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5692A - Caption repeat player and method of reproducing caption data - Google Patents

Caption repeat player and method of reproducing caption dat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5692A
KR20030035692A KR1020010068108A KR20010068108A KR20030035692A KR 20030035692 A KR20030035692 A KR 20030035692A KR 1020010068108 A KR1020010068108 A KR 1020010068108A KR 20010068108 A KR20010068108 A KR 20010068108A KR 20030035692 A KR20030035692 A KR 200300356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marking
caption
repetition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81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황문섭
Original Assignee
황문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문섭 filed Critical 황문섭
Priority to KR10200100681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35692A/en
Publication of KR20030035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5692A/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05Reproducing at a different information rate from the information rate of recording
    • G11B27/007Reproducing at a different information rate from the information rate of recording reproducing continuously a part of the information, i.e. repeat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07Time or data compression or expansion
    • G11B2020/00014Time or data compression or expansion the compressed signal being an audio signal
    • G11B2020/00057MPEG-1 or MPEG-2 audio layer III [MP3]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PURPOSE: An audio data repeat player and a method for reproducing data thereof are provided to listen to a preliminarily marked part while maintaining high sound quality and high capacity of an MP3 file. CONSTITUTION: A memory stores an MP3 file downloaded from a communication network(S81). It is judged whether a caption file exists in the MP3 file(S82). If so, preliminarily marked data is extracted(S83). A wave window and a caption window are output to display the caption data and the extracted marked data(S84). It is judged whether a user wants to edit the marked data to the caption data(S85). The user edits the marked data(S86). The caption data having the edited marked data is reproduced(S87). The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and the edition state information are stored at the memory(S90). The caption file is returned to the initial position and is reproduced until the caption file reaches the current position(S92). It is judged whether the user wants to edit the marked data(S93). The user edits the marked data(S88). The edited data is stored at the memory(S89).

Description

오디오 데이터 리피트 플레이어 및 그의 재생 방법{CAPTION REPEAT PLAYER AND METHOD OF REPRODUCING CAPTION DATA}Audio data repeat player and its playback method {CAPTION REPEAT PLAYER AND METHOD OF REPRODUCING CAPTION DATA}

본 발명은 데이터 플레이어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반복적 데이터 재생이 가능한 어학 학습용 플레이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ta play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language learning player capable of repetitive data reproduction.

통상, MP3 플레이어는 MP3 파일을 인터넷을 통해 다운받아 플래쉬 메모리 칩에 저장한 뒤, 그것을 재생시키는 기기를 의미한다. 다른 예로서, 인터넷을 통해 다운받은 MP3 파일을 CD에 저장하고, 이를 인식하여 재생할 수 있는 CDMP3 플레이어가 있다. 이들 플레이어에 이용되는, 예를 들면 어학 학습용 MP3 파일에는 해당 언어에 대응하는 캡션 데이터, 저작권 정보 등의 다양한 데이터가 수록되어 있다. 그러나, 현재, 이러한 MP3 파일에 수록된 캡션 데이터에서의 단어, 문장, 문단 등은 저작권을 갖는 제작사에 의해서 하드웨어적으로 사전에 설정되어 있는 반복 단위로 재생된다. 이 때문에,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부분을 임의대로 설정할 수 없어, 어학 학습 효율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었다.In general, an MP3 player refers to a device that downloads an MP3 file through the Internet, stores it in a flash memory chip, and plays the MP3 file. As another example, there is a CDMP3 player that can store MP3 files downloaded through the Internet, recognize them, and play them. For example, the MP3 file for language learning used in these players contains various data such as caption data and copyrigh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anguage. However, at present, words, sentences, paragraphs, and the like in caption data contained in such MP3 files are reproduced in repeating units which are preset in hardware by a copyrighted manufacturer. For this reason, the user cannot set the desired part arbitrarily, and there existed a problem that language learning efficiency fell.

따라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MP3 파일에 수록된 캡션 데이터의 반복 재생을 사용자 임의대로 설정함으로써, 어학 학습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어학 학습용 리피트 플레이어 및 그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 mai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peat player for language learning and a method thereof, by which repetitive reproduction of caption data contained in an MP3 file can be arbitrarily set by a user, thereby improving the language learning efficienc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어학 학습용 리피트 플레이어의 하드웨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모식도.1 is a schematic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hardware configuration of a repeat player for language learn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5는, 도 1의 메모리에 저장된 MP3 파일의 포맷 구조를 설명하는 모식도.2 to 5 are schematic diagrams illustrating a format structure of an MP3 file stored in the memory of FIG. 1.

도 6 및 도 7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마킹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6 and 7 are flowcharts for explaining a marking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메모리10: memory

20: 제어키20: control key

30: 콘트롤러30: controller

40: 디코더40: decoder

50: DAC50: DAC

70: 통신 포트70: communication port

90: 마킹 프레임90: marking frame

91-1, 91-2, 91-3: 마킹 데이터 레코드91-1, 91-2, 91-3: Marking data records

92: 마킹 필드92: marking field

93: 타임 필드93: time fiel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압축 오디오 데이터의 반복 재생 기능을 갖는 데이터 리피트 플레이어에 있어서, 압축 오디오 데이터 및 그와 연관된 마킹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마킹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한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추출된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디코딩하고, 상기 마킹 데이터와 동기하여 상기 디코드된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는 디코더를 포함하며, 상기 마킹 데이터는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반복 재생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리피트 플레이어가 제공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ata repeat player having a repetitive reproduction function of compressed audio data, comprising: a memory for storing compressed audio data and associated marking data; A controller for storing the audio data and extracting the marking data from the memory, a decoder for decoding the audio data extracted from the controller into an analog audio signal and reproducing the decoded audio signal in synchronization with the marking data. And the marking data controls a repetitive reproduction of the audio data.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를 가지며, 압축 오디오 데이터의 반복 재생 기능을 갖는 데이터 리피트 플레이어의 재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압축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단계와, 상기 재생되는 오디오 데이터에 삽입된 캡션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캡션 데이터와 관련하여 사전에 삽입된 마킹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된 마킹 데이터에 대하여 마킹 편집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캡션 데이터와 상기 편집된 마킹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캡션 데이터의 재생을 상기 수정된 마킹 데이터와 동기하여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마킹 데이터는 상기 캡션 데이터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반복 구간이 지정된 데이터인 재생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reproducing a data repeat player having a memory and having a repetitive reproduction function of compressed audio data, the method comprising: reproducing the compressed audio data; and a caption inserted into the reproduced audio data. Extracting data, extracting marking data previously inserted in relation to the caption data, performing marking editing on the extracted marking data, and extracting the caption data and the edited marking data. Storing the caption data stored in the memory in synchronism with the modified marking data, wherein the marking data includes data in which at least one repetition section is designated in the caption data. A phosphorus recycling method is provide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어학 학습용 리피트 플레이어의 하드웨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모식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hardware configuration of a repeat player for language learn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학 학습용 리피트 플레이어(100)는 메모리(10), 제어기(20), 콘트롤러(30), 디코더(40),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AC)(50), 스피커(60) 및 통신 포트(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메모리(10)는 예를 들면 통상의 압축 데이터(예를 들면 MP3 파일)를 비롯하여 본 발명에 의해서 생성된 마킹 프레임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으로, CD, CD-RW, MD, 플래쉬 메모리, MMC 또는 SMC,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0)에 저장된 MP3 파일의 포맷 구조에 대해서는,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As shown in FIG. 1, the repeat player 100 for language learning includes a memory 10, a controller 20, a controller 30, a decoder 40, a digital-to-analog converter (DAC) 50, and a speaker 60. And a communication port 70. The memory 10 stores marking frame data generated by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for example, ordinary compressed data (for example, an MP3 file), and includes a CD, CD-RW, MD, flash memory, MMC or SMC, Or a combination thereof. The format structure of the MP3 file stored in the memory 1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5 below.

제어키(20)는 본 발명의 어학 학습 반복 기능을 수행하는 데에 이용되는 것으로, 복수의 키(도시하지 않음)를 갖는다. 콘트롤러(30)는 본 발명의 어학 학습용 리피트 플레이어의 각 구성 요소를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서, 본 발명에 의해서 생성된 마킹 프레임 데이터를 갖는 MP3 데이터를 메모리(10)에 저장하거나, 메모리(10)로부터 해당 MP3 데이터를 추출하여 디코더(40)에 MPEG 비트 스트림으로 전송한다. 디코더(40)는 콘트롤러(30)로부터 전송된 MPEG 비트 스트림을 디코딩하여 디지털 오디오/비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AC)(50)에 전송한다. DAC(50)는 디코더(40)로부터 전송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내장된 증폭기(도시하지 않음)를 통해서 증폭하여, 증폭된 아날로그 신호를 스피커(60)에 전송한다. 통신 포트(70)는 퍼스널 컴퓨터 등의 외부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하여 마련된다.The control key 20 is used to perform the language learning repetition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as a plurality of keys (not shown). The controller 30 is a microprocessor for controlling each component of the language learning repeat p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tores MP3 data having marking frame data generated by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emory 10 or from the memory 10. The MP3 data is extracted and transmitted to the decoder 40 as an MPEG bit stream. The decoder 40 decodes the MPEG bit stream transmitted from the controller 30, converts the MPEG bit stream into a digital audio / video signal, and transmits the same to the digital-to-analog converter (DAC) 50. The DAC 50 converts the digita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decoder 40 into an analog signal and amplifies it through an integrated amplifier (not shown), and transmits the amplified analog signal to the speaker 60. The communication port 70 is provided for interfacing with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personal computer.

도 2 내지 도 5는 도 1의 메모리(10)에 저장된 MP3 파일의 포맷 구조를 설명하는 모식도이다.2 to 5 are schematic diagrams illustrating a format structure of an MP3 file stored in the memory 10 of FIG. 1.

도 2에 있어서, MP3 데이터(80)는 통상의 압축 방식으로 압축된 데이터이며, 마킹 프레임(90)은 본 발명에 의해서 생성된 것으로, MP3 데이터에 포함된 캡션 데이터에 대하여 사용자가 지정한 반복 마킹 표시가 수록된 데이터이다. 즉, 마킹 프레임(90)은 MP3 데이터의 총 재생 시간이나 크기에 대응하여 일정 구간에서 캡션 데이터가 반복할 수 있도록 하는 반복 마킹 데이터가 저장된 영역이다.In FIG. 2, the MP3 data 80 is data compressed by a conventional compression method, and the marking frame 90 is generated by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repetitive marking indication designated by the user with respect to the caption data included in the MP3 data is shown. Contains data. That is, the marking frame 90 is an area in which the repeated marking data is stored so that the caption data can be repeated in a predetermined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total reproduction time or size of the MP3 data.

마킹 프레임(90)은, 예를 들면 MP3 음악 파일에 대한 노래 곡목, 작곡자, 가수 등의 기초 정보를 나타내는 ID3vl 태그에 선행 또는 후속하여 위치할 수 있다. 왜냐하면, MP3 파일은 손실성(lossy) 압축 데이터이므로, 파일 그 자체에는 어떠한 마킹 표시를 할 수 없기 때문이다.The marking frame 90 may be located before or after the ID3vl tag indicating basic information such as a song title, a composer, a singer, and the like, for example, for the MP3 music file. This is because the MP3 file is lossy compressed data, so no marking can be made on the file itself.

도 3은 도 2에 나타낸 마킹 프레임(90)의 구조를 상세하게 도시한 모식도이다.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in detail the structure of the marking frame 90 shown in FIG.

도 3에 있어서, 마킹 프레임(90)은 복수의 마킹 데이터 레코드(91-1, 91-2,…)와 MP3 파일에 마킹 프레임이 추가되었음을 나타내는 식별자(도시하지 않음)로 구성된다. 마킹 프레임(90)은 반복 마킹 위치의 지정 횟수에 따라 가변적인 크기를 갖는다(후술). 각 마킹 데이터 레코드(91-1, 91-2,…)는 도 3의 우측에 도시한 바와 같은 마킹 필드(92)와 타임 필드(93)의 집합으로 구성된다.In Fig. 3, the marking frame 90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marking data records 91-1, 91-2, ..., and an identifier (not shown) indicating that the marking frame has been added to the MP3 file. The marking frame 90 has a variable size in accordance with the specified number of times of repetitive marking position (described later). Each marking data record 91-1, 91-2, ... is composed of a set of marking fields 92 and time fields 93 as shown on the right side of FIG.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킹 필드(92)는 예를 들면 1 바이트로 구성될 수 있다. 마킹 필드(92)에 있어서, 비트 7은 0이고, 비트 6-4는 캡션 데이터의화자(speaker)를 나타내며, 비트 3은 마킹 표시이고, 비트 2-0은 반복 구문 대상(description)을 나타낸다. 화자는 비트 6-4의 3비트의 값을 이용하여 최대 8명까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비트 6-4의 값이 000이면, 화자 A를 나타내며, 001은 화자 B를 나타내고, 010은 화자 C를 나타내며, 011은 화자 D를 나타낸다고 가정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비트 3은 마킹 표시로서, 반복 구문 대상 및 화자의 시작과 끝을 나타내고, 1은 시작을 나타내며, 0은 끝을 나타낸다. 반복 구문 대상인 비트 2-0에 있어서, 예를 들면 비트의 값이 100인 경우는 단어, 101인 경우는 문장, 110인 경우는 문단, 111인 경우에는 글 전체를 나타낸다. 반복 구문 대상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임의로 추가 설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마킹 필드의 값이 "00001111"인 경우, "화자 A에 의한 글 전체의 반복 시작"을 의미하고, "00000111"인 경우는 "화자 A에 의한 글 전체의 반복 끝"을 의미한다.As shown in FIG. 3, the marking field 92 may consist of 1 byte, for example. In the marking field 92, bits 7 are 0, bits 6-4 represent the speaker of the caption data, bit 3 is the marking indication, and bit 2-0 represents the repetitive syntax description. The speaker can arbitrarily set up to eight people using the 3-bit value of bits 6-4.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is assumed that if the value of bits 6-4 is 000, it represents speaker A, 001 represents speaker B, 010 represents speaker C, and 011 represents speaker D. As described above, bit 3 is a marking indication, indicating the start and end of the repetitive syntax object and the speaker, 1 indicating the start, and 0 indicating the end. For bit 2-0, which is a repetitive syntax object, for example, the value of the bit is 100, the word is 101, the sentence is 110, the paragraph is 110, and the entire text is 111. Of course, the repetition syntax object may be additionally set according to a user's needs. For example, when the value of the marking field is "00001111", it means "the start of repetition of the entire text by the speaker A", and "00000111" means "the end of the repetition of the entire text by the speaker A".

마킹 데이터 레코드에서의 타임 필드(93)는 MP3 파일의 시작부터 마킹 필드의 경과 시간을 나타낸다. 또한, 타임 필드(93)는 단위가 0.1초이며, 최대 크기는 MP3 헤더의 동기워드(Syncword)와의 충돌을 피하기 위하여 16진수 FFDF로 설정된다. 예를 들면 10.3초는 103, 즉 0067로 표현되고, 3분 21.2초는 2012, 즉 07DC로 표현된다. 각 마킹 데이터 레코드의 크기는 2바이트이다. 마찬가지로, 최대 크기는 MP3 헤더의 동기워드와의 충돌을 피하기 위하여 16진수 FFDF로 설정된다.The time field 93 in the marking data record indicates the elapsed time of the marking field from the beginning of the MP3 file. In addition, the time field 93 has a unit of 0.1 second and the maximum size is set to hexadecimal FFDF in order to avoid collision with the syncword of the MP3 header. For example, 10.3 seconds is represented by 103, that is, 0067, and 3 minutes 21.2 seconds is represented by 2012, that is, 07DC. Each marking data record is 2 bytes in size. Likewise, the maximum size is set to hexadecimal FFDF to avoid collision with the sync word of the MP3 header.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마킹 데이터 레코드를 작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5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of creating a marking data reco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터넷으로부터 다운받은 MP3 파일에 수록된 캡션 데이터가 예를 들면"Good morning How are you? I'm fine thank you"인 경우, 이는 본 발명의 마킹 프레임 작성 소프트웨어에 의해서 컴퓨터의 모니터 상에 표시되고, 사용자는 이를 이용하여 다운받은 MP3 파일에 마킹 프레임을 삽입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마우스 등의 데이터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초기 단어 "Good"의 "G" 위치에 시작점 ▶을 마킹하고, "How" 이전의 위치에 종료점 ◀을 마킹한다. 이 경우, 시작점 ▶과 종료점 ◀와의 사이의 구간 1은 제 1 반복 구문 대상으로 설정된다. 또한, 사용자는 작성 소프트웨어에 의해서 제공되는 화자 선택 버튼(도시하지 않음)을 이용하여 예를 들면 화자 A를 선택할 수 있다. 즉, 제 1 반복 구문 대상 "Good morning"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킹 필드 "00001101"와 "00000101"로서 표현된다. 이 경우, 타임 필드는 0초에서 1.5초로 자동으로 설정된다.As shown in Fig. 5, when the caption data contained in the MP3 file downloaded from the Internet is, for example, "Good morning How are you? I'm fine thank you", this is performed by the marking frame writing softwa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layed on the monitor, and the user can use it to insert a marking frame into the downloaded MP3 file. For example, using a data input device such as a mouse, the user marks the starting point ▶ at the position “G” of the initial word “Good” and marks the ending point ◀ at the position before “How” as shown in FIG. 4. . In this case, the interval 1 between the start point ▶ and the end point ◀ is set as the first repetitive syntax object. In addition, the user can select, for example, the speaker A by using a speaker selection button (not shown) provided by the creation software. That is, the first repetitive phrase object "Good morning" is represented as the marking fields "00001101" and "00000101" as shown in FIG. In this case, the time field is automatically set from 0 seconds to 1.5 seconds.

다음에,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How"의 "H" 위치에 시작점 ▶을 마킹하고, "I'm" 이전의 위치에 종료점 ◀을 마킹한다. 이 경우, 시작점 ▶과 종료점 ◀ 사이의 구간 2는 제 2 반복 구문 대상으로 설정된다. 마찬가지로, 사용자는 작성 소프트웨어에 의해서 제공되는 화자 선택 버튼(도시하지 않음)을 이용하여 예를 들면 화자 B를 선택할 수 있다. 즉, 제 2 반복 구문 대상 "How are you?"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킹 필드 "00011101"와 "00010101"로서 표현된다. 이 경우, 타임 필드는 1.5초에서 3.0초로 자동으로 설정된다.Next, as described above, the user marks the starting point ▶ at the “H” position of “How” and marks the ending point ◀ at the position before “I'm”. In this case, the interval 2 between the starting point ▶ and the ending point ◀ is set as the second repetitive syntax object. Similarly, the user can select, for example, speaker B using a speaker selection button (not shown) provided by the creation software. That is, the second iteration syntax object "How are you?" Is represented as the marking fields "00011101" and "00010101" as shown in FIG. In this case, the time field is automatically set from 1.5 seconds to 3.0 seconds.

다음에, 사용자가 "I'm"의 "I" 위치에 시작점 ▶을 마킹하고, "thank you"의"u"위치에 종료점 ◀을 마킹한다. 이 경우, 시작점 ▶과 종료점 ◀ 사이의 구간 3은 제 3 반복 구문 대상으로 설정된다. 마찬가지로, 사용자는 작성 소프트웨어에 의해서 제공되는 화자 선택 버튼(도시하지 않음)을 이용하여 예를 들면 화자 A를 선택할 수 있다. 즉, 제 3 반복 구문 대상 "I'm fine thank you"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킹 필드 "00001101"와 "00000101"로서 표현된다. 이 경우, 타임 필드는 3.0초에서 5.0초로 자동으로 설정된다.Next, the user marks the starting point ▶ at the “I” position of “I'm” and marks the ending point ◀ at the “u” position of “thank you”. In this case, the interval 3 between the start point ▶ and the end point ◀ is set as the third repetition phrase object. Similarly, the user can select, for example, speaker A by using a speaker selection button (not shown) provided by the creation software. That is, the third repetition phrase object "I'm fine thank you" is represented as the marking fields "00001101" and "00000101" as shown in FIG. In this case, the time field is automatically set from 3.0 seconds to 5.0 seconds.

이와 같이 하여 작성된 마킹 필드와 타임 필드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마킹 데이터 레코드(91-1, 91-2,…)를 구성하여 마킹 프레임(90)으로서 MP3 파일의 후반에 첨부된다. 상기의 예에서는 문장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단어, 문단, 글 전체에 대해서도 동일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반복 시작점과 종료점이 설정된 각 구간을 반복하여 재생할 수 있고, 또는 사용자 임의 대로 전체 문장을 하나의 반복 블럭으로 설정할 수도 있으며, 단어 단위로 반복 블럭을 설정할 수도 있다.The marking field and the time field created in this way constitute a plurality of marking data records 91-1, 91-2, ... as shown in Figs. 2 and 3 to form an MP3 file as a marking frame 90. It is attached later. In the above example, the sentence has been described, but the same method may be applied to words, paragraphs, and entire texts. That is, each section in which the repeat start point and the end point are set may be repeatedly played, or the entire sentence may be set as one repeating block at random by the user, or the repeating block may be set in units of words.

또한, 상기와 같이 설정된 반복 구간은 사용자의 지정에 의한 반복 횟수에 따라 구간 반복이 가능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해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peating section set as described above may be repea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repetitions by the user's designation, and may be released according to the user's manipula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단어형 반복, 문장형 반복, 문단형 반복, 사용자 임의 지정 구간 반복이 혼재되어 있는 마킹 프레임에 있어서,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를 통해서 데이터를 판독할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데이터만 추출하여 반복 재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단어형 반복을 선택한 경우, 본 발명의 어학 학습용 리피트 플레이어는 MP3 파일에 설정된 마킹 프레임으로부터 마킹 데이터가설정된 단어만을 추출하여 재생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사용자의 어학 학습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marking frame in which word repetition, sentence repetition, paragraph repetition, and user-specified interval repetition are mixed, when reading data through software or hardware, only specific data desired by a user Can be extracted and played back repeatedly. For example, when the user selects a word type repetition, the language learning repeat p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extracts and reproduces only a word having marking data set from a marking frame set in an MP3 file. By doing in this way, the language learning efficiency of a user can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자 묵음(mute) 기능이 제공된다. 이 화자 묵음 기능은 반복 구간 마킹 데이터 앞에 묵음 화자 마킹을 하고, 데이터의 재생시 해당 화자의 음성을 묵음 처리함으로써, 플레이어와 사용자 사이의 대화식 회화 연습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면 마킹 필드 "00001110"에서의 최상위 비트를 "1"로, 즉 "10001110"으로 함으로써, 파일 재생시, 문단 "110"에서 마킹 처리된 화자 D의 음성은 묵음 처리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peaker mute function is provided. This speaker mute function enables a conversational dialogue practice between the player and the user by muting the speaker in front of the repeated section marking data and muting the speaker's voice when the data is reproduced. For example, by setting the most significant bit in the marking field "00001110" to "1", that is, "10001110", the speech of the speaker D marked in paragraph "110" is silenced during file reproduction.

본 발명에 따라 생성된 마킹 프레임이 삽입된 MP3 파일은, 종래의 MP3 플레이어에서도 별도의 기능 추가없이 재생될 수 있다.The MP3 file in which the marking frame genera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can be played even without a separate function in a conventional MP3 player.

도 6 및 도 7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마킹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6 and 7 are flowcharts for explaining a marking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도 6에 있어서, 본 발명의 프로세스는 마킹 프레임 작성 소프트웨어에 의해서 인터넷 등의 통신 네트웍으로부터 다운받은 MP3 파일을 불러 와서 퍼스널 컴퓨터내의 매모리(도시하지 않음)에 저장하고(S81), 이 MP3 파일 내에 캡션 파일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S82).In Fig. 6, the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loads MP3 files downloaded from a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by marking frame creation software, and stores them in a memory (not shown) in a personal computer (S81). It is determined whether a caption file exists (S82).

캡션 파일이 존재하면, 캡션 파일 내에 사전에 마킹된 데이터를 추출한다(S83). 이 경우, 마킹 데이터의 추출은 단어(W), 문장(S), 문단(P) 및 사용자 지정(U)의 단위로 행해지며, 그의 순서는 고정 또는 가변될 수 있다. 그 후, 프로세스는 캡션 데이터 및 추출된 마킹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웨이브 창 및 캡션 창을 출력한다(S84). 이에 기초하여,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캡션 데이터에 대한 마킹 데이터를 편집할 수 있다. 마킹 데이터의 편집을 원할 경우(S85), 사용자는 마우스 등의 데이터 입력 장치를 사용하여,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킹 데이터에 대하여 수정, 추가, 삭제 등의 마킹 편집을 수행한다(S86).If the caption file exists, the data marked in advance in the caption file is extracted (S83). In this case, the extraction of the marking data is performed in units of word (W), sentence (S), paragraph (P) and user specification (U), and the order thereof may be fixed or variable. Thereafter, the process outputs a wave window and a caption window for displaying the caption data and the extracted marking data (S84). Based on this, the user can edit the marking data for the caption data as needed. If editing of the marking data is desired (S85), the user uses a data input device such as a mouse to perform marking editing such as correction, addition or deletion on the marking data (S86).

이와 같이 편집된 마킹 데이터를 갖는 캡션 데이터를 재생하면(S87), 프로세스는 현재의 위치 정보 및 편집 상태 정보를 마킹 프레임으로서 메모리에 저장한다(S90). 다음에, 프로세스는 캡션 파일을 처음의 위치로 복귀시키고, 메모리에 저장된 현재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재생한다(S92). 계속해서 마킹 데이터에 대한 편집을 하고자 하는 경우(S93), 사용자는 전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마킹 데이터를 편집한다(S88). 마킹 데이터에 대한 편집이 완료되었으면, 편집 데이터는 메모리에 저장된다(S89).When caption data having the edited marking data is reproduced in this manner (S87), the process stores the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and the edit state information as a marking frame in the memory (S90). Next, the process returns the caption file to the initial position and plays back until it reaches the current position stored in the memory (S92). If you want to continue editing the marking data (S93), the user edits the marking data in the manner described above (S88). If editing of the marking data is completed, the editing data is stored in the memory (S89).

한편, 캡션 파일이 존재하지 않으면(S82), 프로세스는 탭 A를 경유하여 도 7의 단계 S100으로 진행하여 MP3 파일에 대한 마킹 처리를 실행한다. 상술하면, 사용자는 인터넷으로부터 다운받은 MP3 파일에 대한 마킹을 위하여 모니터 상에 마련된 복수의 마킹 버튼(W, S, P, U) 중에서 원하는 버튼(예를 들면 W)을 선택한다(S101). 이에 따라, 프로세스는 MP3 파일을 단어(W) 단위로 재생하여(S102), 해당 단어의 끝지점에서 정지시킨다(S103). 그 후, 사용자가 마우스 등의 데이터 입력 장치를 사용하여 끝지점에서 마킹을 실시하면(S104), 프로세스는 해당 단어의 시작점으로 복귀하여 마킹된 위치까지 재생한다(S105). 다음에, 사용자에 의한 더 이상의 마킹 편집이 없으면(S106), 프로세스는 현재까지의마킹 정보를 저장한다(S107).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서, MP3 파일 내의 모든 단어에 대하여 마킹 편집을 실시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caption file does not exist (S82),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00 of FIG. 7 via the tab A to execute the marking process for the MP3 file. In detail, the user selects a desired button (for example, W) from the plurality of marking buttons W, S, P, and U provided on the monitor for marking MP3 files downloaded from the Internet (S101). Accordingly, the process reproduces the MP3 file in units of words W (S102) and stops at the end of the word (S103). Thereafter, when the user marks at the end point using a data input device such as a mouse (S104), the process returns to the start point of the word and plays back to the marked position (S105). Next, if there is no further editing editing by the user (S106), the process stores marking information up to now (S107). Through this process, marking and editing can be performed for all words in the MP3 file.

한편, 편집된 단어에 기초하여 문장, 문단, 사용자 지정 등의 추가 편집을 하고자 하는 경우(S108), 사용자는 마킹 편집된 단어 창을 드래그하여 복사하고(S109, S110), 다른 작업창, 예를 들면 문장 창에 복사된 단어를 이동시킬 수 있다(S112). 그 후, 사용자는 이전에 마킹 편집된 단어를 갖는 문장을 재생함으로써 추가 마킹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S102). 이와 같이 함으로써, 사용자는 마킹이 실시된 단어, 문장, 문단 또는 사용자 지정을 용이하게 복사 이동시킴으로써, MP3 파일에 대한 마킹 프레임을 용이하게 생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you want to further edit the sentence, paragraph, user designation, etc. based on the edited words (S108), the user drags the marked edited word window (S109, S110), another task window, for example For example, the copied word may be moved to the sentence window (S112). Thereafter, the user can perform an additional marking operation by reproducing a sentence having a previously edited word (S102). In this way, the user can easily create a marking frame for the MP3 file by easily copying and moving the marked word, sentence, paragraph or user designation.

상기에 있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의 특허 청구 범위를 이탈하지 않으면서 당업자는 다양한 변경을 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preferred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was describe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change variously, without deviating from the claim of this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생성된 마킹 프레임이 MP3 파일의 후단에 삽입됨으로써, 본래의 MP3 파일에 어떠한 영향도 주지 않으므로, MP3 파일의 고음질 및 고용량을 유지하면서, 사용자는 사전에 마킹한 부분을 필요에 따라 청취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generated marking frame is inserted into the rear end of the MP3 file, there is no influence on the original MP3 file, so that the user needs to mark the portion previously marked while maintaining the high sound quality and high capacity of the MP3 file. You can listen accordingly.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MP3 파일에 있어서 사용자가 원하는 반복 구간을 임의 대로 설정함으로써, 사용자에 적합한 학습 콘텐츠를 작성할 수 있어 학습 효율이 향상된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rbitrarily setting a desired repetition section in the MP3 file, learning contents suitable for the user can be created, thereby improving learning efficiency.

Claims (22)

압축 오디오 데이터의 반복 재생 기능을 갖는 데이터 리피트 플레이어에 있어서,In a data repeat player having a repeat playback function of compressed audio data, 압축 오디오 데이터 및 그와 관련된 마킹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A memory for storing compressed audio data and associated marking data;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오디오 데이터 및 상기 마킹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한 제어부와,A control unit for extracting the audio data and the marking data from the memory; 상기 제어부에서 추출된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디코딩하고, 상기 마킹 데이터와 동기하여 상기 디코드된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디코더를 포함하며,A decoder for decoding the audio data extracted by the controller into an analog audio signal and reproducing the decoded audio signal in synchronization with the marking data; 상기 마킹 데이터는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반복 재생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리피트 플레이어.And the marking data controls repetitive reproduction of the audio data.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마킹 데이터는 사용자에 의해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리피트 플레이어.And the marking data is generated by a us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메모리는 CD, CD-RW, MD, 플래쉬 메모리, MMC 또는 SMC,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데이터 리피트 플레이어.And the memory is implemented as a CD, CD-RW, MD, flash memory, MMC or SMC, or a combination thereof.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압축 오디오 데이터는 캡션 데이터를 포함하며,The compressed audio data includes caption data, 상기 마킹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캡션 데이터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반복 구간 마킹이 지정된 데이터인 데이터 리피트 플레이어.And the marking data is data designated by the user for at least one repetition section marking with respect to the caption data.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마킹 데이터는, 각각이 마킹 필드와 타임 필드의 세트로 구성되는 복수의 마킹 데이터 레코드를 가지며, 상기 마킹 필드는 상기 마킹 지정된 캡션 데이터에 대한 화자(speaker), 상기 반복 구간 마킹, 반복 구문 대상(description)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타임 필드는 상기 캡션 데이터에 대한 상기 마킹 필드의 경과 시간을 나타내는 데이터 리피트 플레이어.The marking data has a plurality of marking data records, each consisting of a set of marking fields and a time field, wherein the marking fields comprise a speaker for the marked caption data, the repetition interval marking, and a repetitive syntax object ( description), wherein the time field indicates an elapsed time of the marking field for the caption data.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마킹 데이터는 상기 반복 구간 마킹의 지정 횟수에 따라 가변적인 크기를 갖는 데이터 리피트 플레이어.And the marking data has a variable size according to a specified number of times of repeating interval marking. 재 5 항에 있어서,According to claim 5, 상기 반복 구문 대상은 단어, 문장, 문단 또는 글 전체, 혹은 이들의 조합인 데이터 리피트 플레이어.The repeating phrase object is a word, sentence, paragraph or whole text, or a combination thereof.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마킹 데이터는 단어형 반복, 문장형 반복, 문단형 반복 또는 사용자 임의 지정 구간 반복의 형태를 포함하며,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반복 형태에 기초하여 반복적으로 수행되는 데이터 리피트 플레이어.The marking data includes word repetition, sentence repetition, paragraph repetition, or user arbitrarily designated section repetition, and the reproduction of the audio data is repeatedly performed based on the repetition type designated by the user. .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마킹 데이터는, 상기 캡션 데이터의 재생시, 화자의 음성을 묵음 처리하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리피트 플레이어.And the marking data includes data for silently processing a speaker's voice when the caption data is reproduced. 제 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마킹 데이터는 상기 압축 오디오 데이터의 후단에 삽입되는 데이터 리피트 플레이어.And the marking data is inserted after the compressed audio data. 메모리를 가지며 압축 오디오 데이터의 반복 재생 기능을 갖는 데이터 리피트 플레이어의 재생 방법에 있어서,A reproduction method of a data repeat player having a memory and having a repeat playback function of compressed audio data, 상기 압축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단계와,Playing the compressed audio data; 상기 재생되는 오디오 데이터 상에 마킹 데이터를 삽입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와,Inserting marking data on the reproduced audio data and storing the marking data in the memory;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을 상기 마킹 데이터와 동기하여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Reproducing the reproduction of the audio data stored in the memory in synchronization with the marking data, 상기 마킹 데이터는 상기 압축 오디오 데이터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반복 구간이 지정된 데이터인 재생 방법.And the marking data is data in which at least one repetition section is designated in the compressed audio data. 제 1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마킹 데이터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방법.And the marking data is generated by a user's operation. 제 1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압축 오디오 데이터는 캡션 데이터를 포함하며,The compressed audio data includes caption data, 상기 마킹 데이터는, 각각이 마킹 필드와 타임 필드의 세트로 구성되는 복수의 마킹 데이터 레코드를 가지며, 상기 마킹 필드는 상기 마킹 지정된 캡션 데이터에 대한 화자(speaker), 상기 반복 구간 마킹, 반복 구문 대상(description)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타임 필드는 상기 캡션 데이터에 대한 상기 마킹 필드의 경과 시간을 나타내는 재생 방법.The marking data has a plurality of marking data records, each consisting of a set of marking fields and a time field, wherein the marking fields comprise a speaker for the marked caption data, the repetition interval marking, and a repetitive syntax object ( description), wherein the time field indicates an elapsed time of the marking field for the caption data. 제 1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마킹 데이터 삽입 단계는, 상기 캡션 데이터에서의 단어별, 문장별, 문단별 또는 글 전체, 혹은 이들의 조합에 기초하여 행해지는 재생 방법.And the marking data insertion step is performed based on words, sentences, paragraphs, whole text, or a combination thereof in the caption data. 재 13 항에 있어서,According to claim 13, 상기 반복 구문 대상은 단어, 문장, 문단 또는 글 전체, 혹은 이들의 조합인 재생 방법.The repetitive phrase object is a word, sentence, paragraph or whole text, or a combination thereof. 제 1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마킹 데이터는 단어형 반복, 문장형 반복, 문단형 반복 또는 사용자 임의 지정 구간 반복의 형태를 포함하며,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반복 형태에 따라 반복적으로 수행되는 재생 방법.And the marking data includes a word repetition, a sentence repetition, a paragraph repetition, or a user-specified interval repetition, and the reproduction of the audio data is repeatedly performed according to the repetition type designated by the user. 제 1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마킹 데이터는, 상기 캡션 데이터의 재생시, 화자의 음성을 묵음 처리하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재생 방법.And said marking data includes data for silently processing a speaker's voice during reproduction of said caption data. 제 1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7, 상기 마킹 데이터는 상기 압축 오디오 데이터의 후단에 삽입되는 재생 방법.And the marking data is inserted after the compressed audio data. 메모리를 가지며 압축 오디오 데이터의 반복 재생 기능을 갖는 데이터 리피트 플레이어의 데이터 재생 방법에 있어서,A data repeating method of a data repeat player having a memory and having a repeat playing function of compressed audio data, 상기 압축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단계와,Playing the compressed audio data; 상기 재생되는 오디오 데이터에 삽입된 캡션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와,Extracting caption data inserted into the reproduced audio data; 상기 캡션 데이터와 관련하여 사전에 삽입된 마킹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와,Extracting marking data previously inserted in relation to the caption data; 상기 추출된 마킹 데이터에 대하여 마킹 편집을 수행하는 단계와,Performing marking editing on the extracted marking data; 상기 캡션 데이터와 상기 편집된 마킹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와,Storing the caption data and the edited marking data in the memory;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캡션 데이터의 재생을 상기 수정된 마킹 데이터와 동기하여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Reproducing the caption data stored in the memory in synchronization with the modified marking data; 상기 마킹 데이터는, 상기 캡션 데이터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반복 구간이 지정된 데이터인 재생 방법.And the marking data is data in which at least one repetition section is designated with respect to the caption data. 제 1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9, 상기 마킹 편집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방법.The marking editing is performed by a user's operation. 제 1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9, 상기 마킹 데이터의 추출은, 단어, 문장, 문단 및 사용자 지정의 단위로 행해지며, 그의 순서는 고정 또는 가변되는 재생 방법.The extraction of the marking data is performed in units of words, sentences, paragraphs, and user designations, and the order thereof is fixed or variable. 제 2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1, 상기 마킹 데이터는 상기 압축 오디오 데이터의 후단에 삽입되는 재생 방법.And the marking data is inserted after the compressed audio data.
KR1020010068108A 2001-11-02 2001-11-02 Caption repeat player and method of reproducing caption data KR2003003569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8108A KR20030035692A (en) 2001-11-02 2001-11-02 Caption repeat player and method of reproducing caption dat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8108A KR20030035692A (en) 2001-11-02 2001-11-02 Caption repeat player and method of reproducing caption data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5692A true KR20030035692A (en) 2003-05-09

Family

ID=29567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8108A KR20030035692A (en) 2001-11-02 2001-11-02 Caption repeat player and method of reproducing caption data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35692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6842B1 (en) * 2004-07-05 2006-05-10 주식회사 넷앤티비 A section replay apparatus of digital audio signal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1271A (en) * 1997-07-22 1999-02-18 이태형 Repeat play method using computer system
KR19990014978A (en) * 1997-08-01 1999-03-05 윤종용 Operation control device and method of the disc player
KR20000041480A (en) * 1998-12-22 2000-07-15 전주범 Method for repeating play of video cd system
KR20000063615A (en) * 2000-06-01 2000-11-06 최원용 Method of Reproducing Audio Signal Corresponding to Partially Designated Text Data and Reproducing Apparatus for the Same
KR20000072678A (en) * 2000-09-19 2000-12-05 양덕준 Method for playing media file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1271A (en) * 1997-07-22 1999-02-18 이태형 Repeat play method using computer system
KR19990014978A (en) * 1997-08-01 1999-03-05 윤종용 Operation control device and method of the disc player
KR20000041480A (en) * 1998-12-22 2000-07-15 전주범 Method for repeating play of video cd system
KR20000063615A (en) * 2000-06-01 2000-11-06 최원용 Method of Reproducing Audio Signal Corresponding to Partially Designated Text Data and Reproducing Apparatus for the Same
KR20000072678A (en) * 2000-09-19 2000-12-05 양덕준 Method for playing media fil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6842B1 (en) * 2004-07-05 2006-05-10 주식회사 넷앤티비 A section replay apparatus of digital audio sign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9136B1 (en) Audio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playing list
KR100357241B1 (en) An area setting and executing method for repeat-playing in a digital audio player and File paly device and Storage Media
US20050016364A1 (en) Information playback apparatus, information playback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therefor
US6525251B1 (en) Method of displaying the title and words of songs on a digital music player
KR100810276B1 (en) The apparatus and method for creating play list of music data paly apparatus
KR20030035692A (en) Caption repeat player and method of reproducing caption data
KR100551664B1 (en) Data repeated playback system and method
JP4489650B2 (en) Karaoke recording and editing device that performs cut and paste editing based on lyric characters
KR10032958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laying back of digital audio by syllables
KR20020006620A (en) Portable CD player displaying caption data and audio CD having caption index data and System for providing caption data
JP3978465B2 (en) Recording / playback device
KR20010038854A (en) Method and format of music file for providing text and score
JP4563418B2 (en) Audio processing apparatus, audio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WO2007004699A1 (en) Digestization device, digestization system, digestization program product,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ontaining the digestization program
JPH08306124A (en) Automatic identification device of storage medium, method and device for automatic identification of music cd and method and device for reproducing storage medium
KR100826659B1 (en) Method for listening specific performance part which is erased or selected from music file
JP2006172534A (en) Music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program
KR200230867Y1 (en) Device for language recorder using external memory
JP2005141870A (en) Reading voice data editing system
US20070203593A1 (en) Method for selecting songs and audio playback device thereof
JP3875861B2 (en)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information recording method, and program
KR100563320B1 (en) Language study apparatus having a unity memory and the controlling method
JP2004171684A (en) Music reproducing apparatus and system
KR100337485B1 (en) An advertisement method using a digital caption
TW468166B (en) Method of displaying names and lyrics of songs for the digital walkma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