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9346A - 편향요크용 코일권선 금형 - Google Patents

편향요크용 코일권선 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9346A
KR20030049346A KR1020010079537A KR20010079537A KR20030049346A KR 20030049346 A KR20030049346 A KR 20030049346A KR 1020010079537 A KR1020010079537 A KR 1020010079537A KR 20010079537 A KR20010079537 A KR 20010079537A KR 20030049346 A KR20030049346 A KR 200300493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winding
body press
deflection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9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재길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795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49346A/ko
Publication of KR20030049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9346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36Manufacture of magnetic deflecting devices for cathode-ray tub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70Electron beam control outside the vessel
    • H01J2229/703Electron beam control outside the vessel by magnetic fields
    • H01J2229/7032Conductor design and distribution
    • H01J2229/7033Win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2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along one straight line or along two perpendicular straight lines
    • H01J29/76Deflecting by magnetic fields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ormation Of Various Coating Films On Cathode Ray Tubes And La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편향요크용 코일 권선기 금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실질적으로 편향코일이 성형되는 소정 곡률을 갖는 권선부와, 이 권선부의 양측에 배치되어 권선부에 권선되는 코일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코일권선 금형에 있어서,
상기 권선부의 소정 위치에 형성되는 관통홀과,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며 상면은 권선부의 곡면에 비례하는 곡면을 갖도록 성형되는 바디 프레스와, 상기 바디 프레스의 높이를 조절하여 선택적으로 출몰시키는 작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편향요크용 코일권선 금형{Winding machine metallic pattern for deflection yoke}
본 발명은 편향요크의 편향코일을 권선하는 금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권선기 금형의 구조를 개선하여 편향코일의 권선분포를 용이하게 변경시켜 제품개발 소요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는 편향요크용 코일권선 금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텔레비전 브라운관 또는 모니터의 음극선관(CRT)에 사용되는 편향요크는 전자총으로부터 주사되는 3색빔을 음극선관의 스크린면에 도포된 형광막으로 정확히 편향시키도록 하기 위해 편향요크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편향요크는 음극선관의 자기장치 중 가장 중요한 일 요소로 시간계열(時間系列)로 전송된 전기신호가 음극선관의 스크린상에 영상으로 재생될 수 있도록 전자총에서 발사된 전자빔을 편향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편향요크는 전자빔을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편향시키기 위한 편향력을 생성하기 위하여 수평 및 수직 편향코일을 구비하게 된다. 즉, 편향요크에 있어서 상기 편향코일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부에서 소정의 전기신호를 입력받아 화면상의 원하는 위치로 전자빔을 편향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편향코일은 코일 권선금형 세트(winding frame set)에 의해 권선되는 바, 이때의 코일 권선금형 세트는 서로 맞물려 작동하는 두 개의 금형으로 구성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코일권선 금형 세트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코일권선 금형 세트는 A형 금형(1)과 B형 금형(2)으로 구성된다. 이때 A형 금형은 대략 중앙에 위치한 권선부와, 그 양측에 위치하는 가이드부로 구성된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A형 코일권선 금형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상기 코일권선 금형은 대략 판재형상을 갖는 플레이트(100a) 상에 마련되며, 중앙에는 반원추 형상을 갖는 권선부(110)가 위치하고, 그 양측으로 가이드부(120)가 구비되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권선부(110)는 편향코일을 권선하기 위하여 소정의 곡률과 기울기를 갖도록 곡면 가공된 것으로서, 이때의 권선부(110)의 곡면 및 기울기는 편향코일이 대략 반원추 형상을 가질 수 있도록 성형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권선부(110)에 코일이 권선되는 경우에는 상기 코일이 권선부(110)의 곡면 형상을 따라 권선되므로 대략 반원추 형상으로 성형되게 된다.
또한, 상기 권선부(110)의 양측으로 구비되는 가이드부(120)는 권선부(110)에 감기게 되는 코일에 장력을 제공하여 코일의 진입을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부(120)의 내부에는 코일의 형상을 잡아주기 위하여 등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핀(121)을 구비하는 바, 이때의 상기 핀(121)은 별도의 컨트롤러 제어에 의해 작동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A형 코일권선 금형(100)은 구동장치에 의해 도 1의 B형 코일권선 금형(2)과 맞물려진 상태로 회전을 이루게 된다. 이어서, 보빈(미도시)에감겨진 코일이 가이드부(120)를 따라 유입되어 권선부(110)상에서 권선을 이룸에 따라 대략 반원추 형상의 편향코일이 성형된다. 이렇게 성형된 편향코일은 편향요크에 조립된 상태에서 규정된 편향특성을 만족되는지 측정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A형 코일권선 금형(100)은 도 3의 권선부에서 기호 d 곡면의 산포에 의해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은 화면상의 왜곡현상이 발생된다.
즉, 도 4는 권선부(110)의 기호 d의 산포에 의한 화면상의 왜곡현상을 나타낸 것으로서, d 곡면부에 산포가 발생하는 경우 편향코일의 자계특성이 화면상에서 Y축 방향으로 녹색 G의 종선이 적색 R의 횡선이 청색 B의 종선으로부터 어긋나는 수평 왜곡현상이 나타난다. 또한, 도 5는 B-ING특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마찬가지로 d 곡면부의 산포에 의하여 화면상에서 Y축 방향으로 청색 B의 종선이 물결모양으로 어긋나는 왜곡현상이 나타난다.
이와 같이 상기 권선부(110)의 기호 d 곡면부의 산포에 따라 편향코일의 특성이 달라지게 되므로 작업자는 코일권선 금형(100)의 제작시 상술한 d 곡면부의 산포도를 조절하는 작업을 통해 편향코일의 특성을 조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편향코일이 편향특성 규정치에 만족하도록 보정하는 작업은 대개 d 곡면부 상에 각종 부가물을 용접등을 통해 부착시키거나 또는 줄(file)과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갈아내거나 절삭시키는 작업을 통해 이루어지는데, 이와 같은 보정작업은 작업성이 난해할 뿐만 아니라 작업 소요시간이 증가되는 원인이 되므로 결과적으로 제품개발 소요시간이 늘어나는 문제점을 초래한다.
특히, 용접이나 그라인딩(grinding) 작업은 정밀 치수관리가 매우 어려운 작업일 뿐만 아니라 고도의 작업성을 필요로 하므로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d 곡면부에 대한 산포 보정이 달라지게 되므로 제품의 표준화가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편향코일의 화면특성에 대응되는 권선부의 d 곡면부를 가변적으로 높이조절을 하여 코일권선 금형 개발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편향요크용 코일권선 금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코일권선 금형 세트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A형 코일권선 금형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A형 코일권선 금형을 나타낸 평면도.
도 4 및 도 5는 화면상의 왜곡특성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A형 코일권선 금형을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A형 코일권선 금형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B형 코일권선 금형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코일권선 금형에서 바디 프레스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A형 코일권선 금형 2 : B형 코일권선 금형
10 : 권선부 20 : 가이드부
21 : 핀 30 : 바디 프레스
35 : 작동수단 35a : 피스톤
35b : 실린더 h : 관통홀
이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편향요크용 코일권선 금형은, 실질적으로 편향코일이 성형되는 소정 곡률을 갖는 권선부와, 이 권선부의 양측에 배치되어 권선부에 권선되는 코일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코일권선 금형에 있어서,
상기 권선부의 소정 위치에 형성되는 관통홀과,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며 상면은 권선부의 곡면에 비례하는 곡면을 갖도록 성형되는 바디 프레스와, 상기 바디 프레스의 높이를 조절하여 선택적으로 출몰시키는 작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바디 프레스는 상부면을 다수 분할하고 서로 다른 높이를 갖도록 구비된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작동수단은, 작동압을 공급받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에 일단이 내설되고 타단은 바디 프레스에 연결되며 실린더의 작동압에 의해 직선이동을 하는 피스톤으로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편향요크용 코일권선 금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A형 코일권선 금형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A형 코일권선 금형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코일권선 금형에서 바디 프레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동일 부품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였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코일권선 금형은 도 1의 A형 코일권선 금형(1)이며, 이러한 코일권선 금형(1)은 대략 판재형상을 갖는 플레이트 상에 구비되며, 중앙부에 코일이 권선되는 권선부(10)가 형성되고, 이 권선부(10)의 양측으로 코일을 권선부(10)측으로 유도하는 가이드부(2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권선부(10)는 코일을 반원추 형상으로 성형될 수 있도록 소정 곡률과 기울기를 갖도록 곡면 가공되며, 상기 권선부(10)의 양측에 구비되는 가이드부(20)는 권선부(10)에 감기는 코일에 장력을 부가하면서 코일이 권선부(10)측으로 안내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권선부(10)와 가이드부(20)의 경계면 상에는 코일의 형상을 잡아주기 위하여 등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핀(21)이 구비되며, 이들 핀(21)은 별도의 컨트롤러 제어에 의해 작동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은 종전의 코일권선 금형의 구조와 대동소이하다. 다만 본 발명은 편향코일의 산포에 따른 화면특성을 보정하는 코일권선 금형의 권선부(10) 소정 위치에 산포관리를 용이하게 하는 바디 프레스(30)를 구비시켜 제품 개발소요시간을 단축시키는데 그 특징이 있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A형 코일권선 금형은 도면에서 바라보면 권선부(10)의 곡면상에 상,하 대칭되게 관통홀(h)이 형성되는 바, 이 관통홀(h)에는 블록 형태의 바디 프레스(30)가 작동수단(35)에 의해 출몰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권선부(10)에 권선되는 편향코일은 권선산포에 따라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은 화면상의 왜곡현상을 나타나게 되는데, 이러한 왜곡현상은 권선부(10)의 산포를 조절함으로써 편향코일의 밀도를 낮추거나 높이는 것에 의해 보정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바디 프레스(30)는 편향코일의 편향특성을 조정할 수 있는 위치에 구비되게 된다.
이와 같은 바디 프레스(30)는 도 9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장방형의 형상을 가지며 상부면은 다수 분할되어 서로 다른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바, 본 발명에서의 바디 프레스(30)는 3분할되어 중앙에 위치된 부위가 단차를 가지면서 돌출되는 형상을 갖는다. 한편, 상기 바디 프레스(30)의 상면은 권선부(10)의 곡면에 일치되는 곡면을 갖도록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바디 프레스(30)는 권선부(10)에 형성된 관통홀(h)에 삽입되어출몰 가능하게 구성되며, 작동수단(35)에 의해 가변적으로 높이조절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작동수단(35)은 상술한 바디 프레스(30)의 높이를 조절하여 권선부(10) 상에서 출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크게 소정의 작동압을 공급받는 실린더(35b)와, 이 실린더(35b)내의 작동압에 의해 직선이동을 이루며 상단이 관통홀(h)을 통해 바디 프레스(30)의 저면에 결합되는 피스톤(35a)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작동수단(35)은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그 피스톤(35a)의 이동량이 결정되어지며, 이 피스톤(35a)의 이동량 만큼 바디 프레스(30)가 권선부(10)상에서 출몰됨으로써 권선부(10)의 산포를 조정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코일권선 금형(1)은 권선부(10)에 구비된 바디 프레스(30)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권선부(10)의 산포를 간편하고 정밀하게 관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바디 프레스(30)와 작동수단(35)은 도 8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A형 코일권선 금형(1)과 맞물려 작동하는 B형 코일권선 금형(2)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B형 코일권선 금형(2)은 A형 코일권선 금형(1)의 권선부(10)와 맞물리는 권선부(10b) 상에 도면에서 바라보면 수직으로 관통홀(hb)이 형성되는 바, 이 관통홀(hb)에는 블록 형태의 바디 프레스(30b)가 작동수단(35b)에 의해 출몰되도록 구성된다.
이때의 바디 프레스(30b)와 작동수단(35b)은 도 7에 나타낸 A형 코일권선 금형(1)의 바디 프레스(30)와 작동수단(35)의 구성과 동일한 구조로 마련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B형 코일권선 금형(2)은 권선부(10b)상에 마련된 바디 프레스(30b)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편향코일의 산포를 간편하고 정밀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A형 또는 B형 코일권선 금형(1),(2)에 높이조절이 가능한 바디 프레스(30),(30b)를 구비시키는 구조에 의해 최적의 편향특성을 보유한 편향코일의 설계 소요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편향요크용 코일권선 금형은 권선부에 마련된 바디 프레스의 높이를 조정함으로써 편향코일의 산포를 용이하게 변경시킬 수 있게 되므로 제품 개발에 소요되는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바디 프레스는 작동수단에 의해 미세 조정이 가능하므로 권선부의 산포를 보다 정밀하게 관리할 수 있게 되므로 코일권선 금형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실질적으로 편향코일이 성형되는 소정 곡률을 권선부와, 이 권선부의 양측에 배치되어 권선부에 권선되는 코일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코일권선 금형에 있어서,
    상기 권선부의 소정 위치에 형성되는 관통홀과;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며 상면은 권선부의 곡면에 비례하는 곡면을 갖도록 성형되는 바디 프레스와;
    상기 바디 프레스의 높이를 조절하여 선택적으로 출몰시키는 작동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용 코일권선 금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 프레스는 상부면을 다수 분할하고 서로 다른 높이를 갖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용 코일권선 금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수단은,
    작동압을 공급받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에 일단이 내설되고 타단은 바디 프레스에 연결되며 실린더의 작동압에 의해 직선이동을 하는 피스톤;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용 코일권선 금형.
KR1020010079537A 2001-12-14 2001-12-14 편향요크용 코일권선 금형 KR200300493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9537A KR20030049346A (ko) 2001-12-14 2001-12-14 편향요크용 코일권선 금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9537A KR20030049346A (ko) 2001-12-14 2001-12-14 편향요크용 코일권선 금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9346A true KR20030049346A (ko) 2003-06-25

Family

ID=29575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9537A KR20030049346A (ko) 2001-12-14 2001-12-14 편향요크용 코일권선 금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49346A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92339A (ja) * 1990-08-06 1992-03-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偏向ヨーク巻型
JPH0715660U (ja) * 1993-08-30 1995-03-17 株式会社多賀製作所 偏向コイルの分割ガイド
KR950021115U (ko) * 1993-12-30 1995-07-26 수평코일의 두께조절 권형
KR970019706U (ko) * 1995-10-31 1997-05-26 수평편향코일 제작용 권형의 에이형 곡면부 3단 분리장치
KR19980026544A (ko) * 1996-10-10 1998-07-15 서두칠 편향요크의 코일 권형
KR19990018858U (ko) * 1997-11-14 1999-06-05 왕중일 편향코일 권선기
KR19990025992U (ko) * 1997-12-19 1999-07-15 왕중일 편향코일 권선기
KR19990025988U (ko) * 1997-12-19 1999-07-15 왕중일 편향코일 권선기
KR20030010832A (ko) * 2001-07-27 2003-02-06 삼성전기주식회사 편향요크용 코일 권선기 금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92339A (ja) * 1990-08-06 1992-03-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偏向ヨーク巻型
JPH0715660U (ja) * 1993-08-30 1995-03-17 株式会社多賀製作所 偏向コイルの分割ガイド
KR950021115U (ko) * 1993-12-30 1995-07-26 수평코일의 두께조절 권형
KR970019706U (ko) * 1995-10-31 1997-05-26 수평편향코일 제작용 권형의 에이형 곡면부 3단 분리장치
KR19980026544A (ko) * 1996-10-10 1998-07-15 서두칠 편향요크의 코일 권형
KR19990018858U (ko) * 1997-11-14 1999-06-05 왕중일 편향코일 권선기
KR19990025992U (ko) * 1997-12-19 1999-07-15 왕중일 편향코일 권선기
KR19990025988U (ko) * 1997-12-19 1999-07-15 왕중일 편향코일 권선기
KR20030010832A (ko) * 2001-07-27 2003-02-06 삼성전기주식회사 편향요크용 코일 권선기 금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3935B1 (ko) 음극선관
KR20030049346A (ko) 편향요크용 코일권선 금형
WO2000039833A1 (fr) Dispositif tube cathodique couleur
KR100410966B1 (ko) 편향요크용 코일 권선기 금형
KR20030049345A (ko) 편향요크용 코일권선 금형
US4881015A (en) Color cathode-ray apparatus having an improved deflection unit
KR100356962B1 (ko) 편향요크
KR100355447B1 (ko) 브라운관용 편향 요크
KR100459994B1 (ko) 편향 요크
JPH0865691A (ja) 偏向ヨーク及び陰極線管装置
KR100431263B1 (ko) 편향요크용 코일 권선기의 텐션 시스템 및 텐션 조정방법
KR20030065696A (ko) 코일권선 금형
KR100338033B1 (ko) 슬릿보빈형편향요크의상하왜곡보정장치
KR960010037B1 (ko) 수직크기(vertical size) 자동조정장치
KR100467846B1 (ko) 수직 편향코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40013722A (ko) 편향요크용 코일권선기 금형
KR100322647B1 (ko) 편향요크장치
KR200317353Y1 (ko) 편향요크의 페라이트코어 유동방지구조
US6525459B1 (en) CRT beam landing spot size correction apparatus and method
KR100246291B1 (ko) 음극선관의 인서트 방식 코일 분포조정기능 편향장치
KR100313898B1 (ko) 평면 음극선관의 빔 그루핑율 유지장치
KR20010003592A (ko) 편향요크
KR20020045660A (ko) 와인딩 프레임 장치
JPH1021850A (ja) 偏向ヨーク装置
KR20020065660A (ko) 화상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