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5996A - 디지털 피아노를 이용한 음악 교육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피아노를 이용한 음악 교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5996A
KR20030045996A KR1020010075947A KR20010075947A KR20030045996A KR 20030045996 A KR20030045996 A KR 20030045996A KR 1020010075947 A KR1020010075947 A KR 1020010075947A KR 20010075947 A KR20010075947 A KR 20010075947A KR 20030045996 A KR20030045996 A KR 200300459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data
music
web server
compu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5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호현
Original Assignee
(주)피아노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피아노홈 filed Critical (주)피아노홈
Priority to KR10200100759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45996A/ko
Publication of KR20030045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5996A/ko

Links

Landscapes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피아노를 이용한 음악 교육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미디가 지원되는 디지털 피아노와 사용자 프로그램과 미디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사용자 컴퓨터가 연결되고, 상기 사용자 컴퓨터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웹서버와 연결된 시스템에서, 상기 사용자 컴퓨터의 프로그램을 실행시킨 후 사용자 ID를 입력하고 입력된 사용자 ID를 상기 웹서버로 전송하여 회원 여부를 판단하는 회원인증단계; 상기 회원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사용자 프로그램의 곡 선택 모듈을 통하여 제시되는 곡을 선택한 후 상기 웹서버로 전송하여 웹서버로부터 선택한 곡의 음악 데이터를 전송 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 프로그램의 악보표시모듈에 의해 상기 전송 받은 음악 데이터 중에서 악보 데이터만을 추출하여 사용자 컴퓨터에 악보를 표시하는 악보표시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컴퓨터에 표시되는 악보를 보고 사용자가 상기 디지털 피아노를 연주하면 사용자 프로그램의 연주 평가 모듈은 상기 전송 받은 음악 데이터 중의 멜로디 데이터와 비교하여 잘 못 연주된 부분 패턴을 분석하여 오류가 발생되는 부분에 대한 오류 표시가 포함된 악보와 패턴 분석 평가 소견을 사용자 컴퓨터에 출력하여 주는 평가 소견서 작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피아노를 이용한 음악 교육 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평가 소견서를 통하여 현재의 연습 상태를 악보와 그에 대한 소견으로 정확히 알려주므로 학습자는 어느 부분을 더 연습해야할지, 선생님을 어떤 부분을 집중적으로 연습시킬지를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해줄 수 있어서 선생님의 수준차이를 극복한 음악 교육이 가능해지며, 또한 음악 학원의 운영자는 이 평가 소견서를 학원생의 가정으로 발송하여 학습진도표나 가정 통신문을 활용할 수 있어서 학부모들로부터 신뢰를 받을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피아노를 이용한 음악 교육 방법{Training method of music using digital piano}
본 발명은 디지털 피아노를 이용한 음악 교육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피아노, 미디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컴퓨터와 이 컴퓨터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웹서버로 구성된 시스템을 통하여 음악적인 패턴을 분석하여 잘 못 연주된 부분에 대한 오류 표시가 포함된 부분 악보와 그에 대한 소견 및 연습 방법을 작성하여 주여 선생님 수준 차이를 극복할 수 있는 음악 교육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간 우리나라 피아노 교육의 대부분은 음악학원에서 1:1 개인 레슨 형식으로 이루어져 왔다. 예전과는 달리 다수의 음악 전공자들의 양산과 우후죽순처럼 생겨나는 음악학원들의 경쟁 속에 학원간의 경쟁이 심화되어 점점 음악학원의 경영이 어려워지고 있다.
그 결과 비전공자들이 음악 학원을 경영하고 전공자들의 고 임금으로 피아노를 가르치는 선생님 또한 비전공자들을 채용하여 가르치고 있는 실정이고, 그로 인하여 전체적인 피아노 교육의 기준이 애매해지고 교육의 질 또한 전체적으로 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자는 이러한 실정에 착안하여 피아노 연습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들을 서비스를 통하여 기준을 제공하여 비 전공 선생님 등의 피아노 교육에 참고할 수 있도록 하고 그 결과물을 피아노를 배우는 학생 및 학부모에 정확하게 알리고자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종래에도 상술한 바와 같은 서비스 위하여 많은 발명들이 있었으나, 종래의 발명을 통한 서비스는 단순히 리듬과 음정이 틀리고 맞음을 표시해주어 음악에 대한 올바른 평가가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리듬과 음정의 정확성에 대한 분석뿐만 아니라 음악적인 패턴을 분석하여 잘 못 연주된 부분에 대한 오류 표시가 포함된 악보와 그에 대한 소견 및 연습 방법을 작성하여 주어 선생님의 수준 차이를 극복할 수 있는 음악 교육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악 교육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악 교육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공되는 평가 소견서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주요 도면 부호에 대한 설명>
웹서버부: 100웹서버: 110
데이터 베이스 서버: 120웹서버 운영 데이터 베이스: 130
회원 정보 데이터 베이스: 140음악 데이터 베이스: 150
사용자 컴퓨터: 300통신부: 310
메모리부: 320미디 인터페이스부: 330
사용자 프로그램: 400회원 인증 모듈: 410
곡 선택 모듈: 420악보 표시 모듈: 430
연주 평가 모듈: 440반주 모듈: 450
연주 정보 전송 모듈: 460디지털 피아노: 500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미디가 지원되는 디지털 피아노와 사용자 프로그램과 미디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사용자 컴퓨터가 연결되고, 상기 사용자 컴퓨터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웹서버와 연결된 시스템에서,
상기 사용자 컴퓨터의 프로그램을 실행시킨 후 사용자 ID를 입력하고 입력된사용자 ID를 상기 웹서버로 전송하여 회원 여부를 판단하는 회원인증단계;
상기 회원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사용자 프로그램의 곡 선택 모듈을 통하여 제시되는 곡을 선택한 후 상기 웹서버로 전송하여 웹서버로부터 선택한 곡의 음악 데이터를 전송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 프로그램의 악보표시모듈에 의해 상기 전송 받은 음악 데이터 중에서 악보 데이터만을 추출하여 사용자 컴퓨터에 악보를 표시하는 악보표시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컴퓨터에 표시되는 악보를 보고 사용자가 상기 디지털 피아노를 연주하면 사용자 프로그램의 연주 평가 모듈은 상기 전송 받은 음악 데이터 중의 멜로디 데이터와 비교하여 잘 못 연주된 부분 패턴을 분석하여 오류가 발생되는 부분에 대한 오류 표시가 포함된 악보와 패턴 분석 평가 소견을 사용자 컴퓨터에 출력하여 주는 평가 소견서 작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피아노를 이용한 음악 교육 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교육 방법에 의하면, 평가 소견서를 통하여 현재의 연습 상태를 악보와 그에 대한 소견으로 정확히 알려주므로 학습자는 어느 부분을 더 연습해야할지, 선생님을 어떤 부분을 집중적으로 연습시킬지를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해줄 수 있어서 선생님의 수준 차이를 극복한 음악 교육이 가능해지며, 또한 음악 학원의 운영자는 이 평가 소견서를 학원생의 가정으로 발송하여 학습진도표나 가정 통신문을 활용할 수 있어서 학부모들로부터 신뢰를 받을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교육 방법은 상기 사용자 프로그램의 반주 모듈에 의해 상기 웹서버로부터 전송 받은 음악 데이터 중에서 반주 데이터를 추출하여 사용자 컴퓨터의 미디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디지털 피아노로 전송하여 반주 데이터를 출력시킴으로서 반주에 맞추어 사용자가 연주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 본 발명에 따른 교육 방법은 상기 사용자가 디지털 피아노를 통하여 연주한 연주 데이터와 반주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컴퓨터의 메모리에 저장하였다가, 사용자 컴퓨터에 의해 CD 제작 요청이 있는 상기 사용자 프로그램의 연주 정보 전송 모듈은 상기 연주 데이터와 반주 데이터를 상기 웹서버로 전송하여 제작 요청에 따라 CD를 제작하여 주는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교육 방법은 상기 사용자 컴퓨터에 표시되는 악보를 보고 사용자가 상기 디지털 피아노를 연주하면 사용자 프로그램의 연주 평가 모듈은 상기 전송 받은 음악 데이터 중의 멜로디 데이터와 비교하여 리듬과 음정에 대한 점수를 사용자 컴퓨터로 출력하고, 사용자의 순위 보기의 요청이 있는 경우에 이 점수를 상기 웹서버로 전송하고 웹서버는 다른 사용자의 점수에 비교하여 순위를 사용자 컴퓨터로 출력하여 주는 점수 및 순위 보기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교육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프로그램은 사용자 컴퓨터를 통하여 웹서버에 접속한 후에 회원가입을 한 후에 웹서버로부터 다운로드받아 사용자 컴퓨터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악 교육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악 교육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음악 교육 시스템은 크게 웹서버부(100), 사용자 컴퓨터(300), 상기 웹서버와 사용자 컴퓨터가 연결된 네트워크(200) 및 상기 사용자 컴퓨터와 연결된 디지털 피아노(500)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웹서버부(100)는 웹서버(110), 웹서버의 운영을 위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웹서버 운영 데이터 베이스(130), 회원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회원 정보 데이터 베이스(140),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곡에 대한 음악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음악 데이터 베이스(150) 및 상기 웹서버의 요청에 따라 이들 데이터 베이스들의 정보를 리딩하고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 서버(12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웹서버 운영 데이터 베이스(130)에는 회원가입 문서를 제공할 수 있는데이터, 사용자 컴퓨터(300)로 다운로드될 프로그램 데이터 등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회원정보 데이터 베이스(140)에는 가입한 회원의 이름, ID, 현재 다니고 있는 학원명, 학원 원장 이름, 담당 선생님 이름 등이 저장된다.
또한, 상기 음악 데이터 베이스(150)에는 사용자가 선택한 곡에 대한 악보 데이터, 멜로디 데이터 및 오케스트라 반주 데이터 등이 저장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컴퓨터(300)는 통상의 퍼스날 컴퓨터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미디 인터페이스부(330), 상기 웹서버(110)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통신할 수 있는 통신부(310), 웹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음악 데이터와 디지털 피아노를 통하여 연주되는 연주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부(320)를 구비하고 있으며, 또한 상기 웹서버로부터 다운로드되는 사용 프로그램(400)이 설치되게 된다.
상기 미디 인터페이스부(330)는 사용자 컴퓨터와 디지털 파이노 사이의 연주 정보를 주고받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MPU-401과 같은 것이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310)는 일반적인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에서 서버와 클라이언트간의 통신을 위해 클라이언트에 설치되는 모든 통신 수단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한, 상기 사용자 프로그램(400)은 회원 인증 모듈(410), 곡선택모듈(420), 악보 표시 모듈(430), 연주 평가 모듈(440), 반주 모듈(450), 연주 정보 전송 모듈(46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원 인증 모듈(410)은 사용자 컴퓨터 상의 사용자 프로그램을 구동시키면 최초로 수행되는 것으로서, 회원 ID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창과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ID를 상기 통신부(310)를 통해 웹서버(110)로 전송하여 회원 인증 단계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곡 선택 모듈(420)은 회원 인증 단계가 끝난 후에 사용자가 연주할 곡 선택할 수 있도록 각 단계에 해당되는 연주 곡 명을 제시하고, 사용자 곡 명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상기 통신부(310)를 통하여 웹서버(110)로 선택된 곡에 대한 음악 데이터를 전송 받아 사용자 컴퓨터의 메모리부(320)에 저장하는 곡 선택 단계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악보 표시 모듈(430)은 상기 메모리부(320)에 저장되어 있는 음악 데이터 중에서 악보 데이터만을 추출하여 사용자 컴퓨터의 모니터로 출력시키는 악보 표시 단계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연주 평가 모듈(440)은 상기 악보 표시 모듈(430)에 의해 사용자 컴퓨터에 의해 출력되는 악보를 보고 사용자가 디지털 피아노를 통해 연주를 할 경우에그 연주 정보를 미디 인터페이스(330)를 통하여 전송 받아 메모리부(320)에 저장되어 있는 멜로디 데이터와 비교하여 잘 못 연주된 부분에 대한 악보를 사용자 컴퓨터로 출력하여 주며, 또한 사용자의 연주 패턴을 분석하여 그에 대한 평가 소견을 작성하여 주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연주 평가 모듈(440)은 사용자 컴퓨터의 메모리부(320)에 저장되어 있는 멜로디 데이터와 비교하여 현재의 사용자의 리듬과 음정에 대한 점수를 사용자 컴퓨터(300)에 출력하여 주고, 또한 사용자 컴퓨터(300)에 의해 순위 보기 요청이 있는 경우에 상기 리듬과 음정에 대한 점수를 통신부(310)를 통해 웹서버(110)로 전송하고, 전송 받은 웹서부(110)는 다른 사용자의 점수와 비교하여 순위를 사용자 컴퓨터로 출력하여 주는 점수 및 순위 보기 단계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반주 모듈(450)은 상기 악보 표시 모듈(430)에 의해 악보 표시와 함께 사용자가 편곡된 오케스트라 반주를 들으면서 연주할 수 있도록 웹서버(110)로 전송 받아 메모리부(320)에 저장되어 있는 음악 데이터 중에서 반주 데이터를 미디 인터페이스(330)를 통하여 디지털 피아노(500)로 전송하여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반주 데이터를 전송 받은 디지털 피아노의 음원부는 이 오케스트라 반주를 출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연주 정보 모듈(460)은 사용자가 오케스트라 반주를 들으면서 디지털 피아노(500)를 연주하면 상기 컴퓨터의 미디 인터페이스(330)를 통하여 이 연주 정보를 전송 받아 이 연주 정보를 사용자의 컴퓨터의 메모리부(320)에 저장하였다가 사용자에 의한 CD 제작 요청이 있는 경우에 사용자 컴퓨터의 통신부(310)를 통하여 웹서버(110)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 때 웹서버(110)는 전송 받은 연주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 서버(120)를 통하여 회원정보 데이터 베이스(130)에 저장하였다가 CD를 제작하여 주게 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디지털 피아노(500)는 미디가 지원되는 것으로서 건반부, 페달부, 음원부, 중앙제어부 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디지털 피아노를 의미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음악 교육을 위한 시스템은 통상의 디지털 피아노에 새로운 구성 요소의 추가 없이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어서, 상술한 바와 같은 시스템을 통한 본 발명에 따른 음악 교육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악 교육 방법에 대한 흐름도인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음악 교육 방법은 사용자 프로그램 설치 단계(S100), 회원 인증 단계(S200), 곡 선택 단계(S300), 악보 표시 단계(S400), 사용자의 연주 단계(S500), 점수 및 순위 보기 단계(S600), 평가 소견서 작성 단계(S700) 및 CD 제작 요청 단계(S800)로 구성되어 있다.
사용자가 사용자 컴퓨터(300)의 인터넷 익스플로어 등과 같은 웹브라우저를 구동시켜 웹서버(110)에 접속한 다음, 웹서버 운영 데이터 베이스(130)를 통하여 웹서버(110)에서 제공하는 회원가입 문서상에서 요구하는 정보를 입력하여 회원 가입을 하면 웹서버(110)로부터 사용자 프로그램을 다운로드받아 설치되는 것으로 사용자 프로그램 설치 단계(S100)가 수행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웹서버(110)는 회원 가입을 위한 정보(ID, 회원 이름, 학원명, 학원 원장 이름, 담당 선생님 이름, 학원 주소 등)가 입력되면 데이터 베이스 서버(120)에 요청하여 이를 회원 정보 데이터 베이스(140)에 저장하고 이어서, 다시 데이터 베이스 서버(120)에 웹서버 운영 데이터 베이스(130)를 리딩하여 사용자 프로그램 데이터를 현재 접속하고 있는 사용자 컴퓨터(300)에 다운로드시켜 줄 것을 요청하여 사용자 컴퓨터(300)에 사용자 프로그램이 다운로드되고, 사용자는 이를 사용자 컴퓨터에 설치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컴퓨터(300)에 사용자 프로그램이 설치되면, 사용자는 사용자 프로그램을 구동시켜 본 발명에 따른 음악 교육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된다.
먼저, 사용자 프로그램이 구동되면 사용자 프로그램의 회원 인증 모듈(410)은 회원 ID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창을 제공하면 사용자에 의해 회원 ID가 입력되면 이를 사용자 컴퓨터의 통신부(310)를 통해 웹서버(110)로 전송하여 회원 인증단계(S200)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회원 ID를 전송 받은 웹서버(110)는 전송 받은 ID와 회원 정보 데이터 베이스(140)에 저장되어 있는 ID를 비교하도록 데이터 베이스 서버(120)에 요청하여 일치하는지를 비교하고 그 결과를 회원 인증 모듈(410)에 전송하여 회원 인증 단계(S200)가 수행되는 것이다.
상기 회원 인증 단계(S200)에서 회원인 것으로 판명되면, 사용자 프로그램의 곡 선택 모듈(420)은 사용자가 연주할 곡 선택할 수 있도록 각 단계에 해당되는 연주 곡 명을 제시하고, 사용자 곡명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상기 통신부(310)를 통하여 웹서버(110)로 선택된 곡에 대한 음악 데이터를 전송 받아 사용자 컴퓨터의 메모리부(320)에 저장하는 곡 선택 단계(S300)를 수행한다.
상기 곡 선택 단계(S300)가 완료되면, 사용자 프로그램의 악보 표시 모듈(420)은 사용자 컴퓨터의 메모리부(320)에 저장되어 있는 음악 데이터 중에서 악보 데이터만을 추출하여 사용자 컴퓨터의 모니터로 출력시키는 악보 표시 단계(S400)를 수행한다.
이 때에 사용자는 사용자 컴퓨터의 모니터 출력되는 악보를 보면서 디지털 피아노(500)를 조작하여 연주하는 사용자의 연주 단계(S500)를 수행한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의 연주 단계(S500)가 수행될 때 사용자 프로그램의 반주 모듈(450)은 곡 선택 단계(S400)에 의해 상기 메모리부(320)에 저장되어 있는 음악 데이터 중에서 오케스트라 반주 데이터를 미디 인터페이스(330)를 통하여 디지털 피아노(500)로 전송하여 주고 반주 데이터를 전송 받은 디지털 피아노(500)의 음원부는 이 오케스트라 반주를 출력하여 사용자가 오케스트라 반주에 맞추어 연주를 할 수 있도록 하여 음악성 향상에 도움을 줄 수도 있다.
상기 악보 표시 모듈(430)에 의해 사용자 컴퓨터에 의해 출력되는 악보를 보고 사용자가 디지털 피아노를 통해 연주를 할 경우에 사용자 프로그램의 연주 평가 모듈(440)은 그 연주 정보를 미디 인터페이스(330)를 통하여 전송 받아 메모리부(320)에 저장되어 있는 멜로디 데이터와 비교하여 사용자 컴퓨터로 리듬과 음정에 대한 점수를 출력하여 주고, 또한 사용자 프로그램(400)에 의해 제공된 CD 제작 요청키를 사용자가 선택하는 경우에 상기 연주 평가 모듈(440)은 리듬과 음정에 대한 점수를 통신부(310)를 통하여 웹서버(110)로 전송하고, 이를 전송 받은 웹서버(110)는 데이터 베이스 서버(120)에 요청하여 회원 정보 데이터 베이스(130)에 저장하고 또한 다른 사용자의 점수와 비교하여 순위를 매겨서 사용자 컴퓨터(300)로 출력하여 주는 점수 및 순위 보기 단계(S600)가 수행된다.
또한, 상기 악보 표시 모듈(430)에 의해 사용자 컴퓨터에 의해 출력되는 악보를 보고 사용자가 디지털 피아노를 통해 연주를 할 경우에 사용자 프로그램의 연주 평가 모듈(440)은 그 연주 정보를 미디 인터페이스(330)를 통하여 전송 받아 메모리부(320)에 저장되어 있는 멜로디 데이터와 비교하여 잘 못 연주된 부분에 대한 악보를 사용자 컴퓨터로 출력하여 주며, 또한 사용자의 연주 패턴을 분석하여 그에 대한 평가 소견을 작성하여 주는 평가 소견서 작성 단계(S700)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평가 소견서 작성 단계(S700)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잘 못 연주된 부분에 대한 부분 악보를 사용자 컴퓨터(300)로 출력되고, 이와 더블어 사용자의 연주 패턴을 분석하여 음정, 리듬, 부점, 스케일, 당김음, 잇단 음표, 쉼표, 음의 길이, 임시표, 옥타브 표시, 변박자, 조바뀜, 리테르단도, 스타카토, 레가토 등의 요소들이 제대로 연주되었는가와 잘 못 연주된 요소들에 대한 연습 방법에 대한 소견을 사용자 컴퓨터(300)로 출력된다.
평가 소견서에 출력되는 소견의 예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1) 대체적으로, 부점의 리듬이 정확치 않군요, 이 곡에 표현된 부점에 대한 손벽치기 등의 연습이 필요합니다.
(2) 이 곡은 3군데에서 하행 스케일이 나타나고 있고, 연주 결과 스케일 부분이 고르지 않군요, 스케일 부분에 대한 별도의 연습이 필요합니다.
(3) 곡의 중간에서 음정이 바뀌는 임시표를 잘 못 보는군요, 천천히 반복 연습 후 다시 평가하시기 바랍니다.
이와 같은 소견을 제시할 수 있는 것은 곡에 대한 음악 데이터 제작 시 정확히 연주된 멜로디 데이터를 포함시키고 이를 사용자가 연주한 정보와 비교함으로써 가능하다.
이러한 평가 소견서는 현재의 연습 상태를 악보와 그에 대한 소견으로 정확히 알려주므로 학습자는 어느 부분을 더 연습해야할지, 선생님을 어떤 부분을 집중적으로 연습시킬지를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해 주게 된다.
또한, 음악 학원의 운영자는 이 평가 소견서를 학원생의 가정으로 발송하여 학습진도표나 가정 통신문을 활용할 수 있는데, 학원생의 가정으로 발송하기 위하여 출력하는 경우에는 도 3에 제시된 것과 같은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사용자가 오케스트라 반주를 들으면서 디지털 피아노(500)를 연주하면, 사용자 프로그램의 연주 정보 모듈(460)은 사용자 컴퓨터(300)의 미디 인터페이스(330)를 통하여 이 연주 정보를 전송 받아 이 연주 정보를 사용자 컴퓨터의 메모리부(320)에 저장하였다가 사용자에 의해 CD 제작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메모리부(320)에 저장된 정보를 통신부(310)를 통하여 웹서버(110)로 전송하고, 이를 전송 받은 웹서버(110)는 전송 받은 연주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 서버(120)를 통하여 회원정보 데이터 베이스(140)에 저장하였다가 사용자에 의해 CD 제작 요청이 있을 경우에 CD를 제작하여 줌으로써 CD 제작 단계(S800)가 수행된다.
상술한 내용 본 발명에 따른 음악 교육 방법의 일례로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 범위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평가 소견서를 통하여 현재의 연습 상태를 악보와 그에 대한 소견으로 정확히 알려주므로 학습자는 어느 부분을 더 연습해야할지, 선생님을 어떤 부분을 집중적으로 연습시킬지를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해줄 수 있어서 선생님의 수준 차이를 극복한 음악 교육이 가능해지며, 또한 음악 학원의 운영자는 이 평가 소견서를 학원생의 가정으로 발송하여 학습진도표나 가정 통신문을 활용할 수 있어서 학부모들로부터 신뢰를 받을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Claims (5)

  1. 미디가 지원되는 디지털 피아노와 사용자 프로그램과 미디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사용자 컴퓨터가 연결되고, 상기 사용자 컴퓨터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웹서버와 연결된 시스템에서,
    상기 사용자 컴퓨터의 프로그램을 실행시킨 후 사용자 ID를 입력하고 입력된 사용자 ID를 상기 웹서버로 전송하여 회원 여부를 판단하는 회원인증단계;
    상기 회원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사용자 프로그램의 곡 선택 모듈을 통하여 제시되는 곡을 선택한 후 상기 웹서버로 전송하여 웹서버로부터 선택한 곡의 음악 데이터를 전송 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 프로그램의 악보표시모듈에 의해 상기 전송 받은 음악 데이터 중에서 악보 데이터만을 추출하여 사용자 컴퓨터에 악보를 표시하는 악보표시 단계;
    상기 사용자 컴퓨터에 표시되는 악보를 보고 사용자가 상기 디지털 피아노를 연주하면 사용자 프로그램의 연주 평가 모듈은 상기 전송 받은 음악 데이터 중의 멜로디 데이터와 비교하여 잘 못 연주된 부분 패턴을 분석하여 오류가 발생되는 부분에 대한 오류 표시가 포함된 악보와 패턴 분석 평가 소견을 사용자 컴퓨터에 출력하여 주는 평가 소견서 작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피아노를 이용한 음악 교육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프로그램의 반주 모듈에 의해 상기 웹서버로부터 전송 받은 음악 데이터 중에서 반주 데이터를 추출하여 사용자 컴퓨터의 미디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디지털 피아노로 전송하여 반주 데이터를 출력시킴으로서 반주에 맞추어 사용자가 연주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피아노를 이용한 음악 교육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디지털 피아노를 통하여 연주한 연주 데이터와 반주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컴퓨터의 메모리에 저장하였다가, 사용자 컴퓨터에 의해 CD 제작 요청이 있는 상기 사용자 프로그램의 연주 정보 전송 모듈은 상기 연주 데이터와 반주 데이터를 상기 웹서버로 전송하여 CD를 제작하여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피아노를 이용한 음악 교육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컴퓨터에 표시되는 악보를 보고 사용자가 상기 디지털 피아노를 연주하면 사용자 프로그램의 연주 평가 모듈은 상기 전송 받은 음악 데이터 중의 멜로디 데이터와 비교하여 리듬과 음정에 대한 점수를 사용자 컴퓨터로 출력하고, 사용자의 순위 보기의 요청이 있는 경우에 이 점수를 상기 웹서버로 전송하고 웹서버는 다른 사용자의 점수에 비교하여 순위를 사용자 컴퓨터로 출력하여 주는 점수 및 순위 보기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피아노를 이용한 음악 교육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프로그램은 사용자 컴퓨터를 통하여 웹서버에 접속한 후에 회원가입을 한 후에 웹서버로부터 다운로드받아 사용자 컴퓨터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피아노를 이용한 음악 교육 방법.
KR1020010075947A 2001-12-03 2001-12-03 디지털 피아노를 이용한 음악 교육 방법 KR200300459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5947A KR20030045996A (ko) 2001-12-03 2001-12-03 디지털 피아노를 이용한 음악 교육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5947A KR20030045996A (ko) 2001-12-03 2001-12-03 디지털 피아노를 이용한 음악 교육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5996A true KR20030045996A (ko) 2003-06-12

Family

ID=29572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5947A KR20030045996A (ko) 2001-12-03 2001-12-03 디지털 피아노를 이용한 음악 교육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4599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8741A (ko) * 2003-03-05 2004-09-13 (주)아르테 인터넷을 이용한 피아노 원격 교습방법
WO2008085883A1 (en) * 2007-01-03 2008-07-17 Xiao-Yu Ding Digital music systems
CN112465679A (zh) * 2020-09-28 2021-03-09 青岛大学 一种钢琴学习与创作系统及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8741A (ko) * 2003-03-05 2004-09-13 (주)아르테 인터넷을 이용한 피아노 원격 교습방법
WO2008085883A1 (en) * 2007-01-03 2008-07-17 Xiao-Yu Ding Digital music systems
CN112465679A (zh) * 2020-09-28 2021-03-09 青岛大学 一种钢琴学习与创作系统及方法
CN112465679B (zh) * 2020-09-28 2023-10-31 青岛大学 一种钢琴学习与创作系统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23893B1 (en) Method and system for electronically creating and publishing music instrument instructional material using a computer network
Rudolph Teaching music with technology
JP3371791B2 (ja) 音楽教習システムおよび音楽教習装置、ならびに、音楽教習用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記録媒体
US7423213B2 (en) Multi-dimensional transformation systems and display communication architecture for compositions and derivations thereof
US20030129576A1 (en) Interactive learning appliance and method
US11341944B2 (en) Playback, recording, and analysis of music scales via software configuration
EP1236190A1 (en) Interactive learning appliance
US20070256543A1 (en) Method and System for Assessing a Musical Performance
US20110029591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 for Learning Appliances Over an Electronic Communication Medium
AU2007332155B2 (en) Electronic system, methods and apparatus for teaching and examining music
WO2001091084A2 (en) Method and system for teaching music
KR20200058191A (ko) 학습자 수준별 일대일 온라인 악기 교습 시스템 및 방법
US11990053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extended reality music tutoring service
US8716583B2 (en) Musical learning and interaction through shapes
KR20200058195A (ko) 상황 인식 비디오를 이용한 음악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02007587A (ja) 情報送信用サーバ装置、情報受信用クライアント装置、情報送受信システム、及び方法並びに記憶媒体
KR20030045996A (ko) 디지털 피아노를 이용한 음악 교육 방법
US20060101984A1 (en) Training system
JPH05119692A (ja) 楽器演奏データ評価装置
JP2006208693A (ja) 音楽教習システム、教習用電子音楽装置及びプログラム
Kersten Using MIDI accompaniments for music learning at school and at home
KALKANOĞLU Chapter iii student opinions on home concert xtreme software designed for computer based piano teaching
McDannald A comparative summary of content and integration of technological resource in six beginning band methods
Carpenter Technology in the music classroom
Vanneman et al. NAEP and Music: Framework, Field Test, and Assess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