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54727A - The cable for operating machinery - Google Patents

The cable for operating machiner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54727A
KR20030054727A KR1020010085124A KR20010085124A KR20030054727A KR 20030054727 A KR20030054727 A KR 20030054727A KR 1020010085124 A KR1020010085124 A KR 1020010085124A KR 20010085124 A KR20010085124 A KR 20010085124A KR 20030054727 A KR20030054727 A KR 200300547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strand
diameter
strands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512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경호
김영조
홍성희
Original Assignee
고려제강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제강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고려제강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851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54727A/en
Publication of KR20030054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4727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009Details relating to the conductive co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01B7/18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wear, mechanical force or pressure; Sheaths; Armou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2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metals or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4Flexible cables, conductors, or cords, e.g. trailing cables

Landscapes

  • Ropes Or Cables (AREA)
  • Flexible Shafts (AREA)

Abstract

PURPOSE: A device operation cable is provided to have an anti-fatigue property with respect to tensile and bending stresses by minimizing an engagement operation between strands caused at a cable and increasing a tensile strength of an element wire. CONSTITUTION: A cable of a 8x7 + 1x19 structure is used to operate a device. A rate of a cable diameter is 2.00-2.15 with respect to a diameter of a center strain of a cable. A tensile strength of a strong element wire of each strand of the cable is 260-310Kgf/mm¬2.

Description

기기 작동 케이블{The cable for operating machinery}The cable for operating machinery

본 발명은 기기 작동용 케이블(cable)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각종 기기 작동에 사용되는 스틸 케이블을 구성하는 중심 스트랜드의 직경에 대한 케이블의 직경비와, 각 스트랜드를 구성하는 소선들의 인장강도를 각각 일정한 범위내로 조절하므로써 케이블의 유연성과 피로 특성치를 향상시킨 기기 작동용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ble for operation of th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the diameter ratio of the cable to the diameter of the center strand constituting the steel cable used for the operation of the various devices, and the tensile strength of the element wires constituting each stran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ble for operating a device which improves the flexibility and fatigue characteristics of the cable by adjusting each within a certain range.

일반적으로 각종 기계나 장비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기기 작동용 케이블은 보통 인장 하중이 부여되는 상태에서 시브(sheave)나 롤러와 접촉하면서 이동을 하는 굴곡 운동을 반복하게 됨에 따라, 내피로성과 절단력 및 내마모성 등의 물리적 특성에 의하여 그 수명이 좌우된다.In general, the machine operation cable used to operate various machines or equipment repeats the bending motion of moving in contact with sheaves or rollers under a tensile load, and thus causes fatigue and cutting forces. Its life depends on physical properties such as wear resistance.

상기 기기 작동용 케이블은 강(鋼) 소선을 다발로 하여 묶은 평행연 케이블과 1중연 케이블 및 다중연 케이블로 대별되며, 이들 중에서 소형의 기계 장치 작동에 널리 사용되는 것은 다중연 케이블의 일종인 단층 '환 스트랜드 케이블'이다.The cable for operation of the apparatus is roughly classified into a parallel cable, a single cable, and a multi-wire cable, which are bundled with steel wires, and among them, a single layer, which is a type of multi-wire cable, is widely used for operation of a small mechanical device. 'Round strand cable'.

상기 단층 환 스트랜드 케이블은 하나의 중심 스트랜드 외주면에 다수개의 외층 스트랜드가 한층으로 꼬여지면서 감싸는 구조로서, 모든 스트랜드는 기본적으로 단면이 원형인 거의 비슷한 직경의 소선으로 구성되며, 심선은 보통 1본과 3본이 기본적인 것으로 이 둘중 1본의 심선을 사용한 스트랜드가 주로 쓰이며, 3본을 기본으로 한 스트랜드는 심선 3본 대신 마(麻)를 심선으로 사용한 것이 널리 사용된다.The single-layer ring strand cable ha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outer strands are twisted and wrapped in one layer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one central strand. Bones are the basic ones, and strands using one core of these two are mainly used. Strands based on three bones are widely used as hemp cores instead of three cores.

특히, 소형 기계 등의 작동에 널리 쓰이는 케이블은 1본의 심선을 사용한 스트랜드로 구성되는 대표적인 케이블로서, 그 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In particular, a cable widely used for the operation of a small machine is a representative cable composed of strands using one core wire, and the structure thereof is as follows.

도 1의 (가)와 (나)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표적인 기기 작동용 소경 케이블의 구조로는 8×7 + 1×19 와 7×7 구조의 두 종류가 있으며, 첫 구조(11)에서, 8은 외층 스트랜드(11B)의 수를, 7은 각 외층 스트랜드를 구성하는 소선 수를, 1은 코어 스트랜드(11A)의 수를, 19는 코어 스트랜드를 구성하는 소선의 수를 뜻하고, 두번째 구조(12)에서 앞의 7은 스트랜드의 총 수를, 뒤의 7은 각 스트랜드를 구성하는 소선의 수를 뜻한다. 두번째 구조(12)에서는 외층 스트랜드(12B)와 코어 스트랜드(12A)의 구조가 동일하기 때문에 하나로 표시되는 것이다.As shown in (a) and (b) of FIG. 1, there are two types of structures of representative small-diameter cables for operating the apparatus, 8 × 7 + 1 × 19 and 7 × 7 structures. , 8 is the number of outer strands 11B, 7 is the number of element lines constituting each outer layer strand, 1 is the number of core strands 11A, 19 is the number of element lines constituting the core strand, and In structure 12, the first seven denotes the total number of strands, and the latter seven denotes the number of element wires constituting each strand. In the second structure 12, since the structure of the outer strand 12B and the core strand 12A is the same, it is represented as one.

즉, 8×7 + 1×19 구조는, 하나의 심선 외주면에 6선의 내층 소선이 꼬여져 하연을 이루고, 하연의 외주면에 다시 12선의 외층 소선이 꼬여져 상연을 이루는 이층연 구조의 코어 스트랜드(11A) 외주면을, 하나의 심선 주위를 6선의 외측 소선이 꼬이는 일층연 구조의 외층 스트랜드(11B) 8본이 꼬이면서 감싸는 구조이며, 7×7 구조는 일층연 구조의 스트랜드 하나를 코어 스트랜드(12A)로 하여 그 외주면에 6본의 동일한 스트랜드가 꼬여져 외층 스트랜드(12B)를 이루는 구조이다.That is, the 8 × 7 + 1 × 19 structure is a core strand having a double strand structure in which six inner wires are twisted on one outer wire of the core and twisted to form a double strand of outer wire of 12 wires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wire. 11A)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a structure in which eight outer layer strands (11B) of one layer strand structure are twisted and wrapped around one core wire and twisted, and the 7 × 7 structure is one strand strand of one layer strand structure. ), Six identical strands are twis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to form an outer layer strand 12B.

그런데, 7×7 구조의 케이블은 비슷한 선경의 소선으로 스트랜드를 구성하고 동일 구조의 스트랜드로 케이블을 구성함으로써 내마모성이 양호하여 마모 조건이 가혹한 곳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여 형태 파괴를 일으키기 어렵다는 장점이 있다.However, the 7 × 7 cable is composed of strands of similar wire diameter and the cable of strands of the same structure has good abrasion resistance, so it can be usefully used in harsh wear conditions. It is difficult to produce.

그러나, 케이블의 작동 경로 상에 부착되어 회전하는 시브나 드럼과 같이 직경이 작은 소형의 회전체에 감겨 왕복 운동을 하면서 동력을 전달하는 경우에는 케이블의 유연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케이블이 시브나 드럼에서 이탈되기 쉽고, 부족한 유연성 때문에 피로 저항성이 낮아 단선 횟수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when the power is transmitted while reciprocating by being wound on a small rotor, such as a rotating sheave or drum, which is attached on the cable's operating path, the cable is separated from the sheave or drum because the cable is inflexible. It is easy to be used,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number of disconnections is low due to insufficient flexibility and low fatigue resistance.

따라서, 7×7 구조의 케이블이 갖는 낮은 내피로성능을 개선하기 위하여 개발되었으며 미국 특허공보 5,475,973에 개시된 상기 8×7 + 1×19 구조의 케이블은 외층 스트랜드를 구성하는 소선보다 선경이 작은 소선을 사용하여 코어 스트랜드를 단층연의 1 + 6 구조에서 이층연의 1 + 6+ 12 구조로 변경함으로써 7×7 구조의 케이블 보다 우수한 유연성과 피로 저항성을 갖게 되었다.Accordingly, the 8 × 7 + 1 × 19 cable, which was developed to improve the low fatigue resistance of the 7 × 7 cable and is disclosed in US Pat. No. 5,475,973, has a smaller wire diameter than the wire that constitutes the outer strand. By changing the core strand from 1 + 6 structure of single layer to 1 + 6 + 12 structure of double layer, it has more flexibility and fatigue resistance than 7 × 7 cable.

상기 종래의 기기 작동용 케이블에 외부 힘이 작용하는 미케니즘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mechanism of the external force acting on the cable for operating the conventional device as follows.

종래의 일반적인 기기 작동용 케이블은, 1×19 구조(11A) 또는 1×7 구조(12A)의 중심 스트랜드를 다수 개의 외층 스트랜드들(11B)(12B)이 그 외주면을 둘러싸면서 꼬인 구조로서, 이와 같은 구조의 기계 제어용 케이블에 축방향 하중이 부여되면 그 하중은 분해되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용하게 된다.Conventional general device operation cables have a central strand of 1 × 19 structure (11A) or 1 × 7 structure (12A), in which a plurality of outer layer strands (11B) 12B are twiste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When an axial load is applied to the mechanical control cable of the same structure, the load is decomposed and acts as shown in FIG.

즉, 외층 스트랜드에 가해지는 축방향 하중(21)은 외층 스트랜드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의 힘(22)과 스트랜드 길이 방향의 힘(23)으로 분해된다.That is, the axial load 21 applied to the outer layer strands is decomposed into a force 22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uter layer strands and a force 23 in the strand length direction.

따라서, 스트랜드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 즉, 스트랜드간 경계면에 수직한 힘(22)은 연각(撚角)(24)을 감소시키고 스트랜드간 경계면에서의 마찰력 크기에 관여하게 되며, 스트랜드 길이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23)은 스프링이 늘어나는 경우처럼 스트랜드의 회전 곡률을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는데 이는 곧, 중심 스트랜드를 향한 압축력으로 작용함을 의미한다.Thus, the force 22 perpendicular to the strand longitudinal direction, i.e., perpendicular to the inter-strand interface reduces the duct 24 and is involved in the magnitude of the frictional force at the inter-strand interface, acting in the strand length direction. The acting force 23 acts in the direction of decreasing the rotational curvature of the strand, as in the case of the spring stretching, which means that it acts as a compressive force towards the center strand.

즉, 스트랜드 경계면에 수직한 힘(22)은 연각(24)을 감소시켜 스트랜드의 길이 방향을 케이블의 축방향과 일치시키려 하고, 이 때 발생하는 회전 모멘트 역시 중심을 향해 압축력을 작용시키므로써 스트랜드 길이 방향에 의한 압축력과 함께 상호 상승 작용을 하게된다.In other words, the force 22 perpendicular to the strand interface reduces the duct 24 so that the length of the strand is matched with the axial direction of the cable, and the rotation moment generated at this time also exerts a compressive force toward the center, thereby increasing the strand length. It is synergistic with the compressive force in the direction.

따라서, 케이블의 중심 스트랜드는 외층 스트랜드들의 압축력에 의하여 형태가 붕괴될 가능성이 상존하게 되는 바, 중심 스트랜드는 장시간 사용에도 불구하고 처음의 기본 구조를 유지할 수 있는 내구성을 갖추어야만 하며, 이러한 내구성을 갖기 위해서는 케이블의 유연성이 우수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center strand of the cable is likely to collapse form due to the compressive force of the outer strands, the center strand must have the durability to maintain the initial basic structure despite the long-term use, having such durability To be flexible, the cable must be excellent.

상기 케이블의 유연성이란, 시브나 드럼 등을 거쳐 작동될 때 케이블에 부여되는 굴곡작용에 대한 케이블의 저항성을 말하는 것으로서 케이블의 굴곡 피로에 대한 능력을 뜻하며, 이러한 유연성은 케이블의 구조에 의해 영향을 크게 받는다.The flexibility of the cable refers to the resistance of the cable to the bending action imparted to the cable when operated through a sheave or a drum, and means the ability to flex the fatigue of the cable, this flexibility is greatly affected by the structure of the cable Receive.

즉, 케이블을 구성하는 스트랜드들의 수가 많을수록, 각 스트랜드를 구성하는 소선의 직경이 작을수록 케이블의 유연성은 좋아지며, 케이블이 일정한 곡률반경에서 굴곡 될 때 내부 스트랜드들 상호간 적정 간격이 유지되어야만 전체 케이블이 시브나 드럼 등에 의해 부여받게 되는 굴곡응력이 작게 된다.In other words, the larger the number of strands constituting the cable, the smaller the diameter of the wires constituting each strand, the better the flexibility of the cable and when the cable is bent at a constant radius of curvature, the proper distance between the inner strands must be maintained. The bending stress imparted by the sheave or drum is reduced.

그리고, 상기 시브 등에 의한 굴곡응력 외에, 케이블에 부여되는 인장하중에 의해 소선 상호간에도 굴곡 응력이 발생되기 때문에 케이블의 내피로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케이블의 구조 개선 외에 상기 인장 및 굴곡변형에 대한 소선 자체의저항성도 커야 한다.In addition to the bending stress caused by the sheave, the bending stress is also generated between the wires due to the tensile load applied to the cable. Thus, in order to improve the fatigue resistance of the cable, in addition to improving the structure of the cable, The resistance must also be large.

케이블에 부여된 하중은 상술한 바와 같이 스트랜드의 길이 방향과 이에 수직한 방향으로 분해되어 스트랜드들의 상호 계면 사이에 응력을 발생시키게 되고, 스트랜드들 상호 계면간에 작용하는 응력은 스트랜드들 간의 치합작용을 일으켜 케이블이 가지는 고유의 절단하중 보다 훨씬 낮은 하중에서 케이블이 절단되는 문제를 야기시키게 된다.The load applied to the cable is decom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rand and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hereto as described above to generate a stress between the mutual interface of the strands, the stress acting between the strands inter-interface is the engagement between the strands This causes the cable to break at loads much lower than the inherent cutting load of the cable.

상기와 같은 스트랜드들간의 치합작용은 케이블 직경과 중심 스트랜드 직경 사이의 직경비와 직접적으로 관계가 있으며, 종래의 일반적인 제조 방법으로 만들어진 8×7 + 1×19 구조의 케이블 직경비는 다음 식 1과 같다.The engagement between the strands is directly related to the diameter ratio between the cable diameter and the center strand diameter, the cable diameter ratio of the 8 × 7 + 1 × 19 structure made by a conventional general manufacturing method is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1 Same as

, ,

상기 식에서, ODc는 케이블의 직경,Where OD c is the diameter of the cable,

ODs는 중심 스트랜드의 직경.OD s is the diameter of the central strand.

즉, 중심 스트랜드 직경에 대한 케이블 직경의 비가 2.20 이상이 되는 8×7 + 1 ×19 구조의 종래 일반적인 기기 작동용 소경 케이블의 경우에는, 외부에서 부여된 하중에 의한 스트랜드들 상호간의 치합작용으로 케이블 수명이 일정 수준 이하로 제한되는 문제가 있었다.In other words,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cable having a small diameter cable of 8 × 7 + 1 × 19 structure in which the ratio of the cable diameter to the center strand diameter is 2.20 or more, the strands are interlocked by externally applied loads.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cable life is limited to a certain level or less.

또한, 상기 직경비 외에도 케이블을 구성하는 기본 요소인 소선의 인장강도는 통상 200~250kgf/mm2수준으로서, 상기 치합작용을 극복하며 케이블의 내피로성을 향상시키기에는 부족한 실정이다.In addition, in addition to the diameter ratio, the tensile strength of the element wire constituting the cable is usually 200 ~ 250kgf / mm 2 level, it is insufficient to overcome the coupling action and improve the fatigue resistance of the cable.

본 발명은 외부 하중이 부여된 케이블에서 발생하는 스트랜드들 상호간의 치합작용을 최소화하고, 소선 자체의 항장력을 높여 줌으로써, 외부 인장력과 시브 등에 의한 인장 및 굴곡응력에 대한 내피로성이 우수한 기기 작동용 케이블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inimizes the interaction between the strands generated in the cable is applied to the external load, and by increasing the tensile strength of the wire itself, for the device operation excellent in fatigue resistance to the tensile and bending stress due to external tension and sheav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able.

도 1은 종래 기기 작동용 케이블을 보인 것으로,1 shows a cable for operating a conventional device,

(가)는 8×7 + 1×19 구조의 케이블 단면도이고,(A) is the cable section of 8 × 7 + 1 × 19 structure,

(나)는 7×7 구조의 케이블 단면도이다.(B) is sectional view of cable of 7 × 7 structure.

도 2는 와이어 케이블에 부여된 인장 하중의 작용도.2 is an action diagram of a tensile load applied to a wire cable.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reference sign for the main part of the drawing))

1. 8×7 + 1×19 구조의 케이블1.8 × 7 + 1 × 19 cable

2. 7×7 구조의 케이블 11A,12A. 중심 스트랜드2. Cables 11A and 12A with 7 × 7 construction. Center strand

11B,12B. 외층 스트랜드 21. 케이블 축방향 하중11B, 12B. Outer layer strand 21. Cable axial load

22. 스트랜드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의 힘22. Force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ength of the strand

23. 스트랜드 길이 방향의 힘23. Strand longitudinal force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케이블 직경에 대한 중심 스트랜드의 직경을 증가시키고, 스트랜드를 구성하는 소선의 인장강도를 향상시킴으로써 달성된다.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chieved by increasing the diameter of the center strand with respect to the cable diameter and improving the tensile strength of the element wire constituting the strand.

본 발명의 기기 작동용 케이블은 스트랜드들 상호간의 치합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다수의 외층 스트랜드 직경을 감소시키고, 그 감소분 만큼 중심 스트랜드의 직경을 증가시킴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The device operation cabl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technical feature in reducing the number of outer layer strand diameters and increasing the diameter of the center strand by the decrease in order to minimize the engagement between the strands.

즉, 스트랜드들간의 치합작용은 대분분 중심 스트랜드의 외주면을 감싸는 다수 외층 스트랜드들에 의해 기인하고, 이 치합작용은 케이블에 부여되는 외부 인장의 크기에 비례하기 때문에 상기 치합작용을 저감시키기 위해서는 외층 스트랜드에 부여되는 외부 인장력의 절대 크기를 감소시킬 필요가 있다.That is, the engagement between the strands is largely due to the multiple outer strands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entral strand, which reduces the engagement because this engagement is proportional to the magnitude of the external tension applied to the cable. In order to reduce the absolute magnitude of the external tension applied to the outer strand.

따라서, 케이블에 부여되는 외부 인장력에 대한 중심 스트랜드의 분담 비율을 높이기 위하여 중심 스트랜드의 직경을 증가시키되 그 증가분 만큼 외층 스트랜드의 직경을 감소시켜 외층 스트랜드의 유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며, 본 발명 기기 작동용 케이블의 직경비는 다음 식 2와 같다.Therefore, the diameter of the center strand is increased in order to increase the share ratio of the center strand to the external tensile force applied to the cable, but the diameter of the outer strand is reduced by the increase to improve the flexibility of the outer layer strand. The diameter ratio of is as shown in Equation 2.

상기와 같은 비율로 케이블 직경과 중심 스트랜드 직경을 제어하므로써 스트랜드들 상호간의 치합작용이 최소화되며, 케이블의 유연성이 향상된다.By controlling the cable diameter and the center strand diameter at the above ratio, the engagement between the strands is minimized, and the flexibility of the cable is improved.

상기의 직경비 외에, 종래 케이블에 비하여 소선의 인장강도를 증가시켜 케이블의 내구성을 증가시켰다.In addition to the above diameter ratio, the tensile strength of the wire was increas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cable to increase the durability of the cable.

일반적으로 동일 굴곡반경의 시브나 드럼 등으로부터 케이블이 받는 외부 인장응력이 커짐에 따라 케이블의 수명은 짧아지기 때문에 케이블의 각 스트랜드를 구성하는 소선의 인장강도를 높이게 되면 케이블의 내구성, 즉 내피로성도 증가된다.In general, as the external tensile stress of the cable from the sheave and drum of the same bending radius increases, the life of the cable is shortened. Therefore, when the tensile strength of the wires constituting each strand of the cable is increased, the durability, or fatigue resistance, of the cable is increased. Is increased.

따라서, 본 발명 케이블의 소선 인장강도를 신선시의 적절한 감면율과 열처리 방법을 통하여 종래 200~250kgf/mm2에서 260~310kgf/mm2으로 증가시켰다.Thus, the increased tensile strength of the wire cable of this invention in conventional 200 ~ 250kgf / mm 2 through an appropriate reduction ratio and heat treatment at the time of a fresh 260 ~ 310kgf / mm 2.

이때, 상기 소선의 인장강도가 310kgf/mm2을 초과하게 되면 소선의 취성이 증가하게 되어 케이블의 내구성이 상기 인장강도에 비례적으로 증가하지 않고 오히려 저하되는 경향을 보이게 된다.At this time, when the tensile strength of the wire exceeds 310kgf / mm 2 , brittleness of the wire increases, so that the durability of the cable does not increase proportionally to the tensile strength, but rather tends to decrease.

상기와 같은 본 발명 기기 작동용 케이블의 품질 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중심 스트랜드 직경에 대한 케이블 직경의 비가 2.20 이상이 되는 8 ×7 + 1 ×19 구조의 종래 케이블과, 직경비 또는 소선의 인장강도 중의 하나를 본 발명 케이블과 동일하게 조절한 동일 구조의 개선 케이블과, 동일 구조의 본 발명 케이블에 대한 피로 특성을 다음과 실시하였다.In order to examin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cable for operating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conventional cable of the 8 × 7 + 1 × 19 structure, the ratio of the cable diameter to the center strand diameter is 2.20 or more, and the tensile strength of the diameter ratio or element wire The fatigue characteristics of the improvement cable of the same structure which adjusted one of the same as the cable of this invention, and the cable of this invention of the same structure were performed as follows.

이때, 상기 시험대상 케이블들은 모두 아연도금 소선을 사용하였으며, 케이블의 직경은 1.5mm이었고, 특성시험에 적용된 피로시험기의 시험조건은 다음의 표 1과 같다.In this case, all the cables to be tested were galvanized wire, the diameter of the cable was 1.5mm, the test conditions of the fatigue tester applied to the characteristic test is shown in Table 1 below.

시 험 속 도Test Speed 중 량weight 휠 직경Wheel diameter 그루브(groove) 반경Groove radius 20 사이클/분20 cycles / min 50 kg50 kg 40 mm40 mm 0.80 mm0.80 mm

상기의 조건으로 실시한 피로시험의 결과는 다음의 표 2와 같다.The results of the fatigue test under the above conditions are shown in Table 2 below.

구 분division ODc/ODs비율OD c / OD s ratio 인장강도(kgf/mm2)Tensile strength (kgf / mm 2 ) 피로치(회)Fatigue (times) 종 래케 이 블Bell Racquer 1One 2.212.21 242242 81,90081,900 22 2.202.20 237237 107,400107,400 33 2.232.23 249249 98,50098,500 평 균Average 2.212.21 243243 95,90095,900 개 선케 이 블(가)Dog cable 44 2.192.19 278278 131,600131,600 55 2.202.20 262262 146,200146,200 66 2.162.16 295295 120,400120,400 평 균Average 2.182.18 278278 132,700132,700 개 선케 이 블(나)Dog cable (me) 77 2.082.08 245245 125,900125,900 88 2.142.14 239239 118,700118,700 99 2.062.06 221221 132,900132,900 평 균Average 2.092.09 235235 125,800125,800 발 명케 이 블Foot Cable 1010 2.122.12 281281 198,200198,200 1111 2.042.04 293293 219,600219,600 1212 2.092.09 279279 172,500172,500 평 균Average 2.082.08 284284 196,700196,700

* 개선 케이블(가)는 소선의 인장강도를 본 발명 케이블 조건과* Improved cable (a) is the tensile strength of the wire

동일하게 제조한 것.Manufactured in the same manner.

* 개선 케이블(나)는 직경비를 본 발명 케이블 조건과 동일하게* The improved cable (b) has the same diameter ratio as the cable cond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제조한 것.Manufactured.

상기 표 2의 피로시험 결과로부터 소선의 인장강도가 향상된 개선 케이블(가)는 종래의 케이블에 비하여 피로치가 평균 38% 정도 향상되었으며, 개선 케이블(나)는 종래 케이블에 비해 피로치가 평균 31% 정도 개선되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는 바, 직경비와 소선의 인장강도가 케이블의 내피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요 인자임을 알 수가 있다.From the fatigue test results of Table 2, the improved cable (A) improved the tensile strength of wires by 38%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cable, and the improved cable (B) improved by 31% on average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cable. As it was confirmed that the improvement, the diameter ratio and the tensile strength of the wire is an important factor to improve the fatigue resistance of the cable.

또한, 직경비와 소선의 인장강도 모두가 개선된 본 발명의 케이블은 종래 케이블에 비하여 피로치가 105% 정도 상승됨을 알 수 있다.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cab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both the diameter ratio and the tensile strength of the element wire are improved, increases the fatigue value by 105%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cable.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기 작동 케이블은 소선의 인장항력과 중심 스트랜드 직경에 대한 케이블의 직경비를 제어함으로써 외층 스트랜드들 간의 치합작용이 최소화되는 동시에 케이블의 유연성이 개선되어 인장과 굽힘 변형 등이 반복되는 가혹한 사용 조건에서 우수한 내피로성을 보여주는 바, 종래 기기 작동용 소경 케이블을 신속히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As described above, the device operation cabl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diameter ratio of the cable to the strand drag force and the center strand diameter, thereby minimizing the engagement between the outer strands and at the same time improving the flexibility of the cable, thereby improving tension and bending It is expected to be able to quickly replace a small diameter cable for operating a conventional device, as it shows excellent fatigue resistance under severe use conditions in which deformation and the like are repeated.

또한, 본 발명의 케이블을 사용하므로써 케이블 손상에 의한 기기들의 작동 불량과 정비에 소요되는 시간과 경제적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use of the cabl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the time and economic loss of the malfunction and maintenance of the equipment due to the cable damage.

Claims (2)

각종 기기의 작동에 사용되는 8×7 + 1×19 구조의 케이블에 있어서, 케이블을 구성하는 중심 스트랜드의 직경에 대한 케이블 직경의 비값이 2.00∼2.15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작동 케이블.A cable having an 8 × 7 + 1 × 19 structure for use in operating various apparatuses, wherein the ratio of the cable diameter to the diameter of the central strand constituting the cable is 2.00 to 2.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의 각 스트랜드를 이루는 강 소선의 인장강도가 260~310kgf/mm2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작동 케이블.The device actuating cabl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ensile strength of the steel wire constituting each strand of the cable is 260 to 310 kgf / mm 2 .
KR1020010085124A 2001-12-26 2001-12-26 The cable for operating machinery KR2003005472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5124A KR20030054727A (en) 2001-12-26 2001-12-26 The cable for operating machin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5124A KR20030054727A (en) 2001-12-26 2001-12-26 The cable for operating machiner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4727A true KR20030054727A (en) 2003-07-02

Family

ID=32213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5124A KR20030054727A (en) 2001-12-26 2001-12-26 The cable for operating machiner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54727A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64796U (en) * 1985-10-07 1987-04-22
KR0160153B1 (en) * 1993-06-04 1998-12-01 데라우라 마꼬또 Rope for mechanical control
KR100217288B1 (en) * 1995-03-30 1999-09-01 기쿠카와 겐이치 Wire rope
KR100267284B1 (en) * 1998-12-24 2000-10-16 홍영철 Wire rope for window regulat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64796U (en) * 1985-10-07 1987-04-22
KR0160153B1 (en) * 1993-06-04 1998-12-01 데라우라 마꼬또 Rope for mechanical control
KR100217288B1 (en) * 1995-03-30 1999-09-01 기쿠카와 겐이치 Wire rope
KR100267284B1 (en) * 1998-12-24 2000-10-16 홍영철 Wire rope for window regula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04567C (en) Flat-belt-like supporting and drive means with tensile carriers
JPH07150491A (en) Hoist cable
KR101117897B1 (en) Operating inner cable
US7180002B2 (en) Flexible multicore electrical cable
JP6625241B2 (en) Wire rope for elevator
US10443191B2 (en) Rope for eleva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JP3910377B2 (en) Wire rope
EP1582493B1 (en) Rope for elevator and elevator equipment
JP2018076625A (en) High strength wire rope
CN101748624B (en) Fiber cable core structure for steel wire rope
US6339920B1 (en) Rotation-resisting wire rope
KR20030054727A (en) The cable for operating machinery
RU109112U1 (en) ROPE STEEL MULTI-ORDER SMALL-ROLLING
RU109113U1 (en) ROPE STEEL MULTI-ORDER SMALL-ROLLING
JP2916520B2 (en) Fatigue resistant wire lobe
CN105810325A (en) Hoisting cable
CN207233426U (en) A kind of machinery makes cable with dragging
KR100267286B1 (en) Wire rope for controlling machine
KR100348878B1 (en) Complex wire cable for controlling machine
JP3101207U (en) Operation wire rope
KR100336475B1 (en) Wire cable having strand core coated with synthetic resins for machine operating
KR200224820Y1 (en) Wire rope having a relaxed a tangency pressure with core
KR100328717B1 (en) Wire rope having a good wear-resistance and its manufacturing process
JPH11344022A (en) Single twisting inner cable of pull control cable
CN112435788A (en) Safe and reliable cable for industrial robo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