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52836A - Handle structure for vacuum cleaner - Google Patents

Handle structure for vacuum clea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52836A
KR20030052836A KR1020010082952A KR20010082952A KR20030052836A KR 20030052836 A KR20030052836 A KR 20030052836A KR 1020010082952 A KR1020010082952 A KR 1020010082952A KR 20010082952 A KR20010082952 A KR 20010082952A KR 20030052836 A KR20030052836 A KR 200300528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vacuum cleaner
main body
hole
kno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29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회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to KR10200100829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52836A/en
Publication of KR20030052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2836A/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32Handles
    • A47L9/327Handles for 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36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 A47L5/362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of the horizontal type, e.g. canister or sledg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8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oses or pipes

Abstract

PURPOSE: A structure for a knob of a vacuum cleaner is provided to easily move the vacuum cleaner by making users hold the knob in various directions. CONSTITUTION: A knob structure for a vacuum cleaner is composed of a connecting part(54) installed to an end of a suction hose(50) and attached and removed from an inlet part of a vacuum cleaner body(40), a gripping hole(54b) formed at a side horizontally penetrated, a vertical knob(54a) held by users by inserting hands of users into the gripping hole, and an inserting hole(54c) at the upside of the knob. In addition, a hanging groove is formed at the upper inner wall of the gripping hole.

Description

진공청소기의 손잡이 구조{Handle structure for vacuum cleaner}Handle structure for vacuum cleaner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진공청소기의 이동시 매우 편리하게 사용자가 잡아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진공청소기의 이동용손잡이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ving handle structure of a vacuum cleaner configured to be gripped and moved by a user very conveniently during the movement of the vacuum cleaner.

도 1에는 종래의 진공청소기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진공청소기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및 구동팬을 내장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 연결되어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를 안내하는 연결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shows a conventional vacuum cleaner. As shown, the vacuum cleaner includes a main body 10 containing a motor and a driving fan for generating suction force, and a connection part 20 connected to the main body 10 to guide air containing dust. .

상기 진공청소기의 본체(10) 내부에는 모터 및 구동팬과 같이 청소를 위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수단이 내장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0)가 바닥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바퀴(12)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진공청소기를 보관하는 상태에서는, 도시한 바와 같이 진공청소기를 세워서 본체(10)의 바퀴(12)가 위치하는 후방이 바닥면에 닿도록 보관시키고 있다.In the main body 10 of the vacuum cleaner, a suction means for generating a suction force for cleaning, such as a motor and a driving fan, is built in. And the main body 10 includes a wheel 12 configured to move along the bottom surface. In the state of storing such a vacuum cleaner, as shown in the figure, the vacuum cleaner is raised and stored so that the rear side where the wheel 12 of the main body 10 is located touches the floor.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세워진 상태에서, 진공청소기 본체(10)의 상부에는 유입부(14)가 성형되어 있다. 상기 유입부(14)에는 연결부(20)가 장착되며,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가 상기 연결부(20)와 연통되는 흡입호스(24)의 안내를 받아 유입부(14)를 통하여 본체(10)에 내장되어 있는 집진실(도시 생략)로 유입되는 것이다.And in the stand-up state as mentioned above, the inflow part 14 is shape | molded in the upper part of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10. As shown in FIG. The inlet part 14 is equipped with a connecting part 20, and air containing dust is guided by the suction hose 24 communicating with the connecting part 20 to the main body 10 through the inlet part 14. It is introduced into the built-in dust collecting chamber (not shown).

그리고 상기 흡입호스(24)는 프렉시블한 재질의 것으로 성형되어 있고, 일측 끝단에 구성되어 있는 연결부(20)가 상기 유입부(14)의 내부에 부분적으로 삽입되어 장착되는 것에 의하여 연통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20)가 구성되어 있는 흡입호스(24)의 타측 끝단에는 조작부(26), 연장관(27), 흡입노즐(28)이 순차적으로 연통되게 조립되어 있다.The suction hose 24 is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and the connection part 20 formed at one end thereof is communicated by being partially inserted into the inlet part 14 and mounted therein. In addition, the other end of the suction hose 24 that is configured with the connecting portion 20, the operation unit 26, the extension pipe 27, the suction nozzle 28 is assembled in order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그리고 도 1에 도시한 종래의 구조에 의하면, 상기 연결부(20)에는 손잡이(22)가 성형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22)는 도 1에 도시한 상태에서 진공청소기를 들어서 이동시키는 경우, 예를 들면 청소를 시작하고자 할 때, 진공청소기가 보관되어 있는 장소에서 청소를 할 장소까지 본체를 들어서 이동시킬 때 사용자가 파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도 1에 도시한 종래의 구조에 의하면, 상기 손잡이(22)는 수직방향으로 성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structure shown in FIG. 1, a handle 22 is formed in the connecting portion 20. When the handle 22 is moved by lifting the vacuum cleaner in the state shown in FIG. 1, for example, when the cleaning is to be started, the handle 22 is moved from the place where the vacuum cleaner is stored to the place to be cleaned. It is for the user to hold. And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structure shown in Figure 1, it can be seen that the handle 22 is mol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손잡이(22)는 수직상태로 구성되어 있어서, 실질적으로 사용자가 파지하기에 적당하지 못한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다. 물론 상기 손잡이(22)가 성형되어 있지 않는 경우, 연결부(20) 자체를 잡고 이동시키는 것보다는 다소 편리한 것은 사실이지만, 수직상태의 손잡이(22)는 사용자의 파지하기 위하여 손잡이의 좌측 또는 우측에서 손을 넣게 된다.Since the handle 22 is configured in a vertical state, there is a inconvenience in use that is substantially unsuitable for the user to grip. Of course, if the handle 22 is not molded, it is true that rather convenient than holding and moving the connecting portion 20 itself, the vertical handle 22 is a hand on the left or right of the handle to grip the user Will be inserted.

한편, 도 2에는 수평상태로 구성되어 있는 손잡이(32)를 가지는 진공청소기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진공청소기 본체(10)에 흡입호스(24)가 연결되는데, 상기 흡입호스(24)의 단부에 성형되어 있는 연결부(30)에 수평상태의 손잡이(32)가 그 부분에 개재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Figure 2 shows a vacuum cleaner having a handle 32 is configured in a horizontal state. As shown, the suction hose 24 is connected to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10, the horizontal handle 32 is interposed in the connection portion 30 formed at the end of the suction hose 24. It is.

이렇게 손잡이를 수평상태로 성형하는 것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사용자가 손잡이의 상측 또는 하측에서 손을 넣어서 파지하는 것이 가능하다.By molding the handle in a horizontal state in this manner, it is possible for the user to grip the hand by putting the hand above or below the handle.

그러나, 사용자에 따라 손잡이(22,32)를 파지하기 편안한 방향이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진공청소기의 기능, 성능이나 디자인 등을 고려하여 주로 제품을 구매하는 현실을 고려해 볼 때, 손잡이의 형태가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 중에서 한 형태로 성형되어 있는 것으로 인한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즉, 사용자에 따라 손잡이에 손을 넣었을 때 편안한 방향이 각각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손잡이가 수평또는 수직으로 한 형태만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불편함을 느끼는 사용자가 발생된다.However, the direction comfortable to grip the handles 22 and 32 may vary depending on the user. Therefore, when considering the reality of purchasing a product mainly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 performance or design of the vacuum cleaner, it may be inconvenient due to the shape of the handle is molded in one of the vertical or horizontal direction. That is, since the comfortable direction may be different when the user puts his / her hand on the handle, the user may feel uncomfortable when the handle is composed of only one horizontal or vertical shape.

이러한 경우에, 손잡이가 수평이나 수직방향 중에서 한 형태로만 구성되어 있을 경우에는 여러 사용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In this case, when the handle is configured only in one of the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does not satisfy the various needs of different users.

본 발명의 목적은, 흡입호스와 본체를 연결하는 부분에, 사용자가 다양한 방향에서 쉽게 파지할 수 있는 구조를 성형하는 것에 의하여, 청소기의 이동성을 좋게 하는 것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mobility of the cleaner by forming a structure that can be easily gripped by the user in various directions in the portion connecting the suction hose and the main body.

도 1은 종래의 진공청소기의 손잡이 구조의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handl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vacuum cleaner.

도 2는 종래의 진공청소기의 손잡이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handl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vacuum cleaner.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손잡이 구조를 보이기 위한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for showing the handle structure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main parts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40 ..... 본체41 ..... 유입부40 ..... Body 41 ..... Inlet

41a ..... 체결공50 ..... 흡입호스41a ..... Fastening hole 50 ..... Suction hose

54 ..... 연결부54a ..... 손잡이54 ..... Connections 54a ..... Handle

54b ..... 파지공54c ..... 삽입공54b ..... Holding hole 54c ..... Insertion hole

54d ..... 걸이홈54e ..... 누름버튼54d ..... hanger groove 54e ..... pushbutton

54f ..... 체결돌기S ..... 탄성체54f ..... Fastening protrusion S ..... elastome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손잡이 구조는, 흡입호스의 단부에 구성되어 본체의 유입부에 착탈되는 연결부의 일측에 성형되고, 수평방향으로 관통하는 파지공과, 사용자가 상기 파지공으로 손을 삽입하여 파지하는 수직상의 손잡이가 성형되고, 상기 손잡이의 상측에는 엄지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는 삽입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andle structure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formed at the end of the suction hose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connection portion detachable to the inlet of the main body, the gripping hole penetrat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user grips the The handle is inserted into a vertical grip to insert the hand into the ball,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side of the handle comprises an insertion hole for inserting the thumb.

그리고, 상기 파지공의 상측 내벽에는 걸이홈이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hook groove is formed on the upper inner wall of the gripping hole.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손잡이를 이용하여 진공청소기를 보다 편리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기대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expected that the handle can be moved more conveniently using the handle.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은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Next,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손잡이를 가지는 진공청소기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손잡이가 구성되어 있는 연결부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진공청소기의 본체(40)에는 흡입호스(50)가 연결되는데, 상기 흡입호스(50)의 단부에는 본 발명에 의한 손잡이(54a)를 가지는 연결부(54)가 그 부분에 개재되어 있다.3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 vacuum cleaner having a han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4 schematically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necting portion is configured a han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suction hose 50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40 of the vacuum cleaner, the connection portion 54 having a handle 54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the end of the suction hose 50 Is intervened in that part.

진공청소기의 본체(40)에 흡입호스(50)가 연결되는 것은, 흡입호스(50)의 단부에 부착된 사출 성형물인 연결부(54)에 의해서 조립되는 것에 의하여 가능하게 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54)에는, 그것이 본체(40)의 유입부(41)에 결합될 때, 유입부(41) 내부의 체결공(41a)에 삽입되는 체결돌기(54f)가 탄성적으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체결돌기(54f)는 그 상부의 누름버튼(54e)의 조작에 의하여 눌려지면서 결합상태가 해제될 수 있도록 탄성체(S)가 내장되어 구성된다.The suction hose 50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40 of the vacuum cleaner by being assembled by a connection part 54 which is an injection molding attached to the end of the suction hose 50.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connecting portion 54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41a inside the inlet portion 41 when it is coupled to the inlet portion 41 of the main body 40. The fastening protrusion 54f is elastically installed, and the fastening protrusion 54f has an elastic body S built therein so that the engaged state can be released while being pressed by the operation of the upper push button 54e. .

이와 같이 상기 흡입호스(50)의 단부에 성형된 연결부(54)는, 진공청소기의 본체(40)에 형성되어 있는 유입부(41)에 삽입되어 끼워진다.In this way, the connecting portion 54 formed at the end of the suction hose 50 is inserted into the inlet portion 41 formed in the main body 40 of the vacuum cleaner.

상술한 바와 같이, 흡입호스(50)가 연결부(54)를 통하여 본체(40)에 체결된 상태에서, 바닥면을 따라 이동하는 흡입노즐(46)을 거쳐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가 유입된다. 상기 흡입노즐(46)을 통하여 유입된 공기는 연장관(44)을 따라 흡입호스(50)로 이동하여 본체(40)의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사용자가 연장관(44)의 상측에 구성되어 있는 조작부를 잡고 당기거나 미는 과정에서 흡입노즐(46)이 바닥면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 때, 본체(40)는 양측에 구성되어 있는 바퀴(42)가 회전하면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state in which the suction hose 50 is fastened to the main body 40 through the connecting portion 54, air containing foreign matter is introduced through the suction nozzle 46 moving along the bottom surface.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suction nozzle 46 moves to the suction hose 50 along the extension pipe 44 to be introduced into the body 40. The suction nozzle 46 moves along the bottom surface while the user pulls or pushes the operation unit configured on the upper side of the extension pipe 44. At this time, the main body 40 is able to move smoothly while the wheels 42 formed on both sides rotate.

도 3 및 도 4를 같이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연결부(54)에는, 수평방향으로 관통하는 파지공(54b)을 가지는 손잡이(54a)가 구성되고, 상기 파지공(54b)에 의하여 성형된 손잡이(54a)의 상부에 엄지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는 삽입공(54c)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파지공(54b)의 상측 내벽에는 걸이홈(54d)이 구성되어 있다.Referring to FIGS. 3 and 4, a handle 54a having a gripping hole 54b penetrat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formed in the connecting portion 54, and a handle formed by the gripping hole 54b ( The insertion hole 54c which can insert a thumb in the upper part of 54a) is provided. In addition, a hook groove 54d is formed on the upper inner wall of the gripping hole 54b.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상기 연결부(54)의 손잡이(54a)는 사용자가 파지할 때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고, 본 발명에 의하면 손잡이(54a)가 수직상태로 성형되어 있다. 이렇게 성형된 수직상태로 성형된 손잡이(54a)는, 사용자가 손잡이(54a)의 수평방향에서 관통하는 파지공(54b)을 통하여 왼쪽 또는 오른쪽에서 손을 삽입하여 손잡이(54a)를 파지하여 본체(40)를 들고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The handle 54a of the connecting portion 54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configured to be used when the user is gripped, 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dle 54a is molded in a vertical state. The handle 54a molded in the vertical state thus formed is inserted into a user's hand from the left or right through the grip hole 54b penetrat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handle 54a, and the handle 54a is gripped to hold the handle 54a. 40 it becomes possible to lift and move.

이뿐만 아니라, 상기 손잡이(54a)의 상측에 성형된 삽입공(54c)과, 파지공(54b)의 상측 내벽에 성형된 걸이홈(54d)을 포함하고 있는 연결부(54)에 의하면, 사용자가 상측에서 연결부(54)를 잡아서 본체(40)를 들고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삽입공(54c)에 엄지손가락을 넣고, 나머지 손가락중 본체(40)를 들 수 있는 힘을 가할 수 있는 손가락들을 걸이홈(54d)에 넣어 거는 것에 의하여 손잡이(54a)를 상측에서 잡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 때, 걸이홈(54d)에 걸려지는 손가락 사이에 손잡이(54a)가 위치하도록 잡는 것이 본체(40)를 이동시키기 용이함은 물론이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onnecting portion 54 including the insertion hole 54c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handle 54a and the hook groove 54d formed on the upper inner wall of the gripping hole 54b, By holding the connection portion 54 from the upper side it is possible to move holding the body 40. The thumb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54c, and the handle 54a can be grasped from the upper side by putting fingers that can apply a force to lift the main body 40 among the remaining fingers into the hook groove 54d. Will be. At this time, it is, of course, easy to move the main body 40 by holding the handle 54a between the fingers caught by the hook groove 54d.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손잡이(54a)가 성형된 연결부(54)가 진공청소기의 본체(40)에 장착되면, 상기 연결부(54)에 성형된 손잡이(54a) 및 삽입공(54c), 걸이홈(54d)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편리한 방향에서 진공청소기를 쉽게 이동시킬 수 있다.When the connection portion 54 formed by the handle 54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mounted on the main body 40 of the vacuum cleaner, the handle 54a and the insertion hole 54c formed in the connection portion 54, The hook groove 54d can be used to easily move the vacuum cleaner in the user's convenient direction.

이상에서 살펴본 실시예에 의하면, 손잡이(54a) 및 삽입공(54c), 걸이홈(54d)을 가지는 연결부(54)를 본체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진공청소기의 편리한 이동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요지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by configuring the connection portion 54 having the handle 54a, the insertion hole 54c, the hook groove 54d to the main body to ensure a convenient mobility of the vacuum cleaner It can be seen that the main point.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Within the scope of the basic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course, many other modifications ar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다음에는 본 발명의 변형 가능한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고찰하기로 한다.Next,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iscussed.

상술한 실시예를 바탕으로 하여 걸이홈(54d)의 형상을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걸이홈(54d)은 손잡이(54a)를 중심으로 하여 수평방향으로 폭을 넓게 성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걸이홈(54d)은 삽입공(54c)에 삽입하는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을 걸 수 있도록 다수개의 걸이홈을 성형하는 것이 실질적으로 사용자에게 매우 편리하게 잡을 수 있게 되는 구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Based o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shape of the hook groove 54d may be variously formed. That is, the hook groove 54d may be formed to have a wide wid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andle 54a. In addition, the hook groove (54d) is to provide a configuration that makes it very convenient for the user to form a plurality of hook groove to be able to hook the rest of the fingers except the thumb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54c). It becomes possible.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장점을 기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can be expected the following advantages.

본 발명에 의한 손잡이는 파지공을 통하여 왼쪽 또는 오른쪽에서 손을 삽입하여 잡는 것도 가능하고, 상측에서 삽입공 및 걸이홈에 손가락을 거는 과정에서손잡이를 잡는 것이 가능하다. 즉, 사용자가 편리하게 잡을 수 있도록 양측이나 상측 방향에서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The han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hold and insert the hand from the left or right through the gripping hole, it is possible to hold the handle in the process of hanging the finger in the insertion hole and the hook groove from the upper side. That is,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can provide a handle that can be gripped in both sides or the upper direction so that the user can conveniently hold.

Claims (4)

흡입호스의 단부에 구성되어 진공청소기 본체의 유입부에 착탈되는 연결부와; 그리고A connection part configured at an end of the suction hose and detachable from the inlet of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And 상기 연결부의 일측에는 수평방향으로 관통하는 파지공과, 사용자가 상기 파지공으로 손을 삽입하여 파지하는 수직상의 손잡이가 성형되고, 상기 손잡이의 상측에는 삽입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손잡이 구조.One side of the connection portion is formed in the grip hole penetrat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vertical handle for gripping the user by inserting the hand into the gripping hole, the upper side of the handl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insertion hole Handle structur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공에는, 상측 내벽에 성형되는 걸이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손잡이 구조.The handle structure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gripping hole further comprises a hook groove formed on an upper inner wall.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홈은, 손잡이를 중심으로 하여 수평방향으로 폭이 넓게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손잡이 구조.The handle structure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hook groove is formed to have a wide width in a horizontal direction about the handl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홈은, 다수개의 걸이홈을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손잡이 구조.The handle structure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hook groove is formed in a plurality of hook grooves.
KR1020010082952A 2001-12-21 2001-12-21 Handle structure for vacuum cleaner KR2003005283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2952A KR20030052836A (en) 2001-12-21 2001-12-21 Handle structure for vacuum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2952A KR20030052836A (en) 2001-12-21 2001-12-21 Handle structure for vacuum clea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2836A true KR20030052836A (en) 2003-06-27

Family

ID=29577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2952A KR20030052836A (en) 2001-12-21 2001-12-21 Handle structure for vacuum clea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52836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6465B1 (en) * 2004-02-27 2011-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drying duct for drum washing machine with dry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6465B1 (en) * 2004-02-27 2011-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drying duct for drum washing machine with dry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4083B1 (en) A vacuum cleaner for many purposes
US20090151113A1 (en) Vacuum Cleaner Filter
KR20090058917A (en) Vacuum cleaner
EP1464267A3 (en) Vacuum cleaner
SK64996A3 (en) Vacuum cleaner electromotively driven with telescoping handle
JP2009279230A (en) Electric vacuum cleaner
KR20190024195A (en) Vacuum cleaner
WO2006026516A3 (en) Ergonomic appliance handle
US20110173771A1 (en) Vacuum cleaner
JP2012010929A (en) Hose for vacuum cleaner and vacuum cleaner
JP4923530B2 (en) Vacuum cleaner
JP2012210300A (en) Handy handle for vacuum cleaner
KR20030052836A (en) Handle structure for vacuum cleaner
KR102268576B1 (en) Vacuum cleaner
JP2007135651A5 (en)
US11793375B2 (en) Conversion member and electric cleaner including the same
JP2007021056A (en) Suction nozzle and vacuum cleaner using the same
JP2594238Y2 (en) Handy cleaner
US3557399A (en) Wand for vacuum cleaner
JP6056377B2 (en) Electric vacuum cleaner
JPH07255653A (en) Flexible suction pipe for a vacuum cleaner
KR950004666Y1 (en) Handle of vacuum cleaner
JPH023815Y2 (en)
JP2005204690A (en) Vacuum cleaner
JPH0517005Y2 (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