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0637A - 무선통신망에서 단말기간 메시지 전송방법 - Google Patents

무선통신망에서 단말기간 메시지 전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0637A
KR20030030637A KR1020010062861A KR20010062861A KR20030030637A KR 20030030637 A KR20030030637 A KR 20030030637A KR 1020010062861 A KR1020010062861 A KR 1020010062861A KR 20010062861 A KR20010062861 A KR 20010062861A KR 20030030637 A KR20030030637 A KR 200300306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terminal
teleservice
communication network
recei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2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22139B1 (ko
Inventor
조송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628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2139B1/ko
Publication of KR20030030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06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2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21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8Access secu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DMA 통신망에서 포워딩 기법을 이용하여 임의의 단말기에 수신된 메시지를 다른 임의의 단말기로 전송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무선통신망에서 단말기간 메시지 전송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무선통신망에서 단말기1을 이용하여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기2 및 수신된 메시지를 저장할 단말기3을 각각 지정하여 텔레서비스 메시지를 구성하는 단계와; 단말기1에서 구성된 텔레서비스 메시지를 무선통신망을 통해 단말기2로 전송하는 단계와; 단말기2가 자신이 수신한 메시지를 텔레서비스 메시지에 의해 지정된 단말기3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무선통신망의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기가 아닌 단말기를 이용하여 다른 단말기로 수신된 메시지를 자신이 현재 사용하고 있는 단말기 또는 제3의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통신망에서 단말기간 메시지 전송방법 {Methode for message transport between mobile terminal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본 발명은 무선통신망에서의 메시지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코드분할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또는 CDMA) 통신망에서 임의의 단말기에 수신된 메시지를 다른 임의의 단말기로 전송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무선통신망에서 단말기간 메시지 전송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CDMA 통신망에서 제공되는 단문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또는 SMS)는 크게 점대점 서비스(Point to Point Service)와 방송형 서비스(Broadcasting Service)로 구분된다.
점대점 서비스는 특정 사용자의 단말기에 단문 메시지를 보내는 형태의 서비스이다.
이러한 점대점 서비스는 CDMA 단말기 사용자나 인터넷 사용자가 메시지 센터(Message Center)에 특정 단말기로의 단문 메시지 송신을 요청하면, 메시지 센터에서 특정 단말기로 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기는 사용자에게 메시지 수신을 알린다.
이때 단말기와 메시지 센터와의 메시지 전송은 페이징 채널(Paging Channel)/엑세스 채널(Access Channel) 또는 트래픽 채널(Traffic Channel)을 통해 이루어진다.
그리고 방송형 서비스는 임의의 기준(지역, 가입정보 등)으로 설정된 그룹에 속하는 사용자들의 단말기에 단문 메시지를 보내는 형태의 서비스이다.
방송형 서비스의 경우에는 지역이나 가입자 정보 등과 같은 임의의 기준으로 설정된 그룹을 우선 설정하게 된다. 이처럼 설정된 다수의 사용자가 속하는 그룹에 대해 동일한 메시지를 동시에 보내게 된다.
즉, 방송센터에서 메시지 센터에 대해 설정된 그룹에 속하는 사용자들의 단말기로 단문 메시지를 송신할 것을 요청한다. 그러면 메시지 센터에서 그룹에 속하는 사용자들의 단말기로 메시지를 보내고, 이를 수신한 단말기들은 사용자에게 메시지 수신을 알리게 된다.
방송형 서비스에 있어서 메시지 센터로부터 단말기로의 메시지 전송은 페이징 채널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그런데 종래의 점대점 서비스나 방송형 서비스를 이용해서는 메시지 포워딩을 수행할 수 없다. 메시지 포워딩이란 통신망에 가입한 단말기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기 또는 임의의 단말기로 수신되어지는 메시지를 다른 해당 통신망내의 다른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는 기능이다.
이처럼 단문 메시지는 지정된 단말기에만 수신되므로, 가입자가 자신의 단말기를 휴대하고 있지 않을 경우에는 해당 단말기에 수신된 단문 메시지를 확인하지 못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CDMA 통신망에서 포워딩 기법을 이용하여 임의의 단말기에 수신된 메시지를 다른 임의의 단말기로 전송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무선통신망에서 단말기간 메시지 전송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무선통신망에서 단말기간 메시지 전송방법은, 무선통신망에서 단말기1을 이용하여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기2 및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저장할 단말기3을 각각 지정하여 텔레서비스 메시지를 구성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1에서 구성된 텔레서비스 메시지를 상기 무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단말기2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2가 자신이 수신한 메시지를 상기 텔레서비스 메시지에 의해 지정된 단말기3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도1은 일반적인 CDMA 방식의 무선통신망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망에서 단말기간 메시지 전송방법의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111, 112, 113 : 가입자 단말기120 : 기지국
130 : 기지국 제어기140 : PDSN
150 : 게이트웨이160 : 메시지 센터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1은 일반적인 CDMA 방식의 무선통신망 구성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망에서 단말기간 메시지 전송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은 CDMA 무선통신망에 적용된 것이다.
도1에 따르면, CDMA 무선통신망은 무선통신이 가능한 가입자 단말기(110), 가입자 단말기(110)와 무선신호를 교환하는 기지국(120), 기지국제어기(Base Station Controller, 또는 BSC)(130), PDSN(Packet Data Switching Network)(140), 게이트웨이(150), 메시지 센터(160) 등을 포함한다. PDSN(140)은 일반 전화망 또는 다른 데이터 통신망 등과의 연동을 위한 망연동장치(Interworking Function, 또는 IWF)와 교환국(Mobile Switching Center, 또는 MSC)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게이트웨이(150)는 메시지 센터(160)에 연결되어 있으며, 메시지 센터(160)의 요청에 따라 가입자 단말기(110)로 메시지를 전송한다.
게이트웨이(150)에 접속되어지는 장비에는 메시지 센터(160) 이외에 데이터 관리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다수자에게 메시지를 동시 전송하기 위한 방송센터 등이 있다.
메시지 센터(160)는 점대점 서비스에 따른 단문 메시지 전송을 수행하고, 방송센터는 방송형 서비스에 따른 방송 메시지를 관리한다. 이 메시지들이 게이트웨이(150)를 거쳐 가입자 단말기(110)로 수신되는 과정은 잘 알려져 있다.
본 실시예는 이러한 CDMA 통신망에서 가입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특정한 가입자 단말기로 수신된 메시지를 임의의 단말기로 포워딩하고자 한다. 이를 가입자 측면에서 보면 자신의 단말기가 아닌 단말기를 이용하여 자신의 단말기에 수신된 메시지를 가져와 열람하는 메시지 가져오기 서비스로 구현되어지거나, 자신의 단말기 또는 임의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특정한 단말기로 수신된 메시지를 제3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메시지 포워딩 서비스로 구현되어질 수 있다.
여기서 포워딩을 통해 전송되어지는 메시지는 메시지 센터(160)에 의해 관리되어지는 점대점 단문 메시지(또는 SMS 메시지), 방송센터에 의해 관리되어지는 방송 메시지 등이 있고, 각 메시지는 단문의 문자 메시지이거나 음성 메일이 될 수 있다.
무선 메시지 가져오기 서비스와 같은 텔레서비스를 구현함에 있어서, 다음과 같이 기존의 단문 메시지 유형을 최대한 이용하며 꼭 필요한 몇 가지 유형을 추가적으로 정의한다.
전송 계층 메시지 형식(Transport Layer Message Type)은 기존의 전송 계층 메시지 형식 중 SMS 점대점(0000 0000)을 사용한다.
그리고 전송 계층 메시지 파라미터(Transport Layer Message Parameter)는 텔레서비스 식별자(Teleservice Identifier)에 단문 메시지 가져오기 서비스를 위하여 식별자(Identifier)를 하나 추가한다. 전송 계층 메시지 식별자는 TIA/EIA-41-D 섹션 6.5.2 테이블 175에 기술되어 있는 바와 같다. 이때 추가되는 식별자는 무선 메시지 가져오기 텔레서비스(Wireless Message Withdrawing Teleservice)이며, 예를 들면 0001 0000 0000 0100과 같다.
더불어 전송 계층 메시지 파라미터에 가져오기 권한 인증을 위하여 파라미터를 하나 더 추가한다. 전송 계층 메시지 파라미터와 관련된 식별자는 TIA/EIA-41-D section 3.4.3 테이블 3.4.3-1에 기술되어 있다. 이때 추가되는 파라미터는 가져오기 패스워드(Withdrawing Password)이며, 예를 들면 0000 1001과 같다.
정의되는 가져오기 패스워드 파라미터는 다음의 표1과 같은 형식을 갖는다.
필드 길이(비트)
PARAMETER_ID 8
PARAMETER_LEN 8
CHARi 8
여기서 PARAMETER_ID는 단문 메시지 파라미터의 식별자로서 상기 정의된 가져오기 패스워드(0000 1001)로 세팅된다. PARAMETER_LEN 필드는 실제 가져오기 패스워드의 길이로서 사업자에 따라 그 길이를 정의하도록 한다. CHARi 필드는 실제 가져오기 패스워드로서 PARAMETER_LEN만큼 반복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처럼 정의되는 전송 계층 메시지 파라미터들의 구성에 있어서, 텔레서비스 식별자, 원천지 주소, 목적지 주소, 및 가져오기 패스워드를 필수사항으로 하고, SMS 전송 계층 메시지 파라미터는 선택사항으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단말기를 각각 단말기 A(111), 단말기 B(112), 단말기 C(113)로 명명한다. 각 통신사업자간의 망연동 및 적정한 부하 분담에 대한 협의가 있는 경우에 각 단말기들은 서로 다른 통신망에 접속되어질 수도 있다.
3개의 단말기에 대해 가입자가 단말기 A(111)를 이용하여 단말기 B(112)로 수신된 메시지를 단말기 C(113)로 전송하는 과정은 도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다.
도2에 따르면, 가입자는 단말기 A(111)를 이용하여 수신 메시지를 가져올 단말기로 단말기 B(112)를 설정하고, 가져온 메시지를 전송할 단말기로 단말기 C(113)를 지정한다. 통신망상에서 단말기 A, B, C는 메시지 가져오기에 따른 역할의 차이를 제외하면 기능상 서로 동등하다(S210).
단말기 A(111)를 이용하여 가져올 수 있는 메시지는 점대점 메시지, 방송 메시지, 음성 메일 메시지 등이다. 여기서 메시지는 그 유형이나 크기에 따른 제한이 없으므로, 향후로 무선통신망에 적용되어질 이미지 파일이나 동영상 파일 등을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정의된 전송 계층 메시지 파라미터들에 있어서, 텔레서비스 식별자는 단말기 A(111)가 되고, 원천지 주소는 단말기 B(112)를 지시하며, 목적지 주소는 단말기 C(113)를 지시하게 된다. 이때 가져오기 패스워드가 필수사항으로 되어 있으므로, 이를 입력하는 경우에만 외부의 단말기(단말기 B, C 등)가 단말기 B(112)에 수신된 메시지를 가져갈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SMS 전송 계층 메시지 파라미터는 선택사항이므로 임의적으로 입력한다.
통상 무선통신망에서 각 가입자 단말기(110)가 메시지 센터(160)의 메시지에 접근하고자 하는 경우에 암호(또는 패스워드)를 요구한다. 따라서 단말기 A(111)를이용하여 단말기 B(112)에 수신되어 있는 메시지에 접근하려면 단말기 B(112)의 메시지 접근 암호를 입력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해당 통신망의 서비스 환경에 따라 가입자에게 단말기 B(112)의 메시지 접근 암호를 더 입력하도록 요구할 수도 있다.
가입자의 입력을 받은 단말기 A(111)는 전송 계층 메시지 유형 중 점대점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5가지 항목에 따라 SMS 메시지를 구성한다(S220).
1. 전송 계층 메지지 형식 : SMS 점대점(0000 0000)
2. 텔레서비스 식별자 : 무선 메시지 가져오기 텔레서비스(예 : 0001 0000 0000 0100)
3. 원천지 주소 : 메시지를 가져올 단말기 B
4. 목적지 주소 : 가져온 메시지가 저장될 단말기 C
5. 가져오기 패스워드 : 메시지를 가져올 단말기 B의 패스워드
단말기 A(111)는 구성된 SMS 메시지를 엑세스 채널 또는 트래픽 채널을 이용하여 메시지 센터에 전달하고, 메시지 센터는 해당 SMS 메시지를 원천지 주소로 지시된 단말기 B(112)로 전송한다(S220).
단말기 B(112)에서는 단말기 A(111)가 보낸 SMS 메시지를 페이징 채널 또는 트래픽 채널을 통해서 수신하고, 2번 항목의 텔레서비스 식별자가 무선 메시지 가져오기 텔레서비스(예: 0001 0000 0000 0100)인지를 확인한다. 단말기 B(122)는 무선 메시지 가져오기 텔레서비스임이 확인되는 경우에 수신된 모든 메시지를 목적지 주소로 지시되는 단말기 C(113)에게 전송한다(S240).
이때 게이트웨이(150)는 트래픽 채널이 열려있는 상태라면 해당 트래픽 채널을 종료하지 않고 모든 메시지를 전송하게 되며, 트래픽 채널이 닫힌 상태라면 트래픽 채널을 연 후에 모든 메시지를 전송한다. 메시지 전송이 완료되면 열린 트래픽 채널을 닫음으로써 전송속도를 높인다.
바람직하게는 단말기 B(112)는 단말기 C(113)로 메시지를 전송하기 전에 포워딩된 메시지임을 알리기 위한 문구를 사용자 메시지 상단에 표시할 수도 있다.
그러면 단말기 C(113)는 트래픽 채널이 열린 경우, 단말기 B(112)로부터 포워딩된 메시지를 모두 받을 때까지 트래픽을 종료하지 않게 되며, 트래픽 채널이 닫힌 경우라면 트래픽 채널을 열고 난 뒤 포워딩된 모든 메시지를 받은 후에 트래픽 채널을 닫게 된다(S250~S270).
여기서 단말기 C(113)는 포워딩된 메시지를 받을 때 실정시간(5초 정도) 동안 메시지가 더 이상 수신되지 않는다면, 포워딩된 메시지를 모두 수신한 것으로 간주한다. 이는 수신완료를 확인하는 조건이다.
이처럼 본 실시예는 CDMA 무선통신망의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기가 아닌 단말기를 이용하여 다른 단말기로 수신된 메시지를 자신이 현재 사용하고 있는 단말기 또는 제3의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변화, 변경 및 균등물의 범위에 속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CDMA를 비롯하여 메시지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일련의 통신망에 적용되어질 수 있는 것으로, 간단한 변경을 통해 WLL(Wireless Local Loop)이나 IMT-2000 등의 무선통신망에 용이하게 적용되어질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 대한 기재내용으로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무선통신망에서 단말기간 메시지 전송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우선, CDMA 단말기 사용자가 단말기를 휴대하지 못하거나, 또는 기타의 이유로 자신의 단말기에 수신된 메시지(점대점, 방송 메시지, 음성 메일 메시지 등)를 확인하지 못하는 경우, 현재 휴대하고 있는 단말기를 이용하여 자신의 단말기에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하는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고객의 서비스 만족도가 향상되며, 사업자측에서 보면 타 사업자 보다 우수한 서비스를 제공하여 서비스 경쟁력을 확보할 수도 있다.
또한, 임의의 단말기에 수신된 메시지들을 포워딩 기법에 따라 다른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가입자간 메시지 공유를 촉진시키고 차별화된 서비스를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다.

Claims (6)

  1. 무선통신망에서 단말기1을 이용하여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기2 및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저장할 단말기3을 각각 지정하여 텔레서비스 메시지를 구성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1에서 구성된 텔레서비스 메시지를 상기 무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단말기2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2가 자신이 수신한 메시지를 상기 텔레서비스 메시지에 의해 지정된 단말기3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망에서 단말기간 메시지 전송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서비스 메시지는,
    전송 계층 메지지 형식, 무선 메시지 가져오기 서비스인지 여부를 나타내기 위한 텔레서비스 식별자, 메시지를 가져올 단말기를 지시하기 위한 원천지 주소, 및 가져온 메시지를 저장할 단말기를 지시하기 위한 목적지 주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망에서 단말기간 메시지 전송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서비스 메시지의 전송계층 메시지 형식은,
    SMS 점대점 서비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망에서 단말기간 메시지 전송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서비스는,
    상기 원천지 주소로 지시된 단말기의 메시지 접근 암호인 가져오기 패스워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망에서 단말기간 메시지 전송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서비스 메시지를 단말기1에서 단말기2로 전송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1은 구성된 텔레서비스 메시지를 엑세스 채널 또는 트래픽 채널을 이용하여 메시지 센터에 전달하고, 메시지 센터가 해당 텔레서비스 메시지를 상기 원천지 주소로 지시된 단말기2로 전송하며,
    상기 단말기2는 단말기1이 보낸 상기 텔레서비스 메시지를 페이징 채널 또는 트래픽 채널을 통해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망에서 단말기간 메시지 전송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2가 수신 메시지를 단말기3으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텔레서비스 메시지의 식별자가 무선 메시지 가져오기 텔레서비스를 지시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무선 메시지 가져오기 서비스임이 확인되면, 단말기2는 자신에게 기 수신된 모든 메시지를 상기 텔레서비스 메시지에 의해 지시된 단말기3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3은 상기 단말기2에 의해 전송되는 메시지가 수신되는 동안에는 트래픽 채널을 열어두고, 상기 메시지가 일정시간 이상 수신되지 않을 때 상기 열린 트래픽 채널을 닫게 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망에서 단말기간 메시지 전송방법.
KR10-2001-0062861A 2001-10-12 2001-10-12 무선통신망에서 단말기간 메시지 전송방법 KR1004221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2861A KR100422139B1 (ko) 2001-10-12 2001-10-12 무선통신망에서 단말기간 메시지 전송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2861A KR100422139B1 (ko) 2001-10-12 2001-10-12 무선통신망에서 단말기간 메시지 전송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0637A true KR20030030637A (ko) 2003-04-18
KR100422139B1 KR100422139B1 (ko) 2004-03-11

Family

ID=29564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2861A KR100422139B1 (ko) 2001-10-12 2001-10-12 무선통신망에서 단말기간 메시지 전송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21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8500B1 (ko) * 2007-05-18 2009-01-13 디비코 주식회사 등위 정보수용체 간의 네트워크 운용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8500B1 (ko) * 2007-05-18 2009-01-13 디비코 주식회사 등위 정보수용체 간의 네트워크 운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22139B1 (ko) 2004-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62100B2 (en) System and method of maintaining communications policy settings in a wireless network
US7869816B2 (en) Method of transmitting area specific content
EP1145577B1 (en) Method and system for the routing of a message
KR19980076938A (ko) 이동통신망에서 폐쇄 사용자 그룹(Closed User Group)서비스 제공 방법
JP2009534935A (ja) ワイヤレス・ネットワークの中でショート・メッセージの配信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
EP1312236B1 (en)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broadcasting messages to registered groups
KR20060090010A (ko) Ptt 시스템에서 사용자 정보 자동 갱신 방법 및 그시스템
US7840211B2 (en) System and method of managing communications policy settings in a wireless network
CN100555978C (zh) 经由gprs和gsm连接管理通信设备
EP1780998B1 (en) Terminal-based call blocking service with a common blocking list that is used by a plurality of terminals
KR100422139B1 (ko) 무선통신망에서 단말기간 메시지 전송방법
US20050136915A1 (en) Multimedia messaging service arrangement and method
KR101183994B1 (ko)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국제 로밍 서비스 시스템 및 그방법
KR101054081B1 (ko) 해외 로밍 단말을 위한 사서함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KR20030021771A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채팅방법
US20080188249A1 (en) Telecommunications Services Apparatus and Methods
KR100988232B1 (ko) 이동통신망과 인터넷망을 연계한 그룹 단문메시지 서비스시스템 및 방법
KR100521004B1 (ko) 번호 이동성에 따른 단문 서비스의 연락 번호 전달 방법및 시스템
KR100958255B1 (ko) 비동기식 3세대 이동통신 망에서 멀티미디어 메시징서비스 제공방법
KR100520999B1 (ko) 단문 메시지 분배 시스템 및 장치
KR100553541B1 (ko) 통화 요청시 문자 메시지를 함께 전송할 수 있는 서비스를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622907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방법
KR100891049B1 (ko)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스팸 차단 서비스 시스템 및 그방법
KR100522944B1 (ko) 메모리 소자를 이용한 음성 메시지 직접 전송 방법
KR100526065B1 (ko) 비동기망에서 듀얼스택 시스템을 이용한 기능코드 처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