자 상거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정보교환 및 전자 상거래에 있어서 개인 또는 기업에 대한 신뢰성 및 안전성은 매우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개인 또는 기업의 신뢰성 및 안전성을 파악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이 모색되고 있다.
종래에는 이름, 회사명, 전화번호, 팩스번호, 이메일 등과 같은 정형화된 정보를 인터넷을 통해 공지하거나 또는 당사자의 신뢰성 및 안전성을 특수문자로 지정하여 표시하였다.
그러나, 종래에는 개인, 기업 상호간의 신뢰성 및 안전성을 표시된 특수문자의 갯수로 판단하므로 표시 자체에 대한 신뢰도가 떨어지며, 상기에 표시된 신뢰성 및 안전성을 객관적으로 판단하고, 표시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정보교환 및 전자상거래의 주체인 개인 또는 기업의 역량을 포괄적으로 공개하고, 신뢰도, 기술수준, 수입, 건강 등과 같은 요소별로 차별화하여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므로 필요정보에 따른 상대방을 검색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신뢰지수, 건강지수, 특성지수, 수입지수 등과 같은 세부항목별로 수치화하고, 상기 개인정보를 사용자의 개인 캐릭터와 함께 인터넷을 통해 공개함으로써 개인 정보에 대한 신뢰성 및 안전성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정보교환, 전자상거래의 상대방을 등급별 또는 수치화된 세부항목별로 검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대방을 보다 정확하고, 편리하게 검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개인 정보 관리방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개인정보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개인정보 관리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정보 통신 단말기 20 : 인터넷
30 : 이용업체 서버 40 : 개인 정보 관리 서버
41 : 운영 데이터 베이스 43 : 영상 데이터 베이스
45 : 자료 데이터 베이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져 있다.
회원으로 등록하기를 희망하는 사용자들로 부터 가입신청을 받는 제 1단계와;
상기 제 1단계에서 사용자가 가입신청을 하면, 개인의 이미지를 특징적으로 나타낼 수 있도록 사진, 캐릭터, 또는 사진과 캐릭터를 합성한 이미지를 만들수 있는 제작도구를 제공하는 제 2단계와;
상기 제 2단계에서 이미지 생성 작업이 완료되면, 정보 입력창을 표시하여 개인의 신뢰, 건강, 특기, 수입 등을 수치로 환산한 지수를 입력받는 제 3단계와;
상기 제 3단계에서 지수가 입력되면, 개인정보의 공개 또는 비공개중 어느 하나를 택일 적으로 선택받는 제 4단계와;
상기 제 4단계에서 개인정보의 공개 또는 비공개가 선택되면, 완성된 개인이미지와, 개인 정보 및 개인 정보를 수치로 환산한 지수의 총합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 5단계와;
상기 제 5단계에서 이미지, 개인 정보, 총합 등이 저장되면, 사용자의 개인 자료실, 방명록 등을 이용할 수 있는 기본적인 개인 웹페이지를 생성하는 제 6단계와;
상기 제 6단계에서 기본적인 개인 웹페이지가 생성되면, 회원으로 가입한 사용자가 자신이 입력한 개인정보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관리자에게 신뢰성 조사를 요청하는지를 판단하는 제 7단계와;
상기 제 7단계에서 사용자가 신뢰성 조사를 요청하면, 관리자는 개인의 신뢰, 건강, 특기, 수입 등을 조사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지수와 비교할 수 있는 실제 지수를 입력하여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제 8단계와;
상기 제 8단계에서 사용자의 신뢰성을 조사한 실제 지수가 저장되면, 인터넷을 통해 개인 관리 서버에 접속한 다수의 사용자 또는 이용업체들로 부터 개인정보를 요청하는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제 9단계와;
상기 제 9단계에서 개인정보를 요청하는 신호가 사용자로 부터 입력되면, 등록된 회원들의 개인 이미지와 함께 지수로 표기된 개인 정보 및 실제 지수를 표시하고, 특정 정보를 편리하게 검색할 수 있는 검색 창을 표시하는 제 10단계와;
상기 제 10단계에서 표시되는 개인 이미지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개인 정보를 수치로 환산한 지수의 총합이 공개 또는 비공개인지를 판단하는 제 11단계와;
상기 제 11단계에서 개인 정보를 수치로 환산한 지수의 총합이 비공개이면, 각 개인의 총합에 따라 높고 낮음을 표시하는 애니메이션을 제공하는 제 12단계와;
상기 11단계에서 지수의 총합이 공개되어져 있다고 판단되면, 선택된 개인의 웹페이지를 표시하는 제 13단계와;
상기 제 9단계에서 이용업체로 부터 개인정보를 요청하는 신호가 입력되면,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개인정보를 이용업체에게 전송하는 제 14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구성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져 있다.
사용자가 자신의 개인정보를 입출력할 수 있는 정보 통신 단말기와;
공개된 개인정보를 관리하는데 필요한 각종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운영 데이터 베이스와;
각 개인의 특징으로 이미지화할 수 있는 각종 캐릭터 및 사용자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각종 애니메이션이 저장되어 있는 영상 데이터 베이스와;
사용자의 개인정보가 세부항목별로 각각 저장되는 자료 데이터 베이스와;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자료를 비교/분석하여 개인의 신뢰지수, 건강지수, 특기지수, 수입지수, 백파워 등과 같은 세부 항목별로 개인정보를 관리하고, 이 개인정보를 요청하는 각 이용업체에 전송하기 위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개인 정보 관리 서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개인 정보 관리방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개인정보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개인정보 관리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인터넷을 이용한 개인정보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가 자신의 개인정보를 입출력할 수 있는 정보 통신 단말기(10)와, 상기 정보 통신 단말기(10)와 연결되어 정보의 이동경과가 되는 인터넷(20)과, 상기 인터넷(30)과 연결되어 각 개인 특성 정보를 필요로 하는 다수개의 이용업체 서버(30)와, 상기 정보 통신 단말기(10)와 연결되어 신뢰지수, 건강지수, 특기지수, 수입지수, 백파워 등과 같은 세부 항목별로 개인정보를 관리하고, 이 개인정보를 요청하는 각 이용업체에 전송하기 위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개인 정보관리 서버(40)로 이루어져 있다.
정보 통신 단말기(10)는 문자, 그림, 음성, 화상 또는 동영상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멀티미디어 기능을 갖는 것으로, 사용자는 자신의 정보 통신 단말기(10)를 통해 상기 개인정보 관리서버(40)에 접속하여 개인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정보 통신 단말기(10)로는 인터넷(20)을 통해 상기 개인정보관리서버(40)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가 이용되며, 이외에도 인터넷(20)과 연결될 수 있는 PDA, 이동 전화기 등의 다른 통신 장치가 이용될 수 있으며, 정보통신단말기(10)는 도 1과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수의 정보통신단말기(10)가 인터넷(20)에 연결될 수 있다.
인터넷(20)은 상기 정보 통신 단말기(10)에 연결되어 전자메일, 파일 전송, 정보 검색, 하이퍼 텍스트 정보 열람 등을 가능하게 하는 데이터의 이동경로가 된다.
이용업체 서버(30)는 상기 인터넷(20)과 연결되어 공개된 개인정보를 이용하여 각종 결혼정보, 기업정보, 구인 및 구직정보, 홍보정보 등과 같은 정보를 제공한다.
개인 정보 관리서버(40)는 공개된 개인정보를 관리하는데 필요한 각종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운영 데이터 베이스(41)와, 각 개인의 특징을 이미지 화할 수 있는 각종 캐릭터 및 사용자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각종 애니메이션이 저장되어 있는 영상 데이터 베이스(43)와, 사용자의 개인정보가 세부항목별로 각각 저장되는 자료 데이터 베이스(45)와 연결되어 있다.
이 발명의 실시예에서, 관리자는 인터넷을 통해 각 개인이 입력하는 개인 정보를 관리하는 서버의 운영자를 나타내며, 이용업체는 결혼정보업체, 기술정보센터, 전자상거래업체 등과 같이 공개된 정보를 이용하여 각 개인들이 필요로 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운영자들을 나타내며, 사용자는 인터넷을 통해 자신의 개인정보를 공개하는 모든 인터넷 접속자를 나타낸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인터넷을 이용한 개인 홈페이지 구축방법을 도 2와 같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를 참조하면, 개인정보 관리 서버(40)는 자신의 개인 정보를 인터넷(20)을 통해 공개하기를 희망하는 사용자들로 부터 가입신청을 받는다(S1).
상기 사용자가 자신의 정보 통신 단말기(10)에 설치되어 있는 웹브라우져를 이용하여 인터넷(20)을 통해 회원가입을 신청하면, 개인정보 관리 서버(40)는 사용자의 특징을 직접 표현할 수 있는 이미지 제작도구를 표시한다(S2).
예를들면, 상기 이미지 제작도구는 디지털 사진 편집 기능, 미리 생성되어 있는 다수개의 캐릭터들을 조합, 편집할 수 있는 기능, 사진과 캐릭터를 합성할 수 있는 합성기능 등과 같이 개인의 독특한 이미지를 인터넷을 통해 실시간으로 생성할 수 있는 다양한 부가적인 기능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사용자는 상기 개인정보 관리 서버(40)에서 제공하는 이미지 제작도구를 사용하여 자신의 디지털 사진, 캐릭터 등을 조합 및 편집하여 자신의 개성을 표현할 수 있는 독특한 이미지를 생성한다(S3).
상기에서 사용자가 자신의 독특한 이미지를 생성하면, 상기 개인정보 관리서버(40)는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신뢰지수, 건강지수, 특기지수, 수입지수, 백파워 등으로 세분하여 표시하고, 사용자가 그에 해당하는 점수를 수치로 환산한 지수로 직접 입력할 수 있으며, 상기 각 세부항목을 공개 또는 비공개중 어느 하나를 택일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개인정보 입력창을 표시한다(S4).
예를들면, 상기 지수를 수치로 환산하는 방법은 첫째 관리자가 제공하는 등급별 점수, 즉 신뢰지수, 건강지수, 특기지수, 수입지수, 백파워를 일정 범위에 따라 점수를 부과한 기준지수에 의해 사용자가 계산하여 입력할 수 있으며, 둘째 관리자가 제공하는 세부항목, 즉 연봉, 거래은행, 직업, 질병, 학력, 특허 및 실용신안 출원, 인증마크 등을 입력하면, 상기 개인 정보 관리 서버(40)는 개인의 신뢰, 건강, 특기, 수입, 백파워 등과 같은 항목별, 등급별로 지수를 수치로 환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신뢰지수는 개인의 신용도를 나타내며, 건강지수는 나이, 체력, 생활습관 등으로 고려한 개인의 건강상태를 나타내며, 특기지수는 직업에 따른 노하우, 특허출원, 실용신안출원, 기술력 등과 같은 다양한 요소에 대한 개인의 특기를 나타내며, 수입지수는 연봉, 이자소득, 임대소득 등을 고려한 실수입을 나타내며, 백파워는 금융자산, 유동자산, 부동자산 등의 각종자산과, 자격증, 어학능력, 대인관계 등의 잠정적인 자산을 나타낸다.
상기에서 사용자가 수치로 환산한 지수를 입력하고, 개인정보의 공개 또는 비공개를 선택하면(S5), 상기 개인정보 관리서버(40)는 상기 완성된 개인 이미지, 개인 정보 및 개인 정보를 수치로 환산한 지수의 총합을 연산하여 표시하고, 상기에서 입력되는 정보를 관련 데이터 데이터베이스(41,43, 45)에 저장하며(S6), 상기 사용자에게 개인 자료실, 방명록 등을 이용할 수 있는 기본적인 개인 웹페이지를 제공한다(S7).
이후, 정보 관리서버(40)는 회원으로 가입한 사용자가 자신이 입력한 개인정보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관리자에게 신뢰성 조사를 요청하는지를판단한다(S8).
상기에서 사용자가 신뢰성 조사를 요청하면, 관리자는 정보 관리서버(40)의 데이터 베이스(41, 43, 45)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의 개인정보, 예들들면 신뢰지수, 특기지수, 수입지수 등과 같은 각 항목별로 오프라인에서 조사하여 수치로 환산한 실제 조사지수를 입력하여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한다(S9).
이후, 인터넷(20)을 통해 개인 관리 서버(40)에 접속한 다수의 사용자 또는 개인정보를 필요로 하는 각 이용업체들로 부터 개인정보를 요청하는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한다(S10).
상기에서 개인정보를 요청하는 신호가 사용자측으로 부터 입력되었다고 판단되면, 등록된 회원들의 개인 이미지와 함께 수치로 환산된 지수로 표기된 개인 정보 및 실제 조사지수를 표시하고, 특정 정보를 편리하게 검색할 수 있는 검색창을 표시한다(S11).
예를들면, 상기 검색창은 개인정보를 입력하는 각 항목별, 즉 신뢰지수, 건강지수, 특기지수, 수입지수, 백파워, 지수의 총합 등으로 검색이 가능하게 하며, 특히 상기 특기지수는 지수의 입력기준이 되는 노하우, 기술력, 특허출원 등과 같은 내용별 검색이 가능하다.
상기에서 표시되는 개인 이미지들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가 선택하면, 개인 정보 관리서버(40)는 개인 정보를 수치로 환산한 지수의 총합이 공개 또는 비공개인지를 판단한다(S13).
상기에서 개인 정보를 수치로 환산한 지수의 총합이 비공개로 선택되어져 있다고 판단되면, 개인정보 관리서버(40)는 각 개인의 총합을 비교하여 총합의 대소를 나타내는 애니메이션을 제공한다(S14).
예를들면, 상기 애니메이션은 간단한 게임형식으로 구성된 것으로, 본인의 총합과 선택된 상대방의 총합을 비교하여 대소의 정도에 따라 상, 중, 하 등과 같은 등급별로 나누어져 있으며, 상급일 경우에는 총합이 낮은 사용자가 무릅을 굽히는 애니메이션을 제공하고, 중급일 경우에는 허리를 굽히는 애니메이션을 제공하며, 하급일 경우에는 고개를 숙이는 애니메이션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점수의 총합이 공개되어져 있다고 판단되고, 비공개된 총합에 대한 애니메이션의 표시가 완료되면, 상기 개인정보 관리서버(40)는 선택된 개인의 홈페이지를 표시한다(S15).
이후, 상기에서 개인정보를 요청하는 신호가 이용업체로 부터 입력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개인정보 관리서버(40)는 이용업체가 요청한 개인정보를 관련 데이터 베이스에서 검색하고(S16), 상기에서 검색된 개인정보를 인터넷(20)을 통해 이용업체 서버로 전송한다(S17).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개인정보를 제공하는 사이트를 개설하여 사용자가 개인의 이미지와 함께 개인의 신뢰, 건강, 특기, 수입 등과 같은 세부항목을 수치화 하여 입력 할 수 있도록 하고, 관리자는 상기에서 입력되는 개인정보를 오프라인에서 조사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점수와 비교할 수 있는 실제 조사 점수를 입력하여 표시함으로써 인터넷을 통해 공개되는 개인정보의 신뢰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입력되는 개인정보를 내용별 또는 수치화된 세부항목별로 검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보교환, 전자상거래의 상대방을 보다 정확하고, 편리하게 검색할 수 있도록 한다.

Claims (2)

  1. 회원으로 등록하기를 희망하는 사용자들로 부터 가입신청을 받는 제 1단계와;
    상기 제 1단계에서 사용자가 가입신청을 하면, 개인의 이미지를 특징적으로 나타낼 수 있도록 사진, 캐릭터, 또는 사진과 캐릭터를 합성한 이미지를 만들수 있는 제작도구를 제공하는 제 2단계와;
    상기 제 2단계에서 이미지 생성 작업이 완료되면, 정보 입력창을 표시하여 개인의 신뢰, 건강, 특기, 수입 등을 수치로 환산한 지수를 입력 받는 제 3단계와;
    상기 제 3단계에서 지수가 입력되면, 개인정보의 공개 또는 비공개중 어느 하나를 택일적으로 선택 받는 제 4단계와;
    상기 제 4단계에서 개인정보의 공개 또는 비공개가 선택되면, 완성된 개인 이미지와, 개인 정보 및 개인 정보를 수치로 환산한 지수의 총합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 5단계와;
    상기 제 5단계에서 이미지, 개인 정보, 총합 등이 저장되면, 사용자의 개인 자료실, 방명록 등을 이용할 수 있는 기본적인 개인 웹페이지를 생성하는 제 6단계와;
    상기 제 6단계에서 기본적인 개인 웹페이지가 생성되면, 회원으로 가입한 사용자가 자신이 입력한 개인정보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관리자에게 신뢰성 조사를 요청하는지를 판단하는 제 7단계와;
    상기 제 7단계에서 사용자가 신뢰성 조사를 요청하면, 관리자는 개인의 신뢰, 건강, 특기, 수입 등을 조사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지수와 비교할 수 있는 실제 지수를 입력하여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제 8단계와;
    상기 제 8단계에서 사용자의 신뢰성을 조사한 실제 지수가 저장되면, 인터넷을 통해 개인 관리 서버에 접속한 다수의 사용자 또는 이용업체들로 부터 개인정보를 요청하는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제 9단계와;
    상기 제 9단계에서 개인정보를 요청하는 신호가 사용자로 부터 입력되면, 등록된 회원들의 개인 이미지와 함께 지수로 표기된 개인 정보 및 실제 지수를 표시하고, 특정 정보를 편리하게 검색할 수 있는 검색창을 표시하는 제 10단계와;
    상기 제 10단계에서 표시되는 개인 이미지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개인 정보를 수치로 환산한 지수의 총합이 공개 또는 비공개인지를 판단하는 제 11단계와;
    상기 제 11단계에서 개인 정보를 수치로 환산한 지수의 총합이 비공개이면, 각 개인의 총합에 따라 높고 낮음을 표시하는 애니메이션을 제공하는 제 12단계와;
    상기 11단계에서 지수의 총합이 공개되어져 있다고 판단되면, 선택된 개인의 웹페이지를 표시하는 제 13단계와;
    상기 제 9단계에서 이용업체로 부터 개인정보를 요청하는 신호가 입력되면,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개인정보를 이용업체에게 전송하는 제 14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개인정보 시스템.
  2. 사용자가 자신의 개인정보를 입출력할 수 있는 정보 통신 단말기와;
    공개된 개인정보를 관리하는데 필요한 각종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운영 데이터 베이스와;
    각 개인의 특징을 이미지 화할 수 있는 각종 캐릭터 및 사용자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각종 애니메이션이 저장되어 있는 영상 데이터 베이스와;
    사용자의 개인정보가 세부항목별로 각각 저장되는 자료 데이터 베이스와;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자료를 비교/분석하여 개인의 신뢰지수, 건강지수, 특기지수, 수입지수, 백파워 등과 같은 세부 항목별로 개인정보를 관리하고, 이 개인정보를 요청하는 각 이용업체에 전송하기 위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개인 정보 관리 서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개인정보 관리 방법.
KR1020020001102A 2002-01-09 2002-01-09 인터넷을 이용한 개인정보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300604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1102A KR20030060412A (ko) 2002-01-09 2002-01-09 인터넷을 이용한 개인정보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1102A KR20030060412A (ko) 2002-01-09 2002-01-09 인터넷을 이용한 개인정보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0412A true KR20030060412A (ko) 2003-07-16

Family

ID=32217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1102A KR20030060412A (ko) 2002-01-09 2002-01-09 인터넷을 이용한 개인정보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6041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6316B1 (ko) * 2005-05-11 2007-03-20 홍승필 개인 정보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0903122B1 (ko) * 2006-12-05 2009-06-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사용자 중심의 id 관리를 위한 id 관리 장치의 신뢰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6316B1 (ko) * 2005-05-11 2007-03-20 홍승필 개인 정보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0903122B1 (ko) * 2006-12-05 2009-06-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사용자 중심의 id 관리를 위한 id 관리 장치의 신뢰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87040B2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ordering, and contacting candidates for a target position based on a position detail profile for the target position
US9904712B2 (en) Systems, methods, and interfaces for aggregating and providing information regarding legal professionals
US846376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tag topology
US8965886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navigation and filtration
US9576029B2 (en) Trust propagation through both explicit and implicit social networks
TWI477992B (zh) 覆蓋於搜尋結果上之第三方資訊之方法、系統及電腦可讀取媒體
Alshammari et al. A review of technology acceptance models and theories
US20080221846A1 (en) Context-Aware, Adaptive Approach to Information Selection for Interactive Information Analysis
US10839136B2 (en) Generation of collateral object representations in collaboration environments
CN109583686A (zh) 资产管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JP5552582B2 (ja) コンテンツ検索装置
Christozov et al. Big Data Literacy: A New Dimension of Digital Divide, Barriers in Learning via Exploring “Big Data”
Tian et al. Acknowledgement network and citation count: The moderating role of collaboration network
Diamadis et al. Efficient cooperative searching on the Web: system design and evaluation
Wetherill et al. Intra-and interorganizational knowledge services to promote informed sustainability practices
CN111209403A (zh) 数据处理方法、装置、介质及电子设备
KR20030060412A (ko) 인터넷을 이용한 개인정보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Murray An investigation of specifications for migrating to a web portal framework for the dissemination of health information within a public health network
JP2012256231A (ja) 通信端末、投票情報管理サーバ及び投票情報管理システム
JP3673859B2 (ja) ウェブページグループ発展過程提示システム
Karlsson et al. A recommender system for user-specific vulnerability scoring
Padhye et al. A Framework to Evaluate Information and Source Credibility: International Construction Decision-Making
Hong et al. Personalized Information Retrieval Framework.
Nguyen Trends in Digital library research: a knowledge mapping and ontology engineering approach
Striebel et al. Career-Based Explainable Course Recommend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