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56680A - 인터넷을 이용한 음악경기 진행방법 - Google Patents

인터넷을 이용한 음악경기 진행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56680A
KR20030056680A KR1020010086959A KR20010086959A KR20030056680A KR 20030056680 A KR20030056680 A KR 20030056680A KR 1020010086959 A KR1020010086959 A KR 1020010086959A KR 20010086959 A KR20010086959 A KR 20010086959A KR 20030056680 A KR20030056680 A KR 200300566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gue
music
game
section
inter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6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성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사이컴
한성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사이컴, 한성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사이컴
Priority to KR1020010086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56680A/ko
Publication of KR20030056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6680A/ko

Links

Landscapes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을 이용하여 온라인으로 음악경기를 진행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방법은 뮤지션이 자신이 연주하거나 노래한 곡을 녹음하여 음악파일을 제작하는 단계와, 제작된 음악파일을 이용하여 소정의 음악경기 사이트에 업로드하는 단계와, 업로드된 음악파일들을 이용하여 소정의 대진규칙에 따라 대진표를 형성하고, 대진표에 따라 음악파일을 배치하여 공개하는 단계와, 평가자가 대진표에 의거 경기를 선택한 후 선택된 경기의 업로드된 음악파일을 플레이하여 듣고, 온라인상에서 평가하는 단계와, 평가결과에 따라 뮤지션에게 등급을 부여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뮤지션들이 자신이 연주하거나 노래하여 제작한 음악파일을 인터넷을 통해 음악경기 사이트에 올려 놓고 온라인 상에서 일반 대중의 평가를 받아 봄으로써 자신의 기량을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터넷을 이용한 음악경기 진행방법{ MUSICAL RACING METHOD USING INTERNET }
본 발명은 인터넷을 이용하여 온라인으로 음악경기를 진행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부문별/리그별로 구분하여 음악파일을 올려 놓은 후 회원이 이를 듣고 평가하여 다득점자가 승리하게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온라인 음악경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인터넷의 보급이 일반화되면서 웹 기반의 전자 상거래, 전자뉴스, 사이버 주식거래, 사이버 쇼핑몰, 인터넷 방송 등 다양한 서비스들이 사이버 공간상에서 제공되고 있다. 특히, 스트리밍 기술을 이용한 인터넷 음악방송이나 인터넷 TV방송에 대한 시청자 수가 점증하고 있고, 다양한 장르의 음악중에서 특정분야의 음악만을 제공하는 전문 음악방송이 활성화되고 있다.
한편, 개인적인 취미나 직업으로서 연주나 노래 등의 음악활동을 하는 뮤지션(musician)은 자신의 음악적 재능을 객관적으로 평가받을 필요성이 있고, 이러한 평가를 통해 자신의 기량을 향상시켜 갈 수 있다.
그런데 음악을 청취할 수 있는 인터넷 음악방송 서비스는 많이 제공되고 있으나 아직 온라인 상에서 음악적 재능을 평가할 수 있는 음악경기 서비스는 제공되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인터넷 사이트상에 음악파일을 올려 놓고 네티즌이 이를 듣고 평가한 후 평가결과에 따라 소정의 자격을 부여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온라인 음악 경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음악경기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경기관련 인원의 구분 예,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음악경기 리그의 예,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음악경기 부문의 예,
도 5a,b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음악경기의 진행절차를 도시한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부문별 대진표의 예,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리그별 대진표의 예,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경기창의 예,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투표결과 표시창의 예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1~102-k: 경기참가자104-1~104-m: 평가자
110: 인터넷120: 음악경기 사이트
122: 서버124: DB
201: 네티즌202: 타임투락회원
203: 뮤직리그 멤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방법은, 뮤지션(musician)이 자신이 연주하거나 노래한 곡을 녹음하여 음악파일을 제작하는 단계; 제작된 음악파일을 소정의 음악경기 사이트에 업로드하는 단계; 상기 업로드된 음악파일들을 이용하여 소정의 대진규칙에 따라 대진표를 형성하고, 상기 대진표에 따라 음악파일을 배치하여 공개하는 단계; 평가자가 상기 대진표에 의거 경기를 선택한 후 선택된 경기의 업로드된 음악파일을 플레이하여 듣고, 온라인상에서 평가하는 단계; 및 상기 평가결과에 따라 상기 뮤지션에게 등급을 부여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음악경기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음악경기의 구성요소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악경기에 참가하는 경기 참가자(102-1~102-k)와, 음악경기에 참가한 참가자의 음악을 듣고 평가하는 평가자(104-1~104-m), 음악경기가 진행될 수 있도록 온라인상에서 가상공간을 제공하고 음악경기를 관리하는 뮤직리그 사이트(120), 및 이들을 연결하기 위한 인터넷(110)으로 이루어진다.
경기 참가자(102-1~102-k)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온라인 음악경기 사이트(이하, '뮤직리그 사이트'라 한다)에 등록된 뮤직리그 멤버이고, 자신이 작곡한 곡 혹은 다른 사람의 곡을 연주하거나 노래할 수 있는 뮤지션으로서 자신의 연주한 곡 혹은 노래한 곡을 녹음한 후 경기를 위한 음악파일( MP3 등)로 제작하여 인터넷(110)을 통해 뮤직리그 사이트(120)에 음악파일을 업로드한다.
평가자(104-1~104-m)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일반 네티즌이나 특정한 자격요건을 갖춘 회원(예컨대, 음악사이트인 타임투락의 가입회원 등), 혹은 뮤직리그 멤버로서 음악을 듣고 평가하는 사람인데,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뮤직리그 사이트(120)에 접속한 후 경기를 선택하여 경기 참가자의 음악파일을 실행시켜 연주 혹은 노래를 들은 후 가장 잘 연주한( 혹은 부른) 사람에게 투표한다. 이러한 평가자(104-1~104-m)의 평가점수는 평등하게 할 수도 있으나 일정한 자격에 따라 분류한 후 차등화할 수도 있다. 예컨대, 일반 회원은 투표시 해당 연주자 혹은 가수에게 1점을 부여하고, 뮤직리그 멤버는 투표시 2점을 부여하며, 뮤직리그 멤버로서 상위 100(Top 100)에 속한 사람은 3점, 명예 심사위원은 5점 등으로 차등화한다.
인터넷(110)은 TCP/IP 프로토콜에 따른 통상의 데이터 통신망으로서, 월드와이드웹(WWW) 서비스가 가능하고, 유선 인터넷뿐만 아니라 무선 인터넷을 포함한다. 이러한 인터넷(110)은 초고속 통신망 사업자를 포함하는 다수의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SP)에 의해 제공되고 있다.
뮤직리그 사이트(120)는 웹서버(122)와 데이터베이스(124)를 구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음악경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이트로서, 경기 참가자(102-1~102-k)와 평가자(104-1~104-m)의 개인정보를 관리하고, 소정의 경기규칙 및 대진규칙에 따라 경기 참가자가 올린 음악파일들을 이용하여 대진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경기 참가자의 승률에 따라 루키리그, 더블 A리그, 트리플 A리그, 메이저 리그 등으로 등급을 구분하고, 경기부문에 따라 각 리그는 기타 연주부문, 보칼부문, 베이스부문, 밴드부문 등으로 구분되어 대진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각 리그의 경기결과는 참가자별로 소정의 평가기준에 따라 평가되어 상위 등급의 리그에 참가할 수 있도록 자격이 업그레이드되거나 현재 리그에 남게 되거나 하위 리그로 다운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경기관련 인원의 구분 예로서, 가장 넓은 개념의 네티즌(201)으로부터 타임투락회원(202)과 뮤직리그 멤버(203)로 구분되어 있다. 이러한 구분은 일정한 자격을 주기 위한 하나의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경우에 따라서는 일반 네티즌도 자유롭게 경기에 참가하거나 평가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일반 네티즌(201) 중에서 음악전문 사이트인 타임투락에 회원으로 가입하면 타임투락 회원(202)이 되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타임투락회원(202)은 음악경기에 참가한 연주자( 혹은 가수)의 연주( 혹은 노래)를 듣고 평가할 수 있는 평가자의 자격이 주어진다. 또한, 뮤직리그 멤버(203)는 일반 네티즌 혹은 타임투락회원(202) 중에서 특정한 악기를 연주할 수 있거나 노래할 수 있는 뮤지션으로서, 뮤직리그 사이트(120)에 멤버로 등록한 사람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뮤직리그 멤버(203)만이 경기 참가자로서 자신의 음악파일을 올려 경기에 참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음악경기 리그의 예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음악경기 부문의 예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음악경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 낮은 레벨의 루키리그(301)로부터, 보다 상위의 더블 A리그(302), 트리플 A리그(303), 및 최상위의 메이저 리그(304) 순으로 계층적으로 이루어진다.
루키리그(301)는 뮤직리그 사이트(120)에 뮤지션으로 등록한 후 맨 처음 거치게 되는 경기리그로서, 총 전적이 5전 이하인 뮤지션들 간의 경기이다. 총 전적이 5전이 넘거나 5전 이하라도 승수가 3승 이상인 뮤지션은 보다 상위 리그인 더블 A리그(302)에 참가할 자격이 주어진다.
더블 A리그(302)는 루키리그(301)를 거친 뮤지션들 간의 경기리그이다. 더블 A리그(302)에서는 루키리그(301)의 전적은 배제되고, 더블 A리그(302)에서 총 전적이 10전 이상이면서 승률이 5할 이상인 뮤지션은 상위 리그인 트리플 A리그(303)에 참가할 자격이 주어진다.
트리플 A리그(303)는 더블 A리그(302)를 거친 뮤지션들의 경기리그로서, 더블 A리그(302)와 함께 마이너 리그라 한다. 트리플 A리그(303)에서는 더블A리그(302)의 전적이 그대로 누적되고, 마이너 리그(302,303)에서 총 전적이 20전 이상이고 승률이 7할 이상인 뮤지션은 상위 리그인 메이저 리그(304)에 참가할 자격이 주어진다. 이와 같이 모든 경기 참가자들(102-1~102-k)은 소정의 조건에 따라 하위 리그의 참가자격으로부터 상위 리그의 참가자격으로 점차 승격된다.
메이저 리그(304)는 트리플 A리그(303)에서 승격된 뮤지션들간의 경기리그이다. 메이저 리그(304)에 참가한 뮤지션들 중에서 승률이 7할 이하로 떨어지면 트리플 A리그(303)로 강등되고, 이후 다시 승률이 7할 이상으로 향상되면 메이저 리그(304)에 다시 참가할 수 있다. 메이져 리그(304)의 참가자중에서 승률이 좋은 참가자들만을 선정하여 순위를 부여하여 'TOP 100' 등을 선정할 수도 있고, 매월 소정의 기준에 따라 '이달의 우승자' 등을 선정할 수도 있다.
또한, 각 리그는 경기부문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타(Guitar) 연주부문(301a)과 보칼(Vocal)부문(301b), 베이스(Bass)부문(301c), 밴드(Band)부문(301d)으로 구분하여 경기가 치루어진다.
전 부문에 걸쳐 공통적으로, 각 경기 참가자는 본인이 직접 연주하거나 노래해야 하고, 한번 등록되었던 음악파일은 경기의 승패에 관계없이 똑같은 상태로 다시 경기에 참여될 수 없다. 단, 다시 편곡하거나 재녹음한 것은 가능하다. 또한, 경기 참가곡은 자작곡이든 기존곡이든 상관없으나 기존곡일 경우에는 출처를 밝혀야 하고, 경기 참가자는 연주 혹은 노래한 음악파일외에 Tab악보나 가사를 첨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타 연주부문(301a)은 기타(Guitar)가 주메인이 되는 연주곡을 원칙으로 하되, 필요에 따라 반주를 삽입하는 것이 허용된다. 그러나 노래를 삽입하는 것은 허용되지 않고 기타와 노래 혹은 베이스를 모두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밴드부문(301d)에서 경기한다. 보칼부문(301b)은 노래가 주메인이 되는 음악을 원칙으로 하되, 필요에 따라 반주를 삽입하는 것이 허용된다. 베이스부문(301c)은 베이스 연주곡을 원칙으로 하되, 필요에 따라 반주를 삽입하는 것이 허용된다. 그러나 노래를 삽입하는 것은 허용되지 않는다. 밴드부문(301d)은 연주자가 2 이상이거나 밴드로 녹음한 것 혹은 연주와 노래를 동시에 한 것 등을 경기하는 부문이다.
한편, 계층화된 경기리그와 별도로 '올스타전'이 가능하며, 올스타전에서는 경기에서 승리한 선수가 챔피언이 되고, 새로운 도전자가 계속 도전하여 항상 새로운 챔피언이 탄생할 수 있는 방식의 경기이다.
이상에서는 계층화된 리그방식과 올스타전 등의 경기방식만을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방식외에도 다양한 방식의 경기가 가능하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음악경기의 진행절차를 도시한 순서도로서, 경기 참가자(102-1~102-k)가 음악파일을 제작한 후 뮤직리그 사이트(120)에 접속하여 경기리그에 참가하는 과정(도 5a)과, 평가자(104-1~104-m)가 뮤직리그 사이트(120)에 접속하여 음악파일을 플레이(play)한 후 투표하고, 이에 따라 뮤직리그 사이트(120)가 처리하는 과정(도 5b)으로 크게 구분된다.
도 5a를 참조하면, 경기 참가자(102-1~102-k)는 뮤직리그 사이트(120)가 제시한 경기규칙에 따라 자작곡이나 기존곡을 연주 혹은 노래하여 녹음한 후 지정한방식으로 음악파일을 제작한다(501,502).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경기 참가자(102-1~102-k)는 뮤직리그 사이트(120)에 등록한 뮤지션이고, 자신이 참가하고자 하는 해당 부문의 규칙에 따라 연주 혹은 노래한다. 녹음시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것이 허용되나 지나친 조작은 허용되지 않고, 배경반주가 필요할 때 여러번 더빙하는 것은 무방하다. 그리고 녹음시의 조건은 오디오 샘플속도를 44KHz로 하고 비트전송률을 128Kbps로 하며, MP3 나 WMA파일로 인코딩 후 등록한다.
음악파일 제작 후 뮤직리그 사이트(120)에 접속하여 로그인한다(503~506). 이때 뮤직리그의 멤버가 아닐 경우에는 아이디(id), 성명, 인적사항, 프로필 등을 입력한 후 등록한다.
로그인 후에는 자신의 등급에 맞는 경기리그의 해당되는 부문에 참가신청하고, 제작된 음악파일을 업로드한다(507,508). 이때 경기리그는 루키리그와 더블 A리그, 트리플 A리그, 메이저 리그 등으로 뮤지션의 기량에 따라 계층화되어 있고, 경기부문은 기타(Guitar) 연주부문과 보칼(Vocal)부문, 베이스(Bass) 연주부문, 밴드(Band) 부문으로 구분되어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뮤직리그 사이트(120)는 경기신청이 마감되면, 대진규칙에 따라 리그와 부문별로 대진표를 생성하고, 대진표에 따라 음악파일을 배치하여 공개한다(509,510). 경기 부문별 대진표의 예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타 연주부문(301a), 보칼부문(301b), 베이스연주부문(301c), 밴드부문(301d)으로 구분되어 경기자의 대진이 표시된다. 그리고 경기 리그별 대진표의 예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키리그(301), 더블 A리그(302), 트리플 A리그(303), 메이저 리그(304)로 구분되어 경기자의 대진이 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2명(팀) 단위로 대진을 구성하는 경기를 예로 들었으나 3명(팀) 이상 다수가 한꺼번에 경기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대진이 결정되어 뮤직리그 사이트(102)에 공개된 후, 평가회원이 뮤직리그 사이트(120)에 접속하면 대진표를 표시한다(511,512). 이때 대진표는 평가회원이 찾기 쉽도록 경기 리그별로 혹은 부문별로 구분하여 다양한 형태로 표시한다.
평가회원은 대진표를 보고 경기를 선택(클릭)하거나 이름을 선택(클릭)한다(513,514). 대진표에서 이름을 선택하면 해당 경기 참가자의 프로필이 자세히 소개되고, 경기를 선택하면 해당 링크로 이동하여 경기창을 표시한다(515,516). 경기창의 예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기리그 및 부문이름(801)이 표시되고, 경기 참가자의 아이디(id)와 이름(802a,802b), 경기 참가곡의 곡명(803a,803b) 등이 표시되고, 선택을 위한 라디오 버튼(804a,804b)과 투표를 위한 라디오 버튼(805) 등이 표시된다. 도 8에서, 경기 참가자의 아이디(id)나 이름(802a,802b)을 클릭하면 해당 참가자의 자세한 프로필을 볼 수 있고, 곡명(803a,803b)을 클릭하면 해당 곡의 연주(노래)를 들을 수 있다. 이와 같이 2곡을 모두 들은 후에 2개의 선택 라디오 버튼(804a,804b) 중 하나를 클릭하여 선택하고, 투표하기 버튼(805)을 누르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투표 결과창이 표시된다.
다시 도 5b를 참조하면, 경기창에서 듣기를 선택하면 해당 곡이 플레이되어 들을 수 있게 하고, 어느 한 경기 참가자를 선택한 후 투표하기를 클릭하면 투표결과를 처리하여 투표 결과창을 표시한다(517~520). 투표 결과창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디(901a,901b)와 곡명(902a,902b)을 보여주고 투표결과를 막대 그래프(903)나 점수로 표시한다. 그리고 총 투표자수(904)를 표시함과 아울러 닫기 라디오 버튼(905)을 표시하여 화면을 닫을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투표 결과창은 경기창의 하단에 함께 표시할 수도 있다.
이어 경기가 종료 되면(이때, 경기종료 조건은 경기 사작일로부터 3일 경과후 혹은 투표자 수가 100인 이상인 경우 등과 같이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현재의 경기결과와 각 참가자의 이전 전적을 참작하여 종합평가한 후, 평가결과가 소정의 업그레이드 조건을 만족하면 해당 참가자에게 상위 리그에 참가할 자격을 주거나 현재리그에 잔류 혹은 하위리그로 다운을 결정한다(521~525). 예컨대, 전체 전적이 5전이하 이면 루키리그(301)에 잔류하고, 루키리그(301)에서 5전 이상이거나 3승 이상이면 더블 A리그(302)로 상승시키고, 더블 A리그(302)에서 전체 전적이 10전 이상이고 승률이 5할 이상이면 트리플 A리그(303)로 상승시키며, 트리플 A리그(303)에서 전적이 20전 이상이고 승률이 7할 이상이면 메이저 리그(304)로 상승시킨다. 그리고 메이저 리그(304)에서 승률이 7할 이하로 떨어지면 트리플 A리그(303)로 강등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뮤지션들이 자신이 연주하거나 노래하여 제작한 음악파일을 인터넷을 통해 음악경기 사이트에 올려 놓고 온라인 상에서 일반 대중의 평가를 받아 봄으로써 자신의 기량을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연주곡이나 노래곡의 악보나 가사 등도 함께 올려 놓아 다른 사람의 연주기법이나 창법을 배울 수도 있고, 다른 사람의 평가내용을 참작하여 자신의 기량을 더욱 향상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음악경기 사이트는 뮤지션간에 선의의 경쟁을 유도해 멤버들에게 기량 향상에 대한 동기를 부여할 수 있고, 다양한 정보교류의 장을 마련할 수도 있다.

Claims (6)

  1. 뮤지션이 자신이 연주하거나 노래한 곡을 녹음하여 음악파일을 제작하는 단계;
    제작된 음악파일을 소정의 음악경기 사이트에 업로드하는 단계;
    상기 업로드된 음악파일들을 이용하여 소정의 대진규칙에 따라 대진표를 형성하고, 상기 대진표에 따라 상기 음악파일들을 배치하여 공개하는 단계;
    평가자가 상기 대진표에 의거 경기를 선택한 후 선택된 경기의 업로드된 음악파일을 플레이하여 듣고, 온라인상에서 평가하는 단계; 및
    상기 평가결과에 따라 상기 뮤지션에게 등급을 부여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음악경기 진행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진규칙은 상기 각 뮤지션의 종합 전적과 승률에 따라 계층적으로 정해진 경기리그에 참가토록 자격을 부여하고, 각 참가자는 동일리그에서 경기하도록 대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음악경기 진행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기리그는 전적과 승률에 따라 루키리그, 더블 A리그, 트리플 A리그, 메이저 리그로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음악경기 진행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진규칙은 음악의 내용에 따라 경기부문을 구분하여 동일 경기부문에서 경기하도록 대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음악경기 진행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경기부문은 기타 연주부문, 보칼부문, 베이스연주부문, 밴드부문으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음악경기 진행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하는 단계는 평가자에 따라 점수가 차등하여 부가되고, 평가결과를 점수나 막대 그래프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음악경기 진행방법.
KR1020010086959A 2001-12-28 2001-12-28 인터넷을 이용한 음악경기 진행방법 KR200300566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6959A KR20030056680A (ko) 2001-12-28 2001-12-28 인터넷을 이용한 음악경기 진행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6959A KR20030056680A (ko) 2001-12-28 2001-12-28 인터넷을 이용한 음악경기 진행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6680A true KR20030056680A (ko) 2003-07-04

Family

ID=32214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6959A KR20030056680A (ko) 2001-12-28 2001-12-28 인터넷을 이용한 음악경기 진행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5668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21182A1 (en) * 2006-04-17 2007-10-25 Yahoo!, Inc. Automated administration of network-based contests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0182A (ja) * 1994-01-20 1995-08-11 Sega Enterp Ltd 対戦型カラオケシステム
JPH11194787A (ja) * 1997-10-23 1999-07-21 Yamaha Corp カラオケオーディション装置およびカラオケ審査装置
JPH11265187A (ja) * 1998-03-17 1999-09-28 Daiichikosho Co Ltd チーム対抗歌合戦の支援機能に特徴を有する通信カラオケシステムおよびこれに用いるカラオケ演奏端末
JP2000035794A (ja) * 1998-07-17 2000-02-02 Nobuhiko Shishido 歌唱能力認定装置及び認定方法
KR20000036565A (ko) * 2000-03-22 2000-07-05 정영근 인터넷을 이용한 노래실력 평가 및 가수 선발시스템과 그선발방법
KR20000053727A (ko) * 2000-03-09 2000-09-05 장태호 인터넷 및 노래연습장을 통한 가요제 개최 및 관리방법
KR20020069770A (ko) * 2001-02-27 2002-09-05 주식회사 아이팝티브이 유무선 전화시스템을 이용한 노래연습 및 오디션매니지먼트 프로그램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0182A (ja) * 1994-01-20 1995-08-11 Sega Enterp Ltd 対戦型カラオケシステム
JPH11194787A (ja) * 1997-10-23 1999-07-21 Yamaha Corp カラオケオーディション装置およびカラオケ審査装置
JPH11265187A (ja) * 1998-03-17 1999-09-28 Daiichikosho Co Ltd チーム対抗歌合戦の支援機能に特徴を有する通信カラオケシステムおよびこれに用いるカラオケ演奏端末
JP2000035794A (ja) * 1998-07-17 2000-02-02 Nobuhiko Shishido 歌唱能力認定装置及び認定方法
KR20000053727A (ko) * 2000-03-09 2000-09-05 장태호 인터넷 및 노래연습장을 통한 가요제 개최 및 관리방법
KR20000036565A (ko) * 2000-03-22 2000-07-05 정영근 인터넷을 이용한 노래실력 평가 및 가수 선발시스템과 그선발방법
KR20020069770A (ko) * 2001-02-27 2002-09-05 주식회사 아이팝티브이 유무선 전화시스템을 이용한 노래연습 및 오디션매니지먼트 프로그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21182A1 (en) * 2006-04-17 2007-10-25 Yahoo!, Inc. Automated administration of network-based contest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oysniemi International survey on the Dance Dance Revolution game
US7462104B2 (en) Method of conducting an interactive competition
Miller Schizophonic performance: Guitar hero, rock band, and virtual virtuosity
Barrington et al. User-centered design of a social game to tag music
US20030171982A1 (en) Process of finding the best rap musicians
Tjønndal et al. Youth sport 2.0? The development of eSports in Norway from 2016 to 2019
Lee et al. Do more leisure time and leisure repertoire make us happier? An investigation of the curvilinear relationships
Van Ingen et al. Dissolution of associational life? Testing the individualization and informalization hypotheses on leisure activities in the Netherlands between 1975 and 2005
Stark The performance complex
US6756534B2 (en) Music puzzle platform
Drayer et al. Fantasy millionaires: Identifying at-risk consumers based on motivation
Wyatt From the field: Clinical resources for music therapy with juvenile offenders
US20130073362A1 (en) Method and system for rating and evaluating performing artists
KR20030056680A (ko) 인터넷을 이용한 음악경기 진행방법
Maryprasith The effects of globalization on the status of music in Thai society.
Smith Five judges' evaluation of audiotaped string performance in international competition
Volkmar et al. Procedural content generation in competitive multiplayer platform games
Spinda et al. Cards, dice, and male bonding: A case study examination of Strat-O-Matic Baseball motives
Torge Claussen Gaming Musical Instruments: Music has to be Hard Work!
Brett et al. The Crypt of Notation: Rote Learning through Video Games For Adult Beginner Keyboard Learners
Yahl Attitudes of high school band directors and students regarding Ohio Music Education Association large group adjudicated events
Soto Conjunto in the Classroom
Humphrey Where's the Roda?: Understanding Capoeira Culture in an American Context
Khalass et al. Musicality: A Game to Improve Musical Perception
Kurtz et al. The" not so" Beautiful Game: a study on Brazilian players of the fantasy soccer game Cartola FC.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