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7769A - 부호 비트 펑처링 방법 - Google Patents

부호 비트 펑처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7769A
KR20030037769A KR1020010068628A KR20010068628A KR20030037769A KR 20030037769 A KR20030037769 A KR 20030037769A KR 1020010068628 A KR1020010068628 A KR 1020010068628A KR 20010068628 A KR20010068628 A KR 20010068628A KR 20030037769 A KR20030037769 A KR 200300377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ts
puncturing
bit
punctured
co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8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30492B1 (ko
Inventor
김기준
윤영우
김영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686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0492B1/ko
Publication of KR200300377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77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0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04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63Joint error correction and other techniques
    • H03M13/635Error control coding in combination with rate matching
    • H03M13/6362Error control coding in combination with rate matching by punctu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9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channel co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호 비트 펑처링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컨벌루션 부호화기를 이용한 부호 비트 펑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부호 비트 펑처링 방법은 컨벌루션 부호화를 이용하는 송신 시스템에 있어서, 부호화된 복수의 부호 비트들 중 한 슬롯에 전송될 부호 비트들에 대하여 상기 부호 비트들의 정중앙에서부터 양쪽으로 대칭적으로 펑처링한다.

Description

부호 비트 펑처링 방법{Coding bit puncturing method}
본 발명은 부호 비트 펑처링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컨벌루션 부호화기를 이용한 부호 비트 펑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패킷 데이터 전송을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패킷 데이터 전송을 위하여 패킷 데이터 채널(Packet Data Channel;이하 PDCH)과,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Packet Data Control Channel;이하 PDCCH) 등의 물리적 채널을 사용한다.
상기 PDCH는 실제로 해당 단말기(혹은 사용자, 이하 단말기라 통칭)에 전송되어야 할 패킷 데이터들을 전송하는 채널이다.
PDCCH는 상기 PDCH를 통해 전송되고 있는 데이터들을 해당 단말기가 오류 없이 제대로 수신할 수 있도록 해주는 제어 정보가 들어 있다. 여기서 PDCCH는 PPDCCH(Primary PDCCH)와, SPDCCH(Secondary PDCCH)의 두 가지를 사용한다. 이 중 SPDCCH는 필수적으로 사용되고, PPDCCH는 선택적으로 이용된다.
이때, SPDCCH는 순방향 채널로서 PDCH(packet data channel)을 사용하기 위한 제어 채널로써, PDCH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단측에서 복호화(decoding)하기 위하여 SPDCCH는 복호화(decoding)에 필요한 정보를 전송한다.
기본적으로 현재의 SPDCCH는 13~21bit의 디코딩(decoding)에 필요한 각종 정보들과 이 정보들의 수신 에러 유무를 검사하기 위한 6~8bit의 주기적 덧붙임 검사(cyclic redundancy checking : 이하 CRC라 약칭 함) 비트(bit), 그리고 8비트의 컨벌루션 부호화기 테일 비트(Convolutional encoder tail bit)로 구성이 된다.
이렇게 구성된 총 27~37비트(bit)의 정보들은 1/2 또는 1/4의 컨벌루션 부호화(Convolutional coding)를 거치며 54 ~ 64bit의 부호화된 비트(coded bit)(1/2 coding의 경우) 또는 108~128bit의 부호화된 비트(coded bit)(1/4 coding의 경우)를 만들어 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부호 비트의 펑처링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SPDCCH의 전송 체인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SPDCCH의 전송 체인에서의 펑처링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은 예를 들면 18비트의 정보 비트에 8비트의 CRC(cyclic redundancy check) 비트, 그리고 8비트의 부호화기 테일 비트(tail bit)를 적용한 SPDCCH의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써, 상기 입력 시퀀스는 에러 검출 코드 추가 블록(101)에서 CRC 코드와 같은 에러 검출 코드가 부가된다.
그리고, 이 CRC 코드가 부가된 비트는 테일 비트 추가블록(102)에서 부호기의 최종 상태(state)를 알려진 상태(trellis termination)로 보내주기 위한 테일비트들이 부가된다.
테일비트가 부가된 비트들은 부호화기(103)에서 컨벌루셔널 코드로 부호화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생성된 부호화된 비트들은 전송하는 슬롯의 길이에 맞게 심볼반복블록(104)에서 반복되고, 상기 반복된 비트들은 펑처링 블록(105)에서 펑처링된다.
예를 들면 1x EVDV 시스템에서는 사용 가능한 왈시 코드(walsh code)수의 제한으로 인해 SPDCCH에서는 길이가 64칩인 왈시 코드(walsh code)를 사용한다. 따라서 한 슬롯당 들어가는 부호화된(coded bit)의 수는 48비트(bit)가 된다.
SPDCCH에서는 전송을 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슬롯(slot)의 길이가 1, 2, 4 슬롯(slot)이므로 1 슬롯(slot) 길이에는 48 부호화된 비트(coded bit)가, 2 슬롯(slot) 길이에는 96 부호화된 비트(coded bit), 그리고 4 슬롯(slot) 길이에는 192 부호화된 비트(coded bit)가 들어간다.
예를 들어 도 1에서처럼 18비트(bit)의 정보 비트에 8비트 CRC, 8비트 부호화 테일 비트(encoder tail bit)의 경우에는 총 34비트(bit)의 정보가 만약 1 슬롯(slot)에 대해서 전송된다면 1/2 부호화(encoding)를 거치게 되면서 68비트(bit)의 부호화된 비트(coded bit)가 생성된다. 즉 전송하는 슬롯의 길이에 맞게 펑처링 블록(105)에서 펑처링된다.
즉 1슬롯 길이에는 48 부호화된 비트(coded bit)가 전송되므로 68-48=20 즉 20비트(bit)만큼의 펑처링(puncturing)이 이루어진 후에 48 부호화된 비트(coded bit)가 1 슬롯(slot)을 통해 전송되어진다.
이때 같은 정보량이 4 슬롯(slot)으로 전송된다면 도 1에서 보듯이 1/4 부호화(coding)를 거쳐서 136 부호화된 비트(coded bit)를 만들어 내고 다시 심볼 반복(repetition)을 통해 272 비트를 생성해 낸다. 이 272 비트의 정보는 4 슬롯 즉 192비트로 전송되어야 하므로 272 - 192 = 80 비트의 펑처링(puncturing)을 하여 192비트를 4 슬롯에 나누어 전송하게 된다.
상기 펑처링된 비트들은 블록 인터리버(106,206)에서 인터리빙되고, 변조기(107,207)에서 QPSK 방식에 의하여 변조된다. 이 변조된 신호는 왈쉬 코드들 중의 일부를 사용하여 I 채널 및 Q 채널로 분리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SPDCCH는 많지 않은 정보(13~21비트)에 대해 컨벌루셔널 부호화(Convolutional coding)를 이용하여 부호화(encoding)하고 이를 전송한다.
그러면 수신단(도시하지 않음)에서는 이를 트렐리스 복호기(trellis decoder)의 한 종류인 비터비 복호기(viterbi decoder)를 사용하여복호화(decoding)를 실행한다. 비터비 복호화 방식은 수신된 정보들의 시작 스테이트(state)와 종료 스테이트(state)에 대해 약속된 룰에 의해서 미리 알고 있다. 즉, 시작 부근과 종료 부근의 데이터들이 손상을 입더라도 어떤 값이 전송되었는지 에러 정정이 매우 용이하다는 것을 말한다. 이로 인해 시작 부근의 정보들과 끝 부근의 정보들에서는 에러가 발생할 확률이 상대적으로 낮게 되는 구조를 갖고 있다. 이것은 적은 정보량을 전송하는 시스템에서는 이 영향이 더욱 크게 작용하게 된다.
그런데 도 2에서처럼 기존의 펑처링(puncturing) 방법은 부호화된 비트(coded bit)들에 대해 매 몇 비트(bit)마다 하나의 비트(bit)를 펑처링하는(puncturing)하는 방식이었다. 즉 균일한 간격으로 펑처링(puncturing)하는 것으로 한 슬롯의 시작부근과 종료부근의 부호화된 비트(coded bit)와 정중앙의 부호화된 비트(coded bit)에 대해 동일한 비율로 펑처링(puncturing)을 하는 것이다.
그러나 앞에서 언급했듯이 한 슬롯의 시작부분과 종료부분의 부호화된 비트(coded bit)들은 상대적으로 한 슬롯의 정중앙(부분)에 비해 에러가 발생할 확률이 낮은데 기존의 SPDCCH 전송 체인에서의 펑처링 블록(105)에서의 펑처링은 한 슬롯의 시작부분과 종료부분 그리고 정중앙부분이 같은 비율로 펑처링(puncturing) 이 실행되기 때문에 정중앙부분의 에러가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나며 이는 전체적인 성능, 그 중에서도 FER(Frame Error Rate)을 저하시키기 위한 전송 전력의 증가를 초래하는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언급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패킷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하여 부호화된 비트를 펑처링할 때 에러 가능성이 적은 부분에 집중적인 펑처링을 한 후에 패킷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패킷 데이터의 송수신 에러 발생 가능성 및 그에 따른 전송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부호 비트 펑처링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컨벌루션 부호화를 이용하는 송신 시스템에 있어서, 부호화된 복수의 부호 비트들 중 한 슬롯에 전송될 부호 비트들에 대하여 상기 부호 비트들의 정중앙에서부터 양쪽으로 대칭적으로 펑처링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펑처링된 펑처링 패턴 중 첫 번째 부호 비트는 펑처링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 상기 펑처링은 상기 컨벌루션 부호화된 부호비트들을 심볼 반복기에서 반복한 부호비트들을 펑처링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부호비트들의 정중앙에서 양쪽으로 대칭적으로 펑처링하는 경우에 상기 한 슬롯의 중앙부분에 위치하는 부호 비트들에 대하여는 펑처링양을 감소시키고, 상기 감소된 양만큼의 펑처링을 상기 중앙부분 양쪽의 부호비트들에 증가시켜 펑처링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컨벌루션 부호화하는 음성 및 패킷 데이터를 송신하는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부호 비트들로 부호화된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의 제어신호에 대하여 상기 복수의 부호비트들 중 한 슬롯에 전송될 부호 비트들에 대하여 상기 부호비트의 정중앙에서부터 양쪽으로 대칭적으로 펑처링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펑처링된 부호 비트 패턴이 68비트의 부호화된 비트(coded bit)인 경우에 48비트의 한 슬롯으로 전송하기 위해, 펑처링되는 비트를 x라 할때,
1x1x1xx1x1x11x11x11x11x11111111111111111111111x11x11x11x11x1x1xx1x1x
의 펑처링 패턴을 갖는다.
바람직하게, 상기 펑처링된 부호 비트 패턴이 70비트의 부호화된 비트(coded bit)인 경우에 48비트의 한 슬롯으로 전송하기 위해, 펑처링되는 비트를 x로 표시하면,
1x1x1xx1x1x1x11x11x11x11x111111111111111111111x11x11x11x11x1x1x1xx1x1x
의 펑처링 패턴을 갖고,
바람직하게 상기 펑처링된 부호 비트 패턴이 72비트의 부호화된 비트(coded bit)인 경우에 48비트의 한 슬롯으로 전송하기 위해, 펑처링되는 비트를 x로 표시하면,
1x1x1xx11x1xx1x1x1xx1x11111111111111111111111111111x1xx1x1x1xx1x11xx1x1x
의 펑처링 패턴을 갖고,
바람직하게 상기 펑처링된 부호 비트 패턴이 74비트의 부호화된 비트(coded bit)인 경우에 48비트의 한 슬롯으로 전송하기 위해, 펑처링되는 비트를 x로 표시하면,
1x1x1xx1x1xx11x11x11x11x11x11x111111111111111x11x11x11x11x11x11xx1x1xx1x1x
의 펑처링패턴을 갖는다.
바람직하게, 상기 부호비트들의 정중앙에서 양쪽으로 대칭적으로 펑처링하는 경우에 상기 한 슬롯의 중앙부분에 위치하는 부호 비트들에 대하여는 펑처링양을 감소시키고, 상기 감소된만큼의 펑처링을 상기 중앙부분 양쪽의 부호비트들에 증가시켜 펑처링한다.
도 1은 일반적인 SPDCCH의 전송 체인 블록 구성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SPDCCH의 전송 체인에서의 펑처링 결과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SPDCCH의 전송 체인에서의 펑처링 결과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펑처링 패턴에 따른 전송 전력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컨벌루셔널 부호화된 데이터의 펑처링 그 중에서도 예를 들면 1x EVDV 시스템의 SPDCCH을 예로 들어 펑처링 패턴(puncturing pattern)을 설명하기로 한다.
종래 기술을 나타낸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펑처링 패턴(puncturing pattern)은 매 몇 비트마다 하나의 비트를 펑처링(puncturing)하는 방식이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부호화된 비트(coded bit)의 시작부분과 종료 부분의 비트(bit)에 대해서는 펑처링(puncturing)을 많이 시행하고 정중앙부분에서는 상대적으로 적은 양을 펑처링(puncturing)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SPDCCH의 전송 체인에서의 펑처링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펑처링 패턴에 따른 전송 전력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펑처링 패턴(puncturing pattern)의 기본 개념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엔드 펑처링(end-puncturing)(시작부분과 종료부분에 더 많은 펑처링하는 것) 방식으로써, 정보량이 적은 경우에 대해서 특히 탁월한 성능을 나타낼 수 있다.
즉 현재 사용되는 컨벌루셔널 부호(convolutional code)는 특성상 부호화된 비트(Coded bit)의 처음 시작부분 스테이트(state)와 종료부분 스테이트(state)가 정해져 있으며 비터비 부호기(viterbi decoder)는 이를 이용하여 보다 정확한 복호화(decoding)를 실행할 수 있게 된다. 즉, 시작부분의 비트(bit)들과 종료부분의 비트(bit)들은 정중앙부분의 비트(bit)들에 비해 에러 발생 확률이 적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것을 이용하여 부호화된 비트(coded bit) 중 정중앙부분에는 펑처링(puncturing) 양을 줄이고 줄어든 만큼의 펑처링 비트(puncturing bit)를 시작과 종료부분의 부호화된 비트(coded bit)에 더 늘이기 되면 상대적으로 에러가 많이 발생했던 정중앙부분에서는 비트에러율(BER)이 상당히 감소하게 되고 이는 결국 프레임 에러율(FER)의 감소로 연결된다.
반면 시작부분과 종료부분은 정중앙부분에 비해 에러가 상대적으로 덜 발생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당량의 펑처링 비트(puncturing bit)가 증가한다고 하더라도 에러 발생이 크게 증가하지는 않는다.
이러한 엔드 펑처링(end puncturing) 방법은 정보 비트(bit)의 길이, 부호화(coding) 방법과 부호화율(coding rate), CRC 길이, 그리고 펑처리 비트(puncturing bit) 수 등에 따라 최적의 펑처링 패턴(puncturing pattern)이 달라질 수 있으며 시작부분의 펑처링 패턴(puncturing pattern)과 종료부분의 펑처링패턴(puncturing pattern)이 반드시 같을 필요는 없다.
그러나 본 발명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호화된 비트 중 정중앙부분에 펑처링되지 않는 부호화 비트의 양끝단 부분의에서부터 양끝단으로는 대칭되도록 펑처리하며, 한 슬롯에 실리는 첫 번째 부호화 비트는 기본적으로 펑처링하지 않고, 정중앙부분의 펑처링되지 않는 부호화된 비트(coded bit)의 개수는 홀수이다.
결과적으로는 한 슬롯의 정중앙에서부터 양쪽으로 대칭되도록 펑처링된다.
즉 예를 들어 18비트의 디코딩에 필요한 정보 비트, 상기 18비트의 정보 비트에 대한 수신에러 유무를 검사하기 위한 CRC 8 비트 , 그리고 컨벌루셔널 부호화기 테일(encoder tail) 8비트의 총 34 비트 비트를 1/2 컨벌루셔널 부호화(convolutional coding)를 사용하여 1 슬롯(slot)에 전송할 경우, 34비트는 우선 68비트의 부호화된 비트(coded bit)로 만들어지고 이를 1 슬롯(slot) 길이, 즉 48비트로 전송하기 위해 전체 68비트 중에서 20비트를 펑처링(puncturing) 하여야 하며 이때 최적화한 펑처링 패턴(puncturing pattern) 중 하나는 다음과 같다.
1x1x1xx1x1x11x11x11x11x11111111111111111111111x11x11x11x11x1x1xx1x1x
여기서 x는 펑처링(puncturing)된 비트를 나타낸 것이다.
다른 예로써, 19비트의 정보비트에, CRC 8비트, 컨벌루셔널 부호화기 테일(encoder tail) 8비트의 총 35 비트를 1/2 컨벌루셔널 부호화(convolutional coding)를 사용하여 1 슬롯(slot)에 전송할 경우, 35비트는 70비트의 부호화된 비트(coded bit)로 만들어지고, 이를 1 슬롯(slot) 길이 즉 48비트로 전송하기 위해 전체 70비트 중에서 22비트를 펑처링(puncturing) 하여야 하며, 이때 최적화한 패턴 중 하나의 패턴은 다음과 같다. 다음은 최상의 성능을 나타내는 최적화한 펑처리 패턴(puncturing pattern)중 하나는 다음과 같다.
1x1x1xx1x1x1x11x11x11x11x111111111111111111111x11x11x11x11x1x1x1xx1x1x
여기서 x는 펑처링(puncturing)된 비트를 나타낸 것이다.
또 다른 예로써. 20비트의 정보비트에 CRC 8 비트, 컨벌루셔널 부호화기 테일(encoder tail) 8비트의 총 36 비트를 1/2 컨벌루셔널 부호화(convolutional coding)를 사용하여 1 슬롯(slot)에 전송할 경우, 36 비트는 1/2 컨벌루셔널(convolutional) 부호화하여 72비트의 부호화된 비트(coded bit)로 만들어지고, 이를 1 슬롯(slot) 길이 즉 48비트로 전송하기 위해 전체 72비트 중에서 24비트를 펑처링(puncturing) 하여야 하며, 이때 최적화한 패턴 중 하나의 패턴은 다음과 같다. 다음은 최상의 성능을 나타내는 최적화한 펑처리 패턴(puncturing pattern)중 하나는 다음과 같다.
1x1x1xx11x1xx1x1x1xx1x11111111111111111111111111111x1xx1x1x1xx1x11xx1x1x
여기서 x는 펑처링(puncturing)된 비트를 나타낸 것이다.
마지막으로 21비트의 정보비트에 CRC 8 비트, 컨벌루셔널 부호화기 테일(encoder tail) 8비트의 총 37 비트를 1/2 컨벌루셔널 부호화(convolutional coding)를 사용하여 1 슬롯(slot)에 전송할 경우, 우선 총 37 비트를 1/2 컨벌루셔널 부호화하여 (convolutional) 74비트의 부호화된 비트(coded bit)를 만들어지고, 이를 1 슬롯(slot) 길이 즉 48비트로 전송하기 위해 전체 74비트 중에서 26비트를 펑처링(puncturing) 하여야 하며, 이때 최적화한 패턴 중 하나의 패턴은 다음과 같다.
1x1x1xx1x1xx11x11x11x11x11x11x111111111111111x11x11x11x11x11x11xx1x1xx1x1x
여기서 x는 펑처링(puncturing)된 비트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이 18내지 21비트의 정보비트에 CRC 8비트 및 컨벌루셔널 부호화기 테일 8비트를 1/2의 컨벌루셔널 부호화하여 68, 70, 72 및 74의 부호하된 비트(coded bit)로 만든 후 이를 한 슬롯으로 전송하기 위하여 펑처링하여 할 때 시작부분과 종료부분 사이의 펑처링되지 않는 부분을 정중앙부분이라 하였을 때 정중앙부분의 양끝단에서 한 슬롯의 양끝단으로는 대칭적으로 펑처링되고, 시작부분의 첫 번째 부호화된 비트는 펑처링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호비트의 펑처링을 에러 발생 가능성이 적은 부호 비트 부분에 대하여 집중적인 펑처링을 하고, 에러 발생 가능성이 적은 부호 비트 부분에 대하여는 펑처링하지 않음으로써 전송 전력을 낮추더라도 에러(Frame Error Rate) 발생 가능성이 낮아진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순방향 채널 중 하나인 SPDCCH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컨벌루셔널 부호화를 이용하는 모든 전송채널에서 이용할 수 있으며,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 부호 비트의 펑처링 방법은 컨벌루셔널 부호화된 비트를 펑처링할때 컨벌루셔널 부호화의 특성상 부호화된 비트의 시작부분과 종료부분은 에러 발생 확률이 적으므로 한 슬롯으로 전송되는 부호화된 비트의 시작부분과 종료부분에 집중적으로 펑처링 함으로써, 송신 및 수신시 프레임 에러율을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전송전력 역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컨벌루션 부호화를 이용하는 송신 시스템에 있어서,
    부호화된 복수의 부호 비트들 중 한 슬롯에 전송될 부호 비트들에 대하여 상기 부호 비트들의 정중앙에서부터 양쪽으로 대칭적으로 펑처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 비트 펑처링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펑처링된 펑처링 패턴 중 첫 번째 부호 비트는 펑처링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 비트 펑처링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펑처링은 상기 컨벌루션 부호화된 부호비트들을 심볼 반복기에서 반복한 부호비트들을 펑처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 비트 펑처링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비트들의 정중앙에서 양쪽으로 대칭적으로 펑처링하는 경우에 상기 한 슬롯의 중앙부분에 위치하는 부호 비트들에 대하여는 펑처링양을 감소시키고, 상기 감소된 양만큼의 펑처링을 상기 중앙부분 양쪽의 부호비트들에 증가시켜 펑처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 비트 펑처링 방법.
  5. 컨벌루션 부호화하는 음성 및 패킷 데이터를 송신하는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입력된 패팃 데이터 제어 채널의 제어 신호를 컨벌루션 부호화하는 단계와;
    상기 부호화된 복수의 부호 비트들 중 한 슬롯에 전송될 부호 비트들에 대하여 상기 부호비트의 정중앙에서부터 양쪽으로 대칭적으로 펑처링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 비트 펑처링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펑처링된 부호 비트 패턴이 68비트의 부호화된 비트(coded bit)인 경우에 48비트의 한 슬롯으로 전송하기 위해, 펑처링되는 비트를 x라 할때,
    1x1x1xx1x1x11x11x11x11x11111111111111111111111x11x11x11x11x1x1xx1x1x
    의 펑처링 패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 비트 펑처링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펑처링된 부호 비트 패턴이 70비트의 부호화된 비트(coded bit)인 경우에 48비트의 한 슬롯으로 전송하기 위해, 펑처링되는 비트를 x로 표시하면,
    1x1x1xx1x1x1x11x11x11x11x111111111111111111111x11x11x11x11x1x1x1xx1x1x
    의 펑처링 패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 비트 펑처링 방법.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펑처링된 부호 비트 패턴이 72비트의 부호화된 비트(coded bit)인 경우에 48비트의 한 슬롯으로 전송하기 위해, 펑처링되는 비트를 x로 표시하면,
    1x1x1xx11x1xx1x1x1xx1x11111111111111111111111111111x1xx1x1x1xx1x11xx1x1x
    의 펑처링 패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 비트 펑처링 방법.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펑처링된 부호 비트 패턴이 74비트의 부호화된 비트(coded bit)인 경우에 48비트의 한 슬롯으로 전송하기 위해, 펑처링되는 비트를 x로 표시하면,
    1x1x1xx1x1xx11x11x11x11x11x11x111111111111111x11x11x11x11x11x11xx1x1xx1x1x
    의 펑처링패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 비트 펑처링 방법.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비트들의 정중앙에서 양쪽으로 대칭적으로 펑처링하는 경우에 상기 한 슬롯의 중앙부분에 위치하는 부호 비트들에 대하여는 펑처링양을 감소시키고, 상기 감소된만큼의 펑처링을 상기 중앙부분 양쪽의 부호비트들에 증가시켜 펑처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 비트 펑처링 방법.
KR1020010068628A 2001-11-05 2001-11-05 부호 비트 펑처링 방법 KR1008304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8628A KR100830492B1 (ko) 2001-11-05 2001-11-05 부호 비트 펑처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8628A KR100830492B1 (ko) 2001-11-05 2001-11-05 부호 비트 펑처링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7769A true KR20030037769A (ko) 2003-05-16
KR100830492B1 KR100830492B1 (ko) 2008-05-21

Family

ID=29568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8628A KR100830492B1 (ko) 2001-11-05 2001-11-05 부호 비트 펑처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0492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71309B2 (ja) * 1995-06-27 2003-01-27 ソニー株式会社 符号分割多重化送信装置、符号分割多重化受信装置及び符号分割多重化送受信システム
US6553540B1 (en) * 1998-12-07 2003-04-2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Efficient system and method for forward error correction
KR20000067738A (ko) * 1999-04-14 2000-11-25 서평원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코드의 레이트 매칭 방법
KR100357868B1 (ko) * 1999-07-06 2002-10-25 삼성전자 주식회사 데이터 통신시스템의 전송율 정합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0492B1 (ko) 2008-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12102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канального кодирования для согласования скорости передачи
US6199190B1 (en) Convolution decoding terminated by an error detection block code with distributed parity bits
US7085991B2 (en) Mobile station and method to transmit data word using an unused portion of a slot by interleaving the data word with a signalling word
EP2134038B1 (en) Method for improving TFCI transportation performance
KR100554322B1 (ko) 복수의 코딩 버스트내에 배치된 crc 비트에 의해 종료 상태가결정되는 컨벌루셔널 디코딩
US7266752B2 (en) Method of configuring transmiss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547516B1 (ko) 이동 통신 네트워크에서 시그널링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
US8214728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early decoding in communication systems
HK1083575A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providing optimal bit protection against transmission errors
US700304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rror correction
US638575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uncturing a convolutionally encoded bit stream
US798741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ncoding a control channe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0536349C (zh) 级联式信道编码的方法和设备
US20080209302A1 (en) System and method for f-scch and r-odcch performance improvement
RU2258306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кодирования /декодирования в системе связи
WO2010089835A1 (ja) 無線通信装置
KR100830492B1 (ko) 부호 비트 펑처링 방법
KR20010018890A (ko) 병렬 펑쳐링 알고리즘의 파라미터 최적화 방법
KR100880630B1 (ko) 통신 시스템에서의 전송 체인 및 그를 이용한 물리 채널포맷 전송 방법 및 검출 방법
KR100830456B1 (ko) 물리채널 전송 포맷 스크램블링 방법 및 물리채널 전송포맷 정보 전송 장치
KR100869501B1 (ko) 물리채널 전송 포맷 검출 방법
KR100237392B1 (ko) 무선 채널에서의 파일럿 심볼 변조방법
KR100407328B1 (ko) 이동통신시스템의채널부호화장치및방법
KR20010001873A (ko) 터보 펑쳐링의 성능 개선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