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9719A - Energy Recovery Apparatus in Plasma Display Panel - Google Patents

Energy Recovery Apparatus in Plasma Display Pane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9719A
KR20030029719A KR1020010062402A KR20010062402A KR20030029719A KR 20030029719 A KR20030029719 A KR 20030029719A KR 1020010062402 A KR1020010062402 A KR 1020010062402A KR 20010062402 A KR20010062402 A KR 20010062402A KR 20030029719 A KR20030029719 A KR 200300297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uctor
pcb
layer
energy recovery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24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452689B1 (en
Inventor
최정필
정문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62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2689B1/en
Publication of KR20030029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971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2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2689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46Connecting or feeding means, e.g. leading-in 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1/00Plasma display panels with alternate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C-PDPs
    • H01J22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2211/62Circuit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 Of Gas Discharge Display Tubes (AREA)

Abstract

PURPOSE: An energy recovery device for a plasma display panel is provided to minimize the number of parts mounted and prevent the gener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CONSTITUTION: An energy recovery circuit comprises a PCB inner layer(38) on which an inductor(39) is formed in PCB pattern and a PCB outer layer(36) on which a part(44) are mounted. The PCB outer layer(36) comprises first and second via holes(40,42)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part(44) to the inductor(39) and a ground pattern(46) formed to overlap with the inductor(39). The inductor(39) is formed in PCB pattern on the PCB inner layer(38). The inductor(39)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art(44)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via holes(40,42). The ground pattern(46)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base voltage source. The ground pattern(46) which overlaps the inductor(39) absorbs electromagnetic waves generated from the inductor(39).

Description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에너지 회수장치{Energy Recovery Apparatus in Plasma Display Panel}Energy recovery device of plasma display panel {Energy Recovery Apparatus in Plasma Display Panel}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에너지 회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실장되는 부품의 수 및 전자파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에너지 회수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ergy recovery apparatus for a plasma display panel,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nergy recovery apparatus for a plasma display panel capable of minimizing the number of components to be mounted and gener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최근, 음극선관(Cathode Ray Tube)의 단점인 무게와 부피를 줄일 수 있는 각종 평판 표시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평판표시장치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 LCD), 전계 방출 표시장치(FieldEmission Display : FE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 PDP) 및 일렉트로 루미네센스(Electro-Luminescence : EL) 표시장치 등이 있다.Recently, various flat panel displays have been developed to reduce weight and volume, which are disadvantages of cathode ray tubes. Such flat panel displays include Liquid Crystal Display (LCD), Field Emission Display (FED), Plasma Display Panel (PDP) and Electro-Luminescence (EL) display. Device and the like.

이중 PDP는 기체방전을 이용한 표시소자로서 대형패널의 제작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PDP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전극을 구비하고 교류전압에 의해 구동되는 3전극 교류 면방전형 PDP가 대표적이다.PDP is a display device using a gas discharge has the advantage that it is easy to manufacture a large panel. As a PDP, a three-electrode AC surface discharge type PDP having three electrodes and driven by an alternating voltage is typical.

도 1을 참조하면, 3전극 교류 면방전형 PDP의 방전셀은 상부기판(10) 상에 형성되어진 제 1전극(12Y) 및 제 2전극(12Z)과, 하부기판(18) 상에 형성되어진 어드레스전극(20X)을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1, a discharge cell of a three-electrode AC surface discharge type PDP has a first electrode 12Y and a second electrode 12Z formed on the upper substrate 10, and an address formed on the lower substrate 18. An electrode 20X is provided.

제 1전극(12Y)과 제 2전극(12Z)이 나란하게 형성된 상부기판(10)에는 상부 유전층(14)과 보호막(16)이 적층된다. 상부 유전층(14)에는 플라즈마 방전시 발생된 벽전하가 축적된다. 보호막(16)은 플라즈마 방전시 발생된 스퍼터링에 의한 상부 유전층(14)의 손상을 방지함과 아울러 2차 전자의 방출 효율을 높이게 된다. 보호막(16)으로는 통상 산화마그네슘(MgO)이 이용된다.The upper dielectric layer 14 and the passivation layer 16 are stacked on the upper substrate 10 having the first electrode 12Y and the second electrode 12Z side by side. Wall charges generated during plasma discharge are accumulated in the upper dielectric layer 14. The protective layer 16 prevents damage to the upper dielectric layer 14 due to sputtering generated during plasma discharge, and increases emission efficiency of secondary electrons. As the protective film 16, magnesium oxide (MgO) is usually used.

어드레스전극(20X)이 형성된 하부기판(18) 상에는 하부 유전층(22) 및 격벽(24)이 형성되며, 하부 유전층(22)과 격벽(24) 표면에는 형광체(26)가 도포된다. 어드레스전극(20X)은 제 1전극(12Y) 및 제 2전극(12Z)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격벽(24)은 어드레스전극(20X)과 나란하게 형성되어 방전에 의해 생성된 자외선 및 가시광이 인접한 방전셀에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형광체(26)는 플라즈마 방전시 발생된 자외선에 의해 여기되어 적색, 녹색 또는 청색 중 어느 하나의 가시광선을 발생하게 된다. 상/하판과 격벽 사이에 마련된 방전공간에는 가스방전을 위한 불활성 가스가 주입된다.The lower dielectric layer 22 and the partition wall 24 are formed on the lower substrate 18 on which the address electrode 20X is formed, and the phosphor 26 is coated on the surfaces of the lower dielectric layer 22 and the partition wall 24. The address electrode 20X is formed in the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electrode 12Y and the second electrode 12Z. The partition wall 24 is formed in parallel with the address electrode 20X to prevent ultraviolet rays and visible light generated by the discharge from leaking to the adjacent discharge cells. The phosphor 26 is excited by ultraviolet rays generated during plasma discharge to generate visible light of any one of red, green, and blue. Inert gas for gas discharge is injected into the discharge space provid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lates and the partition wall.

이러한 3전극 교류 면방전형 PDP는 다수개의 서브필드로 분리되어 구동되고, 각 서브필드기간에는 비디오 데이터의 가중치에 비례시킨 횟수의 발광이 진행됨으로써 계조표시가 행해지게 된다. 서브필드(SF1 내지 SF8)는 다시 리셋 기간, 어드레스 기간, 서스테인 기간 및 소거기간으로 분할되어 구동된다.The three-electrode AC surface discharge type PDP is driven by being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ubfields, and gray scale display is performed by emitting light a number of times proportional to the weight of video data in each subfield period. The subfields SF1 to SF8 are driven again after being divided into a reset period, an address period, a sustain period, and an erase period.

여기서, 리셋기간은 방전셀에 균일한 벽전하를 형성하는 기간이고, 어드레스기간은 비디오데이터의 논리값에 따라 선택적인 어드레스방전이 발생하게 하는 기간이며, 서스테인 기간은 상기 어드레스방전이 발생된 방전셀에서 방전이 유지되게 하는 기간이다. 소거기간은 서스테인 기간에 발생된 서스테인 방전을 소거하는 기간이다.Here, the reset period is a period in which uniform wall charges are formed in the discharge cells, the address period is a period in which selective address discharge occurs in accordance with the logic value of the video data, and the sustain period is a discharge cell in which the address discharge has occurred. Is a period for maintaining the discharge. The erasing period is a period of erasing the sustain discharge generated in the sustain period.

이와 같이 구동되는 교류 면방전 PDP의 어드레스 방전 및 서스테인 방전에는 수백 볼트 이상의 고압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어드레스 방전 및 서스테인 방전에 필요한 구동전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에너지 회수장치가 이용된다. 에너지 회수장치는 제 1전극(12Y) 및 제 2전극(12Z) 사이의 전압을 회수하여 다음 방전시의 구동전압으로 회수된 전압을 이용한다.The address discharge and the sustain discharge of the AC surface discharge PDP driven in this way require a high voltage of several hundred volts or more. Therefore, an energy recovery apparatus is used to minimize the driving power required for the address discharge and the sustain discharge. The energy recovery apparatus recovers the voltage between the first electrode 12Y and the second electrode 12Z and uses the voltage recovered as the drive voltage at the next discharge.

도 2는 서스테인 방전 전압을 휘수하기 위하여 제 1전극에 형성된 에너지 회수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an energy recovery device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 to volatilize the sustain discharge voltage.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에너지 회수장치는 패널 커패시터(Cp)와 소스 커패시터(Cs) 사이에 접속된 인덕터(L)와, 소스 커패시터(Cs)와 인덕터(L) 사이에 병렬로 접속된 제 1 및 제 3 스위치(S1,S3)와, 패널 커패시터(Cp)와 인덕터(L) 사이에병렬로 접속된 제 2 및 제 4 스위치(S2,S4)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2, a conventional energy recovery apparatus includes an inductor L connected between a panel capacitor Cp and a source capacitor Cs, and a parallel connection between the source capacitor Cs and the inductor L in parallel. It consists of first and third switches S1 and S3 and second and fourth switches S2 and S4 connected in parallel between the panel capacitor Cp and the inductor L.

패널 커패시터(Cp)는 제 1전극(Y)과 제 2전극(Z) 사이에 형성되는 정전용량을 등가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제 2 스위치(S2)는 기준 전압원(Vs)에 접속되고, 제 4 스위치(S4)는 기저전압원(GND)에 접속된다. 소스 커패시터(Cs)는 서스테인 방전시 패널 커패시터(Cp)에 충전되는 전압을 회수하여 충전함과 아울러 충전된 전압을 패널 커패시터(Cp)에 재공급한다.The panel capacitor Cp equivalently represents the capacitance form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Y and the second electrode Z. FIG. The second switch S2 is connected to the reference voltage source Vs, and the fourth switch S4 is connected to the ground voltage source GND. The source capacitor Cs recovers and charges the voltage charged to the panel capacitor Cp during the sustain discharge, and supplies the charged voltage to the panel capacitor Cp again.

소스 커패시터(Cs)는 기준 전압원(Vs)의 절반값에 해당하는 Vs/2의 전압을 충전할 수 있는 용량값을 갖는다. 인덕터(L)는 패널 커패시터(Cp)와 함께 공진회로를 형성한다. 제 1 내지 제 4 스위치(S1내지S4)는 전류의 흐름을 제어한다. 제 2전극(Z)에 형성되는 에너지 회수장치는 패널 커패시터(Cp)를 중심으로 제 1전극(Y)에 형성되는 에너지 회수장치와 대칭적으로 형성된다. 한편, 제 1및 제 2스위치(S1,S2)와 인덕터(L)의 사이에는 각각 설치된 제 1 및 제 2 다이오드(D1,D2)는 전류가 역방향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한다.The source capacitor Cs has a capacitance value capable of charging a voltage of Vs / 2 corresponding to half of the reference voltage source Vs. The inductor L forms a resonance circuit together with the panel capacitor Cp. The first to fourth switches S1 to S4 control the flow of current. The energy recovery device formed on the second electrode Z is formed symmetrically with the energy recovery device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 Y with respect to the panel capacitor Cp. Meanwhile, the first and second diodes D1 and D2 respectively install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witches S1 and S2 and the inductor L prevent current from flowing in the reverse direction.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스위치들의 온/오프 타이밍과 패널 커패시터의 출력 파형을 나타내는 타이밍도 및 파형도이다.3 is a timing diagram and waveform diagrams illustrating on / off timings of the switches illustrated in FIG. 2 and output waveforms of the panel capacitor.

T1 기간 이전에 패널 커패시터(Cp)에는 0 볼트의 전압이 충전됨과 아울러 소스 커패시터(Cs)에는 Vs/2의 전압이 충전되어 있다고 가정하여 동작과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operation proces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suming that the panel capacitor Cp is charged with a voltage of 0 volts and the source capacitor Cs is charged with a voltage of Vs / 2 before the T1 period.

T1 기간에는 제 1 스위치(S1)가 턴-온(Turn-on)되어 소스 커패시터(Cs)로부터 제 1 스위치(S1), 인덕터(L) 및 패널 커패시터(Cp)로 이어지는 전류 패스가 형성된다. 전류패스가 형성되면 소스 커패시터(Cs)에 충전된 Vs/2의 전압은 패널 커패시터(Cp)로 공급된다. 이때, 인턱터(L)와 패널 커패시터(Cp)가 직렬 공진회로를 형성하기 때문에 패널 커패시터(Cp)에는 소스 커패시터(Cs) 전압의 두배인 Vs 전압이 충전된다.In the T1 period, the first switch S1 is turned on to form a current path from the source capacitor Cs to the first switch S1, the inductor L, and the panel capacitor Cp. When the current path is formed, the voltage of Vs / 2 charged in the source capacitor Cs is supplied to the panel capacitor Cp. At this time, since the inductor L and the panel capacitor Cp form a series resonant circuit, the panel capacitor Cp is charged with a Vs voltage that is twice the voltage of the source capacitor Cs.

T2 기간에는 제 2스위치(S2)가 턴-온된다. 제 2스위치(S2)가 턴-온되면 기준 전압원(Vs)의 전압이 제 1전극(Y)에 공급된다. 제 1전극(Y)에 공급되는 기준 전압원(Vs)의 전압은 패널 커패시터(Cp)의 전압이 기준 전압원(Vs) 이하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서스테인 방전이 정상적으로 일어나도록 한다. 한편, 패널 커패시터(Cp)의 전압은 T1기간에 Vs까지 상승하였기 때문에 서스테인 방전을 일으키기 위해 외부에서 공급해 주는 구동전력이 최소화된다.In the T2 period, the second switch S2 is turned on. When the second switch S2 is turned on, the voltage of the reference voltage source Vs is su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Y. The voltage of the reference voltage source Vs su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Y prevents the voltage of the panel capacitor Cp from falling below the reference voltage source Vs so that sustain discharge occurs normally. On the other hand, since the voltage of the panel capacitor Cp has risen to Vs in the period T1, the driving power supplied from the outside to minimize the sustain discharge is minimized.

T3 기간에는 제 1 스위치(S1)가 턴-오프(Turn-off)된다. 이때, 제 1전극(Y)은 T3의 기간동안 기준 전압원(Vs)의 전압을 유지한다. T4 기간에는 제 2 스위치(S2)가 턴-오프됨과 아울러 제 3 스위치(S3)가 턴-온된다. 제 3 스위치(S3)가 턴-온되면 패널 커패시터(Cp)로부터 인덕터(L) 및 제 3 스위치(S3)를 통해 소스 커패시터(Cs)로 이어지는 전류 패스가 형성되어 패널 커패시터(Cp)에 충전된 전압이 소스 커패시터(Cs)로 회수된다. 이때, 소스 커패시터(Cs)에는 Vs/2의 전압이 충전된다.In the T3 period, the first switch S1 is turned off. At this time, the first electrode Y maintains the voltage of the reference voltage source Vs for the period of T3. In the T4 period, the second switch S2 is turned off and the third switch S3 is turned on. When the third switch S3 is turned on, a current path is formed from the panel capacitor Cp to the source capacitor Cs through the inductor L and the third switch S3 to charge the panel capacitor Cp. The voltage is recovered to the source capacitor Cs. At this time, the source capacitor Cs is charged with a voltage of Vs / 2.

T5 기간에는 제 3스위치(S3)가 턴-오프됨과 아울러 제 4스위치(S4)가 턴-온된다. 제 4스위치(S4)가 턴-온되면 패널 커패시터(Cp)와 기저전압원(GND)간의 전류패스가 형성되어 패널 커패시터(Cp)의 전압이 0볼트로 하강한다. T6 기간에는T5 상태를 일정 시간동안 유지한다. 실제로, 제 1전극(Y) 및 제 2전극(Z)에 공급되는 교류 구동펄스는 T1 내지 T6 기간이 주기적으로 반복되면서 얻어지게 된다.In the T5 period, the third switch S3 is turned off and the fourth switch S4 is turned on. When the fourth switch S4 is turned on, a current path is formed between the panel capacitor Cp and the base voltage source GND, so that the voltage of the panel capacitor Cp drops to zero volts. In the T6 period, the state of T5 is maintained for a certain time. In fact, the AC driving pulses su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Y and the second electrode Z are obtained by periodically repeating the periods T1 to T6.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에너지 회수장치의 인덕터(L) 용량은 서스테인 전압원의 전압이 인가될 수 있도록, 즉 소정이상의 전류가 통과할 수 있도록 설정된다. 따라서, 인덕터(L)는 많은 부피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많은 부피를 가지도록 형성된 인덕터(L)가 실장되는 회로기판도 크게 형성되어야 한다. 한편, 인덕터(L)에 전류가 공급될 때 인덕터(L)는 많은 전자파(electromagnetic interference : 이하 "EMI"라 함)를 방출한다. 이와 같이, 인덕터(L)에서 방출된 EMI는 여과없이 패널외부로 방출된다.However, the inductor L capacity of the conventional energy recovery device is set such that the voltage of the sustain voltage source can be applied, that is, a predetermined current can pass therethrough. Therefore, the inductor L is formed to have a large volume, and a circuit board on which the inductor L formed to have a large volume must be mounted. On the other hand, when a current is supplied to the inductor L, the inductor L emits a lot of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EMI"). As such, EMI emitted from the inductor L is emitted outside the panel without filtration.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실장되는 부품의 수 및 전자파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에너지 회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nergy recovery apparatus of a plasma display panel which can minimize the number of components to be mounted and gener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도 1은 종래의 3전극 교류 면방전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방전셀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ischarge cell structure of a conventional three-electrode AC surface discharge type plasma display panel.

도 2는 종래의 에너지 회수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2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conventional energy recovery device.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에너지 회수장치에 포함된 스위치들의 동작과정을 나타내는 타이밍도.3 is a timing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switches included in the energy recovery device illustrated in FIG. 2.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의한 에너지 회수회로에 설치되는 인덕터를 나타내는 도면.4 is a diagram showing an inductor provided in the energy recovery circu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인쇄회로기판에 인덕터를 형성하기 위한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5 illustrates a pattern for forming an inductor on a printed circuit board.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의한 에너지 회수회로에 설치되는 인덕터를 나타내는 도면.6 is a diagram showing an inductor provided in an energy recovery circui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의한 에너지 회수회로에 설치되는 인덕터를 나타내는 도면.7 is a view showing an inductor provided in an energy recovery circui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인덕터를 등가적으로 나타내는 회로도.FIG. 8 is an equivalent circuit diagram of the inductor shown in FIG. 7. FIG.

도 9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의한 에너지 회수회로에 설치되는 인덕터를나타내는 도면.Fig. 9 shows an inductor provided in the energy recovery circuit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0 : 상부기판12Y : 제 1전극10: upper substrate 12Y: first electrode

12Z : 제 2전극14,22 : 유전체층12Z: second electrode 14, 22: dielectric layer

16 : 보호막18 : 하부기판16: protective film 18: lower substrate

20X : 어드레스전극24 : 격벽20X: address electrode 24: partition wall

26 : 형광체층30,36,38,48,50,52 : PCB26: phosphor layer 30, 36, 38, 48, 50, 52: PCB

32,44 : 실장부품34,39,62 : 인덕터32,44: Mounting parts 34,39,62: Inductor

40,42,56,58,60 : 홀46,54 : 그라운드 패턴40, 42, 56, 58, 60: hole 46, 54: ground patter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에너지 회수장치는 인쇄회로기판의 제 1층에 인쇄회로기판 패턴으로 형성된 인덕터와, 제 1층의 윗층에 위치되는 제 2층 및 제 1층의 아래층에 위치되는 제 3층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층에 그라운드 패턴이 형성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energy recovery apparatus of the plasma display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ductor form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pattern on a first layer of a printed circuit board, and a second layer and a first layer located on an upper layer of the first layer. A ground pattern is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third layers located below the lower layer.

상기 그라운드 패턴은 상기 인덕터를 덮도록 형성된다.The ground pattern is formed to cover the inductor.

상기 제 2층에 실장되는 부품과 인덕터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도록 제 2층에 인덕터의 양측 끝단 부근과 중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 1 및 제 2홀을 구비한다.The second layer includes first and second holes formed in the second layer such that the components mounted on the second layer and the inductor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overlap with both end portions of the inductor.

상기 제 2층에 상기 제 1 및 제 2홀 사이에 형성되어 인덕터의 양측 끝단 사이 중 어느 한곳과 실장되는 부품이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경로를 마련하기 위한 제 3홀을 구비한다.And a third hole formed in the second layer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holes to provide a path through which any part mounted between the both ends of the inductor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상기 인덕터는 지그재그 패턴 또는 나선형 패턴으로 형성된다.The inductor is formed in a zigzag pattern or a spiral pattern.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에너지 회수장치는 인쇄회로기판에 패턴으로 형성된 인덕터와,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어 인덕터의 일측 끝단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1다이오드와,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어 인덕터의 양측 끝단 사이중 어느 한 곳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2다이오드를 구비한다.The energy recovery apparatus of the plasma display panel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ductor formed in a pattern on a printed circuit board, a first diode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inductor, and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to both sides of the inductor. And a second diode electrically connected to either of the ends.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Other objec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above objects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도 4 내지 도 9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9.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의한 에너지 회수회로에 설치되는 인덕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ductor installed in an energy recovery circui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에너지 회수회로에 설치되는 인덕터(34)는 인쇄 회로 기판(30)(Printed Circuit Board : 이하 "PCB"라 함)에 PCB 패턴으로 형성된다. 다시 말하여, 인덕터(34)는 PCB(30)에 배선들이 패터닝될 때 지그재그 형태로패터닝된다. 인덕터(34)가 PCB 패턴으로 패터닝된 후 인덕터(34)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외부에서 부품(32)(예를 들면, 스위칭소자 또는 다이오드)들이 실장된다.Referring to FIG. 4, an inductor 34 installed in the energy recovery circu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PCB pattern on a printed circuit board 30 (hereinafter referred to as "PCB"). In other words, the inductor 34 is patterned in a zigzag form when the wirings on the PCB 30 are patterned. After the inductor 34 is patterned in a PCB pattern, components 32 (eg, switching elements or diodes) are externally mounted so as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ductor 34.

이와 같이 인덕터(34)가 PCB 패턴으로 형성되면, 즉 외부에서 인덕터(34)가 실장되지 않고 PCB(30) 자체가 인덕터(34) 역활을 함으로써 PCB(30)의 크기가 줄어들 수 있다. 한편, 인덕터(34)는 지그재그 패턴 뿐만 아니라 다양한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덕터(34)는 도 5와 같이 나선형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inductor 34 is formed in the PCB pattern, that is, the inductor 34 is not mounted externally and the PCB 30 itself serves as the inductor 34, thereby reducing the size of the PCB 30. Meanwhile, the inductor 34 may be formed in various patterns as well as a zigzag pattern. For example, the inductor 34 may be formed in a spiral pattern as shown in FIG. 5.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의한 에너지 회수회로에 설치되는 인덕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ductor installed in an energy recovery circui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에너지 회수회로는 PCB 패턴으로 인덕터(39)가 형성되는 PCB 내층(38)과, 부품(44)들이 실장되는 PCB 외층(36)을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6, the energy recovery circuit includes a PCB inner layer 38 in which an inductor 39 is formed in a PCB pattern, and a PCB outer layer 36 in which components 44 are mounted.

PCB 외층(36)은 외부에서 실장되는 부품(44)과 인덕터(39)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제 1 및 제 2 비아 홀(40,42)과, 인덕터(39)와 중첩되도록 형성되는 그라운드 패턴(46)을 구비한다. PCB 내층(38)에는 PCB 패턴으로 인덕터(39)가 형성된다.The PCB outer layer 36 has first and second via holes 40 and 42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component 44 and the inductor 39 to be externally mounted, and a ground pattern formed to overlap the inductor 39. 46 is provided. Inductor 39 is formed in the PCB inner layer 38 in a PCB pattern.

그라운드 패턴(46) 및 인덕터(39)는 PCB 내층(38) 및 PCB 외층(36)의 배선들과 동시에 패터닝된다. 인덕터(39)는 제 1 및 제 2 비아 홀(40,42)을 통해 외부에서 실장되는 부품(44)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라운드 패턴(46)은 기저전압원(GND)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와 같은 그라운드 패턴(46)은 인덕터(39)와 중첩되도록 형성되어 인덕터(39)로부터 발생되는 EMI를 흡수한다.따라서,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의하면 에너지 회수회수의 동작시에 인덕터(38)에서 발생되는 EMI가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Ground pattern 46 and inductor 39 are patterned simultaneously with the wirings of PCB inner layer 38 and PCB outer layer 36. The inductor 39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xternally mounted component 44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via holes 40 and 42. The ground pattern 46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ground voltage source GND. The ground pattern 46 is formed to overlap the inductor 39 to absorb the EMI generated from the inductor 39. Th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ductor 38 is operated at the time of energy recovery recovery. EMI generated in the) can be prevented from being emitted to the outside.

한편,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서는 PCB 내층(38)의 배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PCB층이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추가로 설치되는 PCB 층에도 PCB 외층(36)과 동일한 그라운드 패턴(46)이 인덕터(39)와 중첩되도록 설치되어 인덕터(39)로부터 발생되는 EMI를 흡수한다. 즉, 인덕터(39)를 감싸도록 상/하 PCB 층에 그라운드 패턴(46)을 형성함으로써 인덕터(39)에서 발생되는 EMI가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한다.Meanwhile,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PCB layer may be additionally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PCB inner layer 38. In addition, the PCB layer to be installed is provided with the same ground pattern 46 as the PCB outer layer 36 to overlap the inductor 39 to absorb the EMI generated from the inductor 39. That is, by forming the ground pattern 46 on the upper and lower PCB layers to surround the inductor 39, the EMI generated from the inductor 39 is prevented from being emitted to the outside.

도 7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의한 에너지 회수회로에 설치되는 인덕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ductor installed in an energy recovery circui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에너지 회수회로에 설치되는 인덕터(50)는 PCB(48) 상에 PCB 패턴으로 형성된다. 인덕터(50)가 PCB(48)에 형성된 후 외부에서 부품(D1,D2)들이 실장된다. 실례로, 외부에서 인덕터(5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1 및 제 2다이오드(D1,D2)가 PCB(48)에 실장된다. 이때, 제 1다이오드(D1)는 인덕터(50)의 측면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 2다이오드(D2)는 인덕터(50)의 끝단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Referring to FIG. 7, the inductor 50 installed in the energy recovery circuit is formed in a PCB pattern on the PCB 48. After the inductor 50 is formed on the PCB 48, the components D1 and D2 are externally mounted. For example, the first and second diodes D1 and D2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ductor 50 from the outside are mounted on the PCB 48. In this case, the first diode D1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ide portion of the inductor 50, and the second diode D2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nd of the inductor 50.

한편, 제 1다이오드(D1)와 접속된 인덕터(50)는 일측 끝단부터 측면부까지의 용량, 즉 L1의 용량을 갖는다. 또한, 제 2다이오드(D2)와 접속된 인덕터(50)는 일측 끝단부터 다른측 끝단까지의 용량, 즉 L2의 용량을 갖는다. 즉,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서는 실장되는 부품들(D1,D2)이 서로 상이한 지점에서 인덕터(50)에 접속되게 함으로써 하나의 인덕터(50)를 이용하여 2개의 용량값을 갖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inductor 50 connected to the first diode D1 has a capacity from one end to the side portion, that is, the capacity of L1. In addition, the inductor 50 connected to the second diode D2 has a capacity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that is, a capacity of L2. That is,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onents D1 and D2 to be mounted may be connected to the inductor 50 at different points to have two capacitance values using one inductor 50.

이와 같은 인덕터(50)가 설치된 에너지 회수회로는 등가적으로 도 8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The energy recovery circuit in which the inductor 50 is installed may be equivalently represented as shown in FIG. 8.

도 8을 참조하면, 소스 커패시터(Cs)에 충전된 전압은 제 1스위치(S1), 제 1다이오드(D1) 및 L1의 용량을 가지는 인덕터(L)를 경유하여 패널 커패시터(Cp)로 방전된다. 이때, 인덕터(L)는 L1이라는 비교적 작은 용량을 가지므로 소스 커패시터(Cs)에서 방전되는 전압은 비교적 빠른 시간안에 패널 커패시터(Cp)로 공급될 수 있다. 즉, 서스테인 방전을 빠르게 일으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the voltage charged in the source capacitor Cs is discharged to the panel capacitor Cp via the inductor L having the capacity of the first switch S1, the first diode D1, and L1. . In this case, since the inductor L has a relatively small capacitance of L1, the voltage discharged from the source capacitor Cs may be supplied to the panel capacitor Cp in a relatively fast time. That is, it can cause a sustain discharge quickly.

패널 커패시터(Cp)에 충전된 전압은 L2의 용량을 가지는 인덕터(L), 제 2다이오드(D2) 및 제 2스위치(S2)를 경유하여 소스 커패시터(Cs)로 방전된다. 이때, 인덕터(L)는 L1보다 큰 L2의 용량을 가지므로 패널 커패시터(Cp)에서 방전된 전압은 효율적으로 소스 커패시터(Cs)로 공급된다.The voltage charged in the panel capacitor Cp is discharged to the source capacitor Cs via the inductor L having the capacity of L2, the second diode D2, and the second switch S2. At this time, since the inductor L has a capacity of L2 larger than L1, the voltage discharged from the panel capacitor Cp is efficiently supplied to the source capacitor Cs.

한편, 본 발명의 제 2 및 제 3실시예는 도 9와 같이 혼합하여 실시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arried out by mixing as shown in FIG.

도 9를 참조하면, 인턱터(62)가 설치되는 PCB 내층(52)과, 부품(D1,D2)들이 실장되는 PCB 외층(50)이 도시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9, the PCB inner layer 52 in which the inductor 62 is installed, and the PCB outer layer 50 in which the components D1 and D2 are mounted are illustrated.

PCB 외층(50)에는 외부에서 실장되는 부품(D1,D2)들과 인덕터(62)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제 1 및 제 2비아 홀(56,58)과, 도시되지 않은 부품들과 인덕터(62)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제 3비아 홀(60)과, 인덕터(62)와 중첩되도록 형성되는 그라운드 패턴(54)을 구비한다.The PCB outer layer 50 includes first and second via holes 56 and 58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components D1 and D2 externally mounted to the inductor 62 and components and inductors (not shown). And a third via hole 60 for electrically connecting 62 with a ground pattern 54 formed to overlap the inductor 62.

제 1 및 제 3비아 홀(56,60)은 인덕터(62)의 양측 끝단과 중첩되도록 형성된다. 제 2비아 홀(58)은 인덕터(62)의 측면과 중첩되도록 제 1 및 제 3비아 홀(56,60)의 사이에 설치된다. PCB 외층(50)에 실장된 제 2다이오드(D2)는 제 1비아 홀(56)을 경유하여 인덕터(62)의 일측단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PCB 외층(50)에 실장된 제 1다이오드(D1)는 제 2비아 홀(58)을 경유하여 인덕터(62)의 측면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라운드 패턴(54)은 제 2비아 홀(58) 및 제 2 비아 홀(58)을 경유하여 제 1다이오드(D1)와 접속되는 배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지 않도록 형성된다.The first and third via holes 56 and 60 are formed to overlap both ends of the inductor 62. The second via hole 58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and third via holes 56 and 60 so as to overlap the side surface of the inductor 62. The second diode D2 mounted on the PCB outer layer 5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inductor 62 via the first via hole 56. The first diode D1 mounted on the PCB outer layer 5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ide portion of the inductor 62 via the second via hole 58. The ground pattern 54 is formed so as not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wiring connected to the first diode D1 via the second via hole 58 and the second via hole 58.

이와 같이 형성된 에너지 회수회수는 서스테인 방전을 빠르게 일으킬 수 있다. 또한, 그라운드 패턴(54)에 의하여 인덕터(62)에서 발생하는 EMI가 패널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외의 동작과정 및 구성은 본 발명의 제 2 및 제 3실시예와 동일하다.The energy recovery times thus formed can cause a sustain discharge quickly. In addition, the EMI generated by the inductor 62 may be prevented from being emitted to the outside of the panel by the ground pattern 54. Other operations and configurations are the same as in the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에너지 회수장치에 의하면 인덕터를 PCB 패턴으로 형성하기 때문에 PCB에 실장되는 부품수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PCB의 크기가 줄어들 수 있다. 또한, PCB 패턴으로 형성된 인덕터의 상층 및/또는 하층에 그라운드 패턴을 형성하여 인덕터에서 발생된 EMI가 패널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nergy recovery device of the plasma display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inductor is formed in a PCB pattern, the number of components mounted on the PCB can be reduced. Therefore, the size of the PCB can be reduced. In addition, the ground pattern may be formed on the upper layer and / or the lower layer of the inductor formed by the PCB pattern to prevent EMI generated from the inductor from leaking out of the panel.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Claims (6)

인쇄회로기판의 제 1층에 인쇄회로기판 패턴으로 형성된 인덕터와,An inductor form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pattern on the first layer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상기 제 1층의 윗층에 위치되는 제 2층 및 상기 제 1층의 아래층에 위치되는 제 3층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층에 그라운드 패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에너지 회수장치.And a ground pattern is formed on at least one of a second layer positioned above the first layer and a third layer positioned below the first layer.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그라운드 패턴은 상기 인덕터를 덮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에너지 회수장치.And the ground pattern is formed to cover the inducto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2층에 실장되는 부품과 상기 인덕터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도록 상기 제 2층에 상기 인덕터의 양측 끝단 부근과 중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 1 및 제 2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에너지 회수장치.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layer includes first and second holes formed in the second layer so as to overlap with both end portions of both ends of the inductor so that the components mounted on the second layer and the inductor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Energy recovery device for display panel.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제 2층에 상기 제 1 및 제 2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인덕터의 양측 끝단 사이 중 어느 한곳과 상기 실장되는 부품이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경로를마련하기 위한 제 3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에너지 회수장치.And a third hole formed in the second layer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holes to establish a path through which any one of the opposite ends of the inductor and the mounted component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An energy recovery device for a plasma display panel.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인덕터는 지그재그 패턴 또는 나선형 패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에너지 회수장치.And the inductor is formed in a zigzag pattern or a spiral pattern. 인쇄회로기판에 패턴으로 형성된 인덕터와,An inductor formed in a pattern on a printed circuit board,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어 상기 인덕터의 일측 끝단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1다이오드와,A first diode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inductor;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어 상기 인덕터의 양측 끝단 사이중 어느 한 곳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2다이오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에너지 회수장치.And a second diode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any one of both ends of the inductor.
KR10-2001-0062402A 2001-10-10 2001-10-10 Energy Recovery Apparatus in Plasma Display Panel KR10045268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2402A KR100452689B1 (en) 2001-10-10 2001-10-10 Energy Recovery Apparatus in Plasma Display Pan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2402A KR100452689B1 (en) 2001-10-10 2001-10-10 Energy Recovery Apparatus in Plasma Display Pane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9719A true KR20030029719A (en) 2003-04-16
KR100452689B1 KR100452689B1 (en) 2004-10-14

Family

ID=29564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2402A KR100452689B1 (en) 2001-10-10 2001-10-10 Energy Recovery Apparatus in Plasma Display Pane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2689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8326B1 (en) * 2005-04-29 2006-1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Energy Recovery Apparatus of Plasma Display Panel
KR100685646B1 (en) * 2004-06-11 2007-02-22 주식회사 엘지화학 Display device using printed circuit board as substrate of display panel
KR100869795B1 (en) * 2006-11-02 2008-11-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lasma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99310A (en) * 1985-02-28 1986-09-03 Showa Electric Wire & Cable Co Ltd Printed board type electromagnetic delay line
JP3245692B2 (en) * 1993-07-21 2002-01-15 長野日本無線株式会社 Printed board
JPH07202374A (en) * 1994-01-06 1995-08-04 Fuji Electric Co Ltd Printed circuit board pattern
KR960028714A (en) * 1994-12-31 1996-07-22 엄길용 Coils pri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JPH10149134A (en) * 1996-11-18 1998-06-02 Mitsubishi Electric Corp Driving device for plasma display
JP3269451B2 (en) * 1998-03-13 2002-03-2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Display device drive circuit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5646B1 (en) * 2004-06-11 2007-02-22 주식회사 엘지화학 Display device using printed circuit board as substrate of display panel
KR100658326B1 (en) * 2005-04-29 2006-1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Energy Recovery Apparatus of Plasma Display Panel
KR100869795B1 (en) * 2006-11-02 2008-11-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lasma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8018400B2 (en) 2006-11-02 2011-09-13 Samsung Sdi Co., Ltd. Plasma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52689B1 (en) 2004-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8324B1 (en) Circuit for driving electrode of plasma display panel
JP4356024B2 (en) Energy recovery circuit and energy recovery method using the same
KR100426190B1 (en) Apparatus and mehtod of driving plasma display panel
KR20010097044A (en) Energy Recovery Apparatus and Method in Plasma Display Panel
KR100489274B1 (en) Apparatus for driving of plasma display panel
KR100452689B1 (en) Energy Recovery Apparatus in Plasma Display Panel
KR100588019B1 (en) Energy recovery apparatus and method of plasma display panel
KR100508243B1 (en) Apparatus for driving of plasma display panel
KR100503606B1 (en) Energy recovery apparatus and method of plasma display panel
KR100480153B1 (en) Apparatus and method 0f sustain driver with energy recovery
KR100475157B1 (en) Plasma display panel
KR100492186B1 (en) Plasma Display Panel
KR100366943B1 (en) Energy Recovery Apparatus in Plasma Display Panel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0505982B1 (en)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Plasma Display Panel
KR100488451B1 (en) Apparatus of Energy Recovery and Energy Recover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0503730B1 (en) Apparatus and Method of Energy Recovery
KR100472357B1 (en) Plasma display panel
KR100508244B1 (en) Apparatus for Energy Recovery
KR100452690B1 (en) Plasma display panel
KR100547978B1 (en) Method of Energy Recovery
KR100539006B1 (en) Apparatus and method 0f energy recovery
KR100511793B1 (en)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Plasma Display Panel
KR100508247B1 (en) Energy recovery apparatus and method of plasma display panel
KR100373531B1 (en) Energy Recovery Apparatus in Plasma Display Panel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0364397B1 (en) Plasma Display Panel of uniformity Driving Circu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