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5441A - A Identification Card holder - Google Patents

A Identification Card hold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5441A
KR20030025441A KR1020010058413A KR20010058413A KR20030025441A KR 20030025441 A KR20030025441 A KR 20030025441A KR 1020010058413 A KR1020010058413 A KR 1020010058413A KR 20010058413 A KR20010058413 A KR 20010058413A KR 20030025441 A KR20030025441 A KR 200300254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microphone
voice signal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84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403563B1 (en
Inventor
박상양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584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3563B1/en
Publication of KR200300254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544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3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3563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04M1/05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head, throat or bre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PURPOSE: An ID card holder is provided to mount an ear-microphone on a necklace string formed in a case for keeping an ID card, and to have an LCD and a keypad in the case, thereby enabling a user to wear the ID card holder on the neck and to easily operate control actions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out opening a folder or a flip of the terminal. CONSTITUTION: A case(10) inserts an ID card. A necklace string(12) hangs an entire holder around a user's neck. An ear-microphone(20) includes a receiver(22) and a microphone(24). The receiver(22) formed on the necklace string(12) outputs a voice signal. The microphone(24) inputs the voice signal. A keypad(30) generates a key signal necessary for controlling terminal operations. An LCD screen(40) processes the key signal to output the signal. A key signal transmitter transmits the processed key signal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voice signal transmitter transmits the voice signal inputted from the microphone(24) to the terminal, and transmits the outputted voice signal to the receiver(22). A power supplier supplies power for driving the LCD screen(40) and the keypad(50).

Description

아이디 카드 홀더{A Identification Card holder}ID card holder {A Identification Card holder}

본 발명은 아이디 카드(Identity Card ; 이하 ID Card)홀더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아이디 카드의 수납 보관뿐만 아니라 이동통신 단말기에 사용되는 이어 마이크 폰(Ear-micro phone)및 액정표시화면(LCD), 키패드(key pad)가 구비된 아이디 카드 홀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dentity card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ID card) holder, and in particular, an ear-microphone, an LCD, a keypad used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well as storing and storing an ID card. It relates to an ID card holder provided with a (key pad).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단말기 사용자가 단말기를 손으로 들지 않고, 통화할 수 있도록 대개 이어 마이크폰 및 이어 마이크폰 잭이 제공된다.In general,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usually provided with an ear microphone and an ear microphone jack so that a terminal user can make a call without holding the terminal by hand.

이어 마이크 폰은 이어 마이크 폰 잭에 삽입되는 연결 플러그와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어 통화음을 출력하는 리시버(receiver)와 통화음을 입력하는 마이크(micro phone)가 도선으로 연결되고, 그 외 통화음의 출력을 조절하기 위한 볼륨 조절노브, 그리고 통화의 온/오프 및 최종(最終)송신 전화번호의 재다이얼을 위한 후크버튼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Earphones are connected to the earphone plug into the microphone jack jack, the receiver is inserted into the user's ear to output the call sound, and the microphone to input the call sound is connected by a wire. Volume control knob, and a hook button for turning on / off the call and redialing the last transmitted telephone number.

이와 같이 구성되는 이어 마이크 폰은 별다른 휴대구없이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와 함께 휴대하고 있다가 사용 시에만 꺼내 사용하는 불편함이 있어 근래 들어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목에 걸어 고정하는 단말기 휴대용 목걸이와 이어 마이크 폰을 일체형으로 구성한 목걸이형 이어 마이크폰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Ear microphone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inconvenient to be taken out only when the user is carrying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out using a portable device. Necklace-type ear microphones composed of ear microphones are widely used.

그러나, 근래들어 널리 사용되고 있는 목걸이형 이어 마이크폰 역시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고, 단말기 사용자의 목 근육에 무리를 주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necklace-type ear microphones, which are widely used in recent years, also have inconvenience in use, and have a problem in that the neck muscles of the terminal users are overwhelmed.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단말기 사용자가 목걸이형 이어 마이크폰과 각종 출입구의 보안 장치를 작동 해제시키기 위한 아이디 카드(ID Card)를 보관하는 아이디 카드홀더를 동시에 소지하고 있다면 단말기 사용자는 자신의 목에 목걸이형 이어 마이크 폰과 아이디 카드 홀더를 동시에 걸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이동통신 단말기가 경량화되어 있지만 계속적으로 목에 걸려진 상태를 유지하면 단말기 사용자의 목 근육을 경직시켜 목 디스크 등을 유발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More specifically, if the terminal user has a necklace-type ear microphone and an ID card holder that holds an ID card for deactivating security devices of various entrances at the same time, the terminal user has a necklace around his neck. It is inconvenient to hang the type ear microphone and ID card holder at the same time,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light weight, but if it keeps getting stuck in the neck, it can cause neck disk and the like by stiffening the neck muscles of the terminal user. Because.

또한, 목걸이형 이어 마이크폰은 단순히 단말기 사용자가 손을 사용하지 않고 통화연결이 가능하다는 장점이외에 통화 연결을 위한 전화번호 입력, 전화번호 검색, 단말기의 메뉴 조작, 단문 메시지의 작성 및 송수신 등 일련의 제어 동작은 모두 휴대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플립 또는 폴더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In addition, the necklace-type ear microphone is not only an advantage that the terminal user can make a call without using a hand, but a series of telephone numbers, a phone number search, a menu operation of the terminal, and a short message are created and transmitted for the call connection. All of the control operations have to be done in the state of opening a flip or folder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단말기의 이어 마이크 폰과 아이디 카드를 동시에 단말기 사용자의 목에 걸어 휴대할 수 있는 아이디 카드 홀더를 제공하는데 첫 번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is to provide an ID card holder that can be carried on the user's neck and the ear microphone phone and ID card of the terminal at the same tim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첫 번째 목적과 함께 단말기의 제어 동작이 휴대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플립 또는 폴더를 개방시키지 않고 조작할 수 있는 아이디 카드 홀더를 제공하는데 두 번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D card holder which can be operated without opening a flip or folder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rried by the control operation of the terminal together with the first object.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아이디 카드 홀더는 상기 목적들을 이루기 위해, 아이디 카드가 내부에 삽입 설치되는 케이스를 사용자의 목에 걸기 위한 목걸이 줄에 리시버 및 마이크를 포함하는 이어 마이크폰을 형성하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작동제어에 필요한 키 신호를 발생시키는 키 패드 및 키 신호의 처리 결과를 출력하는 액정 표시화면을 케이스의 일면에 구현하고, 키 신호를 처리하여 액정표시화면에 출력되도록 작동 제어하는 회로기판을 케이스 내부에 구현하고, 이어 마이크폰과 이동통신 단말기를 연결시키고 또한 키 신호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달하는 전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ly, the ID card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n ear microphone including a receiver and a microphone on a necklace line for hanging the case inserted into the ID card to the user's neck to achieve the above objects, and mobile communication Key boards for generating key signals necessary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and a liquid crystal display screen for outputting the processing result of the key signals are implemented on one side of the case, and a circuit board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the key signals to be output to the liquid crystal display screen. Implemented inside the cas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transmission means for connecting the microphone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lso transmits a key signal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아이디 카드 홀더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1 is a front view for explaining the ID card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아이디 카드 홀더를 설명하기 위한 배면도.Figure 2 is a rear view for explaining the ID card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아이디 카드 홀더의 블록구성도.Figure 3 is a block diagram of an ID card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code about main part of drawing ※

1 : 아이디 카드(ID card) 10 : 케이스1: ID card 10: Case

12 : 목걸이줄 20 : 이어 마이크폰12: necklace 20: ear microphone

30 : 키패드 40 : 액정표시화면30: keypad 40: liquid crystal display screen

50 : 회로기판 60 : 플러그50: circuit board 60: plug

70 : 이어 마이크 폰 잭 80 : 전원 버튼70: Earphone Jack 80: Power Butt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아이디 카드 홀더에 관한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D card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아이디 카드 홀더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아이디 카드 홀더를 설명하기 위한 배면도이고,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아이디 카드 홀더의 블록 구성도이다.1 is a front view for explaining the ID card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ack view for explaining the ID card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block diagram of the ID card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아이디 카드 홀더는 아이디 카드(1)가 내부에 삽입 설치되는 케이스(10)와, 케이스의 상단 소정위치에 홀더 전체를 사용자의 목에 걸기 위한 목걸이 줄(12)과, 목걸이 줄에 형성되어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전달된 음성신호가 출력되는 리시버(22)및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달할 음성신호가 입력되는 마이크(24)를 포함하는 이어 마이크폰(20)과, 케이스에 형성되어 이동통신 단말기의 작동제어에 필요한 키 신호를 발생시키는 키 패드(30)와, 케이스에 형성되어 키 패드에서 입력되는 키 신호의 처리 결과를 외부에 보여지도록 출력하는 액정 표시화면(40)과, 케이스에 내장되어 키 신호를 처리하여 액정표시화면에 출력되도록 작동 제어하는 회로기판(50)과, 회로기판(50)에 연결되어 처리된 키 신호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달하는 키 신호 전달수단과, 마이크(24)에서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달하고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리시버(22)로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전달하는 음성 신호 전달수단과, 회로기판(50)에 연결되어 액정표시화면(40)및 키패드(50)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the ID card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ase 10 is inserted into the ID card 1 is installed therein, and a necklace string 12 for hanging the entire holder on the user's neck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upper end of the case And an ear microphone 20 formed on a necklace line and including a receiver 22 for outputting a voic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icrophone 24 for inputting a voice signal to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keypad 30 for generating a key signal necessary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liquid crystal display 40 for outputting the processing result of the key signal formed in the case to be displayed to the outside; And a circuit board 50 that is embedded in a case to process and control a key signal to be output on a liquid crystal display screen, and transmits the processed key signal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50. A key signal transmission means, a voice signal input means for transmitting a voice signal input from the microphone 24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receiver 22, and a circuit board 50. It is connected to the liquid crystal display 40 and the keypad 50 comprises a power supply means for supplying power for driving.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케이스(10)의 전면은 투명하게 형성되고 삽입 설치된 아이디 카드(1)가 외부에서 케이스 전면 방향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케이스의 후면은 불투명하게 형성하여 케이스 후면 방향에서 육안으로 아이디 카드를 확인할 수 없도록 한다.More specifically, the front surface of the case 10 is formed transparently and the ID card 1 inserted into the installation can be visually checked from the front of the case from the outside, and the rear of the case is formed opaquely from the rear of the case. Do not check the ID card with the naked eye.

이어 마이크폰(20)은 리시버(22)및 마이크(24)에 연결된 도선이 목걸이 줄(12)내부에 내장되고, 음성 신호 전달수단에 연결되어 마이크에서 입력되는 음성 신호가 이동통신 단말기에 입력되고,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가 리시버를 통해 단말기 사용자에게 들려진다.Then, the microphone 20 has a conductor 22 connected to the receiver 22 and the microphone 24 embedded in the collar 12, and a voice signal input from the microphone is inpu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nected to the voice signal transmission means. The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heard by the terminal user through the receiver.

키 패드(3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작동제어에 필요한 키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버튼으로 케이스(10)의 후면으로 메뉴 버튼, 통화 연결 버튼, 선택버튼 및 전화번호의 입력에 필요한 숫자 버튼이 구비된다.The keypad 30 is a button for inputting key data required for operation control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s provided with a menu button, a call connection button, a selection button, and a number button for input of a phone number to the back of the case 10. .

이러한 키 패드(30)는 케이스의 두께를 슬림(slim)화하고, 케이스 후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정전용량을 이용한 터치 패드로 구현된다.The keypad 30 is made of a touch pad using a capacitance so as to slim the thickness of the case and not protrude to the back of the case.

액정표시화면(50)은 키 신호에 따른 처리 결과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단말기의 작동 상태를 확인하도록 하는 것으로, 케이스(10)후면으로 키 패드(40)의 상부에 형성한다.The liquid crystal display screen 50 checks the operation state of the terminal by checking the processing result according to the key signal from the outside, and is formed on the back of the case 10 on the keypad 40.

그리고, 회로기판(50)은 케이스(10)내부에 내장 설치되어 키 패드(30)에 단말기 사용자의 손이 접촉되어 정전용량이 변화되면 이를 감지하여 해당 메뉴, 통화연결,선택, 숫자 입력 여부를 판별하여 키 신호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키 신호를 처리하여 이 결과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게 액정 표시화면(40)으로 출력되도록 하거나 또는 키 신호 전달수단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달하도록 하는 회로가 구현된다.In addition, the circuit board 50 is installed inside the case 10 and detects when the capacitance of the terminal user is in contact with the keypad 30 by changing the capacitance of the corresponding menu, call connection, selection, and number input. A circuit for discriminating and generating a key signal, processing the generated key signal, and outputting the result to the liquid crystal display 40 so that the result can be checked from the outside, or transmitting the key signal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a key signal transmission means is implemented. do.

또한, 회로기판(50)은 이어 마이크폰의 마이크(24)에서 입력된 음성 신호를 음성신호 전달수단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달하거나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전달된 음성 데이터를 이어 마이크폰의 리시버(22)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는 회로가 구현된다.In addition, the circuit board 50 may transmit the voice signal input from the microphone 24 of the microphon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voice signal transmission means, or the voice data transmit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receiver of the microphone ( A circuit for outputting through 22 is implemented.

그리고, 회로기판(50)은 전원 공급수단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상술한 작동을 하는 회로들을 작동시킨다.Then, the circuit board 50 is supplied with power through the power supply means to operate the circuits for the above operation.

키 신호 전달수단은 회로기판(50)에 연결된 키 신호단자(62)가 형성되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어 마이크 폰 잭(70)으로 삽입되는 플러그(60)와, 키 신호 단자와 일대일 대응되게 이어 마이크 폰 잭에 형성된 키 신호 입력핀(72)으로 구성된다.The key signal transmission means has a plug 60 which is formed with a key signal terminal 62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50 and is inserted into the ear microphone phone jack 7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has a one-to-one correspondence with the key signal terminal. It is composed of a key signal input pin 72 formed in the phone jack.

따라서, 플러그(60)가 이어 마이크 폰 잭(70)에 삽입되면 키 신호 단자(62)와 키 신호 입력핀(72)이 서로 접촉되어 키 신호가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달된다.Therefore, when the plug 60 is inserted into the microphone phone jack 70, the key signal terminal 62 and the key signal input pin 72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key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음성신호 전달수단은 이어 마이크폰의 리시버(22)및 마이크(24)에 각각 연결된 음성 입출력단자(64as,64b)가 형성되고 이어 마이크 폰 잭(70)으로 삽입되는 플러그(60)와, 음성 입출력단자와 일대일 대응되게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어 마이크 폰 잭에 형성된 음성 신호 입출력핀(74a,74b)으로 구성된다.The voice signal transmission means includes a plug 60 which is formed with voice input / output terminals 64as and 64b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receiver 22 and the microphone 24 of the microphone and then inserted into the microphone jack jack 70, and voice input / output. The voice signal input and output pins 74a and 74b formed on the ear microphone phone jack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one-to-one correspondence.

따라서, 플러그(60)가 이어 마이크 폰 잭(70)에 삽입되면 이어 마이크폰의 리시버(22)에서 출력될 음성 신호는 음성신호 출력핀(74b)및 음성신호 출력단자(62b)를 거쳐 출력되고, 이어 마이크폰의 마이크(24)에서 입력되는 음성신호는 음성 신호 입력단자(64a)및 음성 신호 입력핀(74a)을 거쳐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달된다.Therefore, when the plug 60 is inserted into the ear microphone phone jack 70, the voice signal to be output from the receiver 22 of the ear microphone is output through the voice signal output pin 74b and the voice signal output terminal 62b. Then, the voice signal input from the microphone 24 of the microphone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voice signal input terminal 64a and the voice signal input pin 74a.

전원 공급수단은 회로기판(50)에 연결된 전원 공급단자(66)가 형성되고 이어 마이크 폰 잭(70)으로 삽입되는 플러그(60)와, 전원 공급단자와 일대일 대응되게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어 마이크 폰 잭(70)에 형성된 전원 공급핀(76)으로 구성된다.The power supply means includes a plug 60 having a power supply terminal 66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50 and inserted into the microphone phone jack 70, and an ear microphon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 one-to-one correspondence with the power supply terminal. It consists of a power supply pin 76 formed in the jack (70).

따라서, 플러그(60)가 이어 마이크 폰 잭(70)에 삽입되면 전원 공급핀(76)과 전원 공급단자(66)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이 회로기판에 공급되어 키패드(30)와 액정표시화면(40)에 전원을 공급한다.Thus, when the plug 60 is inserted into the microphone phone jack 70, the pow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supplied to the circuit board through the power supply pin 76 and the power supply terminal 66 to display the keypad 30 and the liquid crystal display. Supply power to the screen 40.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아이디 카드 홀더의 케이스(10)외측 소정 위치에는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전원 버튼(80)이 부가 형성된다.Further, a power button 80 for turning on / off the power is additionally form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utside the case 10 of the ID card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전원 버튼(80)이 온(on)되면 전원이 공급되어 키패드(30) 및 액정 표시화면(40)이 온(on)작동된다.Therefore, when the power button 80 is turned on, power is supplied to the keypad 30 and the liquid crystal display 40 to be turned on.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아이디 카드 홀더는 아이디 카드(1)가 수납된 케이스(10)를 사용자의 목에 걸기 위한 목걸이 줄(12)에 이어 마이크 폰이(20) 장착됨으로써 아이디 카드와 이어 마이크폰을 동시에 보관할 수 있게 된다.The ID card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an ID card and ear microphone by being equipped with a microphone phone 20 followed by a necklace string 12 for hanging the case 10 in which the ID card 1 is stored on the user's neck. You can store your phone at the same tim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아이디 카드 홀더는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꺼내지 않고 통화를 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ID card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a user to make a call without taking ou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플러그(60)를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어 마이크 폰 잭(70)에 삽입시키면 플러그의 음성신호 입출력단자(64a,64b)와 이어 마이크 폰 잭의 음성 신호 입출력핀(74a,74b)이 서로 접촉되어 리시버(22)에서는 음성신호가 출력되고, 마이크(24)에서는 음성신호가 입력된다.In more detail, when the plug 60 is inserted into the ear microphone phone jack 7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voice signal input / output terminals 64a and 64b of the plug and the voice signal input / output pins 74a and 74b of the ear microphone phone jack are provided. )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an audio signal is output from the receiver 22 and an audio signal is input from the microphone 24.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를 꺼내지 않고 통화를 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call can be made without taking ou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아이디 카드 홀더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플립 또는 폴더를 개방시키지 않고도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the ID card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user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out opening the flip or the folder of the terminal.

즉, 사용자가 플러그(60)를 이어 마이크폰 잭(70)에 삽입시키고, 전원 버튼(80)을 누르면 전원 공급핀(76) 및 전원 공급단자(66)을 통해 회로기판(50)에 전원이 공급되어 키패드(30)와 액정표시화면(40)이 온(on) 상태가 된다.That is, when the user inserts the plug 60 into the microphone jack 70 and presses the power button 80, power is supplied to the circuit board 50 through the power supply pin 76 and the power supply terminal 66. The keypad 30 and the liquid crystal display 40 are turned on.

이 상태에서 키 패드(30)에 사용자의 손이 접촉되면 접촉된 키패드에 해당하는 키 신호가 발생되고, 이 키 신호는 회로기판(50)에서 결과가 처리된다.When the user's hand contacts the keypad 30 in this state, a key signal corresponding to the touched keypad is generated, and the key signal is processed by the circuit board 50.

그리고, 처리된 신호는 액정표시화면(40)에 결과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출력됨과 동시에 키 신호 단자(62)및 키 신호 입력핀(72)를 거쳐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달되어 해당 동작이 진행된다.In addition, the processed signal is output to the liquid crystal display 40 so that the result can be checked from the outside, and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key signal terminal 62 and the key signal input pin 72 to perform the corresponding operation. .

따라서,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폴더 또는 플립을 열지 않고도 케이스(10)에 형성된 키패드(30)와 액정표시화면(40)을 통해 전화번호 입력, 전화번호 검색, 단말기의 메뉴 조작, 단문 메시지의 작성 및 송수신 등 일련의 단말기 제어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user can input the phone number, search the phone number, operate the menu of the terminal, and create a short message through the keypad 30 and the liquid crystal display 40 formed on the case 10 without opening a folder or flip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series of terminal control operations such as transmission and recep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아이디 카드 홀더는 아이디 카드를 수납 보관하는 케이스에 형성된 목걸이줄에 이어 마이크 폰이 장착됨으로써 사용자가 아이디 카드 홀더 하나만을 목에 걸어 휴대하면 별도의 이어 마이크 폰 장치가 필요없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ID card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a microphone phone following a necklace formed in a case for storing and storing an ID card, so that a user needs a separate ear microphone device when the user hangs only one ID card holder around the neck. There will be no.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아이디 카드 홀더는 케이스에 액정 표시화면 및 키 패드가 구비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 검색 및 선택, 전화번호의 검색 및 입력 등일련의 제어동작을 이동통신 단말기의 폴더 또는 플립을 열지 않고도 손쉽게 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ID card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liquid crystal display screen and a keypad in the case to perform a series of control operations such as menu search and selec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arch and input of a phone number, and a folder or flip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You can easily do it without opening it.

Claims (6)

아이디 카드가 내부에 삽입 설치되는 케이스와;A case in which an ID card is inserted and installed therein; 상기 케이스의 상단 소정위치에 형성된 목걸이 줄과;A necklace string formed at an upper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case; 상기 목걸이 줄에 형성되어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전달된 음성신호가 출력되는 리시버 및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달할 음성신호가 입력되는 마이크를 포함하는 이어 마이크폰과;An ear microphone formed on the necklace string and including a receiver for outputting a voice signal transmitted from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icrophone for inputting a voice signal to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케이스에 형성되어 이동통신 단말기의 작동제어에 필요한 키 신호를 발생시키는 키 패드와;A keypad formed on the case to generate a key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케이스에 형성되어 키 패드에서 입력되는 키 신호의 처리 결과를 출력하는 액정 표시화면과;A liquid crystal display screen formed on the case and outputting a processing result of the key signal input from the keypad; 상기 케이스에 내장되어 키 신호를 처리하여 액정표시화면에 출력되도록 작동 제어하는 회로기판과;A circuit board embedded in the case and configured to process and control a key signal to be output to a liquid crystal display screen; 상기 회로기판에 연결되어 처리된 키 신호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달하는 키 신호 전달수단과;Key signal transmission means for transmitting the key signal processed and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마이크에서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달하고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리시버로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전달하는 음성 신호 전달수단과;Voice signal transmitting means for transmitting a voice signal input from the microphone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ransmitting a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a receiver; 상기 회로기판에 연결되어 상기 액정표시화면 및 키패드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아이디 카드 홀더.And a power supply unit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to supply power for driving the liquid crystal display and the keypa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키 패드는 정전용량 센서를 이용한 터치 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디 카드 홀더.The key pad is an ID card hol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touch pad using a capacitive senso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키 신호 출력수단은 상기 회로기판에 연결된 키 신호 단자가 형성되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어 마이크 잭에 삽입되는 플러그와;The key signal output means includes a plug having a key signal terminal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and inserted into an ear microphone jack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키 신호 단자와 일대일 대응되게 상기 이어 마이크 폰 잭에 형성된 키 신호 입력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디 카드 홀더.ID card holder comprising a key signal input pin formed in the ear microphone phone jack to have a one-to-one correspondence with the key signal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음성신호 전달수단은 이어 마이크폰의 리시버 및 마이크에 각각 연결된 음성 신호 입출력단자가 형성되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어 마이크 잭에 삽입되는 플러그와;The voice signal transmitting means includes a plug which is formed with a voice signal input / output terminal connected to a receiver and a microphone of an ear microphone and inserted into an ear microphone jack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음성신호 입출력단자와 일대일 대응되게 상기 이어 마이크 폰잭에 형성된 음성 신호 입출력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디 카드 홀더.ID card holder comprising a voice signal input and output pins formed in the ear microphone phone jack in one-to-one correspondence with the voice signal input and output terminals.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전원 공급수단은 상기 회로기판에 연결된 전원 공급단자가 형성되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어 마이크 잭에 삽입되는 플러그와;The power supply means includes a plug which is formed with a power supply terminal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and inserted into the ear microphone jack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전원 공급단자와 일대일 대응되게 상기 이어 마이크 폰 잭에 형성된 전원 공급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디 카드 홀더.ID card holder,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power supply pin formed in the ear microphone phone jack in one-to-one correspondence with the power supply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케이스의 외측 소정위치에는 상기 전원 공급수단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온/오프 시키는 전원 버튼이 부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디 카드 홀더.An ID card hol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power button for turning on / off the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means in a predetermined position outside the case.
KR10-2001-0058413A 2001-09-20 2001-09-20 A Identification Card holder KR10040356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8413A KR100403563B1 (en) 2001-09-20 2001-09-20 A Identification Card hol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8413A KR100403563B1 (en) 2001-09-20 2001-09-20 A Identification Card hold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5441A true KR20030025441A (en) 2003-03-29
KR100403563B1 KR100403563B1 (en) 2003-10-30

Family

ID=27724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8413A KR100403563B1 (en) 2001-09-20 2001-09-20 A Identification Card hold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3563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82882A1 (en) * 2005-03-02 2006-09-08 Primax Electronics Ltd PERIPHERAL DEVICE FOR MOBILE COMMUNICATION
CN104598853A (en) * 2015-01-12 2015-05-06 舟山安特佳智能科技有限公司 Card protecting cover with functions of electronic equipment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1018A (en) * 1999-06-01 2001-01-05 김재훈 Remote controll handset of mobile telephone
KR20010091486A (en) * 2000-03-15 2001-10-23 손영기 Digital handphone handfree
JP2001298521A (en) * 2000-04-10 2001-10-26 Daifurekkusu:Kk Hands-free device
KR200207504Y1 (en) * 2000-07-10 2000-12-15 주식회사잉크테크 Necklace type hands free earphone-mic
KR200229979Y1 (en) * 2001-02-12 2001-07-19 김광혁 assistance key pad of portable phone
KR200239514Y1 (en) * 2001-04-06 2001-10-11 박봉수 Handfree devi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82882A1 (en) * 2005-03-02 2006-09-08 Primax Electronics Ltd PERIPHERAL DEVICE FOR MOBILE COMMUNICATION
US7353043B2 (en) 2005-03-02 2008-04-01 Primax Electronics Ltd. Mobile communication peripheral device
CN104598853A (en) * 2015-01-12 2015-05-06 舟山安特佳智能科技有限公司 Card protecting cover with functions of electronic equip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03563B1 (en) 2003-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745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bluetooth auto pairing in Mobile terminal
CN101739374B (en) Signal transmission path selecting and apply the electronic installation of this circuit
KR20110028056A (en) System and method for connecting bluetooth communication
CN101616204B (en) Headset and handset system
KR100403563B1 (en) A Identification Card holder
CN111541804A (en) Electronic equipment, control method and control device
KR0184505B1 (en) Dialing apparatus using electronic memobook
JP2002232533A (en) Folder-type mobile information terminal and its information display method
JP2006314068A (en) Reconfigurable peripheral device for use with wireless apparatus
WO2000048382A1 (en) Computer phone
KR20080073400A (en) Method for providing condition of headset and thereof
JP2000022786A (en) Portable radio communication device
KR20000024291A (en) On line word transmission and receiving device
KR200456781Y1 (en) Bluetooth controller
KR200226306Y1 (en) Hands-free apparatus of mobile phone
KR100442950B1 (en) Communication method of a data using input pan in a blue tooth phone of the way of touching screen
KR200356181Y1 (en) Compatible multi-functional earphone device for portable handheld radiotelephone and audio apparatus
KR960004724B1 (en) Telephone for transmitting character
KR200291523Y1 (en) LCD monitor including the phone
KR200217174Y1 (en) Internet phone interface device having key inputting device
KR2011002044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dial using voic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67821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nnouncing the operating stat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which earphone microphone is connected by beep tone
KR100712917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ystem and the operating method for the system
JP2002101190A (en) Hand-free device for portable telephone
KR20010074347A (en) Method for calling by ear-mike in wireless telecommunication s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