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7075A - 강하물 채취장치 - Google Patents

강하물 채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7075A
KR20030017075A KR1020010051194A KR20010051194A KR20030017075A KR 20030017075 A KR20030017075 A KR 20030017075A KR 1020010051194 A KR1020010051194 A KR 1020010051194A KR 20010051194 A KR20010051194 A KR 20010051194A KR 20030017075 A KR20030017075 A KR 200300170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wet
case
drop
d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1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재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100511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17075A/ko
Publication of KR20030017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7075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1/2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for flowing or falling materi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18Water
    • G01N33/1826Water organic contamination in wat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강하물 특히, 환경문제로 대두되는 산성강하물을 건성과 습성강하물로 간단하게 분리 채취할 수 있도록 한 강하물 채취장치(1)가 제공된다.
상기 강하물 채취장치(1)는, 케이스(10)상에 배치된 건성 및 습성강하물 채취용기(20)(30);와, 상기 각각의 용기(20)(30)를 개폐시키도록 설치되는 용기 개폐수단(40);과, 상기 습성강하물 채취용기(30)와 통하도록 다수개가 순차로 케이스(10)내에 계단식으로 배치되어 일정한 습성강하물 채취량을 조정토록 하는 분취용기(60); 및, 상기 케이스(10)의 일측으로 설치되어 최초 습성강하물을 감지하여 개폐수단(40)을 작동시키는 센서부재(80);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산성강하물의 건성강하물과 습성강하물을 분리 채취할 수 있으며, 습성강하물은 자동분취기를 사용함으로써 강수량별로 초기 및 후속 강우를 채취할 수 있고 빗물을 모두 채취함으로써 빗물의 가중평균pH를 구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얻는다.

Description

강하물 채취장치{APPARATUS FOR SAMPLING PRECIPITATION}
본 발명은 강하물 특히, 환경적으로 문제가 되는 산성강하물(ACID PRECIP ITATION)을 습성 및 건성강하물로 간단하게 채취함은 물론, 특히 습성 강화물 즉, 빗물을 일정량으로 분리하여 채취토록 함으로서, 빗물량에 따른 산성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한 강하물 채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하물 특히, 산성강하물은 건성강하물과 습성강하물로 나뉘어 지는데, 이와 같은 건성강하물은 먼지, 염입자, 액적등을 포함하고, 상기의 습성강하물은 대부분 빗물과 그 빗물에 포합된 먼지입자등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통상 산성강하물의 채취작업시에는 상기 건성강화물과 습성강화물을 분리하여 채취하여야 정확한 채취작업이 이루어 지는 것이고, 특히 습성강하물은 초기 및 후속 강우를 강수량별로 분취하여야 빗물의 산성도에 미치는 화학적 주성분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고, 비가 내리기 시작하여 그칠 때까지의 전체 빗물을 다 채취하여야 빗물의 가중평균 pH 를 구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건성강하물은 비가 오지않는 날씨중에 앞부분이 개구된 용기를 적당한 위치에 배치하면 건성강하물은 손쉽게 채취할 수 있으나, 습성강하물은 그 채취량을 빗물의 양에 따라 구분해서 채취하여야 하기 때문에 별도의 장치가 필요한데, 예를 들어 하나의 용기에 빗물을 계속채취하면 처음 비가온후, 끝날때 까지 전체 빗물양에 대한 산성비를 측정할 수 있을 뿐, 빗물의 채취량을 일정량으로 분리하여 채취하는 것은 불가능한 것이다.
그런데, 미국특허 제 5408892 호 에서는 상기와 같은 습성강하물 즉, 빗물은 일정량으로 차례로 채취하는 기술이 개시되고 있는데,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빗물이 닫기는 용기 뚜껑의 개폐는 스프링에 의해 당겨진 휴지조각이 빗물에 의해 적셔지면서 찢어져 개방되고, 이때부터 빗물을 채취하기 시작하면 용기를 메달고 있는 물레방아모양의 회전틀이 회전하여 첫번째 용기에 빗물이 일정량으로 차면 그 무게에 의해 회전하여 다음 차례의 용기가 앞의 방식으로 개방되면서 빗물이 모이고, 이를 반복하여 차례로 일정양의 빗물이 용기에 채취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상기 미국특허에서 개시된 빗물채취구성에 있어서는, 습성강하물의 특성상 가장 중요한 초기 수 mm의 강우량이 용기의 뚜껑 개폐를 위하여 휴지를 적시는데 소비되기 때문에, 완전한 빗물의 채취가 이루어지지 않으며, 특히 습성강하물외에 건성강하물의 채취는 근본적으로 불가능한 문제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건성 및 습성강하물을 동시에 채취하도록 하면서, 초기부터 습성강하물 즉, 빗물을 채취하도록 하고, 빗물을 일정량으로 구분하여 손쉽게 채취하도록 하면 보다 바람직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들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강하물을 건성 및 습성으로 간단하게 분리하여 강하물의 상태에 따라 신속하여 대응하여 채출할 수 있도록 한 강하물 채취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습성강하물의 미세한 양을 감지하여 신속하게 초기 빗물까지도 완전하게 채취하는 것은 물론, 특히 채취되는 빗물을 일정량으로 분리하여 채취함으로서 빗물 강하량에 따라 측정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토록 하는 강하물 채취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강하물 채취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인 강하물 채취장치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채취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인 강하물 채취장치의 덮개 작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작동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인 강하물 채취장치의 분취용기 자동 밀폐상태를 도시한 요부 구조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채취장치10.... 케이스
20,30.... 채취용기22,32.... 안내구
24,34.... 용기 고정단40.... 개폐수단
42a.... 모터42.... 회전축
44.... 피봇46.... 작동바아
50.... 솔레노이드52.... 개폐덮개
60.... 분취용기62.... 밀폐부재
64.... 용기본체66.... 유도구
68.... 실링80.... 센서부재
92.... 버튼스위치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발명은,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내측으로 삽입토록 설치된 건성 및 습성강하물 채취용기;와,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상기 각각의 용기를 개폐시키도록 설치되어 하나의 용기를 밀폐키어 건성 및 습성강하물의 분리 채취를 가능하게 하는 용기 개폐수단;과,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상기 습성강하물 채취용기와 통하도록 다수개가 순차로 계단식으로 배치되고, 내부에는 유입되는 습성강하물로서 채취량을 조정토록 삽입된 밀폐부재를 갖춘 분취용기; 및,
상기 케이스의 일측으로 최초 습성강하물을 감지하여 상기 개폐수단으로서 건성강하물 채취용기를 밀폐시키도록 하는 센서부재;로 구성된 강하물 채취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인 강하물 채취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강하물 채취장치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인 채취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인 강하물 채취장치의 덮개 작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작동상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인 강하물 채취장치의 분취용기 자동 밀폐상태를 도시한 요부 구조도이다.
도 1에서는 본 발명인 강하물 채취장치(1)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장치(1)는 크게 케이스(10)와 건성강하물 및 습성강하물 용기(20)(30) 와 상기 용기들을 개폐시키는 개폐수단(40)과 습성강하물은 분취하는 분취용기(60)들 및, 습성강하물의 강우를 감시하는 센서부재(80)로서 나누어 지는데, 상기 각각의 구성요소들을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 및 도 2에서는 상기 케이스(10)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케이스(10)는 통상적으로 패널조립체로서 내부는 빈 공간이 형성된 사각형상의 얇은철판으로 된 케이스(10)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 도 2 및 도 3에서는 상기 건성 및 습성강하물 채취용기(30)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채취용기(20)(30)들은 상기 케이스(10)의 상부에 내측으로 삽입토록 설치된다.
즉, 상기 건성 및 습성강하물 채취용기(20)(30)는 상기 케이스 (10)의 상부에 형성된 안내구(22)(32)에 삽입되어 그 상단원주에 형성된 고정단(24)(34)이 케이스면에 지지되고, 상부는 개구된 원통용기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습성강하물 채취용기(30)는 다음에 설명하겠지만,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분취용기(60)들중 최초 분취용기(60a)와 연결되는 연결관(30a)이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습성강하물 채취용기(30)는 저부를 향하여 오목한 깔대기형상으로 형성되어 습성강하물 즉, 빗물이 용기(30)를 통하여 하측의 최초 분취용기(60a) 측으로 안정적으로 유도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다음, 도 2 및 도 3에서는, 케이스(10)상에 설치된 2개의 건성 및 습성강하물 채취용기(20)(30)를 강하물의 상태에 따라, 즉 강우시에는 건성상하물 채취용기(30)를 밀폐시키고, 비가 오지 않을때에는 습성강하물 채취용기(30)를 밀페시키도록 교대로 작동하는 개폐수단(40)을 도시하고 있다.
즉, 상기 개폐수단(40)은 상기 케이스(10)의 상부에 상기 각각의 용기 (20)(30)를 개폐시키도록 설치되어 하나의 용기를 밀폐키어 건성 및 습성강하물의 분리 채취를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데 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용기(20)(30)들을 개폐시키어 분리 채취를 가능하게 하는 상기 용기 개폐수단(40)은, 크게 작동바아(46)와 개폐덮개(52)로서 나누어 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작동바아(46)는 상기 케이스(10)상에 모터(42a) 구동토록 수직설치된 회전축(42)에 수평하게 2단으로 피봇(44) 연결된 제 1,2 작동바아(46a) (46b)로 이루어 지고, 이때 상기 회전축(42)은 상기 케이스(10)에 설치된 지지판 (43)에 베어링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상기 제 1 작동바아(46a)는 상기 회전축(42)에 견고하게 수평 고정된다.
또한, 상기 개폐덮개(52)는 상기 제 2 작동바아(46b)의 단부에 하측으로 설치되는데, 상기 용기(20)(30)들을 안정적으로 덮도록 그 단면은 호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원주단부는 상기 용기(20)(30)들의 고정단(24)(34)외측으로 덮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2 작동바아(46b)는 상기 제 1 작동바아(46a)에 피봇(44)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피봇(44)에 일체로 고정된 브라켓트(48)상에는 솔레노이드(50)가 부착되고, 상기 솔레노이드(50)와 연결된 연결봉 (50a)은 상기 브라켓트(48)를 통하여 상기 덮개(52)가 고정된 제 2 작동바아 (46b)와 힌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상세하게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솔레노이드(50)는 케이싱내에 수직 슬라이딩이 가능한 이동 영구자석에 코일을 권선하여 전원인가하면, 다른 고정된 영구자석과 코일이 감긴 영구자석이 같은 전극 즉, N-N 또는 S-S극이 되어 고정된 영구자석의 상측 이동 영구자석이 서로 밀려는 자력으로 위로 올라가면서 연결된 연결봉(50a)을 당기어 연결봉(50a)으로 연결된 제 2 작동바아(46b)가피봇(44)을 축으로 상,하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인데, 이와 같은 제 2 작동바아(46b)의 상하 이동은 덮개(52)가 용기(20)(30)들의 고정단(24)(34) 외곽으로 덮히기 때문에, 일단 덮개를 상승시킨 상태에서 작동바아(46) 전체를 모터로서 회전시켜야 하기 때문이다.
다음, 도 1 및 도 5에서는 상기 분취용기(60)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분취용기(60)는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하겠지만, 케이스(10)내에 대략 5개가 배치되고, 최하단부에는 대형 분취용기(60')가 배치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분취용기(60)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최초 분취용기(60a)가 습성강하물 채취용기(30)의 연결관(30a)과 연결되고, 그 다음 분취용기(60b)-(60e)들은 각각의 연결관(61)으로 연결되며, 상기 분취용기(60)들은 최초 분위용기(60a)내에 빗물이 모이면 그 다음 분취용기들로 빗물이 이동하도록 케이스(10)내에 계단식으로 일정높이차로 배열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분취용기(60)들은 내부에는 유입되는 빗물로서 채취량을 조정토록 삽입되는 밀폐부재(62)를 갖추는데,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분취용기(60)들의 구조를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분취용기(60)는 상기 케이스 (10)의 내부에 게단식으로 일정간격 하방으로 다수개가 설치되는 용기본체(64) 및, 상기 용기본체(64)상에 별도의 부호로서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암,수 스크류홈이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되어 서로 스크류 결합되는 유도구(66)를 갖추고 있다.
그리고, 상기 필폐부재(62)는 상기 분리 조립되는 용기분체(64)내에 삽입되고, 용기에 유입되는 습성강하물의 수면에 부유되어 상기 유도구(66)를 밀폐시키도록 하는 부유구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유도구(66)는, 중앙에 상기 용기본체(64)와 통하도록 관통된 제 1 통로(66a) 및, 상기 제 1 통로(66a)에서 상방으로 경사지게 일체로 형성되어 분취용기(60)들의 빗물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제 2 통로(66b)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용기본체(64)와 유도구(66)사이에는 습성강하물의 누수를 방지하는 실링(68)이 끼워져 있다.
결국, 습성강하물 채취용기(30)의 연결관(30a)은 상기 최초 분취용기(60a)의 유도구(66) 제 1통로(66a)와 연결되고, 그 제 2 통로(66b)는 다음의 분취용기(60b)의 유도구(66) 제 1 통로(66a)에 연결되어 있어, 빗물은 차례대로 분취용기(60)들에 채워진후 부유구(62)가 용기본체(64)와 유도구(66)를 차단하면 다음 분취용기 (60)들로 이동하게 되어 최종적으로는 대형 분취용기(60')에 모이게 된다.
한편, 도 1 및 도 3에서는 상기 센서부재(80)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센서부재(80)는 상기 케이스(10)의 일측으로 최초 습성강하물을 감지하여 상기 개폐수단(40)으로서 건성강하물 채취용기(20)를 밀폐시키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센서부재(80)는 빗물의 미세강유도 감지하는 강우센서인데, 서로 다른 전극을 갖는 전극선이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있다가 빗물이 떨어지면 서로 쇼트되면서 강우를 감지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강우초기 1mm의 강우량도 미세하게 감지할 수 있고,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이슬과 같이 실제 강우가 없는 경우도 강우상태로 감지할 수 있기 때문에, 자체적으로 열선을 내장하여 건조시키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강우센서를 사용하고,본 발명에서는 제우시스템(JAEWOO SYSTEM)사의 LRD-13 제품을 사용한다.
한편, 상기 케이스(10)의 상측으로 상기 개폐수단(40)의 작동반경(R) 양측에는 개폐수단(40)의 작동을 감지하여 용기(20)(30)들의 개폐상태를 케이스(10)내에 설치된 제어판넬(C)에 신호전달하는 제 1,2 버튼스위치(92a)(92b)을 추가로 구비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 진 본 발명의 작용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1)는 강우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케이스(10)상의 습성강하물 채취용기(30)를 밀폐키고, 건성강하물 채취용기(20)를 개방시키어 대기중의 먼지등의 습성강하물이 용기(20)내에 낙하하여 모이면, 이를 채취하여 건성강화물의 확학성분을 측정한다.
다음, 강우시 빗방울이 강우센서(80)에 떨어지면 강우센서의 서로 다른 전극을 갖는 전극선이 빗방울로 쇼트되면서, 상기 강우센서(80)는 작동하여 강우가 시작되었음을 케이스(10)내에 설치된 제어판넬(C)에 신호를 보내면, 상기 제어판넬 (C)에서는 작동바아(46)의 회전시 접촉하여 작동된 제 1,2 버튼스위치 (92a)(92b)의 작동으로 사전에 덮개(52)가 어느 용기(20)(30)를 덮고 있는 지를 판단하여 만약 습성강하물 채취용기(30)를 덮고 있으면, 상기 제어판넬(C)은 다음 신호를 보낸다.
즉, 상기 제어판넬(C)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솔레노이드(50)가 작동하여 제 2작동아암(46b)을 상승시키고, 그 다음 상기 제 2 작동바아(46b)가 일정높이로 상승하여 그 하단 원주부분이 용기(30)에서 벗어나면, 상기 구동모터(42a)가 작동하여 회전축(42)을 회전시키면, 상기 작동바아(46)로 연결된 덮개(52)는 회전하여 건성강하물 채취용기(20)상에 위치되는 때에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의 버튼스위치(92a)를 접촉 작동시키고, 이때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이 중단되어 덮개(52)의 이동이 정지된다.
다음, 상기 솔레노이드(50)는 전원인가가 중단되어 자력이 없어지면서 제 2 작동바아(46b)를 하강시키어 덮개(52)는 습성강하물 채취용기(30)는 개방시키고 건성강하물 채취용기(20)를 밀폐시키어 빗물이 습성강하물 채취용기(30)에 모이도록 한다.
이때, 상기 버튼스위치(92)들은 상기 작동바아(46)의 회전반경 양측으로 설치되어 있어 작동바아(46)의 회전을 제어하고,최종적으로 작동된 버튼스위치 (92a)(92b)에 따라 덮개가 어느용기를 개방시키고 있는지 제어판넬(C)에서 판단할 수 있도록 하며, 그리고 상기 제 1,2 버튼스위치(92a)(92b)간의 작동시간은 대략 9초정도로 세팅되어 있어, 만약 솔레노이드(50)가 작동바아(46)의 이동시 중단되어 제 2 작동바아(46)가 하강하여 덮개(52)가 용기들의 고정단(24)(34)에 끼인채로 모터(42a)만이 계속가동되면서 모터 또는 다른 부품들이 파손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습성강하물 채취용기(30)에 모인 빗물은 하측의 연결관(30a)을 통하여 최초 분취용기(60a)의 유도구(66) 제 1 통로(66a)를통하여 스트류 조립된 하측의 용기분체(64)내에 모이면, 일체로 부유구(62)가 뜨면서 최종적으로는 상기 유도구(66)의 제 1 통로(66a)를 막게된다.
따라서, 일정량의 빗물이 최초 분취용기(60a)에 모이면, 유도구(66)의 제 2 통로(66b)를 통하여 연결관(61)을 통하여 다음의 분취용기(60b)이 이동하고 결과적으로는 5개의 분취용기(60)들에 일정량의 빗물이 모이게 하면서, 빗물량에 따른 산성비를 측정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즉,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습성강하물 채취용기(30)의 직경을 200mmΦ로 하고 각각의 분취용기(60)들의 빗물 수용부피를 62ml로 하고 마지막 분취용기 (60')의 빗물 수용부피를 2,000ml로 하면, 40mm의 강우를 채취한 결과, 최초 분취용기(60a)에는 강우시작부터 2mm까지의 강우시료 62ml가 채취될 수 있으며, 다음 분취용기(60b)는 2 ~ 4mm, 그 다음 분취용기(60c)는 4 ~ 6mm, 그 다음 분취용기(60d)에는 6 ~ 8mm, 그리고 5번째 분취용기(60e)에는 8 ~ 10mm, 마지막 분취용기(60')에서는 10 ~ 40mm까지의 강우가 채취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의 채취장치(1)는 건성 및 습성강하상태에 따라 신속하게 대응하여 강하물을 분리 채취할 수 있게 하면서, 특히 습성강하물 즉, 빗물은 여러개의 분취용기들로서 분리 채취함으로서, 채취량에 따른 산성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인 강하물 채취장치에 의하면, 강하물을 건성 및 습성으로간단하게 분리하여 강하물의 상태에 따라 신속하여 대응하여 채출할 수 있도록 하는 잇점을 준다.
그리고, 습성강하물의 미세한 양을 감지하여 신속하게 초기 빗물까지도 완전하게 채취하는 것은 물론, 특히 채취되는 빗물을 일정량으로 분리하여 채취함으로서 빗물 강하량에 따라 측정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토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따라서, 산성강하물의 채취에 있어서 건성 및 습성강하물을 분리하여 채취가 가능하고, 습성강하물의 경우 강수량별로 분취가 가능하여 초기강우와 후속강우의 산성도(pH), 전기전도도(EC) 및 화학적 조성 변화를 분석할 수 있으며, 전체강우를 채취함으로써 빗물의 가중평균pH를 구할 수 있게 하는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6)

  1.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의 상부에 내측으로 삽입토록 설치된 건성 및 습성강하물 채취용기(20)(30);와,
    상기 케이스(10)의 상부에 상기 각각의 용기(20)(30)를 개폐시키도록 설치되어 하나의 용기를 밀폐키어 건성 및 습성강하물의 분리 채취를 가능하게 하는 용기 개폐수단(40);과,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상기 습성강하물 채취용기(30)와 통하도록 다수개가 순차로 계단식으로 배치되고, 내부에는 유입되는 습성강하물로서 채취량을 조정토록 삽입된 밀폐부재(62)를 갖춘 분취용기(60); 및,
    상기 케이스(10)의 일측으로 최초 습성강하물을 감지하여 상기 개폐수단(40)으로서 건성강하물 채취용기(20)를 밀폐시키도록 하는 센서부재(80);로 구성된 강하물 채취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성 및 습성강하물 채취용기(20)(30)는 상기 케이스 (10)의 상부에 형성된 안내구(22)(32)에 삽입되어 그 상단원주에 형성된 고정단 (24)(34)이 케이스면에 지지되고, 상부는 개구된 원통용기형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하물 채취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40)은,
    상기 케이스(10)상에 모터(42a)구동토록 수직설치된 회전축(42)에 수평하게 2단으로 피봇(44) 연결된 제 1,2 작동바아(46a)(46b);와
    상기 제 2 작동바아(46b)의 단부에 하측으로 설치된 개폐덮개(52);를 갖추고,
    상기 제 2 작동바아(46b)는 상기 피봇(44)에 지지된 브라켓트(48)상에 설치된 솔레노이드(50)로서 상하 이동토록 설치되어, 상기 모터 및 솔레노이드의 구동시 상기 덮개(46)가 용기(20)(30)들을 개폐토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하물 채취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취용기(60)는,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게단식으로 일정간격 하방으로 다수개가 설치되는 용기본체(64); 및,
    상기 용기본체(64)상에 스크류 결합되는 유도구(66);를 갖추고,
    상기 필폐부재(62)는 상기 분리 조립되는 용기분체(64)내에 삽입되고, 용기에 유입되는 습성강하물의 수면에 부유되어 상기 유도구(66)를 밀폐시키도록 하는 부유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하물 채취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구(66)는,
    중앙에 상기 용기본체(64)와 통하도록 관통된 제 1 통로(66a);및,
    상기 제 1 통로(66a)에서 상방으로 경사지게 일체로 형성되어 분취용기(60)들의 빗물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제 2 통로(66b);를 포함하는 원통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용기본체(64)와 유도구(66)사이에는 습성강하물의 누수를 방지하는 실링(68)이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하물 채취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재(80)는 습성강하물의 미세량을 감지하고, 자체 건조기능을 갖는 강우센서로 이루어 지고,
    상기 케이스(10)의 상측으로 상기 개폐수단(40)의 작동반경(R) 양측에는 개폐수단(40)의 작동을 감지하여 용기(20)(30)들의 개폐상태를 케이스(10)내에 설치된 제어판넬(C)에 신호전달하는 제 1,2 버튼스위치(92a)(92b)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하물 채취장치
KR1020010051194A 2001-08-23 2001-08-23 강하물 채취장치 KR200300170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1194A KR20030017075A (ko) 2001-08-23 2001-08-23 강하물 채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1194A KR20030017075A (ko) 2001-08-23 2001-08-23 강하물 채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7075A true KR20030017075A (ko) 2003-03-03

Family

ID=27720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1194A KR20030017075A (ko) 2001-08-23 2001-08-23 강하물 채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1707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27405A (zh) * 2018-06-07 2018-11-16 中国农业科学院农业资源与农业区划研究所 农业面源污染径流监测装置与方法
CN115060552A (zh) * 2022-06-06 2022-09-16 西安建筑科技大学 一种应用于降雨湿沉降过程的智能采样装置
KR20240022713A (ko) 2022-08-12 2024-02-20 (주)동양테크윈 산성강하물 채취 장치 및 그 진단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27405A (zh) * 2018-06-07 2018-11-16 中国农业科学院农业资源与农业区划研究所 农业面源污染径流监测装置与方法
CN115060552A (zh) * 2022-06-06 2022-09-16 西安建筑科技大学 一种应用于降雨湿沉降过程的智能采样装置
CN115060552B (zh) * 2022-06-06 2024-04-12 西安建筑科技大学 一种应用于降雨湿沉降过程的智能采样装置
KR20240022713A (ko) 2022-08-12 2024-02-20 (주)동양테크윈 산성강하물 채취 장치 및 그 진단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9169B1 (ko) 자동수질 측정기 및 그 측정방법
KR100872502B1 (ko) 무게 및 배수 교차식 강수량계
EP0520415B1 (en) First stage rainfall sampler
CN109000976B (zh) 暴雨径流自动采样、监测装置及方法
CN110186716A (zh) 一种高保真定深水样采集装置
KR20030017075A (ko) 강하물 채취장치
CN109883775A (zh) 一种空气颗粒物采样器的自动换膜装置及换膜方法
KR200322759Y1 (ko) 산성 강우 및 강설 채취를 통한 피에취, 전도도 그리고강우량 측정 및 전송장치
KR101403387B1 (ko) 우수의 자동 샘플링 측정장치
CN219416864U (zh) 一种分层的地下水取样装置
CN110068486B (zh) 一种用于环境工程大气污染降水取样检测设备
CN214277513U (zh) 一种环境监测用水质采样装置
US5118628A (en) Method for analyzing water and apparatus to carry out this method
CN113218705A (zh) 一种自动化多批次雨水收集装置
CN201034863Y (zh) 降水自动采样器
CN114924051A (zh) 一种污水实时在线检测分析设备
CN210953476U (zh) 水样采集装置
CN2821573Y (zh) 酸雨自动测定仪
KR200168243Y1 (ko) 자동 강수 채취기
CN1548966A (zh) 粉体静电监测器
CN112881634A (zh) 一种具有拦截排污结构的管道安装用智能检测仪表
US4019545A (en) Sample fraction collector
CA1074153A (en) Liquid sampler
KR200241936Y1 (ko) 산성우 채취기
CN218600648U (zh) 一种电缆井水位警报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