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8548A -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출력제어장치 - Google Patents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출력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8548A
KR20030018548A KR1020010052745A KR20010052745A KR20030018548A KR 20030018548 A KR20030018548 A KR 20030018548A KR 1020010052745 A KR1020010052745 A KR 1020010052745A KR 20010052745 A KR20010052745 A KR 20010052745A KR 20030018548 A KR20030018548 A KR 200300185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transformer
high voltage
microwave oven
transformer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2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to KR1020010052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18548A/ko
Priority to EP02090307A priority patent/EP1289340B1/en
Priority to US10/229,213 priority patent/US6965100B2/en
Priority to MYPI20023215A priority patent/MY136511A/en
Publication of KR20030018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8548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6Circuits
    • H05B6/68Circuits for monitoring or contro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2Cooling of the microwave components and related air circulation systems
    • H05B6/6423Cooling of the microwave components and related air circulation systems wherein the microwave oven air circulation system is also used as air extracting hoo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6Circuits
    • H05B6/662Aspects related to the boost transformer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High-Frequency Heating Circuits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출력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전압 발생을 위한 고전압트랜스의 출력레벨을 조정 가능한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출력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는, 환기용 벤트팬이나 전장용 램프 등 많은 소비전력을 소모하는 부품(전자레인지의 기능과 별개로 제어 가능한 구성에 한정)을 일시적으로 오프상태로 제어하면서, 고압트랜스에 공급되는 소비전력을 증대시켜서 출력레벨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짧은 요리시간과 고출력을 요구하는 전자레인지의 요리에서, 고압트랜스의 가변되는 높은 출력으로 요리시간 지연을 방지하고, 요리성능이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Description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출력제어장치{Power control device for over the range}
본 발명은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출력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전압 발생을 위한 고전압트랜스의 출력레벨을 조정 가능한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출력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는 탁상용 전자레인지와 비교해서 낮은 고주파출력을 발생한다. 이것은, 전자레인지에 사용 가능한 전류량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이며, 한정된 전류량을 벤트팬 구동용과 전장 램프용 그리고 턴테이블과 마그네트론 등, 전자레인지의 제어를 위한 모든 구성요소로 분배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탁상용 전자레인지의 경우는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에 비해서 벤트팬 구동용과 전장 램프용의 전류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탁상용 전자레인지의 경우는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보다 마그네트론에 전류량을 보다 많이 할당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보다 높은 고주파 출력을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종래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출력 제어를 위한 제어 구성도를 도시하고 있다.
종래의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는, 도시되고 있는 바와 같이, 전원단자(1)를 통해서 입력되는 전원단에 벤트팬(9), 전장용 쿡 탑 램프(Cook Top Lamp)(13), 턴테이블(17), 그리고 마그네트론(도시하지 않음)의 고주파 출력전압 발생을 위한 고전압 트랜스(21)을 병렬 연결하고, 전원을 공급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각 구성은 별도의 제어용 릴레이(7,11,15,19)를 구비하여, 상기 릴레이들의 제어에 의해서 전원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전자레인지는 정격 전류량을 사용하도록 설정되어 있으며, 그 정격 전류량에 따른 휴즈(3)가 전원단자(1)에 연결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 구성으로부터 발생되는 전류량이 상기 휴즈(3)에 설정된 크기를 초과했을 때, 상기 휴즈(3)가 오프되면서 전원공급이 차단되도록 구성되고 있는 것이다.
한편, 종래 사용되고 있는 고전압 트랜스(21)는, 도 2에 도시되고 있는 바와 같이, 트랜스(21)의 일차측으로 공급되는 1차측 전압의 크기(V1)에 의해서 2차측 전압(V2)이 결정되도록 구성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전압 트랜스(21)는, 전자레인지가 사용가능한 소비전력에서 도 1에 도시되고 있는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각 부품들의 사용에 따른 소비전력을 제외하고 남은 소비전력을 고려하여 설계가 이루어진다.
즉, 상기 고전압 트랜스(21)는, 1차측에 전원이 공급되면 2차측에 고압이 유기된다. 이렇게 유기된 고압이 마그네트론(도시하지 않음)으로 전달되면서, 상기 마그네트론의 발진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마그네트론의 출력 크기는, 상기 고전압 트랜스(21)의 2차측 전압에 따라서 출력 크기가 결정된다. 즉, 유기된 2차측전압이 높아지면, 마그네트론의 발생 고주파도 높아진다.
그리고 상기 고압트랜스(21)의 전압은, 트랜스의 1차측 전압(V1), 권선수(코일 감은수)(n1)와, 2차측 전압(V2), 권선수(n2)의 관계에 따른 하기 식 1로부터 얻어진다.
n2/n1 = V2/V1 ...............식1
따라서 상기 고압트랜스(21)의 2차측에 높은 전압을 얻기 위해서는 2차측 코일 권선수가 많거나 1차측 코일 권선수가 작게 설계되야 한다.
이러한 과정으로부터 종래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에 사용되는 고압트랜스는, 전자레인지 내 모든 부품의 소비전력을 제외하고, 남은 소비전력이 고려되어 설계되어진다. 이렇게 설계된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고압트랜스에서 발생되는 고전압은 아무래도 탁상용 전자레인지에 구비된 고압트랜스보다 발생되는 고전압크기가 낮을 수밖에 없다. 이것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탁상용 전자레인지가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와 비교해서 구성부품(벤트 팬, 전장용 램프) 등을 포함하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제어 과정으로부터 종래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발생시켰다.
첫째, 마그네트론에 공급되는 고전압이 탁상용 전자레인지와 비교해서 낮을 수 밖에 없기 때문에, 매우 고출력을 요구하는 전자레인지 요리에서 요리 성능이 낮을 수 밖에 없다. 특히 요리시간이 길어지는 불편함이 발생되었다.
둘째,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라고 해서 항상 모든 구성요소가 동시에 사용되는 것은 아닌데도 불구하고, 제품의 사양 특성 때문에 고전압트랜스는 항상 일정한 출력만을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점은 제품을 효율적으로 이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발생시켰다.
셋째, 이와 같은 점들로부터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에 고출력 제어용 인버터를 적용하고 있지만, 그 제조비용이 높기 때문에 소비자의 가격 부담이 커지면서 제품에 대한 구매력 저하를 야기시켰다.
이러한 문제점으로부터 본 발명에서는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현재 사용상태를 체크하여, 고전압트랜스의 출력레벨을 조정할 수 있는 구성을 제안한다. 이것은, 벤트모터의 사용여부 또는 전자용 램프의 사용여부 등에 따라서 고전압트랜스의 1차측 코일 권선수 또는 2차측 코일 권선수를 조절함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에서 고전압트랜스에서 발생 가능한 출력레벨을 가변 제어할 수 있는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출력제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출력 제어회로도,
도 2는 종래 사용된 고전압트랜스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출력 제어회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트랜스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트랜스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트랜스의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릴레이1,2의 제어를 위한 동작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에서 빠른 요리시의 동작 제어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에서 벤트팬 동작여부에 따른 릴레이1,2의 제어를 위한 블록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 : 전원단자103 : 휴즈
105 : 도어스위치107 : 릴레이1
109 : 벤트팬111,115,119 : 릴레이
113 : 쿡 탑 램프117 : 턴테이블
121 : 고전압트랜스123 : 릴레이2
125 : 제어장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출력제어장치는, 배기를 위한 벤트팬을 구비한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에 있어서, 상기 벤트팬이 사용여부에 따른 다른 크기의 2차측 전압을 발생할 수 있도록 구성된 고압트랜스와; 상기 고압트랜스의 2차측에 유기된 고압으로 고주파 출력을 수행하는 마그네트론과; 상기 고압트랜스의 1차측 권선수를 다르게 제어해서, 상기 고압트랜스의 1차측 전류통로를 제어하기 위한 제 1,2 스위치와; 상기 벤트팬의 사용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 1,2 스위치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제어해서 상기 고압트랜스의 출력레벨을 가변 조절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레인지의 소비전력 범위 내에서 다른 크기의 2차측 전압을 발생할 수 있도록 구성된 고압트랜스와; 상기 고압트랜스의 2차측에 유기된 고압으로 고주파 출력을 수행하는 마그네트론과; 상기 고압트랜스의 1차측 권선수를 다르게 제어해서, 상기 고압트랜스의 1차측 전류통로를 제어하기 위한 제 1,2 스위치와; 상기 제 1,2 스위치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제어해서 상기 고압트랜스의 출력레벨을 가변 조절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어수단은, 배기기능의 선택여부에 따라서 상기 고압트랜스의 출력레벨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출력제어장치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제어 구성도를 도시하고 있다.
전원단자(101)는 외부에서 제품 내부로 전압을 입력하기 위한 단자이다. 상기 전원단자(101)에는 휴즈(103)가 연결되어진다. 상기 휴즈(103)는 본 발명의 전자레인지에서 사용 가능한 정격 전류량의 크기에 따라서 그 사용 전류량이 설정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휴즈(103)는 상기 전원단자(101)와 제일 인접한 부근에 설치되므로서, 과전류 또는 이상동작시에 입력전압의 빠른 차단을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전원단자(101)에는 도어스위치(105)가 연결된다. 상기 도어스위치(105)는 전자레인지의 도어 열림과 연동되어 동작하는 스위치이다. 즉, 도어가 열리면, 상기 도어스위치(105)가 오프 상태로 전환되면서, 각 구성부품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게 된다.
그리고 전자레인지의 동작 제어를 위한 구성부품들이 상기 전원단자(101)에 병렬 연결되고 있다. 부호 109 는 벤트팬이다. 상기 벤트팬(109)는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에만 구비되는 것으로, 배기를 위해서 이용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벤트팬(109)는 전자레인지에서 발생된 연기, 수증기 등을 배기시킬 뿐 만 아니라 전자레인지의 하부에 설치되고 있는 요리기기의 동작시에도 사용자 선택에 의해서 이용되어진다. 즉, 상기 벤트팬(109)은 전자레인지의 동작과는 별개로 사용가능하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상기 벤트팬(109)은 항상 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벤트팬(109)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한정하고 있는데, 그 경우는 빠른 요리와 같이 고출력을 요구하는 경우에 상기 벤트팬(109)의 동작이 이루어질 수 없도록 전기적으로 제어하고 있다.
상기 벤트팬(109)의 동작은 릴레이(111)에 의해서 제어된다. 상기 릴레이(111)는 하기 설명되는 제어장치에 의해서 제어가 이루어진다. 즉, 사용자가 벤트팬(109)의 사용을 선택했을 때, 상기 제어장치의 제어하에 상기 릴레이(111)가 동작되면서 벤트팬(109)의 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빠른 요리시에는 사용자가 벤트팬(109)의 동작을 선택한 경우에 있어서도 동작이 이루어질 수 없도록 상기 제어장치에서 제어한다.
상기 벤트팬(109)과 병렬로 쿡 탑 램프(113)가 연결되고 있다. 상기 램프(113)는 전장용 표시 램프이다. 즉, 전자레인지의 하부에 설치된 요리기기로부터 요리가 이루어지고 있고 또는(및) 전자레인지에서 요리가 이루어지는 경우 벤트팬(109)이 선택되어 동작될 때, 이것을 표시해주는 기능을 담당한다. 상기 전장용 램프(113)는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전면부에 설치되어진다.
상기 전장용 표시램프(113)의 동작 제어는 릴레이(115)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상기 릴레이(115) 또한, 별도의 제어장치의 제어로부터 동작이 제어되고, 상기 릴레이(115)가 온 동작될 때, 상기 전장용 표시램프(113)에 전원이 공급되면서 램프가 점등된다.
그리고 상기 램프(113)와 병렬로 턴테이블(117)이 연결되어진다. 상기 턴테리블(117)은 전자레인지의 요리실 내부에서 회전되는 테이블이다. 요리시에 회전되면서 요리물이 골고루 고주파를 공급받도록 한다. 상기 턴테이블(117)의 동작 제어는 릴레이(119)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상기 릴레이(119)의 동작 제어도 별도의 제어장치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구성들과 병렬로 고압 트랜스(121)가 설치되어진다. 도 3에 도시되고 있는 고압 트랜스(121)는 1차측 권선수를 가변 조정 가능한 구성이다. 즉,도 3에 도시되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고압 트랜스(121)의 동작 제어는 릴레이1(107) 또는 릴레이2(123)에 의해서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고 있다.
만약, 상기 릴레이1(107)가 선택되어져서 동작하는 경우, 상기 고압트랜스(121)의 1차측 코일 권선수는 도 4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n1'개가 된다. 그러나 상기 릴레이2(123)가 선택되어져서 동작하는 경우, 상기 고압트랜스(121)의 1차측 코일 권선수는 n3'개가 되어 상기 전자의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적게 된다. 따라서 식 1의 관계에 의해서 전자의 경우는 낮은 2차측 전압을 얻게 되지만, 후자의 경우는 상기 전자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2차측 전압을 얻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고압트랜스(121)의 출력레벨 가변 조정을 위한 코일의 권선수는 상기 고압트랜스(121)에 할당된 소비전력치에 따라서 조절되어진다. 일 예로 총 사용 가능한 소비전류가 20A인 경우, 상기 벤트팬(109)에 할당되는 전류가 3A이고, 고압트랜스를 제외한 구성부품에 할당되는 전류가 5A이면, 고압 트랜스에 할당되는 전류는 12A가 된다. 그러나 상기 벤트팬(109)의 사용을 차단한 경우에서는 상기 고압 트랜스에 할당되는 전류를 15A로 설정 가능하다. 즉, 가변 조절되는 고압트랜스(121)의 출력레벨은, 12A이거나 15A에 따라서 가변 조정되도록 코일 권선수가 구성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고압 트랜스(121)의 2차측에 도시되지는 않고 있지만, 상기 고압 트랜스(121)의 2차측 전압의 크기에 비례하는 고주파발진이 이루어지는 마그네트론이 구성되고 있다.
그리고 도 9에 도시된 블럭도는 고압트랜스의 릴레이 제어를 위한 것이다. 상기 구성에서 제어장치(125)는,벤트팬(109)의 동작여부를 판단해서 릴레이1(107)와, 릴레이2(123)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벤트팬(109)이 동작 중일 때는 릴레이1(107)을 동작시키고, 벤트팬(109)이 동작을 안할 때는 릴레이2(123)를 동작시킨다.
다음은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동작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어(105)가 닫힌 상태에서 전원단자(101)를 통해서 입력되는 전압은 병렬 연결된 모든 구성에 공급되어지고,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릴레이들의 동작상태에 따라서 각 구성의 동작이 수행되어진다.
사용자가 배기를 위한 기능을 선택하면, 이를 감지한 하기 설명되는 제어장치(125)에서 릴레이(111)를 동작시키면서 배기팬(109)의 동작이 수행된다. 상기 배기팬(109)이 동작되면, 상기 배기팬(109)의 동작에 의해서 형성되는 에어플로에 의해서 전자레인지의 동작 또는(및) 요리기기로부터 발생된 연기, 수증기가 외부로 배기되어진다.
이때, 전장용 램프(113)의 동작을 제어하는 릴레이(115)도 같이 동작되면서 상기 전장용 램프(113)에 전원 공급되고, 표시램프가 점등된다.
그리고 전자레인지의 요리를 수행할 때, 제어장치(125)의 제어로부터 릴레이(119)가 온동작된다. 상기 릴레이(119)의 온 동작으로 턴테이블(117)에 전원공급이 이루어지고, 상기 턴테이블(117)의 회전이 이루어진다.
상기 요리제어시에, 마그네트론의 구동이 필요한 요리인 경우에는 릴레이1 또는 릴레이2(107,123)가 온 제어되면서 고압트랜스(121)에 고압이 유기되고, 이렇게 발생된 고압이 마그네트론의 고주파출력을 발생시킨다.
다음은 본 발명에서 고압트랜스의 출력을 가변 제어하는 동작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에서 고압 트랜스의 동작을 제어하는 릴레이들의 동작 과정을 흐름도로서 도시하고 있다.
요리를 수행하기에 앞서서 제어장치(125)는, 벤트팬(109)의 사용여부를 확인한다(제 300 단계).
상기 제 300 단계에서 벤트팬(109)이 사용되고 있다면, 제어장치(125)는 고압 트랜스(121)의 전원공급을 위한 릴레이를 릴레이1(107)로 설정한다. 즉, 상기 제어장치는 릴레이1(107)를 온 시켜서 고압 트랜스(121)에 전압이 인가되도록 제어한다(제 305 단계).
이때, 고압트랜스(121)의 1차측은 코일(n1')과 전압(V1')으로부터 2차측에 고압을 유기시킨다. 그러나 이때 유기되는 2차측 전압은 상대적으로 낮은 상태, 즉 벤트팬의 구동에 따른 낮은 전류치(앞서 언급된 일 예 중, 12A)로 조절된 상태가 된다.
상기 고압트랜스(121)의 2차측에 유기된 전압은 마그네트론(도시하지 않음)에 공급되어 마이크로 웨이브파를 발생시키고, 이러한 제어상태로 요리가 진행되어진다(제 310 단계, 제 315 단계).
그러나 상기 제 300 단계에서 벤트팬(109)이 사용되고 있지 않을 때, 제어장치(125)는, 릴레이2(123)를 온 동작시킨다(제 320 단계). 이때 상기 고압트랜스(121)의 1차측은 상기 릴레이2(123)를 통해서 전압을 공급받게 된다.
이때, 고압트랜스(121)의 1차측은 코일(n3')과 전압(V1')으로부터 2차측에 고압을 유기시킨다. 그러나 이때 유기되는 2차측 전압은 상대적으로 높은 상태, 즉 벤트팬이 구동하지 않음으로 인한 높은 전류치(앞서 언급된 일 예 중, 15A)로 조절된 상태가 된다.
상기 고압트랜스(121)의 2차측에 유기된 전압은 마그네트론(도시하지 않음)에 공급되어 마이크로 웨이브파를 발생시키고, 이러한 제어상태로 설정된 요리시간동안 요리가 진행되어진다(제 325 단계, 제 327 단계).
그러나 상기 제 327 단계에서 설정된 요리시간동안 요리가 진행되는 중, 제어장치(125)는 계속해서 벤트팬이 온동작되는 지를 감시한다(제 330 단계). 그리고 설정된 요리시간 내에서 벤트팬이 동작되는 않는 중에는 계속해서 현재 제어되는 상태, 즉, 릴레이2(123)의 온동작에 따른 고압트랜스(121)에서 발생되는 고압으로 마그네트론의 동작이 제어된다.
그리고 상기 제 330 단계에서, 요리시간 중, 벤트팬(109)이 동작이 이루어지면, 제어장치(125)는 릴레이2(123)를 오프상태로 절환하고 릴레이1(107)를 온상태로 절환한다(제 335 단계).
그리고 상기 제 335 단계에 의해 제어된 상태로 잔여시간동안 요리가 진행되도록 제어한다(제 340 단계). 물론 상기 제 340 단계에서는 고압트랜스(121)의 발생전압이 상대적으로 낮아지므로, 그에 비례하는 소정의 요리시간 보상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즉, 본 발명은 고압트랜스(121)의 1차단에 1개의 단자와 제어용 릴레이가 더 구비되었다. 이때 입력전압(V1')은 고유전압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릴레이1(107)을 온동작시키고, 릴레이2(123)를 오프동작시키면, 상대적으로 낮은 전압이 고압트랜스(121)의 2차측에 유기된다. 이때는 벤트팬(109)이 같이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릴레이2(123)를 온동작시키면, 상기 릴레이1(107)가 온 된 경우보다 고압트랜스(121)의 1차측 코일 권선수가 적기 때문에, 고압 트랜스(121)의 2차측에 유기되는 전압은 상기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된다. 이에 따라서 마그네트론의 출력이 커진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소비전류가 증가하기 때문에, 벤트팬(109)의 동작은 오프 상태로 제어되야 한다.
따라서 벤트팬이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에서 고출력으로 동작하다가 벤트팬이 동작되거나 다른 구성의 동작으로 소비전류가 증가할 경우 자동적으로 제어장치(125)에서 상기 고압 트랜스(121)의 제어소자를 릴레이2에서 릴레이1으로 전환시킨다. 이러한 제어로 소비 전류가 정격을 초과하는 것 없이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가 사용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 도 8은 본 발명의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에서 빠른 요리시에 벤트팬의동작을 제한하는 제어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짧은 시간동안 고압으로 진행되는 빠른 요리시에(제 200 단계),제어장치(125)는 요리시간이 짧기 때문에, 짧은 요리시간동안 벤트팬(109)의 동작을 차단상태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빠른 요리가 진행될 때, 제어장치(125)는 릴레이2(123)를 온동작시키고(제 210 단계), 발생되는 높은 전압으로 요리를 진행한다(제 230 단계).
상기 요리가 진행되는 동안 사용자 요구에 의해서 벤트팬 동작신호가 입력됐을 때(제 220 단계), 제어장치(125)는 강제적으로 릴레이(111)를 오프상태로 제어한다(제 235 단계). 그리고 표시 판넬 상의 표시부에 '벤트팬 동작 안됨' 메시지를 출력하거나 표시램프 등을 이용하여, 현재 상태에서 벤트팬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음을 사용자에게 알려준다(제 240 단계).
다음,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압트랜스의 구성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는, n1"의 권선수가 n3"의 권선수보다 많게 설정하고, 1차전압을 n1"에 공급했을 때, 2차측에 유기되는 전압이 1차전압을 n3"에 공급했을때보다 상대적으로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벤트팬이 동작 중인 경우에는 n1"에 1차전압을 공급하고, 벤트팬이 동작하지 않는 경우에는 n3"에 1차전압을 공급한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는, 2차측의 권선수를 조정하는 경우이다. 이 경우에서도 발생되는 2차측 전압(V4"',V2"')이 각각 다른 전압을 유도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전압(V2"')가 더 높은 전압으로 발생되어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고압트랜스의 1차측 또는 2차측 권선수를 조절하여,출력을 가변 조절할 수 있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고압트랜스의 출력 가변 조절은, 벤트팬(109)의 사용여부를 판단해서 조절되도록 설명되고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벤트팬(109)의 사용전류 외에도 전장용 램프(113)와 같이 후드 기능시에 동작되는 다른 구성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레인지의 요리 기능에 있어서도, 마그네트론을 이용한 조리, 히터를 이용한 조리가 있고, 마그네트론과 히터를 이용한 조리가 있다. 따라서 상기 마그네트론과 히터를 별개로 제어하도록 구성된 요리에서도 상기 구성의 사용전류를 더 포함하여 고압트랜스의 사용전류를 가변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는, 환기용 벤트팬이나 전장용 램프 등 많은 소비전력을 소모하는 부품(전자레인지의 기능과 별개로 제어 가능한 구성에 한정)을 일시적으로 오프상태로 제어하면서, 고압트랜스에 공급되는 소비전력을 증대시켜서 출력레벨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짧은 요리시간과 고출력을 요구하는 전자레인지의 요리를 수행할 때, 고압트랜스의 높은 전력으로 요리시간 지연을 방지하고, 요리성능이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출력 가변 제어형인 인버터 전자레인지와 비교해서 저가의 제조 비용으로 고압트랜스의 출력레벨을 가변 제어 가능하기 때문에 소비자의 구매력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고압트랜스의 출력레벨 제어는, 벤트팬 모터의 사용여부에 따라서 제어장치 자체에서 자동적으로 제어하므로 사용자의 사용상의 위험과 번거로움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같이 얻게 된다.

Claims (3)

  1. 배기를 위한 벤트팬을 구비한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에 있어서,
    상기 벤트팬이 사용여부에 따른 다른 크기의 2차측 전압을 발생할 수 있도록 구성된 고압트랜스와;
    상기 고압트랜스의 2차측에 유기된 고압으로 고주파 출력을 수행하는 마그네트론과;
    상기 고압트랜스의 1차측 권선수를 다르게 제어해서, 상기 고압트랜스의 1차측 전류통로를 제어하기 위한 제 1,2 스위치와;
    상기 벤트팬의 사용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 1,2 스위치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제어해서 상기 고압트랜스의 출력레벨을 가변 조절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출력제어장치.
  2. 전자레인지의 소비전력 범위 내에서 다른 크기의 2차측 전압을 발생할 수 있도록 구성된 고압트랜스와;
    상기 고압트랜스의 2차측에 유기된 고압으로 고주파 출력을 수행하는 마그네트론과;
    상기 고압트랜스의 1차측 권선수를 다르게 제어해서, 상기 고압트랜스의 1차측 전류통로를 제어하기 위한 제 1,2 스위치와;
    상기 제 1,2 스위치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제어해서 상기 고압트랜스의 출력레벨을 가변 조절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출력제어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배기기능의 선택여부에 따라서 상기 고압트랜스의 출력레벨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출력제어장치.
KR1020010052745A 2001-08-30 2001-08-30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출력제어장치 KR20030018548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2745A KR20030018548A (ko) 2001-08-30 2001-08-30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출력제어장치
EP02090307A EP1289340B1 (en) 2001-08-30 2002-08-28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utput power of combination hood and microwave oven
US10/229,213 US6965100B2 (en) 2001-08-30 2002-08-28 Method for controlling output power of a combination hood and microwave oven
MYPI20023215A MY136511A (en) 2001-08-30 2002-08-29 Method for controlling output power of a combination hood and microwave ov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2745A KR20030018548A (ko) 2001-08-30 2001-08-30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출력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8548A true KR20030018548A (ko) 2003-03-06

Family

ID=19713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2745A KR20030018548A (ko) 2001-08-30 2001-08-30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출력제어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965100B2 (ko)
EP (1) EP1289340B1 (ko)
KR (1) KR20030018548A (ko)
MY (1) MY13651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68647A1 (ja) * 2012-10-30 2014-05-08 三菱電機株式会社 誘導加熱調理器
US10024545B2 (en) 2014-04-17 2018-07-17 Whirlpool Corporation Power management for home appliances
TR201718128A2 (tr) * 2017-11-16 2019-06-21 Arcelik As Bi̇r besleme devresi̇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43646A (en) * 1977-10-27 1979-03-13 Home Metal Products Company A Division Of Mobex Corporation Cooking apparatus and exhaust system
JPS5813938A (ja) * 1981-07-20 1983-01-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高周波加熱装置
KR100265646B1 (ko) * 1997-11-06 2000-10-02 윤종용 벽걸이형 전자렌지 및 그 출력제어방법
KR100306657B1 (ko) * 1998-07-27 2002-06-27 윤종용 벽부착형 전자렌지 및 그 제어방법
KR100631192B1 (ko) * 1999-08-19 2006-10-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렌지 및 그 제어방법
KR20020072706A (ko) * 2001-03-12 2002-09-18 삼성전자 주식회사 벽걸이형 전자레인지와 그 제어방법
KR100398500B1 (ko) * 2001-03-12 2003-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벽걸이형 전자레인지와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289340A3 (en) 2005-06-22
US6965100B2 (en) 2005-11-15
EP1289340A2 (en) 2003-03-05
MY136511A (en) 2008-10-31
US20030042254A1 (en) 2003-03-06
EP1289340B1 (en) 2012-10-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86245A (en) Wall mounted microwave oven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20110120990A1 (en) Microwave oven power sharing method and apparatus
KR20030018548A (ko)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출력제어장치
US9066377B2 (en) High frequency cooking apparatus
US6875970B2 (en) Safety apparatus for output level-adjustable microwave oven
KR20040061665A (ko) 전자레인지의 출력제어장치
US6414289B1 (en) Wall-mounted microwave ove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6737621B2 (en) Microwave oven and high voltage control circuit of the same
EP0781074B1 (en) Driving circuit of turntable motor in microwave oven
KR100284083B1 (ko) 복수의 고압트랜스를 갖는 전자렌지
KR100953971B1 (ko) 전자레인지의 가열에너지 제어방법
KR19980019384U (ko) 전자렌지의 비정격시 차단장치
KR20090071261A (ko) 전자레인지
KR100268252B1 (ko) 전자렌지의 돌입전류 감소제어방법
KR200160256Y1 (ko) 전자레인지
EP1235464B1 (en) Driving Circuit of Turnable Motor in Microwave Oven
KR100242326B1 (ko) 전자렌지
KR100730961B1 (ko) 전자 레인지의 과열방지 제어방법
KR950001034Y1 (ko) 전자레인지의 터보기능 자동제어 회로
KR200231128Y1 (ko) 피티시를 이용한 히터 돌입전류 제어장치
KR19990018520A (ko) 전자렌지의 균일 출력 유지회로
KR19990047497A (ko) 전자렌지의 돌입전류 감쇠회로
JPH10172753A (ja) 電子レンジ
KR20040088737A (ko) 전자레인지의 돌입전류 방지회로
KR20060029891A (ko) 전자레인지의 제어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