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7531A - 교환기의 디아이디 국선에 대한 발신자 정보 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교환기의 디아이디 국선에 대한 발신자 정보 표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7531A
KR20030037531A KR1020010068753A KR20010068753A KR20030037531A KR 20030037531 A KR20030037531 A KR 20030037531A KR 1020010068753 A KR1020010068753 A KR 1020010068753A KR 20010068753 A KR20010068753 A KR 20010068753A KR 20030037531 A KR20030037531 A KR 200300375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criber
exchange
trunk line
caller information
local ex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8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79797B1 (ko
Inventor
길태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687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9797B1/ko
Publication of KR20030037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75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97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97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72Finding out and indicating number of calling subscrib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025Calling or Called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34Calling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42Notifying the called party of information on the calling par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314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in private branch exchanges
    • H04M3/42331Direct inward di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286Direct inward dialling [PB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ub-Exchange Stations And Push- Button Tele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국설 교환기에서 DID(Direct In Dialing) 국선을 사용하는 가입자에 대한 발신자 정보를 실제 가입자 번호로 인식되는 DID 수신번호로 표시해 주도록 한 교환기의 DID 국선에 대한 발신자 정보 표시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DID 국선의 특성상 발신번호와 수신번호를 서로 다르게 사용하기 때문에 국설 교환기에서 가입자에게 제공하는 발신자 정보인 DID 발신번호는 실제 DID 국선을 점유한 사설 교환기 측의 가입자 번호로 인식되는 DID 수신번호가 아니므로 신뢰성있는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설 교환기에서 외부 가입자를 호출하기 위해 점유한 DID 발신 국선에 대응하는 DID 수신번호를 국설 교환기 측으로 송출하고, 해당 국설 교환기에서 이를 검출하여 발신자 정보로 사용함으로써, 실제 DID 발신 국선을 점유한 사설 교환기 측의 가입자 번호로 인식되는 DID 수신번호를 발신자 정보로 가입자에게 표시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신뢰성있는 발신자 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교환기의 디아이디 국선에 대한 발신자 정보 표시 방법{Caller Identifier Display Method For DID Office Line In Exchange System}
본 발명은 발신자 정보 표시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국설 교환기에서DID(Direct In Dialing) 국선을 사용하는 가입자에 대한 발신자 정보를 실제 가입자 번호로 인식되는 DID 수신번호로 표시해 주도록 한 교환기의 DID 국선에 대한 발신자 정보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서비스가 개시된 발신자 정보(Caller ID) 표시 서비스는 전화를 받을 사람(수신자)이 전화를 거는 사람(발신자)의 신원을 미리 확인하여 수신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통화 개시전에 발신자의 전화번호나 이름을 착신자의 단말기에 표시해 주는 서비스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는 일방적으로 통화를 강요받는 불평등을 개선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발신자의 이름과 전화번호를 알 수 있어 장난 전화나 음성폭력 전화, 전화 스토커, 전화를 이용한 무차별적이고 다발적인 음성광고나 여론조사 등을 방지할 수 있고, 불필요한 전화의 수신을 거부할 수 있도록 하며, 부재중 수신되는 발신자 정보는 자동 응답 기능을 대체할 수 있다.
그리고, 사설 교환기는 국설 교환기와 라인 접속을 통하여 외부 국선 호에 대하여 신호 처리를 수행하며, 이때 가입자와 단말기 및 교환기 사이에 또는 교환기와 교환기 사이에는 서로의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소정의 주파수 신호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사설 교환기에서는 DID(Direct In Dialing) 국선을 수용하여 국설 교환기의 외부 가입자가 내선번호까지 직접 다이얼하는 방식으로 안내대를 거치지 않고 내선 가입자를 호출하여 통화하고, 또한 내선 가입자는 DID 국선을 직접 점유하여 외부 가입자와 통화할 수 있는데, 이 경우 DID 국선번호는 발신번호와 수신번호가 서로 다르게 사용되므로 종래의 발신자 정보 표시 방법에 따르면 내선 가입자는 자신을 호출하는 발신자 정보를 정확히 서비스받을 수 있지만, 외부 가입자의 경우 DID 국선을 사용하는 내선 가입자에 대해서 정확한 발신자 정보를 서비스받지 못하게 된다.
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DID 국선을 사용하는 사설 교환기와 국설 교환기가 연동하는 구조 및 내부 구성은 첨부된 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데, 여기서, 사설 교환기(10)는 내선 가입자를 접속하는 가입자 접속부(11)와, 내선 가입자나 국설 교환기(20)에 대해 각종 톤 신호를 발생시켜 주는 톤 발생부(12)와, 국설 교환기(20)와 연결된 DID 국선을 접속하는 DID 접속부(13) 및 교환기 전체적인 기능을 제어하는 중앙 제어부(14)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국설 교환기(20)는 국선 가입자인 외부 가입자를 접속하는 가입자 접속부(21)와, 사설 교환기(10)와 연결된 DID 국선을 접속하는 DID 접속부(22)와, 해당 DID 접속부(22)를 통해 DID 국선을 점유하여 발신 시도하는 사설 교환기(10)의 DID 발신번호를 수집하는 발신자 번호 인식부(23)와, 사설 교환기(10)와 연결된 DID 국선의 각종 톤 신호를 검출하는 톤 검출부(24)와, 교환기 전체적인 기능을 제어하는 중앙 제어부(25)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DID 국선을 통해 사설 교환기(10)를 연결하고 있는 국설 교환기(20)의 DID 국선에 대한 발신자 정보 표시 동작을 첨부된 도면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설 교환기(10)의 가입자 접속부(11)에 연결된 가입자 B가 DID 국선을 사용하여 가입자 A와 통화하고자 하는 경우 사설 교환기(10)의 중앙 제어부(14)는 DID 접속부(13)를 제어하여 국설 교환기(20)와 연결된 DID 국선 중에서 발신용으로 사용되는 DID 발신 국선을 점유한 후(스텝 S21), 톤 발생부(12)를 제어하여 가입자 B에게 다이얼톤(Dial tone)을 송출해 주게 되며(스텝 S22), 가입자 B는 자신이 통화하고자 하는 가입자 A의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게 된다(스텝 S23).
이때, 사설 교환기(10)의 중앙 제어부(14)는 톤 발생부(12)를 제어하여 가입자 B가 점유한 DID 발신 국선에 대응하는 DID 발신번호를 포함하는 발신자 정보를 국설 교환기(20) 측으로 송출하는 한편, 가입자 B에 의해 다이얼링된 착신번호인 가입자 A의 전화번호를 현재 점유한 DID 발신 국선을 통해 국설 교환기(20) 측으로 송출하게 된다(스텝 S24).
그러면, 국설 교환기(20)의 중앙 제어부(25)는 톤 검출부(24)를 제어하여 DID 접속부(22)에 연결된 DID 발신 국선을 통해 사설 교환기(10) 측으로부터 송출되는 착신번호를 검출하여 가입자 A를 호출하고자 함을 인식하는 한편, 발신자 번호 인식부(23)를 통해 현재 가입자 A를 호출하고자 하는 사설 교환기(10) 측의 가입자 B에 대한 발신자 정보를 검출하게 되는데(스텝 S25), 이때 발신자 번호 인식부(23)는 가입자 A를 호출하고자 하는 사설 교환기(10)로부터 송출되는 DID 발신번호를 톤 검출부(24)를 통해 검출한 후에 이를 중앙 제어부(25)에 발신자 정보로 보고하게 된다.
이에, 중앙 제어부(25)에서는 가입자 접속부(21)를 통해 가입자 A의 단말기에 링 신호를 송출함과 동시에 발신자 번호 인식부(23)로부터 보고되는 발신자 정보 즉, DID 발신번호를 표시해 주게 된다(스텝 S26).
그런데, 전술한 DID 국선에 대한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의 경우 DID 국선이 발신용과 수신용을 구분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사설 교환기(10) 측의 가입자 B는 DID 발신 국선을 점유하게 되고, 이로 인해 국설 교환기(20) 측에서 표시해 주는 발신자 정보는 실제 가입자 B의 전화번호로 인식되는 DID 수신번호가 아닌 DID 발신번호를 가입자 A의 단말기에 표시해 주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DID 국선에 대한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의 경우 DID 국선의 특성상 발신번호와 수신번호를 서로 다르게 사용하기 때문에 국설 교환기에서 가입자에게 제공하는 발신자 정보인 DID 발신번호는 실제 DID 국선을 점유한 사설 교환기 측의 가입자 번호로 인식되는 DID 수신번호가 아니므로 신뢰성있는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사설 교환기에서 외부 가입자를 호출하기 위해 점유한 DID 발신 국선에 대응하는 DID 수신번호를 국설 교환기 측으로 송출하고, 해당 국설 교환기에서 이를 검출하여 발신자 정보로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실제 DID 발신 국선을 점유한 사설 교환기 측의 가입자 번호로 인식되는 DID 수신번호를 발신자 정보로 표시하여 신뢰성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DID 국선을 사용하는 사설 교환기와 국설 교환기의 연동 구조 및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 국설 교환기의 DID 국선에 대한 발신자 정보 표시 동작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국설 교환기의 DID 국선에 대한 발신자 정보 표시 동작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사설 교환기 11, 21 : 가입자 접속부
12 : 톤 발생부 13, 22 : DID 접속부
14, 25 : 중앙 제어부 20 : 국설 교환기
23 : 발신자 번호 인식부 24 : 톤 검출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사설 교환기에서 DID 발신 국선을 점유하는 내선 가입자의 전화번호인 DID 수신번호를 국설 교환기 측으로 송출한 후에 상기 내선 가입자에게 다이얼톤을 송출하는 과정과; 상기 내선 가입자로부터 현재 호출하고자 하는 국설 교환기 가입자 전화번호를 입력받아 상기 DID 발신 국선을 통해 국설 교환기 측으로 송출하는 과정과; 상기 국설 교환기에서 DID 발신 국선을 통해 송출되는 DID 수신번호를 발신자 정보로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DID 발신 국선을 점유한 내선 가입자가 호출하고자 하는 국설 교환기 가입자의 단말기에 링 신호를 송출함과 동시에 상기 발신자 정보로 검출한 DID 수신번호를 표시해 주는 과정을 포함하는 교환기의 디아이디 국선에 대한 발신자 정보 표시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여기서, 상기 국설 교환기 측으로 송출하는 DID 수신번호는, DID 발신 국선을 점유한 내선 가입자가 사용하는 DID 수신번호로서, DID 수신번호의 종료를 나타내는 종료 신호와 함께 DTMF 형태로 송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국설 교환기 가입자의 단말기에 DID 수신번호를 표시해 주는 과정은, 내선 가입자가 호출하고자 하는 국설 교환기 가입자가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에 등록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국설 교환기 가입자가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에 등록되지 않은 경우 링 신호만을 송출하고,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에 등록된 경우 링 신호를 송출함과 동시에 해당되는 DID 수신번호를 발신자 정보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국설 교환기의 DID 국선에 대한 발신자 정보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설 교환기와 국설 교환기의 연동 구조 및 내부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사설 교환기(10)의 중앙 제어부(14)는 DID 발신 국선을 점유하게 되면 톤 발생부(12)를 제어하여 DID 발신 국선을 점유한 내선 가입자의 전화번호인 DID 수신번호를 포함하는 발신자 정보를 국설 교환기(20) 측으로 송출한 후에 내선 가입자에게 다이얼톤을 송출하여 착신번호를 입력받아 국설 교환기(20) 측으로 송출하게 되며, 국설 교환기(20)의 중앙 제어부(25)는 발신자 번호 인식부(23)를 통해 사설 교환기(10) 측의 가입자 B에 대한 발신자 정보인 DID 수신번호를 검출하여 해당되는 가입자 단말기에 표시해 주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국설 교환기의 DID 국선에 대한 발신자 정보 표시 동작을 첨부한 도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설 교환기(10)의 가입자 접속부(11)에 연결된 가입자 B가 DID 국선을 사용하여 가입자 A와 통화하고자 하는 경우 사설 교환기(10)의 중앙 제어부(14)는 DID 접속부(13)를 제어하여 국설 교환기(20)와 연결된 DID 국선 중에서 발신용으로 사용되는 DID 발신 국선을 점유하게 되고(스텝 S31), 이때 가입자 B에게 다이얼톤을 송출하기 전에 톤 발생부(12)를 제어하여 가입자 B가 사용하는 DID 수신번호와 정해진 종료신호를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 형태로 DID 접속부(13)를 통해 국설 교환기(20) 측으로 송출하게 된다(스텝 S32).
그리고, 해당 사설 교환기(10)의 중앙 제어부(14)가 가입자 접속부(11)를 통해 가입자 B에게 다이얼톤을 송출하게 되면(스텝 S33), 가입자 B는 자신이 통화하고자 하는 가입자 A의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게 되고(스텝 S34), 이에 중앙 제어부(14)는 가입자 B에 의해 다이얼링된 착신번호인 가입자 A의 전화번호를 현재 점유한 DID 발신 국선을 통해 국설 교환기(20) 측으로 송출하게 된다(스텝 S35).
이때, 국설 교환기(20)의 중앙 제어부(25)는 사설 교환기(10) 측에서 DID 발신 국선을 점유하고 있음을 인지한 상태에서 발신자 번호 인식부(23)를 사설 교환기(10)로부터 송출되는 DTMF 신호와 종료신호를 검출하여 발신자 정보로 보고받는 한편, 톤 검출부(24)를 제어하여 DID 접속부(22)에 연결된 DID 발신 국선을 통해 사설 교환기(10) 측으로부터 송출되는 착신번호를 검출하여 가입자 A를 호출하고자 함을 인지하게 되면(스텝 S36), 가입자 접속부(21)를 통해 가입자 A의 단말기에 링 신호를 송출함과 동시에 발신자 번호 인식부(23)로부터 보고받은 발신자 정보 즉, 실제 가입자 B의 전화번호로 인식되는 DID 수신번호를 표시해 주게 된다(스텝 S37).
한편으로, 상술한 국설 교환기(20)의 DID 국선에 대한 발신자 정보 표시 동작에 있어서, 해당 국설 교환기(20)의 중앙 제어부(25)는 DID 발신 국선을 점유하여 호출하고자 하는 가입자 A가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에 등록되어 있는지를 확인하여,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에 등록되지 않은 경우에는 링 신호만을 송출하고,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에 등록된 경우에만 해당되는 DID 수신번호를 발신자 정보로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DID 국선에 대한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의 경우 DID 국선의 특성상 발신번호와 수신번호를 서로 다르게 사용하더라도 사설 교환기에서 DID 발신 국선에 대응하는 DID 수신번호를 국설 교환기 측으로 송출해 줌으로써, 해당 국설 교환기에서 실제 DID 국선을 점유한 사설 교환기 측의 가입자 번호로 인식되는 DID 수신번호를 가입자에게 발신자 정보로 표시해 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상술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과 관련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한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의 대안, 수정 및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사설 교환기에서 외부 가입자를 호출하기 위해 점유한 DID 발신 국선에 대응하는 DID 수신번호를 국설 교환기 측으로 송출하고, 해당 국설 교환기에서 이를 검출하여 발신자 정보로 사용함으로써, 실제 DID 발신 국선을 점유한 사설 교환기 측의 가입자 번호로 인식되는 DID 수신번호를 발신자 정보로 가입자에게 표시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신뢰성있는 발신자 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사설 교환기에서 DID 발신 국선을 점유하는 내선 가입자의 전화번호인 DID 수신번호를 국설 교환기 측으로 송출한 후에 상기 내선 가입자에게 다이얼톤을 송출하는 과정과;
    상기 내선 가입자로부터 현재 호출하고자 하는 국설 교환기 가입자 전화번호를 입력받아 상기 DID 발신 국선을 통해 국설 교환기 측으로 송출하는 과정과;
    상기 국설 교환기에서 DID 발신 국선을 통해 송출되는 DID 수신번호를 발신자 정보로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DID 발신 국선을 점유한 내선 가입자가 호출하고자 하는 국설 교환기 가입자의 단말기에 링 신호를 송출함과 동시에 상기 발신자 정보로 검출한 DID 수신번호를 표시해 주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기의 디아이디 국선에 대한 발신자 정보 표시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국설 교환기 측으로 송출하는 DID 수신번호는, DID 발신 국선을 점유한 내선 가입자가 사용하는 DID 수신번호로서, DID 수신번호의 종료를 나타내는 종료 신호와 함께 DTMF 형태로 송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기의 디아이디 국선에 대한 발신자 정보 표시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국설 교환기 가입자의 단말기에 DID 수신번호를 표시해 주는 과정은, 내선 가입자가 호출하고자 하는 국설 교환기 가입자가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에 등록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국설 교환기 가입자가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에 등록되지 않은 경우 링 신호만을 송출하고,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에 등록된 경우 링 신호를 송출함과 동시에 해당되는 DID 수신번호를 발신자 정보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기의 디아이디 국선에 대한 발신자 정보 표시 방법.
KR1020010068753A 2001-11-06 2001-11-06 교환기의 디아이디 국선에 대한 발신자 정보 표시 방법 KR1007797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8753A KR100779797B1 (ko) 2001-11-06 2001-11-06 교환기의 디아이디 국선에 대한 발신자 정보 표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8753A KR100779797B1 (ko) 2001-11-06 2001-11-06 교환기의 디아이디 국선에 대한 발신자 정보 표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7531A true KR20030037531A (ko) 2003-05-14
KR100779797B1 KR100779797B1 (ko) 2007-11-27

Family

ID=29568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8753A KR100779797B1 (ko) 2001-11-06 2001-11-06 교환기의 디아이디 국선에 대한 발신자 정보 표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97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438Y1 (ko) * 2008-04-02 2010-07-09 백인선 다중자크 및 이를 구비한 의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0852B1 (ko) * 1992-03-13 1994-11-17 한국전기통신공사 발신자 전화번호 확인장치 및 그 확인방법
KR100218882B1 (ko) * 1995-05-08 1999-09-01 서평원 전자 교환기의 발신자 전화번호 통보방법
KR0164371B1 (ko) * 1995-05-10 1999-02-01 김광호 교환시스템에서 발신자번호 국선 서비스방법
KR960043941A (ko) * 1995-05-24 1996-12-23 김광호 발신자번호 표시방법
KR100469742B1 (ko) * 1997-12-29 2005-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설 교환시스템에서 디아디 기능을 이용한 디자 전용 국선설정 방법
KR20000044506A (ko) * 1998-12-30 2000-07-15 윤종용 이동전화 교환망에서 발신자정보 서비스방법
KR20020070546A (ko) * 2001-02-28 2002-09-10 삼성전자 주식회사 사설교환기의 발신자 번호 표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438Y1 (ko) * 2008-04-02 2010-07-09 백인선 다중자크 및 이를 구비한 의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9797B1 (ko) 2007-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92254B1 (en) Personal portable apparatus for use in completing a telephone call
US7020488B1 (en) Communications unit, system and methods for providing multiple access to a wireless transceiver
US814485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progress call forwarding
US20040008636A1 (en)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KR20040009649A (ko) 듀얼 ip 폰 및 이를 이용한 통화 방법
US6882719B2 (en) Method for providing outgoing call reservation service in exchange system
US5781625A (en) System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within the premises a dial tone for enhanced phone services
KR100779797B1 (ko) 교환기의 디아이디 국선에 대한 발신자 정보 표시 방법
KR100351643B1 (ko) 통신 단말기의 발신자 정보 전송장치 및 방법
US6526132B2 (en) Bi-directional CID service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JP2523573B2 (ja) 電話装置
KR100202146B1 (ko) R2mfc신호를 이용한 사설교환망 및 그 운용방법
KR100329459B1 (ko) 사설교환기에서 상대방 정보 표시방법
KR100208179B1 (ko) 국선 교환기의 통화중 메시지 전달방법
WO2002013496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grammed call back
KR100285716B1 (ko) 교환기에서아날로그가입자를위한발신번전송방법
KR100469742B1 (ko) 사설 교환시스템에서 디아디 기능을 이용한 디자 전용 국선설정 방법
KR100402676B1 (ko)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아날로그 가입자용 정합 장치
KR970004825B1 (ko) 국제통신 콜링(calling) 제어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9990012342A (ko) 자동응답기능을 갖는 단말장치에서 발신자 식별정보를 이용한 아웃고잉 메시지 선택송출방법
KR100402677B1 (ko)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아날로그가입자용 접속장치
KR100602627B1 (ko) 사설 교환기에서 내선 전환방법
KR100247178B1 (ko) 교환기에서 착신호와 발신호의 충돌을 방지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539909B1 (ko) 사설 교환시스템에서 디사 라인을 통한 음성 다이얼링 방법
KR19980061510A (ko) 상대방 통화해제 후 사용자의 메세지를 자동전송해주는 서비스가 부가된 교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