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9392A - 진공청소기용 사이클론 집진장치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용 사이클론 집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9392A
KR20030029392A KR1020010061879A KR20010061879A KR20030029392A KR 20030029392 A KR20030029392 A KR 20030029392A KR 1020010061879 A KR1020010061879 A KR 1020010061879A KR 20010061879 A KR20010061879 A KR 20010061879A KR 20030029392 A KR20030029392 A KR 200300293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uction
suction pipe
contaminated air
primary
cycl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1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29216B1 (ko
Inventor
임경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618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9216B1/ko
Publication of KR200300293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93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92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92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08Cyclonic chamber con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2Dry filters
    • A47L9/122Dry filters fla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5Construction of inl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Cycl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성력에 의한 제1 집진 및 원심력에 의한 제2 집진이 가능한 사이클론 집진장치를 제공하는 한편, 관성력을 이용한 제1 집진 성능과 원심력을 이용한 제2 집진 성능을 고르게 향상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관성력에 의해 오염물이 집진되는 관성집진 몸체와; 원심력에 의해 오염물을 집진시키는 사이클론 몸체와; 상기 관성집진 몸체와 연통되도록 구비되어, 외부의 오염공기를 상기 관성집진 몸체에 1차 적으로 안내하는 1차 오염공기 흡입관과; 상기 1차 오염공기 흡입관에서 소정각도로 분지되어, 상기 오염물을 상기 사이클론 몸체의 접선방향으로 안내하는 2차 오염공기 흡입관과; 상기 2차 오염공기 흡입관 중 상기 1차 오염공기 흡입관과 접하는 부위에 유동분리수단이 포함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클론 집진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진공청소기용 사이클론 집진장치{cyclone collector for vacuum cleaner}
본 발명은 사이클론 집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진공청소기에 사용이 적합한 진공청소기용 사이클론 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이클론 집진장치(cyclone collector)는 사이클론 원리를 이용하여 공기중에 포함된 오염물(먼지, 보푸라기, 휴지조각 등)을 집진하는 장치이다. 사이클론 집진장치는 여러 분야에서 사용되는데 가정용으로는 주로 진공청소기에 적용되고 있다.
한편,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사이클론 집진장치의 구성을 언급하면 다음과 같다.
원통형상의 사이클론 몸체(11)와, 상기 사이클론 몸체의 일측부 외주면에 형성되는 공기 흡입관(12)과, 상기 사이클론 몸체의 타측부 외주면에 형성되는 이물질 배출관(13)과, 상기 이물질 배출관에 연통되어 이물질이 수집되는 이물질 집진부(14)와, 상기 사이클론 몸체의 타측면에 그 일부가 삽입되어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 배출관(15)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 배출관(15)의 일측에는 공기흡입수단으로 모터팬(도시생략)이 구비되어 공기의 강제 순환을 유도한다. 이 때, 상기 사이클론 몸체(11)를 원통형으로 형성시킨 이유는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에 원심력을 인가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사이클론 집진장치는 상기 공기 흡입관(12)을 통해 이물질을 포함한 공기가 흡입되고, 질량을 갖는 이물질을 원심력에 의해 사이클론 몸체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하면서 이물질 집진부(14)에 최종 집진된다.
이 때, 상기 공기 흡입관(12)을 통해 흡입된 공기는 이물질의 유동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다가 공기 배출관(15)을 통해 토출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이루진 종래의 사이클론 집진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공기 흡입관(12)으로 오염공기(이물질을 포함한 공기)가 유입되고 이물질이 이물질 집진부(14)에 집진되며 순수공기(이물질을 포함하지 않은 공기)가 공기 배출관(15)으로 배출되는 단순한 집진 과정을 수행함에 따라, 이물질도 함께 상기 공기 배출관으로 빠져나가게 되는 등, 집진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관성력에 의한 제1 집진 및 원심력에 의한 제2 집진이 가능한 사이클론 집진장치를 제공하는 한편, 관성력을 이용한 제1 집진 성능과 원심력을 이용한 제2 집진 성능을 고르게 향상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사이클론 집진장치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사이클론 집진장치의 제1 형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2b는 도 2a의 Ⅰ-Ⅰ단면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사이클론 집진장치의 제2 형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3b는 도 3a의 Ⅰ-Ⅰ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이클론 집진장치의 제3 형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1, 211, 311: 관성집진 몸체 112, 212, 312: 1차 오염공기 흡입관
121, 221, 321: 사이클론 몸체 122, 222, 322: 2차 오염공기 흡입관
125, 225, 325: 역방향 그릴 322: 보조 필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관성력에 의해 오염물이 집진되는 관성집진 몸체와; 원심력에 의해 오염물을 집진시키는 사이클론 몸체와; 상기 관성집진 몸체와 연통되도록 구비되어, 외부의 오염공기를 상기 관성집진 몸체에 1차 적으로 안내하는 1차 오염공기 흡입관과; 상기 1차 오염공기 흡입관에서 소정각도로 분지되어, 상기 오염물을 상기 사이클론 몸체의 접선방향으로 안내하는 2차 오염공기 흡입관과; 상기 2차 오염공기 흡입관 중 상기 1차 오염공기 흡입관과 접하는 부위에 유동분리수단이 포함되어 이루어진 사이클론 집진장치를 제공한다.
이 때, 상기 1차 오염공기 흡입관을 유동하는 오염공기의 유동방향과 상기 2 오염공기 흡입관을 유동하는 오염공기의 유동방향이 역방향성을 갖도록, 상기 1차 오염공기 흡입관과 상기 2차 오염공기 흡입관의 소정각도(θ)는 90도임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1차 오염공기 흡입관을 유동하는 오염공기의 유동방향과 상기 2 오염공기 흡입관을 유동하는 오염공기의 유동방향이 역방향성을 갖도록, 상기 1차 오염공기 흡입관과 상기 2차 오염공기 흡입관의 소정각도(θ)는 예각의 범위를 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유동분리수단으로는, 상기 관성집진 몸체로 이동하는 오염물의 유동방향과 역행하는 방향으로 유로를 향성시키는 역방향 그릴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더불어, 상기 관성집진 몸체로 이동하는 오염물과 상기 2차 오염공기 흡입관으로 이동하는 오염물이 더욱 확실하게 분리되도록, 상기 2차 오염공기 흡입관의 일단인 상기 1차 오염공기 흡입관과의 경계부에 보조 필터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사이클론 집진장치의 제1 형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Ⅰ-Ⅰ단면도이며,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사이클론 집진장치의 제2 형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Ⅰ-Ⅰ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이클론 집진장치의 제3 형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이하,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이클론 집진장치의 제1 형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이클론 집진장치의 제1 형태는, 관성력을 이용하여 1차 집진을 수행하는 제1 집진기(110)와, 원심력을 이용하여 2차 집진을 수행하는 제2 집진기(120)로 이루어진다.
이 때, 제1 집진기(110)는, 제1 집진기의 몸체를 이루는 관성집진 몸체(111)와, 관성집진 몸체와 수평이 되게 연통되도록 관성집진 몸체의 일단 중심측에 구비되어 외부의 오염공기(오염물이 포함된 공기)가 수평방향으로 관성집진 몸체에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1차 오염공기 유입관(112)과, 관성집진 몸체의 내부에 집진부를 구획시키는 격벽(113)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2 집진기(120)는, 관성집진 몸체(111)의 저면에 인접하여 구비된 원통형상을 한 사이클론 몸체(121)와, 일단은 상기 1차 오염공기 유입관(112)에서 직각 또는 예각(θ)방향으로 분지되어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사이클론 몸체(121)의 접선에 설치되는 2차 오염공기 유입관(122)과, 상기 사이클론 몸체에서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 배출관(123)과, 상기 사이클론 몸체에서 분리된 오염물을 배출하는 오염물 배출구(124)로 이루어진다. 이때, 예각(θ)은 대략 45임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따른 사이클론 집진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제2 집진기(120)의 공기 배출관(123)측에 구비된 공기흡입기(미도시)를 가동시키면, 1차 오염공기 흡입관(112)으로 공기 또는 오염물질이 유입되고, 유입된 오염물질 중 거대입자는 관성력에 의해 계속해서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다 어느 정도의 길이를 따라 이동되면 관성력보다 중력의 영향이 커져 관성집진 몸체(111)의 하단부에 집진되게 된다.
이와 동시에, 공기 또는 오염물의 미세입자는 2차 오염공기 흡입관(122)을 통해 사이클론 몸체(121)의 접선방향을 따라 사이클론 몸체로 유입되게 된다. 여기서, 1차 오염공기 흡입관(112)과 2차 오염공기 흡입관(122)이 서로 직각 또는 예각(θ)으로 분지된 구조를 취함에 따라, 거대입자가 2차 오염공기 흡입관(122)으로 유입될 확률은 작아지게 되며??상기한 각(θ)의 크기가 작으면 작을수록(즉, 역방향을 취하면 취할수록) 그 확률은 더욱 작아짐은 당연할 것이다. 이후, 사이클론 몸체(121)로 유입된 공기는 공기 배출관(123)을 통해 외부로 토출되고 미세입자의 오염물은 접선방향을 따라 원심력을 받게 된다. 원심력을 받은 미세입자의 오염물은 계속 원을 그리며 선회하다가 오염물 배출구(124)에 도달하면 오염물 배출구를 통해 집진부(미도시)로 집진되게 된다.
한편, 상기한 구조 즉, 2차 오염공기 흡입관(122)이 1차 오염공기 흡입관(112)과 직각 또는 예각(θ)으로 분지된 구조를 취할지라도, 1차 오염공기 흡입관으로 유입되는 오염공기 중 관성집진 몸체(111)로 이동하는 거대입자의 오염물이 2차 오염공기 흡입관(122)으로 유입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1차 오염공기 흡입관(112)으로 유입되는 오염공기 중 관성집진 몸체(111)로 이동하여야 하는 거대입자의 오염물이 2차 오염공기 흡입관(122)으로 확실하게 유입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2차 오염공기 흡입관 중 1차 오염공기 흡입관과 접하는 부위에 유동분리수단을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유동분리수단으로, 상기 관성집진 몸체(111)로 이동하는 오염물의 유동방향과 역행하는 방향으로 유로를 형성시키는 역방향 그릴(125)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더불어, 상기 유동분리수단은, 상기 관성집진 몸체(111)로 이동하는 오염물과 2차 오염공기 흡입관(122)으로 이동하는 오염물을 더욱 확실하게 분리되도록, 상기 2차 오염공기 흡입관(122)의 일단인 상기 1차 오염공기 흡입관(112)과의 경계부에 보조 필터(미도시)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보조 필터의 형상은 거대입자 오염물이 걸러지도록 소정 크기의 구멍이 다수개 형성된 메쉬(mesh)형상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보조 필터를 장착하는 이유는, 관성집진 몸체(111)로 유동되는 오염물의 크기가 사이클론 몸체(121)로 유입되는 오염물의 크기보다 상대적으로 크므로, 관성력에 의해 관성집진 몸체로 이동하는 비교적 입자가 큰 오염물과, 사이믈론 몸체로 이동하는 비교적 입자가 작은 오염물을 더 확실히 분리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결국, 관성력을 이용한 제1 집진기(110)의 집진성능과 원심력을 이용한 제2 집진기(120)의 집진성능을 고르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이클론 집진장치의 제2 형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이클론 집진장치의 제2 형태는, 상술한 제1 형태와 그 구조가 거의 동일하다. 다만, 사이클론 몸체(221)가 관성집진 몸체(211)의 평면에 인접하여 구비된 것과, 1차 오염공기 유입관(212)이 상기 관성집진 몸체(211)의 길이방향과 수직이 되게 관성집진 몸체(211)의 평면 일측에 연통되어 외부의 오염공기(오염물이 포함된 공기)가 수직방향으로 관성집진 몸체에 유입되도록 한 점이 다르다. 반면, 이러한 다른 구조에서, 2차 오염공기 유입관(222)의 일단이 상기 1차 오염공기 유입관(212)에서 직각 또는 예각(θ)방향으로 분지되어 설치되고 그 타단이 상기 사이클론 몸체(221)의 접선에 설치되는 점은 동일하다. 이때, 예각(θ)은 대략 45도임이 바람직하다. 한편, 미도시된 도면부호 213은 격벽이고, 223은 공기 배출관이며, 224는 오염물 배출구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따른 사이클론 집진장치의 동작은 상술한 제1 형태의 동작과 개념상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사이클론 집진장치의 제2 형태도 상술한 제1 형태와 같이, 2차 오염공기 흡입관(222)이 1차 오염공기 흡입관(212)과 직각 또는 예각(θ)으로 분지된 구조를 취하므로, 관성집진 몸체(211)로 유입되어야할 거대입자의 오염물질이 2차 오염공기 흡입관(222)으로 유입될 확률이 적게 된다. 하지만, 단지 유입될 확률이 적을 뿐이지 유입되지 말아야할 거대입자의 오염물의 일부가 2차 오염공기 흡입관(222)으로 유입될 우려는 여전히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상술한 사이클론 집진장치의 제1 형태와 같이, 1차 오염공기 흡입관(212)으로 유입되는 오염공기 중 관성집진 몸체(211)로 이동하여야 하는 거대입자의 오염물이 2차 오염공기 흡입관(222)으로 확실하게 유입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2차 오염공기 흡입관 중 1차 오염공기 흡입관과 접하는 부위에 유동분리수단을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유동분리수단으로, 상기 관성집진 몸체(211)로 이동하는 오염물의 유동방향과 역행하는 방향으로 유로를 형성시키는 역방향 그릴(225)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관성집진 몸체(211)로 이동하는 오염물과 2차 오염공기 흡입관(222)으로 이동하는 오염물이 더욱 확실하게 분리되도록, 상기 2차 오염공기 흡입관(222)의 일단인 상기 1차 오염공기 흡입관(212)과의 경계부에 보조 필터(미도시)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결국, 관성력을 이용한 제1 집진기(210)의 집진성능과 원심력을 이용한 제2 집진기(220)의 집진성능을 고르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이클론 집진장치의 제3 형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이클론 집진장치의 제3 형태는, 상술한 제2 형태와 같이, 사이클론 몸체(321)가 관성집진 몸체(311)의 평면에 인접하여 구비되고, 공기 배출관(323)과 오염물 배출구(324)가 설치되는 반면, 1차 오염공기 흡입관(312)과 2차 오염공기 흡입관(322)의 구조가 상술한 제1 형태 및 제2 형태와 다르다.
이하, 사이클론 집진장치의 제3 형태에 따른 1차 오염공기 흡입관(312)과 2차 오염공기 흡입관(322)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1차 오염공기 흡입관(312)은 그 일단이 외부에 노출되어 있으며, 그 타단이 사이클론 몸체(311)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사이클론 몸체의 일단에 내장됨과함께 관성집진 몸체(311)의 평면에 연통되어 있고, 또한 관성집진 몸체로 오염공기가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라운드 형상을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2차 오염공기 흡입관(322)은 그 일단이 상기 1차 오염공기 흡입관(312)의 상측에서 직각 또는 둔각(θ)방향으로 분지되어 설치되고 그 타단이 사이클론 몸체의 접선에 연통되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사이클론 집진장치의 제3 형태는 상술한 제1 형태 및 제2 형태와는 달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팩트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2차 오염공기 흡입관(322)은 그 일단이 상기 1차 오염공기 흡입관(312)의 상측에서 예각(θ)방향으로 분지되어 설치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3 형태에 따른 사이클론 집진장치의 동작은 상술한 제1 형태의 동작과 개념상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사이클론 집진장치의 제3 형태에서, 상술한 제1 형태 및 제2 형태와 달리, 2차 오염공기 흡입관(322)이 1차 오염공기 흡입관(312)과 직각 또는 둔각으로 분지된 구조를 취하게 되면, 관성집진 몸체(311)로 유입되어야할 거대입자의 오염물질이 유입될 확률이 비교적 크게 된다. 물론, 상술한 제1 형태 및 제2 형태와 같이, 2차 오염공기 흡입관(322)이 1차 오염공기 흡입관(312)과 예각으로 분지된 구조를 취할 지라도, 거대입자의 오염물의 일부가 2차 오염공기 흡입관(322)으로 유입될 우려는 여전히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상술한 사이클론 집진장치의 제1 형태 및 제2 형태와 같이, 1차 오염공기 흡입관(312)으로 유입되는 오염공기 중 관성집진 몸체(311)로 이동하여야 하는 거대입자의 오염물이 2차 오염공기 흡입관(322)으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2차 오염공기 흡입관 중 1차 오염공기 흡입관과 접하는 부위에 유동분리수단을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유동분리수단으로, 상기 관성집진 몸체(311)로 이동하는 오염물의 유동방향과 역행하는 방향으로 유로를 형성시키는 역방향 그릴(325)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관성집진 몸체(311)로 이동하는 오염물과 2차 오염공기 흡입관(322)으로 이동하는 오염물이 더욱 확실하게 분리되도록, 상기 2차 오염공기 흡입관의 일단인 상기 1차 오염공기 흡입관과의 경계부에 보조 필터(326)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결국, 관성력을 이용한 제1 집진기(310)의 집진성능과 원심력을 이용한 제2 집진기(320)의 집진성능을 고르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2a와 도 3a 그리고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2, 3 형태에 따른 사이클론 집진장치의 유동분리수단을 중심으로 동작을 설명한다. 그리고,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도면부호는 상술한 제1 형태를 따른다.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오염물이 관성집진 몸체(111)와 사이클론 몸체(121)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1차 오염공기 흡입관(112)의 길이방향으로 유입되는 외부의 오염물은 역방향 그릴(125)에 의해 관성집진 몸체(111)와 사이클론 몸체(121)로 각각 나뉘어지며 이동하게 된다.
즉, 역방향 그릴(125)의 구조가 1차 오염공기 흡입관(112)으로 유입되는 오염물의 유동방향과 역행하는 방향으로 유로를 형성시키는 구조를 취함에 따라, 공기흡입기(미도시)의 흡입력이 강하게 작용할지라도 관성력에 의해 관성집진 몸체(11)로 이동하는 거대 입자의 오염물(비교적 입자가 큰 오염물)은 그대로 관성집진 몸체로 유입되게 된다.
다시 말해, 1차 오염공기 흡입관(112)으로 유입되는 오염물의 유동력과 관성집진 몸체(111)로 유입되려고 하는 오염물의 관성력이 동일방향으로 작용함에 따라, 관성집진 몸체로 오염물을 이동시키려는 힘의 크기가 보강되므로, 관성집진 몸체(111)로 유입되어야 하는 오염물이 상기 힘의 방향과 역행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사이클론 몸체(121)로 유입되기에는, 사이클론 몸체(121)에서 빨아들이는 흡입력이 작아 관성력에 의해 관성집진 몸체로 유입되는 거대입자의 오염물은 사이클론 몸체로 유입되지 않고, 단지 비교적 입자가 작은 오염물과 공기만이 사이클론 몸체(121)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1차 오염공기 흡입관(112)으로 유입되는 거대입자의 오염물은 보조 필터(도 4의 326참조)에 의해 걸러지게 되어 사이클론 몸체(121)로 이동하지 못하고 확실하게 관성집진 몸체(111)로만 이동하게 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 내에서 상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관성력에 의한 제1 집진 및 원심력에 의한 제2 집진이 가능한 사이클론 집진장치를 제공하는 한편, 제1 집진기로 향하는 오염물의 유동과 제2 집진기로 향하는 오염물의 유동이 상호 분리되도록 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두가지의 집진형태가 적용됨에 따라, 집진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둘째, 1차 오염공기 흡입관을 유동하는 오염공기의 유동방향과 상기 2 오염공기 흡입관을 유동하는 오염공기의 유동방향이 역방향성을 가짐에 따라, 오염물이 제2 집진기로 쏠리지 않게 되어 집진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셋째, 유동분리수단이 구비됨에 따라, 관성력을 이용한 제1 집진기의 집진성능과 원심력을 이용한 제2 집진기의 집진성능이 고르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언급된 모든 효과를 다 포함한다.

Claims (5)

  1. 관성력에 의해 오염물이 집진되는 관성집진 몸체와,
    원심력에 의해 오염물을 집진시키는 사이클론 몸체와,
    상기 관성집진 몸체와 연통되도록 구비되어, 외부의 오염공기를 상기 관성집진 몸체에 1차 적으로 안내하는 1차 오염공기 흡입관과,
    상기 1차 오염공기 흡입관에서 소정각도로 분지되어, 상기 오염물을 상기 사이클론 몸체의 접선방향으로 안내하는 2차 오염공기 흡입관과,
    상기 2차 오염공기 흡입관 중 상기 1차 오염공기 흡입관과 접하는 부위에 유동분리수단이 포함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클론 집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오염공기 흡입관을 유동하는 오염공기의 유동방향과 상기 2 오염공기 흡입관을 유동하는 오염공기의 유동방향이 역방향성을 갖도록, 상기 1차 오염공기 흡입관과 상기 2차 오염공기 흡입관의 소정각도는 90도임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클론 집진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오염공기 흡입관을 유동하는 오염공기의 유동방향과 상기 2 오염공기 흡입관을 유동하는 오염공기의 유동방향이 역방향성을 갖도록, 상기 1차 오염공기 흡입관과 상기 2차 오염공기 흡입관의 소정각도는 예각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클론 집진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분리수단은;
    상기 관성집진 몸체로 이동하는 오염물의 유동방향과 역행하는 방향으로 유로를 형성시키는 역방향 그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클론 집진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관성집진 몸체로 이동하는 오염물과 상기 2차 오염공기 흡입관으로 이동하는 오염물이 더욱 확실하게 분리되도록, 상기 2차 오염공기 흡입관의 일단인 상기 1차 오염공기 흡입관과의 경계부에 보조 필터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클론 집진장치.
KR10-2001-0061879A 2001-10-08 2001-10-08 진공청소기용 사이클론 집진장치 KR1004292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1879A KR100429216B1 (ko) 2001-10-08 2001-10-08 진공청소기용 사이클론 집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1879A KR100429216B1 (ko) 2001-10-08 2001-10-08 진공청소기용 사이클론 집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9392A true KR20030029392A (ko) 2003-04-14
KR100429216B1 KR100429216B1 (ko) 2004-04-29

Family

ID=29563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1879A KR100429216B1 (ko) 2001-10-08 2001-10-08 진공청소기용 사이클론 집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9216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4871A (ko) * 2002-06-08 2003-1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싸이클론 집진 장치
KR100831778B1 (ko) * 2006-12-04 2008-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
KR100842965B1 (ko) * 2007-07-19 2008-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KR100842970B1 (ko) * 2007-07-19 2008-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KR100909734B1 (ko) * 2007-10-25 2009-07-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KR101040203B1 (ko) * 2009-05-06 2011-06-09 최진선 가로등 부착용 광고판과 그 제조방법
KR101411723B1 (ko) * 2007-12-14 2014-06-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KR101436630B1 (ko) * 2007-11-14 2014-09-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
GB2531071A (en) * 2014-10-10 2016-04-13 Dyson Technology Ltd A domestic cyclonic vacuum cleaner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52851A (ko) * 1972-11-06 1975-05-10
JPS54112358U (ko) * 1978-01-27 1979-08-07
NL9002668A (nl) * 1990-12-05 1992-07-01 Philips Nv Stofzuiger.
JPH08322768A (ja) * 1995-06-02 1996-12-10 Sharp Corp 電気掃除機
KR20020072007A (ko) * 2001-03-08 2002-09-14 엘지전자주식회사 진공청소기용 사이클론 집진장치
KR20020079158A (ko) * 2001-04-13 2002-10-19 엘지전자주식회사 진공청소기용 사이클론 집진장치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4871A (ko) * 2002-06-08 2003-1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싸이클론 집진 장치
KR100831778B1 (ko) * 2006-12-04 2008-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
KR100842965B1 (ko) * 2007-07-19 2008-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KR100842970B1 (ko) * 2007-07-19 2008-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KR100909734B1 (ko) * 2007-10-25 2009-07-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KR101436630B1 (ko) * 2007-11-14 2014-09-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
KR101411723B1 (ko) * 2007-12-14 2014-06-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KR101040203B1 (ko) * 2009-05-06 2011-06-09 최진선 가로등 부착용 광고판과 그 제조방법
GB2531071A (en) * 2014-10-10 2016-04-13 Dyson Technology Ltd A domestic cyclonic vacuum cleaner
WO2016055765A1 (en) * 2014-10-10 2016-04-14 Dyson Technology Limited A domestic cyclonic vacuum cleaner
CN105496300A (zh) * 2014-10-10 2016-04-20 戴森技术有限公司 家用旋风式真空吸尘器
GB2531071B (en) * 2014-10-10 2017-03-22 Dyson Technology Ltd A domestic cyclonic vacuum cleaner
US10555653B2 (en) 2014-10-10 2020-02-11 Dyson Technology Limited Domestic cyclonic vacuum clea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29216B1 (ko) 2004-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7364B1 (ko) 진공청소기의 사이클론 집진장치
RU2243714C1 (ru) Пылеулавлив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циклонного типа для пылесоса
KR100432831B1 (ko) 진공청소기의 싸이클론 집진장치
KR100445801B1 (ko) 진공청소기용 사이클론 집진장치의 그릴 조립체
US20070144117A1 (en) Cyclone air purifier
JP2003250733A (ja) 真空清掃機用サイクロン集塵装置のグリル組立体
JP2000157463A (ja) 真空掃除機用サイクロン集塵装置
KR20040089208A (ko) 진공청소기용 사이클론 집진장치
JP2004167206A (ja) グリル組立体及びそれを備えた真空掃除機用サイクロン集塵装置
KR100429216B1 (ko) 진공청소기용 사이클론 집진장치
WO2022188212A1 (zh) 风道组件和清洁装置
KR20060031416A (ko) 싸이클론 집진장치
JP4621008B2 (ja) 真空掃除機のゴミ分離装置
KR20020072009A (ko) 진공청소기용 사이클론 집진장치
KR20040050221A (ko) 싸이클론 집진장치
KR100474921B1 (ko) 싸이클론 집진장치
KR100282345B1 (ko) 싸이클론 집진장치
KR20020071622A (ko) 다중 싸이클론 집진장치
KR20060081416A (ko) 다기능 강력 흡입 배출기
KR20030094871A (ko) 싸이클론 집진 장치
KR20020079158A (ko) 진공청소기용 사이클론 집진장치
KR100357514B1 (ko) 진공청소기
KR100606703B1 (ko) 진공청소기용 싸이클론 집진장치
KR100789837B1 (ko) 싸이클론 집진장치
KR100628131B1 (ko) 다중 싸이클론 집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