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1791A - 코드 부여를 통한 인터넷 디지털 컨텐츠 사용권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코드 부여를 통한 인터넷 디지털 컨텐츠 사용권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1791A
KR20030021791A KR1020010055210A KR20010055210A KR20030021791A KR 20030021791 A KR20030021791 A KR 20030021791A KR 1020010055210 A KR1020010055210 A KR 1020010055210A KR 20010055210 A KR20010055210 A KR 20010055210A KR 20030021791 A KR20030021791 A KR 200300217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e
user
content
internet
data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5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봉환
Original Assignee
(주)이너베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너베이 filed Critical (주)이너베이
Priority to KR10200100552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21791A/ko
Publication of KR20030021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1791A/ko

Links

Landscapes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코드 부여를 통한 인터넷 디지털 컨텐츠 사용권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컨텐츠의 유무형에 상관없이 해당 컨텐츠 사용에 대한 비용이 지불된 경우, 유무선 인터넷을 통해 부여된 코드를 확인하여 해당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코드 부여를 통한 인터넷 디지털 컨텐츠 사용권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고자 함.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한 연결을 받아 서비스에 접속시키기 위한 게이트웨이; 사용자가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이용하는데 필요한 코드를 생성하여 제공하기 위한 코드 생성 서버; 상기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일반정보 및 각 구매 행위에 대한 사항 저장 관리하기 위한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디지털 컨텐츠 및 메타 파일을 저장 관리하여 요청에 따라 이를 제공하기 위한 컨텐츠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컨텐츠 제공 서비스 등에 이용됨.

Description

코드 부여를 통한 인터넷 디지털 컨텐츠 사용권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ternet Digital Contents Using Rights by Cord grant}
본 발명은 코드 부여를 통한 인터넷 디지털 컨텐츠 사용권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터넷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다양한 형태의 음악 및 영상 음반 등과 같은 컨텐츠를 구입하는 경우, 일정한 코드 부여를 통해서 해당 사용자가 디지털화된 컨텐츠를 인터넷을 통해 이용할 수 있는 컨텐츠 사용권을 부여하는 코드 부여를 통한 인터넷 디지털 컨텐츠 사용권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인터넷을 이용하여 디지털 컨텐츠를 이용하는 경우, 음악에 관련된 MP3(MPEG-1 Audio Layer 3) 파일 등을 이용하는 경우에 있어 해당 파일에 대해 일정한 금액을 사용료로 지급하고, 다운로드하여 사용하였다.
이렇게 다운로드를 통해 컨텐츠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이용하고자 하는 음악에 대해서 사용자가 직접 선택하여서 해당 음악에 대한 사용료를 지불하고 사용하여야 하므로, 사용자의 입장에서 처리할 일이 많아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렇게 컨텐츠를 다운로드받아 사용하게 되는 경우, 해당 컨텐츠를 자신의 하드 디스크 또는 CD-R(CD-Recordable) 등의 저장매체에 저장해야 하는 불편함과 저장매체를 이용하기 위해 추가적인 비용이 따르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해당 파일을 사제하여 복구할 수 없는 경우에는 재사용을 위해서 또 다시 해당파일을 구입해야 하는 절차가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영상물의 경우, 다운로드가 아닌 스트리밍 서버에 저장된 컨텐츠를 시청하는 경우, 해당 컨텐츠를 다운로드하여 저장할 수도 없으며, 일정 기간이 지난 후에는 해당 컨텐츠 이용을 위해서 사용료를 다시 지불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직접 음반을 구매하여 컨텐츠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해당 음반의 분실 또는 훼손의 경우, 해당 음반을 일정 금액을 지불하고 구입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해당 컨텐츠를 이용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에 컨텐츠를 이용함에 있어서, 네트워크 상의 디지털 컨텐츠에 있어서는 스트리밍이나 다운로드가 모두 기간의 제한이나 없어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다시 비용을 지불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물리적으로 구비할 수 있는 도서, 음반 등에 대해서도 그 분실이나 훼손 시에는 재구입하여야 하므로 어느 정도의 불편함을 사용자가 감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컨텐츠의 유무형에 상관없이 해당 컨텐츠 사용에 대한 비용이 지불된 경우, 유무선 인터넷을 통해 부여된 코드를 확인하여 해당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코드 부여를 통한 인터넷 디지털 컨텐츠 사용권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코드 부여를 통한 인터넷 디지털 컨텐츠 사용권 제공 시스템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코드 부여를 통한 인터넷 디지털 컨텐츠 사용권 제공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코드 부여를 통한 인터넷 디지털 컨텐츠 사용권 제공 방법에 대한 다른 실시예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사용자 단말기 12 : 게이트웨이
13 : 코드 생성 서버 14 :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15 : 컨텐츠 데이터베이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시스템은, 코드 부여를 통한 인터넷 디지털 컨텐츠 사용권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한 연결을 받아 서비스에 접속시키기 위한 게이트웨이; 사용자가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이용하는데 필요한 코드를 생성하여 제공하기 위한 코드 생성 서버; 상기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일반정보 및 각 구매 행위에 대한 사항 저장 관리하기 위한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디지털 컨텐츠 및 메타 파일을 저장 관리하여 요청에 따라 이를 제공하기 위한 컨텐츠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은, 인터넷 디지털 컨텐츠 사용권 제공 시스템에 적용되는 코드 부여를 통한 인터넷 디지털 컨텐츠 사용권 제공 방법에 있어서, 컨텐츠를 구입한 사용자에게 인터넷 디지털 컨텐츠 이용에 사용되는 코드를 부여하는 제 1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컨텐츠 구입에 따라 부여된 코드를 등록받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관리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에 따라 상기 컨텐츠에 해당하는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프로세서를 구비한 인터넷 디지털 컨텐츠 사용권 제공 시스템에, 컨텐츠를 구입한 사용자에게 인터넷 디지털 컨텐츠 이용에 사용되는 코드를 부여하는 제 1 기능;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컨텐츠 구입에 따라 부여된 코드를 등록받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관리하는 제 2 기능;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에 따라 상기 컨텐츠에 해당하는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하는 제 3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인터넷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CD(Compact Disk), DVD(Digital Versatile Disk) 등 다양한 형태의 음악 및 영상 음반을 구입하는 경우, 일정한 코드 부여를 통해서 해당 사용자가 디지털화된 컨텐츠를 인터넷을 통해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말해서, 인터넷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서비스에 접속하거나 직접 음반(등의 컨텐츠) 매장에 방문하여 특정 음반을 구입하게 되는 경우, 해당 사용자에게 일정 코드를 부여하고, 사용자는 인터넷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서비스에 접속하여 해당 코드를 입력하여 해당 음반의 구입 사실을 등록하면, 구입 음반의 내용에 해당되는 디지털 컨텐츠를 유무선 인터넷을 통하여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사용권을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코드 부여를 통한 인터넷 디지털 컨텐츠 사용권 제공 시스템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사용자가 디지털 컨텐츠 이용을 위해 유무선 인터넷을 통해 서비스에 접속하게 되는 웹/왑(WAP) 게이트웨이(12),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일반정보 및 각 구매 행위에 대한 사항 등을 저장하는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4),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MP3,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등의 메타 파일 및 음반 정보 등의 컨텐츠를 저장하는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5), 사용자가 디지털 컨텐츠를 이용하는데 필요한 코드를 생성하고 저장하는 코드 생성 서버(13), 사용자가 서비스 이용을 위해서 사용하는 유무선 인터넷 단말기(11) 및 컨텐츠 이용을 위해서 사용하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사용자 단말기(11)는 사용자가 인터넷을 이용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통해 음반 등을 구입하기도 하고, 부여받은 코드를 가지고 사용자가 이용 가능한 디지털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정보를 등록하고, 갱신하며, 인증 요청에 따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12)는 사용자 단말기(11)로부터의 인터넷 접속을 통해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서버 및 데이터베이스 접속하도록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코드 생성 서버(13)는 판매되는 컨텐츠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해당 디지털 컨텐츠를 자신이 원할 때 이용할 수 있도록 부여하는 코드를 생성하는 것이다. 이때, 코드의 생성은 사용자의 컨텐츠 구매가 이루어진 후, 생성될 수도 있고, 판매되는 음반 등이 만들어질 때 이에 대응하여 생성될 수도 있다. 이렇게 생성되는 코드의 정보는 서버(13)에서 저장 관리하며, 다른 데이터베이스(14, 15)와 연동된다.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4)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일반정보 및 각 구매행위에 대한 사항 등을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등록하는 사용자의 정보를 저장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등록한 정보,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발생한 정보, 사용자가 이용하는 디지털 컨텐츠 정보, 사용자가 등록한 코드 정보 등 사용자와 관련한 각종 정보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관리될 수 있다.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5)는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MP3, MPEG 등과 같은 각종 컨텐츠의 메타 파일 및 음반 정보, 영상 정보 등과 같은 컨텐츠 정보를 저장한다. 즉, 코드 등록을 한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각종 디지털 컨텐츠와 해당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메타 정보를 저장 관리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시스템 하에서 사용자는 컨텐츠 구입에 따라 획득한 코드를 가지고 유무선 인터넷을 접속하여 입력하고, 입력된 코드 및 그 외의 인증 정보 등을 바탕으로 사용자에게 디지털 컨텐츠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이때, 코드 부여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는 디지털 컨텐츠는 CD, DVD 등을 통해 판매 및 제공되는 음반, 영상 등의 컨텐츠 뿐만 아니라, 도서, 비디오, MD(Mini Disk) 등의 각종 컨텐츠가 해당한다. 또한, 상기한 것처럼, 유형으로 오프라인 상에서 판매되는 상품의 디지털 컨텐츠 뿐만 아니라, 인터넷 상에서 판매되는 무형의 정보에 대해서도 코드 부여를 통해 사용자가 자신이 원할 때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 및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코드 부여를 통한 인터넷 디지털 컨텐츠 사용권 제공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코드 부여를 통한 인터넷 디지털 컨텐츠 사용권 제공 방법은 유무선 인터넷을 이용하거나 직접 매장을 방문하여 해당 컨텐츠에 대한 구매를 하게되는 과정과, 컨텐츠를 구매한 사용자에게 디지털 컨텐츠 이용에 사용되는 코드를 부여하는 과정과, 해당 코드를 입력받아 구매 사실을 기록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과정과, 입력된 정보에 따라 해당 컨텐츠의 내용인 디지털 컨텐츠를 사용자가 이용하도록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코드 부여를 통한 인터넷 디지털 컨텐츠 사용권 제공 방법은 그 구체적인 실시예가 여러 형태로 나타날 수 있는데, 도 2 과 도 3 을 통해 여러 실시예 중 일부를 보도록 한다.
우선, 도 2 에서는 직접 음반(컨텐츠) 매장에 방문한 사용자의 구매가 이루어진 후, 사용자에게 코드를 부여하여 해당 컨텐츠에 대해 인터넷에서 같은 내용의 디지털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도 3 에서는 인터넷을 통해 음반(컨텐츠)을 구입한 사용자에게 코드를 부여하여 해당 음반을 오프라인 상에서 전달받아 확인할 뿐 만 아니라, 유무선 온라인 상에서도 부여받은 코드를 이용하여 같은 내용의 디지털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동일한 내용 뿐만 아니라, 오프라인 상에서 판매된 컨텐츠의 관련 내용이 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한 것처럼, 코드 생성의 시점이 판매할 음반(컨텐츠)의 생산(출하) 시점이 될 수도 있고, 매장에서 음반(컨텐츠)를 구매하는 시점이 될 수도 있다. 온라인 상에서도 이는 마찬가지로, 여러가지 상황에 따라 코드 생성의 시점이 달라질 수 있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코드 부여를 통한 인터넷 디지털 컨텐츠 사용권 제공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코드 생성 서버는 매장에서 사용자로부터의 음반 구매를 통보받는다(201). 그리고, 해당 음반에 대한 디지털 컨텐츠를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도록 코드를 생성한다(203).
서버는 생성된 코드를 자체내의 데이터베이스(저장부)에 저장한다(203).
그리고, 서버는 해당 음반에 부여된 코드를 매장으로 전달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한다(204).
이렇게 하여 음반을 구입한 사용자에게 해당 음반에 대응하는 코드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였다. 사용자는 음반의 구입과 동시에 코드를 부여받으며, 이렇게 부여된 코드를 가지고 인터넷에 접속하여 해당 음반에 대응하는 디지털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아래에 설명한다.
상기한 코드 생성 및 부여에 대해 정리하여 설명하면, 우선 매장과 코드 생성 서버간에는 인터넷 또는 전용망을 통한 접속이 이루어지며, 음반 구매 사실이 확인되면, 즉각 해당하는 코드가 발급되는 것이다.
물론, 코드의 생성 및 부여는 주어지는 상황에 따라 여러가지로 나타날 수 있으며, 상기한 것처럼 판매시마다 서버에서 생성할 수도 있고, 음반 생산(출하)시에 매치되는 코드를 같이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음반 매장에서 직접 코드를 생성/부여하고, 이에 대한 관리를 서버에서 할 수도 있다. 이때는, 사용자가 디지털 컨텐츠를 이용하기 위해 코드 입력시에 서버에서 음반 매장과 연결하여 진위 여부를 체크하는 방식이 될 수도 있고, 입력된 코드가 일정한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확인하여 처리하는 방식도 있을 수 있는 등, 그 형태는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이렇게 사용자게 생성된 코드를 부여한 다음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는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의 접속을 받는다(205). 자세히 설명하면, 일단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의 접속을 받고, 접속된 사용자의 등록을 받거나, 접속된 사용자가 등록된 사용자인 경우, 인증 과정을 거쳐 인증된 사용자에 대해 서비스 이용 메뉴 등을 제공한다. 사용자의 정보는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서 관리한다.
다음으로, 접속된 사용자로부터 코드를 입력받는다(206). 코드가 입력되면, 서버에서 이에 대해 유효한 코드인지를 확인한다. 유효한 코드에 대해서만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접속한 사용자가 입력한 유효한 코드에 대해 이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컨텐츠 데이터베이스에 찾아,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한다(207).
사용자는 이렇게 제공된 디지털 컨텐츠를 이용하게 되는 것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코드 부여를 통한 인터넷 디지털 컨텐츠 사용권 제공 방법에 대한 다른 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3 에서 제시되는 실시예는, 상기한 도 2 와 대비되는 차이점은, 그 실행이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다는 것이다. 즉, 사용자의 음반(컨텐츠) 구입부터 인터넷 상에서 이루어진다. 물론, 코드 제공자와 음반(컨텐츠) 판매자는 동일인이 될 수도 있고, 다른 제공자가 될 수도 있다.
우선,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의 접속을 받는다(301).
접속된 사용자에 대해 사용자 등록 또는 인증을 수행한다(302). 즉, 처음 사용자인지를 확인하여, 처음 사용자에게서는 등록을 받고, 기존에 등록한 사용자에 대해서는 인증을 수행한다.
이렇게 접속된 사용자로부터 자신이 구입하고자 하는 음반에 대한 검색 요청을 받아, 해당 음반을 검색하여 그에 대해 안내한다(303). 물론, 안내 정보에는 가격 정보, 관련 정보 등이 있을 수 있다.
검색을 통해 안내된 음반에 대해 사용자로부터 음반 구매를 요청받는다(304). 그리고, 요청된 음반을 사용자에게 판매 처리한다(305). 여기서, 판매 처리는 사용자가 요청한 음반을 사용자가 받아볼 수 있도록 오프라인상에서 전달이 이루어지도록 처리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해당 음반의 디지털 컨텐츠를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도록 코드를 생성한다(306). 그리고, 생성된 코드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307), 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308).
이렇게 음반 판매와 함께 코드를 사용자에게 부여한 다음에,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시기에 자신이 구입한 음반에 대응하는 디지털 컨텐츠를 이용하기 위해 서버에 접속하게 된다. 이렇게 접속한 사용자로부터 사용자가 이용하고자 하는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코드 입력을 받는다(309). 그리고, 해당 디지털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310).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오프라인 상에서 판매될 수 있는 음반과 함께 유형 물체를 대상으로 그 내용 및 관련 정보를 디지털 컨텐츠로서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하고 있으나, 이와 달리, 처음부터 사용자는 무형의 디지털 컨텐츠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이처럼 수행될 수 있다. 즉, 컨텐츠에 구입시에 부여된 코드를 가지고 자신이 원할 때 해당 디지털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개별 음반 구매에 대해서 개별 사용자에게 해당 음반의 디지털 컨텐츠 사용에 대한 코드를 부여하여, 코드 입력을 통해서 해당 음반의 디지털 컨텐츠를, 유무선 인터넷을 통하여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와 디지털 컨텐츠 이용을 코드를 생성하는 코드 생성 서버, 사용자가 코드를 입력하여 이용하는 디지털 컨텐츠를 저장하는 컨텐츠 데이터베이스, 유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웹/왑 게이트웨이 등으로 시스템이 구성되어, 컨텐츠 구입 사용자에게 디지털 컨텐츠 이용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음반의 내용을 디지털 컨텐츠화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코드 생성 서버에서 각각의 음반에 대한 코드를 생성하여, 해당 음반을 구매하는 사용자에게 부여, 해당 음반의 디지털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코드 부여를 통해 사용자가 구입한 컨텐츠와 관련한 디지털 컨텐츠를 사용자가 원하는 때에 인터넷에 접속하여 활용할 수 있어, 사용자가 편리하게 자신이 구입한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음반 형태의 저작물을 구매한 사용자가 해당 음반의 내용에 대한 디지털 컨텐츠에 사용할 수 있는 코드를 부여함으로써 직접 음반 매장을 방문하여 구매를 하거나, 인터넷을 통해 구매를 하는 것에 상관없이, 해당 음반의 내용을 이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음반의 훼손 또는 분실로 음반을 이용할 수 없는 경우에도 지속적으로 디지털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터넷을 이용하여 음반(컨텐츠)를 구매하고, 코드를 받는 경우, 실물 음반이 도착하지 않아도, 해당 코드 입력을 통해서 해당 음반의 디지털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코드 부여를 통한 인터넷 디지털 컨텐츠 사용권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한 연결을 받아 서비스에 접속시키기 위한 게이트웨이;
    사용자가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이용하는데 필요한 코드를 생성하여 제공하기 위한 코드 생성 서버;
    상기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일반정보 및 각 구매 행위에 대한 사항 저장 관리하기 위한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디지털 컨텐츠 및 메타 파일을 저장 관리하여 요청에 따라 이를 제공하기 위한 컨텐츠 데이터베이스
    를 포함하는 코드 부여를 통한 인터넷 디지털 컨텐츠 사용권 제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와 연계하여 상기 서비스에 접속하고자 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등록 관리 및 인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코드 부여를 통한 인터넷 디지털 컨텐츠 사용권 제공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접속을 확인하여 상기 코드 생성 서버, 상기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상기 컨텐츠 데이터베이스와의 연결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코드 부여를 통한 인터넷 디지털 컨텐츠 사용권 제공 시스템.
  4. 인터넷 디지털 컨텐츠 사용권 제공 시스템에 적용되는 코드 부여를 통한 인터넷 디지털 컨텐츠 사용권 제공 방법에 있어서,
    컨텐츠를 구입한 사용자에게 인터넷 디지털 컨텐츠 이용에 사용되는 코드를 부여하는 제 1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컨텐츠 구입에 따라 부여된 코드를 등록받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관리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에 따라 상기 컨텐츠에 해당하는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하는 제 3 단계
    를 포함하는 코드 부여를 통한 인터넷 디지털 컨텐츠 사용권 제공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네트워크를 통해 매장으로부터 사용자의 컨텐츠 구입을 통보받아 해당 컨텐츠에 대응하는 코드를 생성하는 제 4 단계;
    생성된 코드 및 해당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관리하는 제 5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매장으로 생성된 상기 코드를 전달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부여하도록 하는 제 6 단계
    를 포함하는 코드 부여를 통한 인터넷 디지털 컨텐츠 사용권 제공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판매될 컨텐츠에 관련하여 사용자가 인터넷을 통해 해당 디지털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도록 코드를 생성하는 제 4 단계;
    생성된 코드 및 해당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관리하는 제 5 단계;
    네트워크를 통해 매장으로부터 사용자의 컨텐츠 구입을 통보받는 제 6 단계;
    생성된 상기 코드가 저장되어 있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가 구입한 컨텐츠에 대응하는 코드를 추출하는 제 7 단계;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된 코드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매장으로전달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부여하도록 하는 제 8 단계
    를 포함하는 코드 부여를 통한 인터넷 디지털 컨텐츠 사용권 제공 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인터넷을 통해 접속한 사용자의 컨텐츠 구입 요청을 받아 해당 컨텐츠에 대한 판매 처리를 수행하는 제 4 단계;
    상기 사용자의 컨텐츠 구입에 따라 해당 컨텐츠에 대응하여 추후에 인터넷을 통해 디지털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도록 코드를 생성하는 제 5 단계;
    생성된 코드 및 해당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관리하는 제 6 단계; 및
    상기 인터넷을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생성된 상기 코드를 부여하는 제 7 단계
    를 포함하는 코드 부여를 통한 인터넷 디지털 컨텐츠 사용권 제공 방법.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판매될 컨텐츠에 관련하여 사용자가 인터넷을 통해 해당 디지털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도록 코드를 생성하는 제 4 단계;
    생성된 코드 및 해당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관리하는 제 5 단계;
    인터넷을 통해 접속한 사용자의 컨텐츠 구입 요청을 받아 해당 컨텐츠에 대한 판매 처리를 수행하는 제 6 단계;
    생성된 상기 코드가 저장되어 있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가 구입한 컨텐츠에 대응하는 코드를 추출하는 제 7 단계;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된 코드를 상기 인터넷을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부여하는 제 8 단계
    를 포함하는 코드 부여를 통한 인터넷 디지털 컨텐츠 사용권 제공 방법.
  9. 제 4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컨텐츠 구입에 따라 부여된 코드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로부터 인터넷을 통해 접속을 받는 제 9 단계;
    접속된 상기 사용자로부터 디지털 컨텐츠 이용을 위한 코드 입력을 받아 유효성을 검증하는 제 10 단계;
    상기 제 10 단계의 검증 결과, 유효하지 않은 코드 입력에 대해 상기 사용자에게 이를 통보하는 제 11 단계; 및
    상기 제 10 단계의 검증 결과, 유효한 코드 입력에 대해 상기 사용자의 코드 등록을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관리하는 제 12 단계
    를 포함하는 코드 부여를 통한 인터넷 디지털 컨텐츠 사용권 제공 방법.
  10. 프로세서를 구비한 인터넷 디지털 컨텐츠 사용권 제공 시스템에,
    컨텐츠를 구입한 사용자에게 인터넷 디지털 컨텐츠 이용에 사용되는 코드를 부여하는 제 1 기능;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컨텐츠 구입에 따라 부여된 코드를 등록받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관리하는 제 2 기능;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에 따라 상기 컨텐츠에 해당하는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하는 제 3 기능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10055210A 2001-09-07 2001-09-07 코드 부여를 통한 인터넷 디지털 컨텐츠 사용권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300217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5210A KR20030021791A (ko) 2001-09-07 2001-09-07 코드 부여를 통한 인터넷 디지털 컨텐츠 사용권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5210A KR20030021791A (ko) 2001-09-07 2001-09-07 코드 부여를 통한 인터넷 디지털 컨텐츠 사용권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1791A true KR20030021791A (ko) 2003-03-15

Family

ID=27723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5210A KR20030021791A (ko) 2001-09-07 2001-09-07 코드 부여를 통한 인터넷 디지털 컨텐츠 사용권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21791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6221A (ko) * 2002-02-05 2003-08-09 송동근 증여가 가능한 컨텐츠 이용권의 판매를 통한 유료 컨텐츠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40022655A (ko) * 2002-09-09 2004-03-16 백승현 무선 인터넷상의 컨텐츠 제공 방법
KR100608605B1 (ko) * 2004-09-15 2006-08-0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저작권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0725586B1 (ko) * 2005-12-14 2007-06-08 (주)북토피아 전자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전자 컨텐츠 제공 방법
WO2008144287A1 (en) * 2007-05-15 2008-11-27 Tp Lab, Inc. Method and system to process digital media product codes
US8745153B2 (en) 2009-02-09 2014-06-03 Apple Inc. Intelligent download of application programs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6221A (ko) * 2002-02-05 2003-08-09 송동근 증여가 가능한 컨텐츠 이용권의 판매를 통한 유료 컨텐츠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40022655A (ko) * 2002-09-09 2004-03-16 백승현 무선 인터넷상의 컨텐츠 제공 방법
KR100608605B1 (ko) * 2004-09-15 2006-08-0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저작권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0725586B1 (ko) * 2005-12-14 2007-06-08 (주)북토피아 전자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전자 컨텐츠 제공 방법
WO2008144287A1 (en) * 2007-05-15 2008-11-27 Tp Lab, Inc. Method and system to process digital media product codes
US8745153B2 (en) 2009-02-09 2014-06-03 Apple Inc. Intelligent download of application programs
US10084874B2 (en) 2009-02-09 2018-09-25 Apple Inc. Intelligent download of application programs
US10938936B2 (en) 2009-02-09 2021-03-02 Apple Inc. Intelligent download of application program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09892B1 (en) Electronic music/media distribution system
US8706636B2 (en) System and method for unique digital asset identification and transaction management
US20020007351A1 (en) Digital tokens and system and method relating to digital tokens
US2005009116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rental or sale, and secure distribution of digital content
US20020065781A1 (en) Licensed digital material distribution system and method
US20110219460A1 (en) Network based digital rights management system
US20140172595A1 (en) System and method for binding drm licenses to a customer domain
US20030014630A1 (en) Secure music delivery
US20050192871A1 (en) Electronic music/media distribution system
US20070220592A1 (en) Comparing Media Files Against Database Content
KR101918319B1 (ko) 전자 중고 디지털 자산 및 획득-후 수익
US2005013188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and program
US20070208715A1 (en) Assigning Unique Content Identifiers to Digital Media Content
US20140172691A1 (en)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multiple rental domains within a single credit card domain
JP2008512752A (ja) デジタル著作権のライセンスの売買のためのユーザ限定電子ストアー
US20140373041A1 (en) Method for media content delivery using video and/or audio on demand assets
JP2006518901A (ja) デジタルコンテンツの配布及び権利管理
WO2002045316A2 (en) Digital content distribution and subscription system
JP2002539466A (ja) 電子音楽/媒体配布システム
US20070282714A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an e-commerce interface on a web page to facilitate e-commerce involving digital assets
US9386332B2 (en) Multi-screen video
US20060293969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e-Loading Media Players
US20070268163A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facilitating e-commerce involving digital assets
US20070208763A1 (en) Computer Database Record Architecture Based on a Unique Internet Media Identifier
KR20030021791A (ko) 코드 부여를 통한 인터넷 디지털 컨텐츠 사용권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