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55954A - 세탁기의 도어조립체 - Google Patents

세탁기의 도어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55954A
KR20030055954A KR1020010086088A KR20010086088A KR20030055954A KR 20030055954 A KR20030055954 A KR 20030055954A KR 1020010086088 A KR1020010086088 A KR 1020010086088A KR 20010086088 A KR20010086088 A KR 20010086088A KR 20030055954 A KR20030055954 A KR 200300559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assembly
door body
top cover
door
gas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6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병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to KR10200100860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55954A/ko
Publication of KR20030055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5954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4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6Gaskets mounted between tub and casing around the loading ope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2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washing machines or laundry dr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기의 도어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도어조립체(30)는 금속재질로 형성된 도어본체(31)와 상기 도어본체(31)의 하부에 네 모서리에 장착된 가스켓(40)으로 구성된다. 상기 도어본체(31)의 네 모서리에는 각각 절곡단(33)이 형성되고, 상기 절곡단(33)에는 스컷트(34)가 연장형성되어 상기 가스켓(40)이 삽입된다. 상기 가스켓(40)은 상기 스컷트(34)에 장착되는 장착부(42)와 실제로 완충작용을 하는 완충부(4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컷트(34)에는 걸림편(35)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부(42)에는 걸이편(43)이 형성되어 가스켓(40)이 스컷트(34)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장착부(42)에는 연질의 밀착편(45)이 형성되어 상기 스컷트(34)의 상면과 하면에 밀착되어 가스켓(40)이 스컷트(34)에 대해 유동되지 않게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도어조립체의 구성부품이 간소화되고 조립작업의 작업성이 개선되며, 도어본체(31)가 금속재질로 형성되어 도어조립체(30) 전체의 강도가 커져 변형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Description

세탁기의 도어조립체{Door assembly for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탑커버에 장착되어 세탁조의 내부를 개폐하는 도어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세탁기의 외관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캐비넷(1)이 세탁기의 외관을 구성하고, 상기 캐비넷(1)의 내부에는 세탁조와 저수조를 포함하는 각종 부품이 구비된다. 상기 캐비넷(1)의 상단에는 탑커버(3)가 설치되어 세탁기의 상면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탑커버(3)에는 상기 세탁조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조립체(5)가 설치된다. 상기 도어조립체(5)는 상기 탑커버(3)의 내부에 수납되어 그 상면이 탑커버(3)의 상면과 동일한 평면으로 된다. 상기 도어조립체(5)의 선단은 상기 탑커버(3)의 선단으로 노출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조립체(5)의 선단 중앙에서 전방으로 개구되게 손잡이홈(6)이 소정 길이로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홈(6)은 상기 탑커버(3)의 상면 방향으로도 개구되어 있다.
상기 탑커버(3)의 후단에는 조작부(7)가 구비된다. 상기 조작부(7)는 세탁기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버튼과 동작상태 및 입력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 등이 구비된다. 도면 부호 9는 세탁에 사용된 물을 외부로 배수하는 배수호스이고, 10은 세탁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선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상기 도어조립체(5)는 전체가 몰드물로 형성된다. 하지만 몰드물은 그특성상 비틀림이 많이 발생하고, 상기 도어조립체(5)에 비틀림이 발생하면 도어조립체(5)가 탑커버(3)에 정확하게 안착되지 않아 틈새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도어조립체(5)와 탑커버(3)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게 되면 세탁기의 상부 외관이 좋지 않게 되고 제품의 신뢰성이 떨어지게 된다.
그리고 도어조립체(5)가 비틀려져 탑커버(3)에 정확하게 안착되지 않게 되면, 도어조립체(5)의 닫힘을 감지하는 안전스위치가 제대로 동작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즉, 탑커버측과 도어조립체(5) 측의 안전스위치가 서로 감지범위에서 벗어날 정도로 비틀림이 발생되면 도어조립체(5)가 개방된 것으로 감지된다. 이와 같이 되면 탈수행정과 같이 도어조립체(5)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진행될 수 없는 행정은 수행되지 않게 된다.
또한, 종래의 도어조립체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많은 부품을 나사로 체결하거나 융착 등의 작업을 거쳐야 하므로 상대적으로 도어조립체의 조립공수가 많아지고 제조원가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도어조립체의 변형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어조립체의 구성부품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세탁기의 외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의 도어조립체가 탑커버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도어조립체가 탑커버에 설치되어 개방된 상태를 보인 부분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분해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탑커버22: 입구
23: 안차면24: 테두리면
31: 도어본체33: 절곡단
34: 스컷트35: 걸림편
40: 가스켓42: 장착부
42': 삽입공간43: 걸이편
45: 밀착편47: 완충부
h: 손잡이공간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한장의 금속판으로 프레스작업을 통해 형성되어 가장자리에 각각 절곡단이 하면에서 마주보게 형성되고 탑커버에 안착되어 세탁조의 입구를 개폐하는 도어본체와, 상기 절곡단이 연장되어 형성된 스컷트에 삽입되어 상기 탑커버와 도어본체 사이에서 완충역할을 하는 가스켓과, 상기 도어본체 선단의 절곡단에 상대적으로 요입되게 형성되고 상기 탑커버와 소정의 갭을 가지는 손잡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컷트에는 다수개의 걸림편이 형성되어 상기 가스켓을 고정한다.
상기 가스켓은 상기 스컷트에 장착되고 상기 걸림편에 걸어지는 걸이편이 내부에 구비되는 경질의 재질로 형성되는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와 일체로 구비되고 탄성변형되면서 완충작용을 하는 연질의 재질로 형성되는 완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장착부의 내부에는 상기 스컷트의 상면과 하면에 동시에 밀착되는 밀착편이 상기 장착부의 입구 반대방향을 향해 연장되게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도어본체의 선단부를 따라 형성된 절곡단에 요입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그 양단에는 상대적으로 두꺼운 덧살부가 형성되고 덧살부 사이는 상대적으로 얇게 되도록 요입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조립체에 의하면 도어 전체가 비틀림없이 정확한 형상을 가질 수 있게 되고, 상대적으로 강도가 커져 사용중에 변형이 발생하지 않으며, 제조과정이 간단하여 제조원가가 낮아지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세탁기의 도어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도어조립체가 탑커버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도어조립체가 탑커버에 설치되어 개방된 상태를 보인 부분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분해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세탁기의 상단 외관을 탑커버(20)가 형성한다. 상기 탑커버(20)는 그 중앙에 세탁조로 세탁포를 투입하고 취출하는 입구(2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입구(22)의 주변에는 안착면(23)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면(23)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도어조립체(30)의 도어본체(31)가 안착된다.
상기 입구(22)의 주변에 형성되는 안착면(23)은 상대적으로 요입되게 형성되는데, 상기 요입되는 정도는 도어조립체(30)의 두께와 대응된다. 그리고 상기 탑커버(20)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테두리면(24)이 형성된다. 상기 테두리면(24)은 탑커버(20)의 상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도어본체(31)의 상면(31t)과 연속되는 평면을 이루게 된다. 도면 부호 26은 조작부이다.
도어조립체(30)는 상기 입구(2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것으로, 상기 입구(22) 주변의 안착면(23) 상에 안착된다. 상기 도어조립체(30)는 그 도어본체(31)가 금속판을 프레스작업으로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도어본체(31)는 전체가 한장의 금속판으로 형성된다. 결국, 상기 도어본체(31)의 상면(31t)은 도어조립체(30)의 상면이 되고 도어본체(31)의 하면(31b)은 도어조립체(30)의 하면이 된다.
상기 도어본체(31)의 네 변에는 절곡단(33)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절곡단(33)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단부가 도어본체(31)의 하면(31b)쪽으로 절곡된다. 여기서 상기 절곡단(33)의 사이, 즉 도어본체(31)의 모서리에 대응되는 부분은 연결되지 않고 절개된 상태이다.
상기 절곡단(33)은 소정의 경사를 가지는데, 그 선단에는 스컷트(34)가 대략 상기 도어본체(31)의 하면(31b)과 평행하게 연장된다. 상기 스컷트(34)에는 소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걸림편(35)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편(35)은 그 연장방향이 상기 스컷트(34)의 연장방향과 대략 반대로 된다.
한편, 상기 도어본체(31)에 형성된 절곡단(33)중 도어본체(31)의 선단의 것은 손잡이부(36)를 형성한다. 이를 위해 상기 손잡이부(36)를 형성하는 절곡단(33)은 그 양단부에 덧살부(37)를 구비한다. 상기 덧살부(37)는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되는 부분이고, 상기 덧살부(37)의 사이에 해당되는 절곡단(33)은 상대적으로 더 요입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됨에 의해 상기 탑커버(20)의 안착면(23)과의 사이에 손잡이공간(h)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탑커버(20)선단 측의 테두리면(24)과 손잡이부(36)가 형성된 도어본체(31)의 선단과는 소정의 갭(C)이 형성된다. 상기 갭(C)은 상기 손잡이공간(h)으로 사용자가 손가락을 넣는 통로가 된다.
한편, 상기 절곡단(33)의 스컷트(34)에는 각각 가스켓(40)이 장착된다. 상기 가스켓(40)은 상기 도어본체(31)의 네변을 따라 형성된 절곡단(33)에 각각 장착되는 것이다. 상기 가스켓(40)은 상기 스컷트(34)에의 장착을 위한 장착부(42)를 구비한다. 상기 장착부(42)는 경질 합성수지, 예를 들면 PVC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장착부(42)의 내부에는 삽입공간(42')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공간(42')은장착부(42) 전체에 길게 형성된다. 상기 삽입공간(42')의 입구 측에는 걸이편(43)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편(43)은 그 선단부가 상기 삽입공간(42')의 내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형성된다.
상기 장착부(42)의 내부에는 상기 스컷트(34)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밀착되는 밀착편(45)이 형성된다. 상기 밀착편(45)은 상기 장착부(42)의 입구 반대방향을 향해 연장되고, 그 사이의 틈새가 상기 스컷트(34)의 두께와 대응되게 형성된다.
상기 장착부(42)의 일측으로는 완충부(47)가 형성된다. 상기 완충부(47)는 연질 합성수지, 예를 들어 PVC로 형성되는 것으로, 그 재질과 형상의 특성상 탄성변형하면서 완충역할을 한다. 상기 완충부(47)는 상기 안착면(23)과 도어본체(31)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도어본체(31)가 닫힐 때, 발생하는 충격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특히 상기 도어본체(31)의 양측변에 대응되는 부분에 설치된 가스켓(40)은 상기 도어본체(31)와 탑커버(20)의 사이에 사용자의 손이 끼었을 때 상해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밀착편(45)과 완충부(47)는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장착부(42)에 조립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세탁기의 도어조립체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도어조립체(30)를 형성하는 도어본체(31)는 한장의 금속판을 프레스작업을 통해 형성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도어본체(31)는 별도의 작업없이 프레스작업에 의해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절곡단(33), 손잡이부(36), 덧살부(37) 및 걸림편(35) 등이 모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절곡단(33)의 스컷트(34)에 상기 가스켓(40)을 각각 삽입한다. 상기 가스켓(40)은 그 장착부(42)가 상기 스컷트(34)에 삽입되는데, 상기 스컷트(34)의 걸림편(35)이 상기 장착부(42)의 걸이편(43)에 걸어져 탈거가 방지된다. 또한 상기 밀착편(45)은 상기 스컷트(34)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밀착되어 상기 장착부(42)가 상기 스컷트(34)에 대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만들어진 도어조립체(30)는 힌지에 의해 상기 탑커버(20)에 연결설치된다. 이때 상기 도어본체(31)의 선단과 상기 탑커버(20)의 선단에 형성된 테두리면(24)의 사이에는 소정의 갭(C)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본체(31)의 선단에 형성된 절곡단(33)이 상대적으로 더 요입되어 형성된 손잡이부(36)는 상기 탑커버(20)의 안착면(23)과의 사이에 손잡이공간(h)을 형성하여 사용자가 도어조립체(30)의 개폐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덧살부(37)를 제외한 상기 도어본체(31) 선단의 절곡단(33)이 손잡이부(36)를 형성한다.
한편, 상기 도어본체(31)의 절곡단(33)에 형성된 스컷트(34)에 장착된 가스켓(40)은 상기 도어조립체(30)와 탑커버(20) 사이에서 완충역할을 한다. 즉, 상기 도어조립체(30)가 폐쇄될 때, 상기 탑커버(20)의 안착면(23)에 완충부(47)가 안착되면서 충격이 가해지지 않도록 한다. 특히 상기 도어본체(31)의 선단, 다시 말해 손잡이부(36)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 가스켓(40)은 충격방지의 역할을 하게 된다.
물론 상기 가스켓(40)은 사용자의 손이 도어본체(31)와 탑커버(20) 사이에끼었을 때 사용자의 부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상기 도어본체(31)가 금속재질로 형성됨에 의해 상기 도어조립체(30)가 닫힐 때, 상기 탑커버(20)의 측면 테두리면(24)과 도어본체(31)의 대응되는 측면 사이가 마치 가위와 같이 동작되어 사용자의 손이 끼이게 되면 사용자가 다칠 위험이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위험은 상기 가스켓(40)에 의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조립체(30)는 도어본체(31)가 한장의 금속판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금속재질의 특성상 상대적으로 강도가 커서 변형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도어조립체(30) 전체의 형상이 최초에 설계되어 제작된 대로 유지될 수 있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세탁기의 도어조립체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먼저, 도어본체가 한장의 금속판을 프레스작업하여 형성되고 이에 가스켓을 장착하면 도어조립체의 제작이 완료된다. 따라서 도어조립체의 구성요소가 간단하고 조립작업의 작업성이 크게 좋아지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도어본체가 금속재질로 형성되어 있어 상대적으로 강도가 좋고 변형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탑커버와의 결합이 보다 정확하게 이루어지고 내구성이 좋아지는 효과가 있다.
마지막으로 도어본체에 가스켓이 장착되어 있어 도어의 폐쇄시 발생하는 충격이 확실하게 완충되고, 도어본체와 탑커버의 사이에 손이 끼더라도 가스켓이 완충작용을 하므로 사용자가 부상을 입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도 있다.

Claims (5)

  1. 한장의 금속판으로 프레스작업을 통해 형성되어 가장자리에 각각 절곡단이 하면에서 마주보게 형성되고 탑커버에 안착되어 세탁조의 입구를 개폐하는 도어본체와,
    상기 절곡단이 연장되어 형성된 스컷트에 삽입되어 상기 탑커버와 도어본체 사이에서 완충역할을 하는 가스켓과,
    상기 도어본체 선단의 절곡단에 상대적으로 요입되게 형성되고 상기 탑커버와 소정의 갭을 가지는 손잡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도어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컷트에는 다수개의 걸림편이 형성되어 상기 가스켓을 고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도어조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은 상기 스컷트에 장착되고 상기 걸림편에 걸어지는 걸이편이 내부에 구비되는 경질의 재질로 형성되는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와 일체로 구비되고 탄성변형되면서 완충작용을 하는 연질의 재질로 형성되는 완충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도어조립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의 내부에는 상기 스컷트의 상면과 하면에 동시에 밀착되는 밀착편이 상기 장착부의 입구 반대방향을 향해 연장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도어조립체.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도어본체의 선단부를 따라 형성된 절곡단에 요입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그 양단에는 상대적으로 두꺼운 덧살부가 형성되고 덧살부 사이는 상대적으로 얇게 되도록 요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도어조립체.
KR1020010086088A 2001-12-27 2001-12-27 세탁기의 도어조립체 KR200300559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6088A KR20030055954A (ko) 2001-12-27 2001-12-27 세탁기의 도어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6088A KR20030055954A (ko) 2001-12-27 2001-12-27 세탁기의 도어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5954A true KR20030055954A (ko) 2003-07-04

Family

ID=32214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6088A KR20030055954A (ko) 2001-12-27 2001-12-27 세탁기의 도어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5595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45284A (zh) * 2016-10-17 2016-12-21 惠而浦(中国)股份有限公司 一种洗衣机盖板缓冲垫安装结构及其安装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36472U (ko) * 1976-04-12 1977-10-17
JPH0460188U (ko) * 1990-10-03 1992-05-22
US6105403A (en) * 1999-01-14 2000-08-22 Whirlpool Corporation Lid seal for an automatic wash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36472U (ko) * 1976-04-12 1977-10-17
JPH0460188U (ko) * 1990-10-03 1992-05-22
US6105403A (en) * 1999-01-14 2000-08-22 Whirlpool Corporation Lid seal for an automatic wash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45284A (zh) * 2016-10-17 2016-12-21 惠而浦(中国)股份有限公司 一种洗衣机盖板缓冲垫安装结构及其安装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2666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0353026B1 (ko) 세탁기의 캐비넷
US20080083517A1 (en) Door shutter
US8104312B2 (en) Panel assembly of a washing machine
US20030079313A1 (en) Refrigerator handle mounting arrangement
US6871385B2 (en) Refrigerator handle mounting arrangement
KR20030055954A (ko) 세탁기의 도어조립체
KR200287636Y1 (ko) 유리도어 안전장치
KR100825952B1 (ko) 세탁기의 도어조립체
KR200174119Y1 (ko) 조립식 창틀(또는 문틀)을 사용하는 창(또는 문)
KR20030037815A (ko) 세탁기의 리드 구조
CN100432327C (zh) 洗衣机的门组装体
KR100847555B1 (ko) 세탁기
JPH0842227A (ja) 扉用スライド錠
TWI807076B (zh) 滾筒式洗衣機
KR20030055957A (ko) 세탁기의 도어
JP3672835B2 (ja) 炊飯ジャーの蓋セット
KR100563347B1 (ko) 냉장고 도어 손잡이
CN111851002B (zh) 一种带装饰条的洗衣机上盖
JPH0630136Y2 (ja) 食器洗浄機
KR20090044736A (ko) 오븐용 도어
KR930007967B1 (ko) 도어 핸들 부착구조
KR930006265Y1 (ko) 세탁기 뚜껑의 투명창 체결장치
KR200183498Y1 (ko) 유리도어용 안전장치
KR20230065618A (ko) 창호용 레일 스토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