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51110A - 좌변기 - Google Patents

좌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51110A
KR20030051110A KR1020010085497A KR20010085497A KR20030051110A KR 20030051110 A KR20030051110 A KR 20030051110A KR 1020010085497 A KR1020010085497 A KR 1020010085497A KR 20010085497 A KR20010085497 A KR 20010085497A KR 20030051110 A KR20030051110 A KR 200300511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toilet
swing
swing member
inclined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5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권하
Original Assignee
정권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권하 filed Critical 정권하
Priority to KR10200100854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51110A/ko
Publication of KR20030051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111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47K11/04Room close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e.g. night chairs ; Closets for children, also with signalling means, e.g. with a music box,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7/00Other equipment, e.g. separate apparatus for deodorising, disinfecting or cleaning devices without flushing for toilet bowls, seats or covers; Holders for toilet brushes
    • A47K17/02Body supports, other than seats, for closets, e.g. handles, back-rests, foot-rests; Accessories for closets, e.g. reading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좌변기의 좌측부와 우측부에 형성된 트레이에 차폐막이 형성되며 상기 트레이는 스윙부재에 의하여 회전을 할 수가 있도록 구성한 좌변기에 대한 것이다. 좌변기는 다른 사람의 시선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심리적 요인에 의하여 차폐막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트레이부의 주위로 차폐막을 형성시킨다. 또는 트레이부는 회전이 가능한 트레이와 고정이 되어지는 트레이의 두 부분으로 구성이 되어지며, 상기의 회전가능한 트레이를 스윙시킴에 의하여 차폐막이 개방되어 사람이 좌변기로 출입을 할 수가 있는 통로를 형성을 할 수가 있게 한다. 본 발명에서는 트레이부 상에 신문이나 잡지를 올려놓고 읽을 수 있도록 넓은 폭을 형성한 트레이부를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경우에 따라서는 폭이 협소한 트레이부를 구성하기도 한다. 또한 상기 트레이부는 착탈이 가능하게 구성하여 이동이나 보관에 용이하도록 한다.

Description

좌변기{comodous}
본 발명은 좌변기의 좌측부와 우측부에 형성된 트레이에 차폐막이 형성되며 상기 트레이는 스윙부재에 의하여 회전을 할 수가 있도록 구성한 좌변기에 대한 것이다. 좌변기는 다른 사람의 시선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심리적 요인에 의하여 차폐막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트레이부의 주위로 차폐막을 형성시킨다. 또는 트레이부는 회전이 가능한 트레이와 고정이 되어지는 트레이의 두 부분으로 구성이 되어지며, 상기의 회전가능한 트레이를 스윙시킴에 의하여 차폐막이 개방되어 사람이 좌변기로 출입을 할 수가 있는 통로를 형성을 할 수가 있게 한다. 본 발명에서는 트레이부 상에 신문이나 잡지를 올려놓고 읽을 수 있도록 넓은 폭을 형성한 트레이부를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경우에 따라서는 폭이 협소한 트레이부를 구성하기도 한다. 또한 상기 트레이부는 착탈이 가능하게 구성하여 이동이나보관에 용이하도록 한다. 좌변기의 전면에 대칭적인 형태의 트레이를 넓게 구성함으로서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할 수가 있도록 한다. 트레이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용이하게 트레이를 좌변기에서 분리 할 수가 있도록 하여 운반 및 보관을 극대화 시킬 수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트레이와 트레이지지부재의 구조물을 스윙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방법 즉 스윙방법을 개시한다. 이러한 스윙운동은 트레이의 회전범위를 최소화하며 간단한 동작에 의하여 사용자가 좌변기에 출입할 수가 있는 통로를 형성토록 한다.
본 발명은 좌변기의 좌측부와 우측부에 형성된 트레이의 둘레로 차폐막이 형성되며 상기 트레이는 스윙부재에 의하여 회전을 할 수가 있도록 구성한 좌변기에 대한 것이다. 종래의 좌변기는 제 19 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좌변기의 몸체부에 손잡이가 형성되는 정도의 기술이 있어왔다. 이러한 좌변기는 고정되어지거나 또는 절철을 할 수가 있는 구조로 되어있다.
본 발명은 좌우의 트레이를 좌변기의 몸체 상에 형성하여 공간효율을 극대화하며, 상기의 트레이의 주위로 차폐막을 두르며, 또한 회전이 가능한 트레이를 형성하며, 상기 회전이 가능한 트레이의 회전을 통하여 상기 차폐막을 개폐시키며, 상기 차폐막의 개폐에 의하여 사용자가 좌변기 내로 출입을 행하도록 한다. 상기의 트레이를 포함한 트레이 지지부재는 경사부재 또는 수직부재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을 가능할 뿐만아니라 용이하게 트레이 구조물을 좌변기로부터 착탈을 시킬 수가 있도록 하여 이동과 보관에 편리하도록 한다.
제 1 도는 스윙운동이 가능한 트레이가 형성된 좌변기의 구성도이다.
제 2 도는 제 1 도의 측면도이다.
제 3 도는 사용자의 출입을 가능케하는 스윙동작의 설명도이다.
제 4 도는 장공을 구성한 스윙부재의 구성도이다.
제 5 도는 트레이의 착탈구조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제 6 도는 수직부재에 의한 스윙부재의 설명도이다.
제 7 도는 본 발명의 높낮이 조절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제 8 도는 후방수납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제 9 도는 본 발명의 스윙부재의 실시예이다.
제 10 도는 착탈이 가능한 트레이의 구성 설명도이다.
제 11 도는 경사부재의 회전 설명도이다.
제 12 도는 경사부재의 또다른 실시예이다.
제 13 도는 제 12 도의 경사부재에 트레이를 형성한 좌변기의 구성도이다.
제 14 도는 좌변기의 측면에서 관찰한 경사부재의 각도 설명도이다.
제 15 도는 일체형 트레이의 구성도이다.
제 16 도는 제 15 도의 스윙동작 설명도이다.
제 17 도는 트레이에 차폐막을 구성하는 좌변기에 대한 설명도이다.
제 18 도는 트레이부에 차폐막이 형성된 좌변기의 구성 설명도이다.
제 19 도는 절첩 가능한 종래의 좌변기의 설명도이다.
제 20 도는 종래의 좌변기에 본 발명을 실시한 것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제 21 도는 트레이에 차폐막이 구성된 좌변기의 내부에 냉난방 장치를 형성한 실시예이다.
제 22 도는 전동장치에 의하여 스윙부재를 회전시키는 것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제 23 도는 트레이부를 슬림형으로 구성한 것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
1:등받이 2:좌판 3:다리 4:우측 트레이 5:좌측 트레이 6:지지단부
7:스윙부재 9:트레이 지지부재 10:스윙부재 11:스윙부재 체결구
12:경사부재 13:트레이 14:트레이 지지부재 15:좌판 16:스윙부재
17:경사부재 18:스윙부재 체결구 19:스윙 트레이 20:고정 트레이
21:스윙부재 22:스윙부재 23:스윙부재 체결구 24:트레이 지지부재
25:스윙부재 26:장공 27:스윙부재 체결구 28:스윙 트레이
29:고정 트레이 30:경사부재 31:경사부재 32:트레이 33:트레이 지지부재
34:스윙부재 35:수직부재 36:트레이 지지부재 37:높낮이 조절구
38:스윙부재 39:경사부재 40:트레이 지지부재 41:스윙부재 42:높낮이 조절구
43:경사부재 44:경사부재 45: 트레이 지지부재 46:스윙부재
47:장공 48:볼트 49:경사부재 50:좌판 51:경사부재 연결볼트
52:경사부재 연결체 53:경사부재 55:경사부재 56: 트레이 지지부재
57:스윙부재 58:지지부재 59:지지부재 60:스윙 트레이 61:고정 트레이
62:스윙부재 63:좌판 64:경사부재 65:일체형 트레이 66:일체형 트레이
67:손잡이 68:스윙 트레이 69:고정 트레이 70:스윙트레이
71:차폐막 72:변기통 73:손잡이 74:차폐막 75:냉온장치 76:스윙부재
77:모타축 78:모타 79:스윙 트레이 80:고정 트레이
좌변기에 트레이를 형성하고 상기 트레이의 둘레로 차폐막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트레이의 대표적인 실시예로는 좌변기의 몸체에 경사부재를 형성하고 상기 경사부재에 회전이 가능한 스윙부재를 형성하며, 상기 스윙부재를 통하여 트레이를 회전시킬 수가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트레이는 좌변기의 이용자가 몸을 의지할 수가 있는 지지체가 되기도 하며, 책이나 잡지를 올려놓을 수도 있으며, 특히 차폐막을 지지하는 차폐막 지지체로서의 기능을 감당한다. 본 발명에서의 차폐막은 판재로 구성이 되는 차폐판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차폐막이나 차폐판으로 사면을 차폐하였을 경우에 사용자의 출입을 위하여 차폐막을 개폐시키는 개폐구조가 필요로 되어지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스윙이 가능한 트레이를 회전시킴에 의하여 차폐막을 개폐시킬 수가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바탕으로 상세히 설명을 하겠다.
제 1 도는 좌변기 좌우에 트레이가 형성된 좌변기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좌판(2)과 등 받침(1)을 형성한 보편적인 좌변기에 트레이를 형성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트레이가 좌우로 분할이 되어 우측 트레이(4)과 좌측 트레이(5)로 구성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렇게 분할되어진 트레이를 분할 트레이라 명명한다. 분할 트레이는 사용 가능한 트레이의 면적을 넓게 하며, 또한 한쪽 트레이 위에 물건을 올려 둔 채로 다른 트레이를 스윙시켜서 사용자가 출입을 행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분할이 되어진 좌우의 트레이를 모두 스윙을 시킬 수 있는 구조로 하여 출입을 더욱 용이하게 구성을 시킬 수도 있다. 또한 좌우의 분할이 되어진 트레이가 서로 맞닿는 부위에는 단차부 등으로 구성되는 지지단부(6)를 형성하여 서로를 지지하도록 한다. 상기의 우측 트레이를 지지하는 부재를 우측 트레이 지지부재라하며, 좌측 트레이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좌측 트레이 지지부재(9)라 한다. 트레이와 트레이지지부재는 견고히 결합된 하나의 구조물을 이룬다. 본 발명에서 경사부재(12)란 좌변기의 좌판이나 좌변기의 다리(3) 또는 좌변기의 등 받침 또는 좌변기의 기둥 등의 좌변기의 프레임에 돌출 되게 견고히 고정되는 부재를 의미한다. 경사부재는 좌변기의 양 측면에 형성 할 수가 있다. 경사부재란 좌변기의 좌판에 대하여 어느 정도의 경사각이 형성된 돌출 부재를 의미한다. 경사부재는 경우에 따라서는 수평 또는 수직을 포함하는 것뿐만 아니라 임의의 경사각도가 모두 가능하다. 경사부재는 좌변기의 측면에 형성을 할 수도 있으며, 또는 좌판의 하부 또는 좌변기의 뒤편에 형성이 되어 질 수도 있다. 가장 보편적인 경사부재의 실시형태는 좌판의 하부에서 좌판과 결합이 되어지며 좌변기의 측면에서 돌출 되게 형성되도록 구성을 한다. 본 발명에서는 트레이와 트레이지지부재로 형성되는 상기의 구조물을 돌출 되어진 경사부재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을 시키는 것을 스윙부재(10)라고 명명한다. 스윙부재는 경사부재와 착탈이 가능하게 구성이 되며, 스윙부재는 트레이와 트레이지지부재로 구성되는 구조물에는 고정적으로 결합을 이루도록 한다. 경사부재와 스윙부재의 착탈은 스윙부재에 형성된 착탈 체결구(11)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제 1 도에서는 좌측에는 좌측 스윙부재를 형성하며, 우측에는 우측스윙부재(7)를 형성 한 것을 도시하였다. 본 도면은 돌출 되어진 경사부재의 축이 스윙부재의 회전축(S)가 되어지는 구조로 실시예를 구성하였다.
제 2 도는 제 1 도의 측면도이다. 트레이(13)과 트레이지지부재(14)와 스윙부재(16)이 하나의 일체화된 구조물을 형성하며, 이들은 한 몸체로서 좌판(15)에 형성이 된 경사부재(17)에 착탈 체결구(18)에 의하여 착탈이 행하여 질 수가 있도록 구성이 된다. 좌변기의 좌우 양측에 대칭적인 구조로 스윙부재가 구성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윙부재는 스윙부재의 축(S)을 중심으로 좌우로 회전이 가능하게 구성이 된다. 트레이와 트레이지지부재의 구조물은 스윙부재의 스윙 축을 중심으로 스윙동작에 의하여 좌우로 스윙을 하게되는 것이다. 이때 스윙부재의 스윙의 범위를 제한 할 필요성이 있을 경우에는 스윙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스윙부재에 장공을 형성하여 회전범위를 제한한다. 스윙부재에 스프링의 복원력 또는 공기압 또는 유압을 이용하여 스윙부재가 스윙을 행한 뒤에 서서히 본래의 위치로 복귀를 할 수가 있도록 위치 복귀기능을 가진 스윙부재를 구성할 수가 있다.
제 3 도는 사용자의 출입을 가능케하는 스윙동작의 설명도이다. 분할 트레이는 양쪽 모두 스윙이 가능케도 구성을 할 수가 있으며, 또한 분할 트레이의 한쪽만을 스윙이 가능하게도 구성을 할 수도 있다. 본 도면에서는 분할 트레이 중 우측 트레이(19)가 스윙이 되는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좌측 트레이(20)에 형성된 스윙부재(22)는 착탈 체결구(23)을 통하여 회전이 제한되도록 하면 좌측 트레이는 고정이 되게된다. 우측 트레이(19)은 스윙부재(21)를 통하여 스윙 가능하게 하면 회전이 되어진다. 본 도면에서는 우측 트레이와 우측 트레이지지부재의 구조물을 스윙부재(21)의 스윙 축 (S)을 중심으로 오른 쪽으로 스윙을 시키는 동작을 표현하고 있다. 사용자가 좌변기의 내부로 출입을 하고자 할 때에는 회전 가능한 우측 트레이를 스윙시키어 출입을 가능케 한다.
제 4 도는 장공을 구성한 스윙부재의 구성도이다. 스윙부재(25)를 일정한 범위 내에서만 회전을 하게 하기 위하여 스윙부재에 장공(26)을 형성하며, 상기 장공 내에 착탈 체결구(27)를 구성하게 되면 스윙부재는 일정의 범위 안에서만 회전을 할 수가 있게 된다. 트레이지지부재(24)와 스윙부재는 일체로 고정이 되어있다.
제 5 도는 트레이의 착탈 구조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트레이의 착탈을 행 할 수가 있도록 하는 가장 큰 이유는 트레이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분리시키어 좌변기로만 간편히 사용을 할 수가 있게 하는 것이다. 또 다른 분리의 이유로는 분리하여 이동을 시킴으로서 물류비를 감소시킬 수가 있을 뿐만 아니라 이동 자체를 용이하게 할 수가 있다.
또 다른 이유는 트레이가 손상을 하였을 경우에는 트레이만을 교체 할 수가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도 있다. 우측 트레이 구조물(28)은 우측경사부재(30)로부터, 좌측 트레이 구조물(29)는 좌측 경사부재(31)로부터 용이하게 착탈이 가능하다.
제 6 도는 수직부재에 의한 스윙부재의 설명도이다. 경사부재를 수직하게 세웠을 때를 특히 수직부재(35)라고 칭한다. 이때 스윙부재(34)의 스윙 축도 수직하게 된다. 트레이(32)과 트레이를 지지하는 트레이지지부재(33)의 구조물은 수직 축을 중심으로 수평면 내에서 회전을 하게 된다. 이것은 트레이 위의 물건을 치우지 않고 트레이를 회전시킬 수가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회전반경이 큰 단점을 갖고 있다. 이러한 수직부재는 본 발명의 경사부재의 특이한 형태의 실시 예이다.
제 7 도는 본 발명의 높낮이 조절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트레이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높낮이 조절구(37,42)를 사용한다. 스윙부재(38,41)에 트레이지지부재(36,40)가 들어가고 나올 수가 있는 길이 조절부를 형성하며, 상기 길이 조절부에 높낮이 조절구(37,42)를 이용하여 트레이의 높이를 조절 할 수가 있다. (A)도는 트레이지지부재가 길이조절부 안으로 들어가는 길이를 조절함으로서 높낮이를 조절하며, 이때 너트로 형성된 높낮이 조절구로서 견고히 고정하는 구성이다. (B)도는 트레이지지부재(40) 내부에 긴 너트 홈을 형성하며, 상기 너트 홈 내에 볼트로 형성이 된 높낮이 조절구(42)를 위치시키며, 상기 높낮이 조절구를 회전시킴에 의하여 트레이지지부재(40)의 길이가 조절되는 구성이다. 스윙부재는 모두 경사부재(39,43)에 구성이 되어진다.
제 8 도는 트레이의 후방수납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본 발명에서 트레이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 트레이를 좌변기의 후방에 수납을 할 수가 있다. 이러한 것을 후방수납이라고 명명한다. 후방수납을 하기 위하여서는 먼저 트레이구조물(45)을 경사부재(44)에서 분리한 후, 트레이구조물의 좌우를 서로 바꾸어서 후방에서 경사부재에 다시 결합을 시키면 된다. 즉 좌측 트레이와 우측 트레이의 구조물들을 좌측 경사부재와 우측 경사부재로부터 각각 분리한다. 분리한 후, 좌측경사부재에는 우측 트레이구조물을 결합을 시키되 광폭 트레이가 좌변기의 후방에서 수직하게 형성이 되도록 하며, 우측경사부재에는 좌측 트레이구조물을 결합을 시키되 트레이가 좌변기의 후방에서 수직하게 형성이 되도록 한다. 이렇게 하면 분할 트레이가 좌변기의 후방에서 정리되어 수납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후방수납이 가장 보편적인 각도는 경사부재는 수평하게 설치된 좌판에 대하여 45도 기울어지며, 상기 경사부재와 트레이지지부재의 사이의 각도는 90도 인 것이 가장 용이하게 후방수납이 수행이 되어진다.
제 9 도는 본 발명의 스윙부재의 실시예이다. 스윙부재(46)란 경사부재의 축을 중심으로 선회가 가능하도록 구성이 되어지며, 트레이와 트레이 지지부재를 포함한 구조물에 연결이 되어지는 부재로 정의한다. 또한 스윙부재는 상기의 트레이와 트레이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구조물에 일체 또는 착탈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스윙부재는 다양한 형태를 구성을 할 수가 있다. 제 9 도는 스윙부재의 가장 대표적인 형태의 실시 예를 나타낸다. 제 9 도는 경사부재(49)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지는 스윙부재(46)에 장공(47)을 형성하며, 상기 장공내에 볼트(48)를 조여서 스윙부재와 경사부재(49)를 연결할 뿐만 아니라 상기 스윙부재가 경사부재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회전범위를 제한한다. 이러한 기능을 하는 장공과 볼트의 위치는 디자인의 측면을 고려하여 스윙부재의 임의의 장소에 형성을 할 수가 있다.
제 10 도는 착탈이 가능한 분할 트레이의 구성 설명도이다. 좌변기의 좌판(50)의 양 측면에 경사부재가 각각형성이 되어지며, 상기 좌우의 경사부재는 경사부재 연결체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이 되어지며, 상기 경사부재 연결체에는 이를 좌변기 프레임부에 착탈이 가능토록 고정하는 경사부재 고정구(52)가 형성이 된다. 상기 경사부재 고정구는 좌변기의 프레임에 형성이 되는 경사부재 연결볼트(51)에 결합이 되어진다. 각각의 스윙부재는 각각의 경사부재로부터 착탈이 가능한 구성을 하는것이 바람직하다.
제 11 도는 경사부재의 회전 설명도이다. 트레이와 트레이 지지부재를 좌변기에서 분리하였을 경우에 경사부재가 돌출되어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끼치지 않게 위하여서 경사부재가 회전이 가능한 구조로 구성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회전구조는 기계적 또는 전기적 조작을 통하여 래칫 기어 또는 다양한 형태의 실시구조에 의하여 용이하게 설계가 가능하다.
제 12 도는 경사부재의 또다른 실시예이다. 경사부재를 좌변기의 양측면에서 돌출되게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이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이 가능하다. 제 12 도는 이러한 변형 형태를 설명한다. 즉 좌변기의 양 측면에 지지부재(58,59)의 일부분을 변화시켜 경사부재로 형성하며, 상기 경사부재에 스윙부재(57)를 위치시키고 상기 스윙부재에 트레이 지지부재(56)를 형성한다.
제 13 도는 제 12 도의 경사부재에 본 발명 분할 트레이를 형성한 좌변기의 구성도이다. 좌변기의 지지부재(58,59)의 한 쪽 지지부재의 일부분을 변화시켜 경사부재로 형성하여 스윙 트레이(60)를 구성하고, 다른 한쪽의 지지부재에는 고정 트레이(61)를 형성하는 것을 나타낸다.
제 14 도는 좌변기를 측면에서 관찰한 경사부재의 각도 설명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스윙부재의 기능이 대단히 중요하며, 이러한 스윙부재의 운동의 범위와 형태를 좌우하는 것이 상기 스윙부재를 지지하는 경사부재이다. 이러한 경사부재의 형성각도와 형성위치에 따라서 극히 다양한 형태의 트레이의 회전형태를 구사를 할 수가 있다. 가능한 범위 내에서 트레이의 회전범위를 제한하여, 회전하는데 필요한공간부를 최소화하는 것이 필요로 되어지며, 또는 회전의 형태가 스무스하며 사용자가 안락하게 트레이를 회전시킬 수가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좌변기를 측면에서 관찰하였을 경우에, 경사부재(64)는 좌변기의 좌판(63)에 대하여 일정각도( P )를 가지도록 구성을 하며, 이러한 경사부재의 각도는 스윙부재(62)의 운동의 형태를 좌우한다. 물론 좌변기의 좌판(63)에 대하여 일정각도( P )는 0도에서부터 360도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가 있으나 경사부재가 좌판에 형성된 위치나 트레이의 움직임을 고려하여 가장 이상적인 각도를 형성토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적으로는 45도의 각도를 취한다.
제 15 도는 일체형 트레이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서 대부분의 트레이는 분할 트레이를 가지나 경우에 따라서는 트레이를 일체형으로 구성을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일체형 트레이(65)의 개폐는 스윙부재를 통하여 개폐를 행한다.
제 16 도는 제 15 도의 스윙동작 설명도이다. 본 도면은 일체형 트레이(66)는 스윙부재를 통하여 스윙이 됨을 나타낸다. 스윙이 되지 않는 스윙부재는 경사부재에 견고히 고정이 되게 하며, 상기 고정이 되어진 스윙부재에는 손잡이(67)를 형성하며, 상기 손잡이는 일체형 트레이를 지지하도록 구성한다.
제 17 도는 트레이에 차폐막을 구성하는 좌변기에 대한 설명도이다. 차폐막은 좌변기의 경우 사람의 시선으로부터 벗어나려고 하는 본성을 고려한 측면에서 중요한 것이라 하겠다. 사람의 심리상 주위에 사람이 있거나 없거나를 불문하고 본능적으로 좌변기의 사용시에는 밀폐심리가 작용을 하게 된다. 이것을 고려한 것이 본 발명의 기본적 기술 사상이라 하겠다. 본 발명은 분할 트레이(68,69)로 구성이되는 좌변기에 차폐막으로 주위를 둘러 감싸는 구조이다. 이 경우에 사용자의 좌변기에로의 출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서 차폐막의 개폐가 필요로 되어진다. 분할 트레이의 경우에는 스윙 트레이와 고정 트레이의 경계면에 차폐막의 경계면을 형성함에 의하여 스윙 트레이를 회전시킴에 의하여 차폐막이 열리어 지는 구조를 취하게 된다.
제 18 도는 트레이부에 차폐막이 형성된 좌변기의 구성 설명도이다. 스윙 트레이(70)과 고정 트레이의 경계면을 시작점으로 하여 차폐막(71)로 트레이가 형성된 좌변기의 주위를 빙 돌아 차폐막을 형성한다. 차폐막의 접합 경계면에는 메직 테이프등의 접합물질을 사용하여 보다 완벽한 밀봉을 할 수도 있다. 차폐막은 차폐막의 재료의 손실을 막기 위하여 사면 중에서 필요한 면에만 형성할 수도 있다.
제 19 도는 절첩 가능한 종래의 좌변기의 설명도이다. 종래의 좌변긴는 변기통(72)과 손잡이(73)과 등받이로 구성이 되어진다. 이러한 종래의 좌변기는 고정식이 있기도 하나 이동과 보관의 편리성을 위하여 절첩식도 있다.
제 20 도는 종래의 좌변기에 본 발명을 실시한 것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제 19 도에서 설명한 종래의 보편적인 좌변기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인 차폐막을 두를 수가 있다. 이 경우 손잡이를 중심으로 사면 또는 일부면에 차폐막(74)을 형성하는 것은 본 발명에 속한다 하겠다. 이 경우에는 사용자의 출입을 위하여 전면부에는 차폐막을 구성하지 않거나, 전면부에 차폐막을 구성한 경우에는 사용자의 출입을 위하여 차폐막을 개폐를 시킬 수가 있는 통로를 형성하게 된다.
제 21 도는 트레이에 차폐막이 구성된 좌변기의 내부에 냉난방 장치를 형성한 실시예이다. 차폐막에 의하여 에너지의 유동은 최소화 되어지므로 겨울에는 차폐막 내부에 열에너지를 공급하고, 여름에는 냉기를 공급할 수가 있도록 냉온방 장치(75)를 좌변기의 하부에 구성을 할 수가 있다. 온방장치의 대표적인 예로서는 전열난방 기구나 가스난방기구를 들 수가 있다. 또한 좌변기의 시트 역시 열선으로 난방을 할 수가 있다.
제 22 도는 전동장치에 의하여 스윙부재를 회전시키는 것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스윙부재(76)에 의하여 트레이를 회전시킴에 있어서, 모타(78)의 회전동작에 의하여 스윙부재를 회전시킬 수가 있다. 이때 모타의 회전 동작은 모타축(77)을 통하여 스윙부재에 전달이 되며, 상기 모타의 회전동작은 스위치를 사용하거나 리모콘을 사용하여 제어를 할 수가 있다. 모타는 스윙부재의 구성내부에 위치를 시킬 수도 있고, 좌변기의 하부에 위치시킬 수도 있다.
제 23 도는 트레이부를 슬림형으로 구성한 것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트레이의 면적을 최소화시킬 수도 있다. 좌우의 트레이(79,80)의 면적을 최소화시키더라도 차폐막을 설치하는 것이나, 차폐막의 개폐에는 전혀 지장이 없으므로 사용자의 이동범위를 넓히기 위하여서는 경우에 따라서는 트레이의 면적을 최소화하여 파이프의 형상정도에까지 이르게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에서는 트레이의 주위에 차폐막을 형성함으로 사용자의 심리적 안정성을 제공한다. 또한 좌변기에 트레이를 형성하여 사용자가 트레이 상에 책이나 물품을 둘 수가 있게 하며, 신체가 허약한 사용자가 트레이에 의지를 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트레이의 분할 기술과 스윙기술을 통하여 차폐막을 자유롭게 개폐를 시킬 수가 있는 특징이 있으며, 트레이 구조물의 착탈 기술을 통하여 좌변기의 이동을 간편하게 할뿐만 아니라 보관 및 수리를 용이하게 할 수가 있게 한다. 경사부재에 의한 스윙동작은 트레이의 회전범위를 축소하며, 간단한 구조로서 트레이를 개폐할 수가 있는 편리한 구성이다.

Claims (11)

  1. 변기통과 등받침이 형성된 좌변기에 있어서, 좌변기의 프레임에 경사부재가 고정이 되며, 상기 경사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스윙부재를 구성하며, 상기 스윙부재에 트레이와 트레이 지지부재의 구조물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2. 제 1 항에 있어서, 트레이와 트레이 지지부재와 스윙부재로 구성되는 구조물이 경사부재에 대하여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경사부재의 경사각도가 45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경사부재가 수직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스윙부재와 트레이 지지부재 사이에 트레이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트레이 높낮이 조절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트레이가 좌우로 분할이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좌우의 트레이가 맞닿는 경계면에 지지단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8. 변기통과 등받침이 형성 된 좌변기에 있어서, 좌변기의 손잡이부 또는 트레이의 둘레로 차폐막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9. 변기통과 등받침이 형성 된 좌변기에 있어서, 좌변기의 프레임에 경사부재가 고정이 되며, 상기 경사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스윙부재가 구성이 되며, 상기 스윙부재에 트레이와 트레이 지지부재의 구조물이 결합되며, 상기 트레이의 둘레로 차폐막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트레이의 스윙부재가 모타에 의하여 작동이 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경사부재가 회전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KR1020010085497A 2001-12-17 2001-12-17 좌변기 KR200300511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5497A KR20030051110A (ko) 2001-12-17 2001-12-17 좌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5497A KR20030051110A (ko) 2001-12-17 2001-12-17 좌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1110A true KR20030051110A (ko) 2003-06-25

Family

ID=29578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5497A KR20030051110A (ko) 2001-12-17 2001-12-17 좌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5111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6945B1 (ko) * 2014-03-11 2015-07-15 권태주 양변기용 거치부재
WO2023175223A1 (es) * 2022-03-16 2023-09-21 Pons Prieto Alejandro Accesorio para inodor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6945B1 (ko) * 2014-03-11 2015-07-15 권태주 양변기용 거치부재
WO2023175223A1 (es) * 2022-03-16 2023-09-21 Pons Prieto Alejandro Accesorio para inodor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400949S (en) Portable shade structure
USD343231S (en) Portable electric heater
USD440494S1 (en) Closure
USD400600S (en) Jigsaw puzzle assembly and storage device
USD367611S (en) Dispensing cap
US5573301A (en) Table for chair
USD413452S (en) Chair with straight slats on back
USD304008S (en) Lunch box
USD378540S (en) Portable shelter
KR20030051110A (ko) 좌변기
USD375964S (en) Snowman mold
USD361260S (en) Picture hanger unit
USD404312S (en) Combined bottle and closure
USD410142S (en) Umbrella
USD384139S (en) Toilet seat having a built-in collapsible urinal
USD424142S (en) Exercise device
USD425314S (en) Flip-top mirror
USD399862S (en) Reflector for still or motion-picture camera
USD386666S (en) Adjustable engine, transmission, drive train and fuel cell cradle support
USD477896S1 (en) Lipstick chilling pouch
USD371149S (en) Tripod for a camera
KR20030051094A (ko) 냉난방 기능을 구비한 책상 겸용 의자
USD353068S (en) Tri-view single bathroom cabinet
USD398177S (en) Toothbrush holder
JP2004190301A (ja) 自閉式スライド・スイング式ド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