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51704A - 태양열 지붕 - Google Patents

태양열 지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51704A
KR20030051704A KR10-2003-7004974A KR20037004974A KR20030051704A KR 20030051704 A KR20030051704 A KR 20030051704A KR 20037004974 A KR20037004974 A KR 20037004974A KR 20030051704 A KR20030051704 A KR 200300517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f
solar
strip
solar roof
wall ac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4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피터 마틴 브로아트취
Original Assignee
피터 마틴 브로아트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GB0024662A external-priority patent/GB0024662D0/en
Priority claimed from GB0101009A external-priority patent/GB0101009D0/en
Application filed by 피터 마틴 브로아트취 filed Critical 피터 마틴 브로아트취
Priority claimed from PCT/GB2001/004440 external-priority patent/WO2002031415A1/en
Publication of KR200300517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1704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Sky-lights

Abstract

태양열 지붕이나 벽면은 각각이 공간층(226)을 포함한 다수의 횡방향 경로가 생기도록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다수의 널판들(216a,216b)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의 지붕은 태양복사를 투과시키는 타일(218a,218b,218c)로 된 외부층이 있으며,태양복사를 흡수하는 금속 또는 다른 스트립(214a,214b,214c)로 된 내부층이 있다. 파이프(228)은 각 공간층(226)을 통해 길게 설치되어 있으며,흡수 스트립 각각에 단열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 파이프(228)은 태양열 시스템을 위한 순환 도관을 형성한다. 상기 지붕에 입사하는 태양복사는 스트립(214a)에 의해 흡수되도록 투명타일(218a)를 관통한다. 그럼으로써 파이프(228)내의 열수송유체가 가열된다. 각 공간층(226)내에 함유된 공기는 단열 담요(blanket)를 제공한다.스트립(214a)는 습기제거와 통풍을 제공하도록 설비된다.

Description

태양열 지붕{SOLAR THERMAL ROOFING}
본 발명은 태양열 지붕에 관한 것으로서 공기나 물을 데우기 위해 태양빛으로부터 열을 집열하는 지붕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태양에너지는 온수를 제공하는데 사용되어 왔고,이는 열대지방이나 준 열대지방에서는 일상적인 일이다. 고위도 지역에서는 이런 이점은 적으나 여전히 유용한 에너지 대체 수단이다. 예를들어, 영국에서 태양에너지는 하절기에는 한가족이 가정에서 온수를 쓸수있게하고, 그 외 절기에는(급수를 예열하므로서) 유용한 탑업(top-up)을 제공할수있다. 영국에있는 한 남향 지붕이 1년에 약 1000kWh/㎡ 의 전력을 받는데, 이는 잠재적인 에너지원으로서 아주 중요하다.
전형적으로 태양에너지는 지붕에 설치된 평판 집열기에 의해 모아진다. 그 집열기는 투명한 외피를 가진 봉합된 박스형태이고, 그 박스내에는 입사광을 흡수하도록 검은색이 도포되어 있거나 그렇게 처리된 흡열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물은 그 박스내의 파이프를 통과하면서 데워진다. 모아진 에너지의 양은 집열기의 크기에 따라 다르며, 집열기는 그 취급이나 심미적인 것등을 고려할때 특히 집열기가 지붕에 설치될때는 그 크기 제한을 받는다. 또한 더욱 중요한 것은 그 집열판의 효용성은 열손실을 줄이는 것에 있고, 뿐만 아니라 단열시키므로서 그박스는 대류열 손실을 막도록 봉합되어진다. 그래서 여전히 공기는 열이 박스내에 형성되도록 담요효과(blanketing effect)를 제공한다.
전기를 발생시키기 위해서 광전지 타일로 지붕을 덮는 것은 이전에 잘 알려진 사실이나, 이 타일들을 서로 연결시키는 것이 상대적으로 쉽다는 것은 명백할 것이다. 그러나 열시스템에 있어서, 전통적인 평판 집열기는 그 크기가 보통의 지붕타일 크기로 줄여지면 그 집열기를 서로 연결 하는데 있어서 상당한 시간과 비용이 들것이다. 따라서 태양열을 전달하는데 적합한 지붕타일에 대해 여러가지 제안들이 있었다.
공개공보DE3934719에는 알루미늄 타일들이 태양열 시스템의 파이프들을 갈고리모양으로 걸도록 형성된 배열을 보여주고 있다. 그 파이프들이 기와판 역할을 하는 것이다. 그 타일들은 산화 피막이 형성되어 있고, 입사하는 태양 광선을 흡수하도록 바깥표면에 검은색 매트가 있으며, 파이프를 통해 순환하는 물에 열을 전달한다. 이 시스템은 그 타일들을 싸는 절연체가 없어 대류로 인한 상당한 열손실이 있으며 강수와 그에 따른 증발을 고려할때 그 손실은 더욱 심하다.
공개공보DE3218013 에서는 태양열 시스템을 위한 파이프가 내장된 그 자체가 열전도 금속으로 만들어진 타일 널판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전통적인 지붕 타일은 이 널판으로부터 결정되었으며 전통 타일이 태양열 복사를 투과시키지 않으므로 태양에너지 이득이 제한된다. 효용성의 더 큰 감소는 그 널판들이 태양열을 모으는데 사용될수 있는 지붕면적의 비교적 적은 부분을 차지 한다는 사실로 부터 온다.
미국특허4,202,319는 감소된 크기의 평판 집열기 형태의 지붕 타일을 보여주고 있다. 이 타일 각각에는 한 널판내의 통로들에 연결된 입구와 출구가 있어서태양열 시스템의 유체 순환 루트가 제공된다. 과학적으로 잘알려진 바와 같이 각 타일과 그것을 지지하는 널판위치 간의 유체밀봉연결을 안전하게 할 필요는 지붕이는 사람(roofer)의 기술과 시공의 정확성을 크게 요구한다. 이는 많은 비용이 들어 간다는 것을 의미하며,그 비용은 각 타일내의 코일이나 집열 구조에 의해 올라간다.
더 간단한 많은 방법이 일본특허 4 343 963 에서 제시되고 있다.이 자료에서 열교환 파이프들은 투명 타일로 덮힌 골판지 지붕조각내에 형성된 홈에 위치해 있다. 그러나 그러한 배열에는 공기를 함유하는 바람직한 어떠한 설비도 없다.
미국특허4,364,374 는 많은 공기층이있는 타일모양의 패널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공기는 보온효과를 가져오는 담요처럼 기능하는것이 아니고 열수송 목적으로 순환한다. 더우기 그 패널은 경사진 지붕위에서 다른것과 연결할때 태양열 시스템이 지붕의 하단에서 꼭대기까지 공기를 자유롭게 이동하게하는 공간 통로를 통해 뻗어있는 파이프들에의해 연결되도록 하는 방법으로 고안되었고 배열되어있다. 이는 필연적으로 상당한 대류열손실을 가져온다.
미국특허 4,083,360은 하나 이상의 평판집열기가 하부에 복사전도 타일들이 있는 지붕의 서까래들 사이에 위치해 있는 배열을 보여주고 있다. 그 타일들은 단열이 가능하도록 이중유리로 형성되었을 것이고, 집열기들은 경사진 지붕 전체에 깔려있다고 말하여진다.
영국특허 2 070 232 는 공기가 지붕의 타일밑의 통풍구를 관통하게하는 방법으로 열에너지를 모으는 지붕구조를 보여준다. 그 타일들은 전통적인 것으로 보통의 집열기처럼 태양복사를 전도하지 못한다. 그리고 그 시스템은 실질상 잔잔한 공기를 함유하는 담요기능이라기보다 공기흐름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부가비용이나 그로인한 복잡함없이 평판집열기의 바람직한 단열재를 포함한 태양열 지붕 또는 벽(본 발명이 수직면에도 적용가능하므로 태양열 벽도 가능하다)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지붕이나 벽면을 제공하고 있는데, 그 지붕이나 벽면은 다수의 횡방향 경로(course)를 형성하도록 일정간격으로 배치된 다수의 널판들과, 상기의 지붕이나 벽면의 외부층을 제공하도록 상기 경로내에 있는 널판들에 의해 지지되고 태양복사를 투과시키는 다수의 타일들과, 외부층과 내부층이 실질상 동일한 공간에 걸쳐있도록 각 경로에 대해 하나로 배열된 태양복사를 흡수하는 다수의 스트립들(strips)과, 상기의 스트립이 타일을 통해 입사되는 태양복사를 흡수할 때 사용되고 있는 유체가 가열되도록 상기의 스트립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된 태양열 시스템의 유동성의 열수송매체용 도관(duct)을 포함하고, 각 경로에는 그 경로내의 스트립을 따라 공기가 함유될 수 있는 공간층(space)이 형성되어 있다.
과학적으로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개별적인 평판 집열기나 미관을위한 다른 복잡함을 요하지 않는 효율적으로 태양열(단열 공기함유재를 포함하는)을 이용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또한 이러한 이점이 실질상 모든 지붕이나 벽면에 적용될 것이고 잠재적으로는 전통적인 집열기로부터 이용가능한 것 이상이라는것이 명백할것이다.
각 경로에서 공기는 널판들,타일들 그리고/또는 스트립들의 협동에 의해 상기의 공간층에 유지될 것이다.
상기의 도관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상기의 공간층을 통해 뻗어 있다. 스트립은 그 도관을 지지하기위해 받침대나 말아 올려진 모서리 같은 수단이 있다. 그리고 그 도관은 상기의 모든 공간층을 통해 실질상 연속적으로 길게 설치되어 있는 유연한 파이프를 포함하고 있다.
하나의 연속된 길이로써 보다는 각 스트립이 별개의 부분들로 구성되어 지붕에 놓여있는 것이 편리하다. 널판들이 스트립위에 설치되거나, 스트립들이 널판위에 설치되어 있게 한다.
지붕이나 벽면은 각각의 상기의 공간층에 공기를 통하게 할 통풍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통풍수단은 스트립내에 형성될 것이고 예를들면 모서리에 주름등을 잡음으로써 각 스트립은 널판에 고정되어 진다. 스트립들은 또한 상기의 공간내의 습기를 제거하도록 형성되고 배열될 것이다.
스트립들은 단열재층에 부착될 것이고 상기의 지붕면은 또한 그 스트립 이면에 붙는 반투명 막을 포함할 것이다.
지붕이나 벽면은 일반적으로 적도를 향해 위치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실시례와 도면으로부터 명백하다.따라서 도면으로부터 상세히 언급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집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지붕면의 일부 측면도
도3은 본발명의 구성요소인 지붕면의 첫번째 층을 구성하는 스트립들의 평면도
도4는 본발명의 또 다른 실시례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1의 예시와 같이 지붕면(110)이 있는 집이 있다.아래에서 더 상세히 묘사되는 것과 같이, 지붕면(110)은 태양열 집열기로서 배열 되었다. 지붕면(110)은 일반적으로 지붕면(112)(114)(116)와 대조적으로 적도를 향해있고 현관위의 지붕면(118)에비해 크기때문에 선택했다.
도1의 집을 시계방향으로 90°회전시킨다면 지붕면(114)가 적도를 향할 것이고 지붕면(110) 대신에 태양열 집열기로서 사용될 것이다. 그러나 그런 위치에서는 더 큰 크기를 가진 벽면(120)을 사용하는 것이 더 좋을 것이다.(본 발명은 지붕면 뿐만 아니라 벽면에도 적용가능하다.)
도2에서는 지붕면(110)이 단열층(210)과 그 층(210)에 안전하게 고정된 많은수의 정반대의 널판들(212)을 포함하고 있음을 보여준다.그 널판들은 지붕 위와 아래로 길게 설치되어 있고, 지붕을 가로질러 길게 설치된 실질적으로 연속되는 내부층을 형성하기 위해 그들의 모서리가 상호 겹치는 다수의 알루미늄 스트립(214a,214b,214c)등을 지지할수 있도록 일정 간격으로 위치해 있다. 널판(216a,216b)등은 검은색으로 코팅처리한 받침을 가진 알루미늄 스트립(214a,214b,214c)의 겹쳐지는 모서리상부의 지붕 구조에 고정되어 있다.이는 이후 도3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그래서 널판(216a,216b)등은 스트립(214a,214b,214c)등을 제 위치에 고정 시킬 것이고 또한 각각이 폴리카보네이트로 만들어 졌고 태양복사를 투과시키는 타일들(218a,218b,218c)의 외부층을 지지한다.
타일(218b)를 보면 강수가 흘러내리도록 그 타일(218b)의 하부가 아래쪽으로 인접한 타일(218c)의 상부 위로 길게 설치되어 있다. 비슷하게 타일(218b)의 상부는 윗쪽으로 인접한 타일(218a)의 하부 아래에 위치해 있다. 타일들이 서로서로 나란히 겹쳐짐으로해서 기상조건으로부터 보호된다. 그래서 타일들은 외부층이 실질상 연속되도록 비늘모양으로 서로 겹쳐지게 설치되어 있다. 타일(218b)의 상부가 널판(216a)을 붙이도록 아래로 길게 설치되어 있는 이음새 테두리(220)과 결합함으로해서 타일(218b)는 그것의 상부에 안전하게 고정된다. 타일(218b)의 하부는 잘 알려진 방법으로 타일(218b)의 기상보호를 통제하는 통상적인 형태의 지붕클립(222)에 의해 지지된다.또한 타일(218b)의 하부는 아래쪽으로 인접한 타일(218c)를 붙이도록 리브(lip)(224)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붕의 모든 타일들은 모양이 비슷하며, 비슷하게 놓여져있다.지붕의 하부와 꼭대기,측면에는 특별한 배열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과학적으로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지붕의 하부에서는 타일들의 가장 낮은 경로의 하부들이 띠모양의 면으로 씌워져있고,지붕 꼭대기에서는 타일들의 가장 높은 경로가 둥근 타일로 씌워지고, 각 경로내의 마지막 타일들은 적소에 회반죽등의 접착재로 붙이거나 접착시킨다.
도2에서 알 수 있는바와 같이, 타일이나 금속 스트립에 의해 묶인 지붕의 내부층과 외부층 사이에는 공간층(226)이 있다. 태양열 시스템의 물(또는 다른 열수송매체)의 순환을 위한 동파이프(228)은 각 공간층(226)을 통해 길게 설치되어 있다. 그 파이프(228)은 알루미늄 스트립(214a)의 하부 끝단에 해제 가능하도록 맞물려 있고, 214a의 하부 끝단(230)은 즉시 열 전달이 가능하게끔 파이프(228)를 감쌀수 있도록 접어 말아 올려져 있다.
도1의 지붕면(110)에 태양이 비추면,태양복사는투명 타일들(218a,218b,218c)등을 관통하여 입사한 태양복사를 잘 흡수하고 그럼으로서 강하게 가열되는 알루미늄 스트립들(214a,214b,214c)들에 부딪친다. 스트립(214a)로부터의 열은 열전도에의해 동파이프를 통해 그것에 함유된 물에 전달된다.그럼으로써 공기를 데우거나 온수를 사용할 수 있게된다. 파이프(228)은 지붕의 첫번째층과 두번재층사이의 각 공간층(226)을 반복해서 관통하도록 지붕을 가로질러 구불구불하게 놓여 있다.(이는 파이프를 유연하게 만들거나 그끝에 구부러진 연결재를 이으면 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물의 온도는 더욱더 올라간다.
또한 각 공간층(226)은 효율적으로 봉합되어져야 한다. 타일(228b)의 상부에 있는 이음새테두리(220)는 공간층(226)으로부터 공기의 상방향 대류를 막도록 널판(216a)와 서로 협력한다.이렇게 타일(218b)의 하부에도 비슷한 배열이 있다. 그래서 공기는 열손실을 막는 보온재(blanket)를 제공하도록 공간층(226)내에 유지된다.
지붕면(110)의 내부층과 외부층 사이의 공간층은 응결로부터 발생될지도 모를 습기의 유해한 효과를 피하도록 통풍될 것이고, 이에 대한 수단은 도3의 설명에서 하기로 한다.
도3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알루미늄 스트립(214a,214b,214c)(그리고지붕을 덮고있는 다른 비슷한 스트립들)은 약 2000㎜길이와 500㎜너비의 횡으로 분리된 조각들로 이루어졌다. 각 조각은 타일의 너비보다 횡방향으로 더 길다. 스트립 모두는 그들의 긴 끝단을 따라 서로 겹쳐져 있으므로써 지붕을 가로질러 횡방향으로 뻗어 있고,각 조각의 겹쳐지지않은 부분의 너비는 위-아래방향으로 볼때 타일의 깊이보다 더 크지않다. 각 겹쳐진 길이를 따라 위에 겹쳐지게 설치된 스트립의 끝단은 도2의 도면부호 230에서처럼 파이프를 내포하도록 접어 말아 올려진다. 이 끝단에 인접한 각 스트립은 그 스트립의 너비쪽으로 (즉 경사진 지붕의 기울기 아래로) 수로(channels)가 제공되도록 주름부분(240)과 함께 형성된다. 이 수로들이 알루미늄 스트립과 그들 위에 놓여 있는 타일들 사이의 공간층을 통풍시킨다.
또한 수로는 응결로 인한 습기등이 이 공간층을 통해 흘러내릴수 있는 수단이 된다. 이러한 배수수단이 아래쪽으로 계속되기 위해서 알루미늄 스트립의 말아 올려진 끝단에 도면부호 24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작은 구멍들을 뚫는다.
마지막으로 배수를 고려하면, 타일(218b)의 밑면에 생긴 응결이 흘러 내려 공간층 외부로 흘러 나갈 것이다. 이는 끝단(224)를 아래쪽으로 인접한 타일(218c)에 굳게 결합시키지 않음으로써 가능하며, 또는 배수로(drainage passage)를 제공하도록 특별하게 만들어 질 것이다. 물론 이것은 지붕의 각 타일에 적용된다.
도2,도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알루미늄 스트립(214a,214b,214c)등은 세워진 너브들(nubs)(244,246)에 열맞춰 각각 형성되고,그럼으로써 그 스트립들은 부설하는 동안 상호 배열되고 널판(216a,216b)등도 제위치에 설비된다.
본 발명은 지붕면(110)전체가 효율적인 단열과 통풍이 있는 태양열 집열기로써 기여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도4 에서는 본 발명이 경사진 지붕에 적용되는 두번째 실시례를 보여주고 있다. 이는 도2의 것과 비교할때 두가지 현저한 수정사항이 있다. 첫째, 각 금속재 흡열 스트립(410)은 대응되는 널판(412a)의 하부보다는 상부에 설비되어 있다. (도4에서 알수 있는 바와 같이, 널판(412a,412b) 사이에 단열층(414)이 있으므로 스트립(410)는 실질상 평판이 될것이다). 둘째, 태양열 시스템의 파이프(416)은 각 스트립(410)에 안전하게 고정된 받침대(418)내에 위치한다. (열전도 페이스트가 열 수송을 개선하도록 그파이프와 받침대사이에 설비될것이다)
여러가지 수정 또는 변형이 본 발명으로부터 만들어 질수 있다. 예를들면, 알루미늄 스트립대신에 태양복사를 흡수하는 검은 합성플라스틱재 스트립을 쓸수 있고,그럼으로써 비용이 절감되고 설비의 단순화가 가능하나,열이동유체를 위한 파이프에 전도성 연결수단의 부재로 제 효과를 갖지 못한다. (금속재든 플라스틱재든) 스트립은 도관을 구체화 하도록 형성된다. 타일은 유리로 만들어 질수도 있고 폴리카보네이트이외의 다른 부재로 만들어 질수도 있으며, 색이 도포될수도 있고 지붕의 외양에 따라 수정될수도 있다.(물론,타일층은 태양에너지를 투과해야 한다.) 또한 타일층은 내부로 반사되도록 하는 코팅처리를 하는 것등으로 외부로의 열손실을 막도록 설비되어야 한다. 타일은 입사되는 태양복사가 온수용 파이프에 촛점이 맞춰지도록 프레즈넬 프리즘을 가진 설비를 할수도 있다. 널판은 보통 나무나,적절한 다른 부재로 만들어 질것이다. 널판은 또한 도관을 구체화 시킬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사용된 시스템은 밤에도 시스템을 작동시키므로써,난방 뿐만아니라 냉방을 위해서도 사용될수 있다.

Claims (22)

  1. 다수의 횡방향 경로(course)를 형성하도록 일정간격으로 배치된 다수의 널판들과, 상기의 지붕이나 벽면의 외부층을 제공하도록 상기 경로내에 있는 널판들에 의해 지지되고 태양복사를 투과시키는 다수의 타일들과, 외부층과 내부층이 실질상 동일한 공간에 걸쳐있도록 각 경로에 대해 하나로 배열된 태양복사를 흡수하는 다수의 스트립들(strips)과, 상기의 스트립이 타일을 통해 입사되는 태양복사를 흡수할 때 사용되고 있는 유체가 가열되도록 상기의 스트립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된 태양열 시스템의 유동성의 열수송매체용 도관(duct)을 포함하고, 각 경로에는 그 경로내의 스트립을 따라 공기가 함유될 수 있는 공간층(space)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열 지붕 또는 벽면.
  2. 제1항에 있어서, 각 경로 내에서의 공기는 널판,타일 그리고/또는스트립들간의 협동에 의해 각 공간층에 유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열 지붕 또는벽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의 외부층이 실질상 상기의 지붕이나 벽면전체에 넓게 설치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열 지붕 또는 벽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도관이 상기의 각 공간층을 통해 길게 설치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열 지붕 또는 벽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의 스트립위에 도관을 지지할 수단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열 지붕 또는 벽면.
  6. 제5항에 있어서, 도관을 지지할수 있도록 상기의 스트립에 안전하게 고정된 받침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열 지붕 또는 벽면.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의 스트립들의 끝단이 도관을 지지할 수 있도록 말아 올려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열 지붕 또는 벽면.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도관이 상기의 모든 공간층을 관통하여 실질상 연속적으로 설치될수 있도록 유연한 파이프재를 포함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열 지붕 또는 벽면.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의 스트립들이 도관을 포함할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열 지붕 또는 벽면.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의 스트립 각각은 횡방향으로 분리된 부분들을 포함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열 지붕 또는 벽면.
  11. 제10항에 있어서, 각 경로내에서 각 부분은 횡방향의 각 타일보다 더 큰 전체 치수임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열 지붕 또는 벽면.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트립들의 끝단이 횡방향을 따라 상호 중첩되고 각 경로에서 중첩되지 않은 부분의 너비는 상기의 지붕이나 벽면을 가로질러 횡방향에 수직인 한 방향의 각 타일보다 전체 치수가 더 크지 않음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열 지붕 또는 벽면.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널판들이 상기의 스트립위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열 지붕 또는 벽면.
  14.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의 스트립이 널판위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열 지붕 또는 벽면.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의 각 공간층을 통풍시킬수 있는 통풍수단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열 지붕 또는 벽면.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의 스트립들이 상기의 통풍수단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열 지붕 또는 벽면.
  17. 제16항에 있어서, 각 스트립은 널판에 안전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끝단을 가지며,상기의 끝단이 상기의 통풍수단을 제공할수 있도록 주름모양임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열 지붕 또는 벽면.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트립이 상기의 공간층내의 습기를 제거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배열됨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열 지붕 또는 벽면.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트립 이면에 설치된 단열재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열 지붕 또는 벽면.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트립 이면에 설치된 반투명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열 지붕 또는 벽면.
  21.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붕이나 벽면이 통상 적도를 향하도록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열 지붕 또는 벽면.
  22. 첨부된 도면에서 도시되고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설명된 바와 같은 태양열 지붕 또는 벽면.
KR10-2003-7004974A 2000-10-09 2001-10-05 태양열 지붕 KR2003005170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0024662.9 2000-10-09
GB0024662A GB0024662D0 (en) 2000-10-09 2000-10-09 Solar thermal roofing
GB0101009.9 2001-01-15
GB0101009A GB0101009D0 (en) 2001-01-15 2001-01-15 Solar thermal roofing
GB0105839.5 2001-03-09
GBGB0105839.5A GB0105839D0 (en) 2000-10-09 2001-03-09 Solar thermal roofing
PCT/GB2001/004440 WO2002031415A1 (en) 2000-10-09 2001-10-05 Solar thermal roof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1704A true KR20030051704A (ko) 2003-06-25

Family

ID=26245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4974A KR20030051704A (ko) 2000-10-09 2001-10-05 태양열 지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30051704A (ko)
GB (1) GB0105839D0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0698A (ko) 2018-05-14 2019-11-25 (주)아이씨이 태양 복사 에너지를 유도하는 혼 도파관 패널 및 이를 이용한 하우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0698A (ko) 2018-05-14 2019-11-25 (주)아이씨이 태양 복사 에너지를 유도하는 혼 도파관 패널 및 이를 이용한 하우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0105839D0 (en) 2001-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99591B2 (en) Solar thermal roofing
US4271826A (en) Device for collecting solar energy
US4271818A (en) Solar heater roof-panel construction
US4112921A (en) Method and system for utilizing a flexible tubing solar collector
US4278072A (en) Forced air solar heating system
US4738247A (en) Roof installations
US4404960A (en) Roof skin forming a heat sink
US4416265A (en) Solar collector
US20050016524A1 (en) Solar heat absorber panels
US4289117A (en) Solar panel unit and system for heating circulating air
GB1573294A (en) Facing or roof covering
US4143815A (en) Heating apparatus
GB2044434A (en) Building heating systems
US4392483A (en) Solar collector means
US4174703A (en) Solar heat roofing system
US4197834A (en) Solar energy collector and associated methods adapted for use with overlapped roof shingles on the roof of a building
US8272177B2 (en) Solar roofing assembly
US4153037A (en) Solar collector module and solar collector system
US4151697A (en) Methods of insulating purlins
US4284064A (en) Solar heating system
WO1991007558A1 (en) Ridge cap
KR20030051704A (ko) 태양열 지붕
US4286582A (en) Prevention of thermal buildup by controlled exterior means and solar energy collectors
JP2649906B2 (ja) 太陽熱集熱装置
JPS5942423Y2 (ja) 太陽熱利用の屋根板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