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8539A - Door lock open and shut apparatus for utilizing mobile phone - Google Patents

Door lock open and shut apparatus for utilizing mobile 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8539A
KR20030028539A KR1020030018091A KR20030018091A KR20030028539A KR 20030028539 A KR20030028539 A KR 20030028539A KR 1020030018091 A KR1020030018091 A KR 1020030018091A KR 20030018091 A KR20030018091 A KR 20030018091A KR 20030028539 A KR20030028539 A KR 200300285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word
door lock
microprocessor
mobile phon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809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연식
강운구
Original Assignee
김연식
강운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연식, 강운구 filed Critical 김연식
Priority to KR1020030018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28539A/en
Publication of KR20030028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8539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PURPOSE: An apparatus for opening/closing a door lock by using a cellular phone is provided to open/close the door lock by an electronic key installed in a cellular phone. CONSTITUTION: A battery(1) supplies driving power. A driving circuit(3) of a cellular phone is operated by receiving drive power from the battery(1). A keyboard(5) is a device for inputting a command of a user. A microprocessor(7) controls a whole operation according to a secret number for opening/closing the door lock. A use mode selection switch(9) selects any one of a telephone call or a door key function. An oscillator(10) generates clocks with constant periods and inputs the clocks to the microprocessor(7). An EEPROM(11) stores the secret number. An amplifier(13) receives and amplifies the secret number. A driving device(17) receives amplified secret number data and outputs the data through an antenna(15) to open the door lock of an electronic type.

Description

휴대전화를 이용한 도어록 개폐장치{DOOR LOCK OPEN AND SHUT APPARATUS FOR UTILIZING MOBILE PHONE}DOOR LOCK OPEN AND SHUT APPARATUS FOR UTILIZING MOBILE PHONE}

본 발명은 전자 도어 록을 이동전화기에 저장된 도어 키에 의해 무선으로 개폐할 수 있는 휴대전화를 이용한 도어록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lock opening and closing device using a mobile phone that can wirelessly open and close the electronic door lock by a door key stored in the mobile phone.

통상적으로 이미 사용되고 있는 주물형 도어 록, 전자 도어 록 또는 생체인식형(지문 또는 눈동자의 홍채 인식형) 전자 도어 록 등 다양한 도어 록이 유통되고 있다,Conventionally, various door locks, such as cast-type door locks, electronic door locks, or biometric (fingerprint or iris recognition of a pupil) electronic door locks, which are already used, are in circulation,

그런데, 종래로부터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이들 도어 록은 주로 도어 키나 카드 키를 사용하여 개폐하여야 하므로, 도어 키나 카드 키를 반드시 휴대하여야 하므로 불편할 뿐만 아니라, 분실시에 경제적인 손실을 입을 염려가 있다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se door locks, which are conventionally distributed on the market, must be opened and closed mainly using door keys or card keys, and therefore must be carried with the door keys or card keys, which is not only inconvenient, but also may cause economic losses in case of loss. There were various problems.

본 발명은 상기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전화기에 설치된 전자 키에 의해 무선으로 도어 록을 개폐할 수 있는 휴대전화를 이용한 도어록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various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oor lock opening and closing device using a mobile phone that can open and close the door lock wirelessly by an electronic key installed in the mobile phon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 전화기에 전자 키가 내장되어 있어 별도의 키나 카드 키를 소지할 필요가 없는 휴대전화를 이용한 도어록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oor lock opening and closing device using a mobile phone which does not need to carry a separate key or a card key because an electronic key is embedded in the mobile phon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분실시에도 도난의 염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분실을 용이하게 알 수 있는 휴대전화를 이용한 도어록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oor lock opening and closing device using a mobile phone that can not only be lost, but also easy to know theft when los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로부터 구동전원을 받아서 동작되는 이동전화기 구동회로와, 상기 이동전화기 구동회로를 구동시키도록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하는 키보드와, 상기 키보드에 의해 입력되는 도시하지 않은 도어 록을 개폐시키는 비밀번호에 따라 전체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전화통화와 도어 키 기능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모드 설정스위치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일정한 주기의 클록을 발진해서 입력하는 발진기와, 상기 키보드에 의해 입력되는 전자 도어 록을 개폐시키는 비밀번호를 저장하는 EEPROM과, 상기 사용모드 설정스위치에 의해 도어 키 기능이 설정되었을 경우에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제어에 의해 상기 EEPROM에서 출력되는 전자 도어 록을 개방시키는 비밀번호를 받아 증폭하는 증폭기와, 상기 증폭기에서 증폭된 비밀번호 데이터를 받아 전자 도어 록을 개방시키도록 안테나를 통해 출력하는 구동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attery, a mobile phone driving circuit operated by receiving driving power from the battery, a keyboard for inputting a user's command to drive the mobile phone driving circuit, and an input by the keyboard. A microprocessor for controlling the entire operation according to a password for opening and closing a door lock (not shown), a use mode setting switch for selecting one of a telephone call and a door key function, and oscillating a predetermined period of clocks to the microprocessor An EEPROM for storing an oscillator for input, a password for opening and closing an electronic door lock input by the keyboard, and an output from the EEPROM under the control of the microprocessor when the door key function is set by the use mode setting switch. To open the electronic door lock Receiving and characterized in that the amplifier for amplifying, receiving the password data amplified by the amplifier with the drive means and output from the antenna so as to open the electronic door lock.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휴대전화를 이용한 도어록 개폐장치의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of a door lock opening and closing device using a mobile 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휴대전화를 이용한 도어록 개폐장치를 사용해서 도어 록의 개폐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Figure 2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lock using a door lock opening and closing device using a mobile 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배터리 3:이동전화기 구동회로1: battery 3: mobile phone drive circuit

5:키보드 7:마이크로 프로세서5: keyboard 7: microprocessor

9:사용모드 설정스위치 10:발진기9: use mode setting switch 10: oscillator

11:EEPROM 13:증폭기11: EEPROM 13: Amplifier

15:안테나 17:구동수단15: antenna 17: driving means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전화를 이용한 도어록 개폐장치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door lock opening and closing device using a mobile 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휴대전화를 이용한 도어록 개폐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휴대전화를 이용한 도어록 개폐장치는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와, 상기 배터리(1)로부터 구동전원을 받아서 동작되는 이동전화기 구동회로(3)와, 상기 이동전화기 구동회로(3)를 구동시키도록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하는 키보드(5)와, 상기 키보드(5)에 의해입력되는 도시하지 않은 도어 록을 개폐시키는 비밀번호에 따라 전체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7)와, 전화통화와 도어 키 기능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모드 설정스위치(9)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7)에 일정한 주기의 클록을 발진해서 입력하는 발진기(10)와, 상기 키보드(5)에 의해 입력되는 전자 도어 록을 개폐시키는 비밀번호를 저장하는 EEPROM(11)과, 상기 사용모드 설정스위치(9)에 의해 도어 키 기능이 설정되었을 경우에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7)의 제어에 의해 상기 EEPROM(11)에서 출력되는 전자 도어 록을 개방시키는 비밀번호를 받아 증폭하는 증폭기(13)와, 상기 증폭기(13)에서 증폭된 비밀번호 데이터를 받아 전자 도어 록을 개방시키도록 안테나(15)를 통해 출력하는 구동수단(17)을 구비하고 있다.1 is a block diagram of a door lock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using a mobile 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a door lock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using a mobile 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ttery 1 for supplying operating power and a mobile phone driving circuit operated by receiving driving power from the battery 1. (3), a keyboard 5 for inputting a user's command to drive the mobile phone driving circuit 3, and a password for opening and closing a door lock (not shown) input by the keyboard 5; A microprocessor 7 for controlling operation, a use mode setting switch 9 for selecting one of a telephone call and a door key function, and an oscillator for oscillating and inputting a clock of a predetermined period to the microprocessor 7 ( 10), the EEPROM 11 storing the password for opening and closing the electronic door lock input by the keyboard 5, and the door key function being set by the use mode setting switch 9 The amplifier 13 receives and amplifies the password for opening the electronic door lock output from the EEPROM 11 by the control of the microprocessor 7, and the electronic door lock for receiving the password data amplified by the amplifier 13. It is provided with a drive means 17 for outputting through the antenna 15 to open the.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전화를 이용한 도어록 개폐장치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and effect of the door lock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using the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휴대전화를 이용한 도어록 개폐장치를 사용해서 도어 록의 개폐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2에 있어서 S는 스텝(Step)을 표시한다.Figure 2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lock using a door lock opening and closing device using a mobile 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2, S denotes a step.

먼저, 스텝S1에서 키보드(5)를 사용하여 도시하지 않은 도어 록 및 이동전화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7)에 비밀번호를 각각 입력하여 도어 록에 비밀번호를 설정함과 동시에, 이동전화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7)를 통해서 EEPROM(11)에 비밀번호를 설정하고(비밀번호 설정스텝), 스텝S2로 나아가서 사용모드 설정스위치(9)에 의해 사용모드가 도어 록의 개방모드에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별하고(사용모드판별스텝), 상기 사용모드 판별스텝의 판별결과, 사용모드가 도어 록의 개방모드에 설정되어 있을 경우(YES일 경우), 스텝S3으로 나아가서 이동전화기의 키보드(5)를 사용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한다(비밀번호 입력단계).First, in step S1, a password is input to the door lock and the microprocessor 7 of the mobile phone (not shown) using the keyboard 5 to set a password to the door lock, and at the same time, the microprocessor 7 of the mobile phone. Set a password in the EEPROM 11 (password setting step), and proceed to step S2 to determine whether the use mode is set to the open mode of the door lock by the use mode setting switch 9 (use mode discrimination). Step) If the use mode determination step determines that the use mode is set to the open mode of the door lock (YES), proceed to step S3 and enter the password using the keyboard 5 of the mobile telephone ( Enter password).

다음에, 스텝S4로 나아가서 비밀번호 입력단계에서 입력한 비밀번호를 마이크로 프로세서(7)에 받아 연산처리하여 EEPROM(11)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비밀번호와 동일할 경우,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7)에서 출력되는 비밀번호 데이터를 증폭기(13)에서 증폭하여 송신수단(17)에서 안테나(15)를 통해서 무선으로 도어 록에 출력한다(비밀번호 무선송출스텝).Next,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4, when the password input in the password input step is received by the microprocessor 7 and processed to be the same as the password previously stored in the EEPROM 11, the password output from the microprocessor 7 The data is amplified by the amplifier 13 and output from the transmitting means 17 to the door lock wirelessly through the antenna 15 (password wireless sending step).

그 후, 스텝S5로 나아가서 비밀번호 무선송출스텝에서 송출한 비밀번호 데이터를 도어 록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별하고(비밀번호 판별스텝), 상기 비밀번호 판별스텝에서 도어 록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비밀번호와 일치할 경우에는 스텝S6으로 나아가서 도어 록을 개방한다(도어록 개방스텝).Subsequently, the flow advances to step S5 to determine whether the password data sent out in the password wireless transmission step matches the password stored in the door lock in advance (password determination step), and is previously stored in the door lock in the password determination step. If the password matches the password, the flow advances to step S6 to open the door lock (door lock opening step).

도어 록의 폐쇄는 도어를 닫음으로서 행해진다.Closing the door lock is done by closing the door.

한편, 스텝S2의 사용모드 판별스텝의 판별결과, 사용모드가 도어 록의 개방모드에 설정되어 있지 않을 경우(NO일 경우)에는 스텝S2로 복귀하여 스텝S2의 사용모드 판별스텝 이하의 동작을 반복해서 행하고, 스텝S5의 비밀번호 판별스텝에서On the other hand, if the use mode determination step of step S2 determines that the use mode is not set to the open mode of the door lock (NO), the operation returns to step S2 and the operation below the use mode determination step of step S2 is repeated. In the password determination step of step S5.

상기 비밀번호 무선송출스텝의 판별 결과, 이동전화기에서 송출한 비밀번호 데이터가 도어 록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비밀번호와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스텝S3으로 복귀하여 스텝S3의 비밀번호 입력단계 이하의 동작을 반복해서 행한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the password wireless transmission step, if the password data sent from the mobile telephone does not match the password stored in advance in the door lock,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3 and the operations following the password input step of step S3 are repeatedly performed.

상기 설명에서 비밀번호의 입력은 키보드(5)의 버튼번호 0, 1, 2, 3, 4, 5, 6, 7, 8, 9, *, #, A, B, C, D,---Z를 사용하여 저장할 수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input of the password is button number 0, 1, 2, 3, 4, 5, 6, 7, 8, 9, *, #, A, B, C, D, --- Z of the keyboard 5. Can be stored using

상기 설명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상 마이크로 프로세서(7), 발진기(10), EEPROM(11), 증폭기(13) 및 구동수단(17)을 이동전화기 구동회로(3)와 별도로 구성한 것을 예로 들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존의 이동전화기에 구비하고 있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발진기, 메모리, 증폭기 및 구동수단을 사용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In the above descript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microprocessor 7, the oscillator 10, the EEPROM 11, the amplifier 13, and the driving means 17 are separately configured as the mobile phone driving circuit 3.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of course, a microprocessor, an oscillator, a memory, an amplifier, and a driving means included in the existing mobile phone may be used.

상기 설명에 있어서, 특정 실시예를 들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본 발명의 개념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여러가지로 설계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course, the design can be changed in various way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전화를 이용한 도어록 개폐장치에 의하면, 배터리로부터 구동전원을 받아서 동작되는 이동전화기 구동회로와, 상기 이동전화기 구동회로를 구동시키도록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하는 키보드와, 상기 키보드에 의해 입력되는 도시하지 않은 도어 록을 개폐시키는 비밀번호에 따라 전체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전화통화와 도어 키 기능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모드 설정스위치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일정한 주기의 클록을 발진해서 입력하는 발진기와, 상기 키보드에 의해 입력되는 전자 도어 록을 개폐시키는 비밀번호를 저장하는 EEPROM과, 상기 사용모드 설정스위치에 의해 도어 키 기능이 설정되었을 경우에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제어에 의해 상기 EEPROM에서 출력되는 전자 도어 록을 개방시키는 비밀번호를 받아 증폭하는 증폭기와, 상기 증폭기에서 증폭된 비밀번호 데이터를 받아 전자 도어 록을 개방시키도록 안테나를 통해 출력하는 구동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본인 또는 타인의 이동전화기에 설치된 전자 키에 의해 무선으로 도어 록을 개폐할 수 있고, 이동 전화기에 전자 키가 내장되어 있어 별도의 키나 카드 키를 소지할 필요가 없고, 분실시에도 도난의 염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분실을 용이하게 알 수 있다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door lock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using the mobile 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 mobile phone driving circuit operated by receiving a driving power from a battery, a keyboard for inputting a user's command to drive the mobile phone driving circuit, and A microprocessor for controlling the entire operation according to a password for opening and closing a door lock (not shown) input by a keyboard, a use mode setting switch for selecting one of a telephone call and a door key function, and a predetermined cycle for the microprocessor An oscillator for oscillating and inputting a clock, an EEPROM for storing a password for opening and closing an electronic door lock input by the keyboard, and control of the microprocessor when the door key function is set by the use mode setting switch. Open the electronic door lock output from the EEPROM An amplifier for receiving and amplifying a password to be prevented, and a driving means for receiving the password data amplified by the amplifier and outputting the same through an antenna to open the electronic door lock. The door lock can be opened and closed wirelessly, and the electronic phone is built in the mobile phone, so there is no need to carry a separate key or card key. Excellent effect.

Claims (2)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와, 상기 배터리(1)로부터 구동전원을 받아서 동작되는 이동전화기 구동회로(3)와, 상기 이동전화기 구동회로(3)를 구동시키도록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하는 키보드(5)와, 상기 키보드(5)에 의해 입력되는 도시하지 않은 도어 록을 개폐시키는 비밀번호에 따라 전체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7)와, 전화통화와 도어 키 기능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모드 설정스위치(9)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7)에 일정한 주기의 클록을 발진해서 입력하는 발진기(10)와, 상기 키보드(5)에 의해 입력되는 전자 도어 록을 개폐시키는 비밀번호를 저장하는 EEPROM(11)과, 상기 사용모드 설정스위치(9)에 의해 도어 키 기능이 설정되었을 경우에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7)의 제어에 의해 상기 EEPROM(11)에서 출력되는 전자 도어 록을 개방시키는 비밀번호를 받아 증폭하는 증폭기(13)와, 상기 증폭기(13)에서 증폭된 비밀번호 데이터를 받아 전자 도어 록을 개방시키도록 안테나(15)를 통해 출력하는 구동수단(17)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를 이용한 도어록 개폐장치.A battery (1) for supplying operating power, a mobile phone driving circuit (3) operated by receiving driving power from the battery (1), and inputting a user's command to drive the mobile phone driving circuit (3); A keyboard 5, a microprocessor 7 for controlling the entire operation according to a password for opening and closing a door lock (not shown) input by the keyboard 5, and selecting one of a telephone call and a door key function A mode for use mode setting switch 9, an oscillator 10 for oscillating and inputting a clock of a predetermined period into the microprocessor 7, and a password for opening and closing the electronic door lock inputted by the keyboard 5; When the door key function is set by the EEPROM 11 and the use mode setting switch 9, the electronic door lock output from the EEPROM 11 is controlled by the microprocessor 7. And an amplifier 13 for receiving and amplifying the password, and driving means 17 for receiving the password data amplified by the amplifier 13 and outputting it through the antenna 15 to open the electronic door lock. Door lock opening and closing device using a mobile phone. 키보드(5)를 사용하여 도어 록 및 이동전화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7)에 비밀번호를 각각 입력하여 도어 록에 비밀번호를 설정함과 동시에, 이동전화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7)를 통해서 EEPROM(11)에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비밀번호 설정스텝과,A password is set in the door lock by inputting the password into the door lock and the microprocessor 7 of the mobile phone using the keyboard 5, and at the same time, the password is entered into the EEPROM 11 through the microprocessor 7 of the mobile phone. Password setting step of setting 사용모드 설정스위치(9)에 의해 사용모드가 도어 록의 개방모드에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사용모드 판별스텝과,A use mode determination step of judging whether or not the use mode is set to the open mode of the door lock by the use mode setting switch 9; 상기 사용모드 판별스텝에서 사용모드가 도어 록의 개방모드에 설정되어 있을 경우 이동전화기의 키보드(5)를 사용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비밀번호 입력단계와,A password input step of inputting a password using the keyboard 5 of the mobile telephone when the use mode is set to the open mode of the door lock in the use mode determination step; 상기 비밀번호 입력단계에서 입력한 비밀번호를 마이크로 프로세서(7)에 받아 연산처리하여 EEPROM(11)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비밀번호와 동일할 경우,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7)에서 출력되는 비밀번호 데이터를 증폭기(13)에서 증폭하여 송신수단(17)에서 안테나(15)를 통해서 무선으로 도어 록에 출력하는 비밀번호 무선송출스텝과,When the password input in the password input step is received by the microprocessor 7 and processed to be the same as the password stored in advance in the EEPROM 11, the password data output from the microprocessor 7 amplifier 13 A password wireless transmission step of amplifying at and outputting to the door lock wirelessly from the transmitting means (17) through the antenna (15), 비밀번호 무선송출스텝에서 송출한 비밀번호 데이터를 도어 록에서 받아 미리 저장되어 있는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비밀번호 판별스텝과,A password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password data transmitted by the password wireless transmission step is matched with a password stored in advance in the door lock; 상기 비밀번호 판별스텝에서 도어 록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비밀번호와 일치할 경우에 도어 록을 개방하는 도어록 개방스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를 이용한 도어록 개폐방법.And a door lock opening step of opening the door lock when it matches the password previously stored in the door lock in the password determination step.
KR1020030018091A 2003-03-24 2003-03-24 Door lock open and shut apparatus for utilizing mobile phone KR2003002853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8091A KR20030028539A (en) 2003-03-24 2003-03-24 Door lock open and shut apparatus for utilizing mobile 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8091A KR20030028539A (en) 2003-03-24 2003-03-24 Door lock open and shut apparatus for utilizing mobile pho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8539A true KR20030028539A (en) 2003-04-08

Family

ID=29578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8091A KR20030028539A (en) 2003-03-24 2003-03-24 Door lock open and shut apparatus for utilizing mobile 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28539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5575B1 (en) * 2005-10-11 2007-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having multiple electronic keys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O2015009120A1 (en) * 2013-07-19 2015-01-22 주식회사 코레이트 Electronic security bag controlled by mobile phon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5575B1 (en) * 2005-10-11 2007-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having multiple electronic keys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O2015009120A1 (en) * 2013-07-19 2015-01-22 주식회사 코레이트 Electronic security bag controlled by mobile phone
KR101492087B1 (en) * 2013-07-19 2015-03-02 임강수 Electronic security bag possible control of Cellular phone.
CN105491910A (en) * 2013-07-19 2016-04-13 株式会社太白保安咨询 Electronic security bag controlled by mobile phone
US9675152B2 (en) 2013-07-19 2017-06-13 Taebaek Security Consulting Inc. Electronic security bag controlled by mobile pho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0379B1 (en) Method for performing specific function in wireless terminal with lock function
KR100878048B1 (en) The door opening and shutting method which uses the cell phone where the fluctuation password bar code is stored
KR20030028539A (en) Door lock open and shut apparatus for utilizing mobile phone
JP2007235867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941786B1 (en) Power control system and method using entrance/exit information
KR20060121439A (en) Method for opening door-lock device using mobile station
KR10033149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lectronic Lock Using Cellular Phone
EP2589732A1 (en) Automatically ringing electronic door lock
KR20090126354A (en) Recognition system and method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170094811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door lock
KR100799837B1 (en) A method for controlling digital door-lock using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US662202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tering numbers
KR20130021240A (en) Method of generating cyber key and system for the same
KR200236033Y1 (en) A door unlocking apparatus
US8682296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uthent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2001098811A (en) Central control system in unlocking method utilizing tone signal
KR20060036981A (en) The materializing method and system for an electric-key
KR100638025B1 (en) Locking release system
KR101947981B1 (en) Smart door lock system
KR100669288B1 (en) Locker control system using the battery a long period
KR20040028028A (en) Unlock method and apparatus for portable terminal
KR200330569Y1 (en)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using a password input having imaginary number
KR100531892B1 (en) System and method be equipped with crime prevention/security service using handheld terminal
KR920006320B1 (en) Door security device
KR19990019326A (en) Key input structure and method of electronic ke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