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51292A - Motor - Google Patents

Mo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51292A
KR20030051292A KR1020020079475A KR20020079475A KR20030051292A KR 20030051292 A KR20030051292 A KR 20030051292A KR 1020020079475 A KR1020020079475 A KR 1020020079475A KR 20020079475 A KR20020079475 A KR 20020079475A KR 20030051292 A KR20030051292 A KR 200300512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terminal
motor case
mounting
output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94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798829B1 (en
Inventor
스즈키가즈히사
세가와노보루
Original Assignee
니덱 코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덱 코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덱 코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51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129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8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8829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40Structural association with ground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24Casings; Enclosures;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suppression or reduction of noise or vibr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6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 H02K7/061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using rotary unbalanced masses
    • H02K7/063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using rotary unbalanced masses integrally combined with motor parts, e.g. motors with eccentric r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11/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measuring or protective devices or electric components
    • H02K2211/03Machines characterised by circuit boards, e.g. pc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PURPOSE: To provide a motor which accelerates the thinning of an apparatus being the object of mounting, while suppressing the mounting height. CONSTITUTION: In this motor 1, the ground parts 14 of a pair of terminals 8 are juxtaposed across the center axis p of a motor case 2, and besides the interval L between the ground parts 14 and 14 is made larger than the diameter R of the motor case 2, so the seating stability of the motor at mounting is enhanced. Furthermore, the value of elastic deformation (amount of stroke) of the terminal 8 at mounting of the motor can be enlarged while avoiding the influence of the external form of the motor case 2 as far as possible. The terminal 8 can exhibit enough elastic power required to press it against the electric contact of an apparatus, and the electric connection becomes sure. Besides, at mounting of the motor, the height dimension of the motor 1 after elastic deformation of the terminal 8 can be brought close to the outside diameter dimension of the motor case 2 as far as possible. As a result, a motor small in mounting height dimensions materializes, and it contributes to the thinning of a portable telephone or the like.

Description

모터{Motor}Motor

본 발명은, 모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진동 경보 기기의 진동 발생원으로서 이용되는 것이며, 예컨대, 휴대 통신 기기(예컨대 휴대 전화)에서의 호출 기능이나 게임 등의 오락 기기에서의 체감 기능으로서 이용되는 소형 모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tor, and in particular, is used as a vibration generating source of a vibration alarm device. For example, a small motor used as a call function in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for example, a cellular phone) or a haptic function in an entertainment device such as a game. It is about.

종래, 이러한 분야의 기술로서, 일본국 특개평 11-136901호 공보나 특개평2001-37147호 공보가 있다. 이들 공보에 기재된 소형 모터는, 휴대 전화 등의 통신기기에 장착하기 쉽게 한 것이고, 출력축에는 분동인 추가 고정되며, 원통형의 모터 케이스에는, 터미날이 브래킷을 통하여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터미널을 판스프링에 의해 구성시킴으로써, 회로 기판에 모터를 실장시킬 때, 납땜할 필요가 없고, 기기의 조립 작업 능률의 향상을 꾀하고 있다.Background Art Conventionally,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1-136901 and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1-37147 are known as techniques in this field. The small motors described in these publications are made easy to be attached to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and are further fixed to the output shaft as weights, and the terminals are fixed to the cylindrical motor cases via brackets. By constructing the terminal by the leaf spring, when mounting the motor on the circuit board, there is no need for soldering, and the assembly efficiency of the device is improved.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모터에는, 다음과 같은 과제가 존재한다. 즉, 기기 내에 설치된 회로 기판에 모터를 실장할 때, 모터 케이스 아래로 각 터미널이 들어가는 듯한 상태가 되므로, 이러한 위치에 설치된 터미널의 존재에 의해 휴대 전화 등의 기기의 박막화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following subjects exist with the conventional motor mentioned above. That is, when the motor is mounted on a circuit board installed in the device, each terminal is likely to enter under the motor case. Therefore, the presence of the terminal installed at such a position makes it difficult to thin a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특히, 실장 높이를 억제하면서, 실장 대상물을 이루는 기기의 박형화를 촉진시키도록 한 모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is invention is made | form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subjec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specially to provide the motor which promotes thickness reduction of the apparatus which comprises a mounting object, suppressing mounting heigh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터의 제1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1 is a front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mo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모터의 평면도이다.2 is a plan view of the motor of FIG.

도 3은 도 1의 모터의 저면도이다.3 is a bottom view of the motor of FIG. 1.

도 4는 도 1의 모터의 우측면도이다.4 is a right side view of the motor of FIG. 1.

도 5는 도 1의 모터의 좌측면도이다.5 is a left side view of the motor of FIG. 1.

도 6은 본 발명의 모터에 적용시키는 터미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erminal applied to the moto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도 1의 모터에 고무제 홀더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7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rubber holder is attached to the motor of FIG. 1.

도 8은 도 1의 모터에 고무제 홀더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8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rubber holder is attached to the motor of FIG. 1.

도 9는 도 1의 모터에 고무제 홀더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FIG. 9 is a bottom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rubber holder is attached to the motor of FIG. 1. FIG.

도 10은 도 1의 모터에 고무제 홀더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10 is a right sid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rubber holder is attached to the motor of FIG. 1.

도 11은 도 1의 모터에 고무제 홀더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It is a left side view which shows the state which mounted the rubber holder to the motor of FIG.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모터의 제2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It is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2nd Embodiment of the motor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모터를 휴대 전화에 적용하여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Fig. 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o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pplied to a mobile telephone.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모터를 휴대 정보 단말기기에 적용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pplied to a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device.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모터를 유희 기기에 적용하여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Fig. 1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o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pplied to a game machine.

본 발명에 따른 모터는, 실질적인 원통 형상의 모터 케이스를 갖는 모터 본체의 전단으로부터 출력축을 돌출시키고, 외부에서 소정의 전력을 공급하는 한쌍의 터미널의 기단을, 상기 모터 본체에 고정한 모터에 있어서, 탄성을 갖는 상기 각 터미널의 유단에 접지부가 설치되고, 상기 모터 케이스의 중심축선을 개재하여 좌우 위치에 병설한 상기 접지부의 간격을, 상기 모터 케이스의 직경보다 크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o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lastic in a motor in which an output shaft protrudes from a front end of a motor main body having a substantially cylindrical motor case, and a base end of a pair of terminals for supplying predetermined electric power from the outside is fixed to the motor main body. A grounding portion is provided at the end of each of the terminals,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grounding portions provided in the left and right positions via the central axis of the motor case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motor case.

이 모터에 있어서, 탄성을 갖는 터미널을 채용한 결과, 휴대 전화 등의 기기에 모터를 실장시킬 때, 납땜할 필요가 없고, 기기의 조립 작업 능률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또한 한쌍의 터미널의 접지부는, 모터 케이스의 중심축선에 대하여 병설시키고, 또한, 접지부간의 간격을 모터 케이스의 직경 보다 크게 하였으므로, 모터의 실장시에 있어서의 모터의 착좌(着座) 안정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또한, 모터 케이스의 외형의 영향을 가능한 한 회피시키면서, 모터 실장시에서의 터미널의 탄성 변형량(스트로크량)을 크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터미널은 기기의 전기 접점에 접촉시키는데 필요한 탄성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고, 전기적 접속이 확실한 것이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접지부간의 간격은, 터미널에 충분한 스트로크를 주면서 탄성 변형시에 모터 케이스의 영향을 가능한 한 회피할 것을 고려한 것이므로, 모터 실장시, 터미널의 탄성 변형후에 있어서의 모터의 높이 치수를 모터 케이스의 외경 치수에 가능한 한 접근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실장 높이 치수가 작은 모터가 실현되고, 이는, 실장 대상물을 이루는 기기측의 박형화를 촉진시키는데 일조를 한다.As a result of employing an elastic terminal in this motor, when mounting the motor in equipment such as a mobile telephone, there is no need for soldering, and the assembly work efficiency of the apparatus can be improved. In addition, since the ground portions of the pair of terminals are provided along the central axis of the motor case,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ground portions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motor case, the improvement of the seating stability of the motor when the motor is mounted is improved. You can do it. Moreover, the amount of elastic deformation (stroke amount) of the terminal at the time of motor mounting can be enlarged, avoiding the influence of the external shape of a motor case as much as possible. As a result, the terminal can sufficiently exert the elastic force required to contact the electrical contact of the device, and the electrical connection is reliable.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distance between the ground portions is considered to avoid the influence of the motor case at the time of elastic deformation while giving sufficient stroke to the terminal. Therefore, the height of the motor after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terminal at the time of motor mounting is considered. The dimensions can be as close as possible to the outer diameter dimensions of the motor case. As a result, a motor having a small mounting height dimension is realized, which helps to promote thinning of the device side constituting the mounting object.

또한, 각 터미널은, 모터 본체에 고정되는 기단부와, 기단부로부터 연장됨과 동시에, 유단에 접지부를 설치한 탄성부를 가지며, 탄성부를 모터 케이스의 측방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탄성부가 모터 케이스의 측방에 위치함으로써, 탄성부를 모터 케이스에 접촉시키지 않고, 충분히 탄성 변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실장 높이 치수가 작은 모터가 실현되고, 기기측의 박형화를 촉진시킨다.In addition, each terminal has a base end fixed to the motor main body, an elastic part extending from the base end, and provided with a grounding part at the end of the terminal, and the elastic part preferably disposed at the side of the motor case. Thus, since an elastic part is located in the side of a motor case, it can fully elastically deform without making an elastic part contact a motor case. Therefore, a motor with a small mounting height dimension is realized, and the thickness of the device side is promoted.

또한, 탄성부는, 출력축의 축선을 따라 연장되는 제1 부분과, 제1 부분의 전단으로부터 절곡부를 통하여 후방을 향해 연장되는 제2 부분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탄성부에 적절한 탄성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an elastic part is provided with the 1st part extended along the axis line of an output shaft, and the 2nd part extended back through a bend part from the front end of a 1st part. As a result, an appropriate elastic force can be generated in the elastic portion.

또한, 기단부는 출력축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모터 케이스의 측방을 향해 돌출되고, 탄성부는 상기 기단부로부터 출력축의 축선을 따라 거의 U자형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터미널이 출력축의 축선을 따라 거의 U자형으로 연장된 탄성부를 갖는 경우, 모터의 실장 높이 치수가 커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모터 케이스를 피하듯이 측방에 탄성부를 배치시키는 것이 효과적이다.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proximal end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output shaft and protrudes toward the side of the motor case, and the elastic portion extends substantially U-shaped from the proximal end along the axis of the output shaft. When the terminal has an elastic portion extending substantially in a U-shape along the axis of the output shaft, since the mounting height dimension of the motor tends to be large, it is effective to arrange the elastic portion on the side like the motor case is avoided.

또한, 출력축에 추를 편심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한 경우, 진동 모터를 구성시킬 수 있고, 특히 진동 모터에 있어서는, 모터의 착좌안정성은 중요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fix the eccentric weight on the output shaft. When such a configuration is adopted, a vibration motor can be configured, and in particular, in a vibration motor, seating stability of the motor is important.

또한, 모터 케이스를 고무제의 홀더로 덮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터가 추에 의해 진동할 때, 기기(예컨대 휴대 전화)의 케이스에서 불필요한 진동음이 발생하지 않는다.It is also preferable to cover the motor case with a rubber holder. When the motor vibrates by the weight, unnecessary vibration sounds do not occur in the case of the device (e.g., mobile phon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터는, 범용성이 높고, 다양한 진동 경보 기기로의 적용이 가능하다. 예컨대, 진동 경보 기기의 예로서, 휴대 전화나, 비상 무선 호출기, PDA 등의 휴대 정보 단말 기기나, 오락 기기의 콘트롤러 등의 유희 기기가 있다.In addition, the mo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highly versatile and can be applied to various vibration alarm devices. For example, examples of the vibrating alarm device include a mobile phone, a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device such as an emergency radio pager, a PDA, and a play device such as a controller of an entertainment device.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모터의 바람직한 실시의 형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motor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s described in detail, referr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모터(1)는, 실질적인 원통 형상의 모터 케이스(2)를 갖는 모터 본체(A)의 전단으로부터 출력축(3)을 돌출시키고, 외부에서 소정의 전력을 공급하는 한쌍의 터미널(8)의 기단을 모터 본체(A)에 고정한 모터에 있어서, 탄성을 갖는 각 터미널(8)의 유단(遊端)에 접지부(14)가 설치되고, 모터 케이스(2)의 중심축선을 개재하여 좌우 위치에 병설한 접지부(14)의 간격을 모터 케이스(2)의 직경 보다 크게 한다.The motor 1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protrudes the output shaft 3 from the front end of the motor main body A which has the substantially cylindrical motor case 2, and has a pair of terminals 8 which supply predetermined electric power from the outside. In a motor having a base end fixed to the motor main body A, a grounding portion 14 is provided at an end of each terminal 8 having elasticity, and is provided through a central axis of the motor case 2. The space | interval of the ground part 14 installed in the left-right position is mad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motor case 2.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1)는, 코어드 모터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직경 약 4mm이고 길이 약 10mm인 원통 형상의 금속제 모터 케이스(2)를 갖는 모터 본체(A)를 구비하고, 소형화가 꾀해지고 있다. 모터 케이스(2)의 내벽면에는, N, S극을 가진 영구 자석으로 이루어지는 고정자가 고정되고, 모터 케이스(2)의 내부에는 철심에 코일이 감긴 회전자가 수용되어 있다. 이 회전자의 중심으로는, 베어링으로 지지된 출력축(3)이 고정되고, 이 출력축(3)의 선단부는 모터 케이스(2)의 전단부를 관통하도록 연장된다. 그리고, 모터 본체(A)에 있어서, 모터 케이스(2)의 후단에는 수지제 브래킷(5)이 발톱부(2a)의 절곡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1 to 5, the motor 1 comprises a motor body A made of a cored motor and having a cylindrical metal motor case 2 having a diameter of about 4 mm and a length of about 10 mm. And miniaturization is provided. A stator made of a permanent magnet having N and S poles is fixed to an inner wall surface of the motor case 2, and a rotor in which a coil is wound around an iron core is housed inside the motor case 2. The output shaft 3 supported by the bearing is fixed to the center of this rotor, and the front end of this output shaft 3 extends so as to penetrate the front end of the motor case 2. In the motor main body A, the resin bracket 5 is fixed to the rear end of the motor case 2 by bending the claw portion 2a.

또한, 모터 케이스(2) 내에 있어서, 출력축(3)의 후단에는 정류자가 고정되고, 이 정류자에는 한쌍의 브러시가 슬라이딩 접촉하고 있다. 각 브러시에는 판상이 단자(4)가 고정되고, 각 단자(4)의 후단은, 모터 케이스(2)의 후단에 설치된 브래킷(5)으로부터 돌출시킨다. 그리고, 출력축(3)의 선단 부분에는, 거의 반원주형 추(6)가 코킹되거나, 압입되고, 추(6)는 출력축(3)에 편심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출력축(3)의 회전력으로 추(6)를 휘두름으로써, 모터 케이스(2) 자체를 진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추 부착 모터(1)는, 휴대용 소형 무선 호출기나 휴대 전화 등에서 그 케이스를 진동시키고, 이용자에게 착신을 알리는 경우에 이용된다.In the motor case 2, a commutator is fixed to the rear end of the output shaft 3, and a pair of brushes are in sliding contact with the commutator. The plate-shaped terminal 4 is fixed to each brush, and the rear end of each terminal 4 protrudes from the bracket 5 provided in the rear end of the motor case 2. The semi-circular weight 6 is caulked or press-fitted to the tip end portion of the output shaft 3, and the weight 6 is eccentrically fixed to the output shaft 3. Therefore, the motor case 2 itself can be vibrated by swinging the weight 6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output shaft 3. Such a weight-mounted motor 1 is used to vibrate the case in a portable small pager, a cellular phone, or the like to notify the user of an incoming call.

여기서, 모터 본체(A)에는, 단자(4)와 회로 기판(7)의 소정의 전기 접점(7a)과의 전기적 접속을 원터치로 이루기 위한 터미널(8)이 설치되어 있다. 각 터미널(8)은, 각각의 단자(4)에 대응하여 설치되고, 외부에서의 소정 전력을 브러시로 인가하기 위한 것이다. 각 터미널(8)의 기단을 각 단자(4)에 땜납(S)을 통하여 고정하고, 그 결과, 터미널(8)은 모터 본체(A)에 고정된다. 또한, 터미널(8)은 얇은 스프링판으로 형성되고, 터미널(8) 자체에 스프링성을 갖게 하고 있다.Here, the motor main body A is provided with a terminal 8 for making one-touch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terminal 4 and the predetermined electrical contact 7a of the circuit board 7. Each terminal 8 is provided corresponding to each terminal 4, and is for applying a predetermined electric power from the outside with a brush. The base end of each terminal 8 is fixed to each terminal 4 via solder S, and as a result, the terminal 8 is fixed to the motor main body A. As shown in FIG. In addition, the terminal 8 is formed of a thin spring plate, and makes the terminal 8 itself springable.

따라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1)를 회로 기판(7) 상에 배치시키고, 그 상태에서, 도시하지 않은 기기의 뚜껑 등에 의해 화살표(Z) 방향으로모터(1)를 위에서 누르는 듯한 장착 작업이 가능하게 되고, 전기 접점(7a)으로의 납땜 필요성을 없앤다. 이 경우, 2점 쇄선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미널(8)이 탄성 변형되고, 소정의 탄성력을 가진 상태에서, 터미널(8)과 회로 기판(7)의 전기 접점(7a)을 확실히 접속한다.Therefore, as shown in Fig. 1, the motor 1 is placed on the circuit board 7, and in that state, the motor 1 is pushed upwards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Z by a lid or the like of a device (not shown). Mounting operation is possible, eliminating the need for soldering to the electrical contact 7a. In this case, as shown by the dashed-dotted line, the terminal 8 is elastically deformed, and the electrical contact 7a of the terminal 8 and the circuit board 7 is reliably connected in a state with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이 터미널(8)은, 소정 형상으로 절단한 얇은 스프링판의 절곡 가공에 의해 형성된다. 이 터미널(8)은,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 본체(A)에 고정되는 기단부(20)와, 이 기단부(20)로부터 연장됨과 동시에 캔티레버식 지지 상태에서 출력축(3)의 축선을 따라 거의 U자형으로 형성되고, 출력축(3)에 대하여 거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30)를 가지고 있다. 이 기단부(20)는, 모터 본체(A)에 설치된 단자(4)에 땜납(S)을 통해 고정되는 장착부(10)를 가지고, 이 장착부(10)는 브래킷(5)의 단면을 따르도록 하여 직경 방향으로 연장된다.This terminal 8 is formed by the bending process of the thin spring board cut | disconnected to the predetermined shape. As shown in Figs. 5 and 6, the terminal 8 has a proximal end 20 fixed to the motor main body A and an output shaft 3 extending from the proximal end 20 and in a cantilevered state. It has an elastic portion 30 formed substantially in a U-shape along the axis of and having an elastic force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output shaft 3. This proximal end 20 has a mounting part 10 fixed to the terminal 4 provided in the motor main body A through the solder S, and this mounting part 10 follows the cross section of the bracket 5, It extends in the radial direction.

또한, 이 기단부(20)에는, 장착부(10)와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는 확장부(19)를 가지고, 이 확장부(19)는 출력축(3)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모터 케이스(2)의 측방을 향해 돌출된다. 그리고, 장착부(10)와 확장부(19)로 이루어지는 기단부(20)를 브래킷(5)의 후단면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장착부(10)는 단자(4)에 납땜된다. 터미널(8)의 탄성부(30)는, 확장부(19)의 하단에서 내측(추(6)를 향하는 측)을 향해 직각으로 절곡된 상태에서, 회전축(3)의 축선을 따라 연장되는 제1의 부분(11)을 갖는다. 또한, 탄성부(30)는, 제1의 부분(11)의 전단을 U자형으로 꺾은 절곡 부위(B)를 통하여 제1의 부분(11)에 거의 평행하게 연장시키는 제2의 부분(12)을 갖는다. 이 제2의 부분(12)은, 제1의 부분(11)의 거의 반 정도 부근까지 연장된다. 또한, 탄성부(30)는, 제2의 부분(12)의 후단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돌출시키도록 절곡한 제3의 부분(13)을 가지고 있다.In addition, the base end portion 20 has an expansion portion 19 which is located on the same plane as the mounting portion 10, and the expansion portion 19 extend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utput shaft 3 so as to extend the motor case 2. Protrude toward the side of And the mounting part 10 is soldered to the terminal 4 in the state which contacted the base end part 20 which consists of the mounting part 10 and the expansion part 19 in contact with the rear end surface of the bracket 5. The elastic part 30 of the terminal 8 extends along the axis of the rotation shaft 3 in a state bent at a right angle from the lower end of the expansion part 19 toward the inner side (the side facing the weight 6). Has a portion 11 of one. Moreover, the elastic part 30 is the 2nd part 12 which extend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1st part 11 through the bending part B which bend | folded the front end of the 1st part 11 in U shape. Has This second portion 12 extends to approximately half of the first portion 11. In addition, the elastic portion 30 has a third portion 13 that is bent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rear end of the second portion 12.

이 제3의 부분(13)의 유단측에는 만곡부(13a)가 형성되고, 이 만곡부(13a)의 정점부에는, 표면에 Au 도금 처리가 이루어진 접지부(14)가 팽출 형성되고, 이러한 접지부(14)는, 회로 기판(7)의 소정의 전기 접점(7a)과의 전기적 접속을 확실하게 한다. 이러한 탄성부(30)를 확장부(19)로부터 캔틸레버식 지지 상태에서 연장시킴으로써, 탄성부(30)를 모터 케이스(2)의 측방에 위치시키고 있다.A bent portion 13a is formed at the end of the third portion 13, and at the apex of the bent portion 13a, a ground portion 14, which is subjected to Au plating treatment, is swelled to form a surface. 14 ensures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predetermined electrical contact 7a of the circuit board 7. The elastic part 30 is located in the side of the motor case 2 by extending such elastic part 30 from the expansion part 19 in a cantilever-type support state.

그리고, 각 터미널(8)은 모터 케이스(2)의 후단에 있어서, 브래킷(5)에 일체 형성한 각부(脚部)(17)의 슬릿(17a)(도 3 참조) 내에 각각 수용되고, 슬릿(17a)으로부터 제3의 부분(13)을 노출시키고 있다. 그 결과, 취급시 파손되기 쉬운 터미널(8) 전체를 노출시키지 않고, 또한 전기적 접합에 필요한 부분의 육안 관찰이 용이해지며, 기기로의 장착 작업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And each terminal 8 is accommodated in the slit 17a (refer FIG. 3) of each part 17 integrally formed in the bracket 5 in the rear end of the motor case 2, and the slit The third part 13 is exposed from 17a. As a result, it becomes easy to visually observe the part necessary for electrical bonding without exposing the whole terminal 8 which is easy to be damaged at the time of handling, and the improvement of the workability of mounting to an apparatus can be aimed at.

또한, 터미널(8)의 접지부(14)를, 모터 케이스(2)의 후단에 근접시킨 결과, 회로 기판(7) 상에서의 모터(1)의 유지 밸런스를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절곡 형성한 터미널(8)의 채용에 의해, 간단한 구조에서 저렴하게 터미널(8)을 형성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제조 코스트의 저감을 꾀할 수 있다.In addition, as a result of bringing the ground portion 14 of the terminal 8 close to the rear end of the motor case 2, the maintenance balance of the motor 1 on the circuit board 7 can be improved. In addition, by adopting the bent terminal 8, the terminal 8 can be formed at a low cost with a simple structure, and as a result,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 케이스(2)의 중심축선(P)을 개재하여 좌우 대칭의 위치에 접지부(14)가 병설되고, 터미널(8)에 확장부(30)를 채용함으로써, 접지부(14, 14)의 간격(L)을, 모터 케이스(2)의 직경(R) 보다 크게 하고 있다. 그 결과, 모터(1)를 회로 기판(7)에 실장할 때, 모터(1)의 착좌안정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특히, 추(6)를 갖는 진동 모터에 있어서는, 모터(1)의 착좌안정성은 중요하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the ground part 14 is provided in the symmetrical position via the center axis line P of the motor case 2, and the expansion part 30 is employ | adopted in the terminal 8. As a result, the distance L between the ground portions 14 and 14 is made larger than the diameter R of the motor case 2. As a result, when mounting the motor 1 on the circuit board 7, the seating stability of the motor 1 can be improved. In particular, in the vibration motor having the weight 6, the seating stability of the motor 1 is important.

또한, 접지부(14, 14)의 간격(L)을, 모터 케이스(2)의 직경(R)보다 크게 한 결과, 모터 케이스(2)의 외형의 영향을 가능한 한 회피하면서, 모터 실장시에 있어서의 탄성부(30)의 탄성 변형량(스트로크량)을 크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 전화 등의 기기의 전기 접점(7a)에 터미널(8)을 접촉시킬 때, 터미널(8)의 탄성부(30)에 충분한 탄발력으로 발생시킬 수 있고, 전기 접점(7a)에 대한 전기적 접속을 확실하게 한다.In addition, as a result of making the distance L between the ground portions 14 and 14 larger than the diameter R of the motor case 2, it is possible to avoid the influence of the appearance of the motor case 2 as much as possible. The elastic deformation amount (stroke amount) of the elastic portion 30 in the same can be increased. Accordingly, when the terminal 8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electrical contact 7a of a device such as a cellular phone, it can be generated with sufficient elastic force in the elastic portion 30 of the terminal 8, and the electrical contact 7a Ensure electrical connection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접지부(14, 14) 사이의 간격(L)은, 터미널(8)의 탄성부(30)에 충분한 스트로크를 주면서, 탄성 변형시에 모터 케이스(2)의 영향을 가능한 한 회피시킬 것을 고려한 것이기 때문에, 모터 실장시, 탄성부(30)의 탄성 변형 후에 있어서의 모터(1)의 실장 높이 치수(H, 도 l 참조)는, 모터 케이스(2)의 외경 치수(R)에 가능한 한 접근할 수 있다. 그 결과, 실장 높이 치수(H)가 작은 모터(1)가 실현되고, 이에 따라, 실장 대상물의 일예를 이루는 휴대 전화의 박형화가 촉진된다.In addition, as mentioned above, the space | interval L between the ground parts 14 and 14 gives influence of the motor case 2 at the time of elastic deformation, giving a sufficient stroke to the elastic part 30 of the terminal 8. In consideration of avoiding as much as possible, the mounting height dimension (H, see FIG. 1) of the motor 1 after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elastic portion 30 at the time of motor mounting is the outer diameter dimension of the motor case 2 ( R) is as accessible as possible. As a result, the motor 1 with small mounting height dimension H is realized, and the thickness of the mobile telephone which forms an example of a mounting object is promoted by this.

또한, 탄성부(30)를 모터 케이스(2)의 측방에 위치시키고, 병설한 탄성부(30, 30) 간의 간격(C, 도 3 참조)을 모터 케이스(2)의 직경(R) 보다 크게 하면, 모터 케이스(2)에 탄성부(30)를 접촉시키지 않고도, 탄성부(30)를 충분히 탄성 변형시킬 수 있다. 특히, 출력축(3)의 축선을 따라 거의 U자형으로 연장되는 탄성부(30)를 가진 터미널(8)을 채용한 모터(1)에 있어서는, 실장 높이 치수(H)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효과적이다.In addition, the elastic part 30 is located on the side of the motor case 2, and the space | interval C (refer FIG. 3) between the elastic parts 30 and 30 which were provided is larger than the diameter R of the motor case 2 further. In this case, the elastic part 30 can be sufficiently elastically deformed without making the elastic part 30 contact the motor case 2. In particular, in the motor 1 employing the terminal 8 having the elastic portion 30 extending substantially in a U-shape along the axis of the output shaft 3, the mounting height dimension H tends to be effective. to be.

또한, 모터 본체(A)의 모터 케이스(2)는, 도 7 내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무제 홀더(16)에 의해 덮혀 있다. 이에 따라, 모터(1)가 추(6)에 의해 진동할 때, 기기(예컨대 휴대 전화)의 케이스로부터 불필요한 진동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In addition, the motor case 2 of the motor main body A is covered with the rubber holder 16 as shown to FIG. 7-11. As a result, when the motor 1 vibrates by the weight 6, unnecessary vibration sounds are not generated from the case of the device (for example, the cellular phone).

본 발명에 따른 모터는,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도 12에 도시한 모터(40)는 다른 터미널(41)을 갖는다. 이 터미널(41)은, 소정 형상으로 절단한 얇은 스프링판의 절곡 가공에 의해 형성된다. 이 터미널(41)은, 모터 본체(A)에 고정하는 기단부(42)와, 이 기단부(42)로부터 연장됨과 동시에 캔틸레버식 지지 상태에서, 출력축(3)에 대하여 거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43)를 가지고 있다.The mo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one. For example, the motor 40 shown in FIG. 12 has another terminal 41. The terminal 41 is formed by bending a thin spring plate cut into a predetermined shape. The terminal 41 has an elastic force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output shaft 3 in a proximal end portion 42 fixed to the motor main body A, and extending from the base end portion 42 and in a cantilevered support state. It has an elastic portion 43.

모터 케이스(2)의 양측방에 위치하는 각 탄성부(43)는, 회전축(3)의 축선을 따라 연장되는 제1의 부분(44)을 갖는다. 또한, 탄성부(43)는, 제1의 부분(44)의 전단을 U 또는 V자형으로 접어 꺾은 절곡 부위(B)를 통하여 제1의 부분(44)에 거의 평행하게 연장시키는 제2의 부분(45)을 갖는다. 이 제2의 부분(45)은, 제1의 부분(44)과 거의 같은 길이를 갖는다. 그리고, 제2의 부분(45)의 후단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돌출되는 제3의 부분(46)은, 모터 본체(A)의 후단(47)보다 더욱 후방으로 돌출된다. 이 제3의 부분(46)의 유단측에는 만곡부(46a)가 형성되고, 이 만곡부(46a)의 정점부에는 표면에 Au 도금 처리가 이루어진 접지부(49)가 팽출 형성되어 있다.Each elastic portion 43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motor case 2 has a first portion 44 extending along the axis of the rotation shaft 3. Moreover, the elastic part 43 is the 2nd part which extend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1st part 44 through the bending part B which folded the front end of the 1st part 44 in U or V shape. Has 45. This second portion 45 has a length substantially equal to that of the first portion 44. And the 3rd part 46 which protrudes outward from the rear end of the 2nd part 45 protrudes further back than the rear end 47 of the motor main body A. FIG. A curved portion 46a is formed at the end of the third portion 46, and a grounded portion 49 having Au plating treatment is swelled at the apex of the curved portion 46a.

이상, 본 발명에 따른 모터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다양하게 설명하였지만, 모터(1, 40)를 탑재할 수 있는 다양한 진동 경보기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동 경보 기기의 제1의 예로서 휴대 전화(50)의 내부에는, 다양한 전자 부품이 실장되어 있는 내부 기판(51)이 수용되고, 이 내부 기판(5l) 상에는 추 부착 모터(1, 40)가 탑재되어 있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의 예로서 페이저나 PDA 등의 휴대 정보 단말기기(60)의 내부에는, 다양한 전자 부품이 실장되어 있는 내부 기판(61)이 수용되고, 이 내부 기판(61) 상에는, 추 부착 모터(1, 40)가 탑재되어 있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의 예로서 오락 기기의 콘트롤러나 슬롯 머신의 핸들 등의 오락 기기(70)의 내부에는, 다양한 전자 부품이 실장되어 있는 내부 기판(71)이 수용되고, 이 내부 기판(71) 상에는 추 부착 모터(1, 40)가 탑재되어 있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embodiment of the motor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was variously described, the various vibration alarm apparatus which can mount the motors 1 and 40 is demonstrated. As shown in FIG. 13, the internal substrate 51 in which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are mounted is accommodated in the inside of the mobile telephone 50 as a first example of the vibration alarm device, and on this internal substrate 5l is added. The attached motors 1 and 40 are mounted. As shown in FIG. 14, the internal board 61 in which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are mounted is accommodated in the inside of the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device 60, such as a pager and a PDA as a 2nd example, and this internal board 61 ), Motors 1 and 40 with weights are mounted. As shown in FIG. 15, the internal board | substrate 71 in which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are mounted is accommodated in the entertainment device 70, such as a controller of a entertainment device, the handle of a slot machine, etc. as a 3rd example. On the inner substrate 71, motors 1 and 40 with weights are mounted.

상술한 발명으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많은 방법에 있어서, 변형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격리된 것이 아니고, 당업자에 있어서 자명한 그와 같은 모든 개량은 이하의 청구항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이다.From the above-described invention, it is apparent tha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 many ways. Such modifications are not isolated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nd all such improvement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re intended t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청구항 1의 모터에 의하면, 탄성을 갖는 터미널을 채용한 결과, 휴대 전화 등의 기기에 모터를 실장시킬 때, 납땜할 필요가 없고, 기기의 조립 작업 능률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또한 한쌍의 터미널의 접지부는, 모터 케이스의 중심축선에 대하여 병설시키고, 또한, 접지부간의 간격을 모터 케이스의 직경 보다 크게 하였으므로, 모터의 실장시에 있어서의 모터의 착좌(着座) 안정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또한, 모터 케이스의 외형의 영향을 가능한 한 회피시키면서, 모터 실장시에서의 터미널의 탄성 변형량(스트로크량)을 크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터미널은 기기의 전기 접점에 접촉시키는데 필요한 탄성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고, 전기적 접속이 확실한 것이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접지부간의 간격은, 터미널에 충분한 스트로크를 주면서 탄성 변형시에 모터 케이스의 영향을 가능한 한 회피할 것을 고려한 것이므로, 모터 실장시, 터미널의 탄성 변형후에 있어서의 모터의 높이 치수를 모터 케이스의 외경 치수에 가능한 한 접근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실장 높이 치수가 작은 모터가 실현되고, 이는, 실장 대상물을 이루는 기기측의 박형화를 촉진시키는데 일조를 한다.According to the motor of claim 1, as a result of employing the terminal having elasticity, when mounting the motor in an apparatus such as a cellular phone, there is no need for soldering, and the assembly work efficiency of the apparatus can be improved. In addition, since the ground portions of the pair of terminals are provided along the central axis of the motor case,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ground portions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motor case, the improvement of the seating stability of the motor when the motor is mounted is improved. You can do it. Moreover, the amount of elastic deformation (stroke amount) of the terminal at the time of motor mounting can be enlarged, avoiding the influence of the external shape of a motor case as much as possible. As a result, the terminal can sufficiently exert the elastic force required to contact the electrical contact of the device, and the electrical connection is reliable.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distance between the ground portions is considered to avoid the influence of the motor case at the time of elastic deformation while giving sufficient stroke to the terminal. Therefore, the height of the motor after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terminal at the time of motor mounting is considered. The dimensions can be as close as possible to the outer diameter dimensions of the motor case. As a result, a motor having a small mounting height dimension is realized, which helps to promote thinning of the device side constituting the mounting object.

청구항 2의 모터에 의하면, 탄성부가 모터 케이스의 측방에 위치함으로써, 탄성부를 모터 케이스에 접촉시키지 않고, 충분히 탄성 변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실장 높이 치수가 작은 모터가 실현되고, 기기측의 박형화를 촉진시킨다.According to the motor of Claim 2, since an elastic part is located in the side of a motor case, it can fully elastically deform without making an elastic part contact a motor case. Therefore, a motor with a small mounting height dimension is realized, and the thickness of the device side is promoted.

청구항 3의 모터에 의하면, 탄성부에 적절한 탄성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motor of claim 3, an elastic force suitable for the elastic portion can be generated.

청구항 4의 모터에 의하면, 터미널이 출력축의 축선을 따라 거의 U자형으로 연장된 탄성부를 갖는 경우, 모터의 실장 높이 치수가 커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모터 케이스를 피하듯이 측방에 탄성부를 배치시키는 것이 효과적이다.According to the motor of claim 4, when the terminal has an elastic portion extending substantially in a U-shape along the axis of the output shaft, since the mounting height dimension of the motor tends to be large, it is effective to arrange the elastic portion to the side like avoiding the motor case. to be.

청구항 5의 모터에 의하면, 진동 모터를 구성시킬 수 있고, 특히 진동 모터에 있어서는, 모터의 착좌 안정성은 중요하다.According to the motor of claim 5, the vibration motor can be configured, and in particular, the seating stability of the motor is important for the vibration motor.

청구항 6의 모터에 의하면, 모터가 추에 의해 진동할 때, 기기(예컨대 휴대전화)의 케이스에서 불필요한 진동음이 발생하지 않는다.According to the motor of claim 6, when the motor vibrates by the weight, unnecessary vibration noise does not occur in the case of the device (for example, the cellular phone).

청구항 7, 8, 9, 10은 본 발명의 모터의 범용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다양한 진동 경보 기기로의 적용이 가능하다. 진동 경보 기기의 예로서, 휴대 전화나, 비상 무선 호출기, PDA 등의 휴대 정보 단말 기기나, 오락 기기의 콘트롤러 등의 유희 기기가 있다.Claims 7, 8, 9 and 10 show a general example of the moto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an be applied to various vibration alerting devices. Examples of the vibrating alarm device include a mobile phone, a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device such as an emergency radio pager and a PDA, and a play device such as a controller of an entertainment device.

Claims (10)

실질적인 원통 형상의 모터 케이스를 갖는 모터 본체의 전단으로부터 출력축을 돌출시키고, 외부에서 소정의 전력을 공급하는 한쌍의 터미널의 기단을, 상기 모터 본체에 고정한 모터에 있어서,In the motor which fixed the base end of a pair of terminals which protrude an output shaft from the front end of the motor main body which has a substantially cylindrical motor case, and supplies a predetermined | prescribed electric power to the said motor main body, 탄성을 갖는 상기 각 터미널의 유단에 접지부가 설치되고, 상기 모터 케이스의 중심축선을 개재하여 좌우 위치에 병설한 상기 접지부의 간격을, 상기 모터 케이스의 직경보다 크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A grounding portion is provided at an end of each of the terminals having elasticity,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grounding portions provided in the left and right positions via a central axis of the motor case is mad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motor cas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터미널은, 상기 모터 본체에 고정되는 기단부와, 상기 기단부로부터 연장됨과 동시에, 유단에 상기 접지부를 설치한 탄성부를 가지며, 상기 탄성부를 상기 모터 케이스의 측방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2. The terminal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each terminal has a base end fixed to the motor main body, an elastic part extending from the base end, and provided with the grounding part at an oil end, and the elastic part being disposed on the side of the motor case. Motor featuring.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출력축의 축선을 따라 연장되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의 전단으로부터 절곡부를 통하여 후방을 향해 연장되는 제2 부분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3. The motor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elastic portion has a first portion extending along an axis of the output shaft and a second portion extending rearward through a bent portion from the front end of the first portio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단부는 상기 출력축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모터 케이스의 측방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탄성부는 상기 기단부로부터 상기 출력축의 축선을 따라 거의 U자형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3. The proximal end portion extend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utput shaft to protrude toward the side of the motor case, and the elastic portion extends substantially in a U shape from the proximal end along an axis of the output shaft. mot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축에 추를 편심 고정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The mot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eight is eccentrically fixed to the output shaf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케이스는 고무제 홀더에 의해 덮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The mot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otor case is covered by a rubber holder. 제 5 항에 기재된 모터를 탑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경보 기기.The vibration alarm device which mounted the motor of Claim 5. 제 5 항에 기재된 모터를 탑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A mobile telephone mounted with the motor according to claim 5. 제 5 항에 기재된 모터를 탑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정보 단말 기기.A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device equipped with the motor according to claim 5. 제 5 항에 기재된 모터를 탑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락 기기.An entertainment device comprising the motor according to claim 5.
KR1020020079475A 2001-12-14 2002-12-13 Motor KR100798829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381611A JP3875091B2 (en) 2001-12-14 2001-12-14 motor
JPJP-P-2001-00381611 2001-12-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1292A true KR20030051292A (en) 2003-06-25
KR100798829B1 KR100798829B1 (en) 2008-01-28

Family

ID=19187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9475A KR100798829B1 (en) 2001-12-14 2002-12-13 Motor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875091B2 (en)
KR (1) KR100798829B1 (en)
CN (2) CN2590256Y (en)
TW (1) TW200301036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2824B1 (en) * 2004-08-10 2008-07-01 나미키 세이미츠 호오세키 가부시키가이샤 Surface mounting type vibration motor
KR101055441B1 (en) * 2010-03-19 2011-08-08 삼성전기주식회사 Power supplier of vibrating mot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57808A (en) * 2004-03-09 2005-09-22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Deformable terminal and strobe emission device having the same
JP5184025B2 (en) * 2007-09-25 2013-04-17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motor
CN103227548B (en) * 2013-04-11 2016-04-27 惠州市华阳多媒体电子有限公司 A kind of portable electric appts vibrations motor
CN104801478B (en) * 2014-01-24 2017-07-11 赛恩倍吉科技顾问(深圳)有限公司 Electronic installation and its vibrating mechanism used
JP6212687B2 (en) * 2014-03-18 2017-10-18 多摩川精機株式会社 Shield connection structure and method for resolver harness
CN111509911A (en) * 2020-04-15 2020-08-07 重庆弘骊祥科技有限公司 Magnetic disturbance generator and power generation method and device thereof
EP4296551A1 (en) * 2022-06-21 2023-12-27 Inzicontrols Co., Ltd. Actuator for vehicle coolant control valve
US11906073B2 (en) 2022-06-21 2024-02-20 Inzicontrols Co., Ltd. Actuator for vehicle coolant control valv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49118B2 (en) * 1999-07-23 2002-11-20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Motors and mobile phone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2824B1 (en) * 2004-08-10 2008-07-01 나미키 세이미츠 호오세키 가부시키가이샤 Surface mounting type vibration motor
KR101055441B1 (en) * 2010-03-19 2011-08-08 삼성전기주식회사 Power supplier of vibrating mo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8829B1 (en) 2008-01-28
JP2003189534A (en) 2003-07-04
CN1282290C (en) 2006-10-25
TW200301036A (en) 2003-06-16
TWI316779B (en) 2009-11-01
CN1424800A (en) 2003-06-18
JP3875091B2 (en) 2007-01-31
CN2590256Y (en) 2003-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3590B1 (en) Motor and cellular phone equipped therewith
KR101146767B1 (en) Vibration motor
US6600245B1 (en) Vibration motor
KR100798829B1 (en) Motor
JP5066255B2 (en) Vibration motor
KR100996726B1 (en) Vibrating motor assembly employed on vibration notifying device, portable phone,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or entertainment device
KR100541103B1 (en) Bar-type vibration motor
JP2006224068A (en) Vibration motor
JP3737765B2 (en) Motor and mobile phone
JP4566356B2 (en) motor
KR20160028134A (en) Cantilever type vibrator
JP3875249B2 (en) Motor and mobile phone
JP3737762B2 (en) Motor and mobile phone
JP3737764B2 (en) Motor and mobile phone
JP3737763B2 (en) Motor and mobile phone
JP3737766B2 (en) Motor and mobile phone
JP2001037147A (en) Motor terminal
JPH1023706A (en) Small vibration coreless motor
JP2007306747A (en) Structure for mounting vibration generator in portable termina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