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0390A - 기지국의 전력증폭 공유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기지국의 전력증폭 공유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0390A
KR20030010390A KR1020010045308A KR20010045308A KR20030010390A KR 20030010390 A KR20030010390 A KR 20030010390A KR 1020010045308 A KR1020010045308 A KR 1020010045308A KR 20010045308 A KR20010045308 A KR 20010045308A KR 20030010390 A KR20030010390 A KR 200300103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ignal
sector
power amplifi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5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34339B1 (ko
Inventor
박종경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453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4339B1/ko
Publication of KR20030010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03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4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43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52TPC using AGC [Automatic Gain Control] circuits or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mplifier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지국의 전력증폭 공유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기지국 셀의 각 섹터별로 수신되는 RF 신호를 분배시키고, 수신되는 RF 신호를 분배하여 인접 섹터에서 전력 증폭이 될 수 있게 하는 제 1 공유부를 구비한 분배부와; 상기 분배부에서 분배된 RF 신호의 전력을 일정 레벨까지 증폭시키는 전력증폭부와; 상기 전력증폭부에서 전력 증폭된 신호를 결합시키고, 인접 섹터의 RF 신호가 전력 증폭된 신호를 결합시키는 제 2 공유부를 구비한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이동통신 기지국에서 셀 섹터간 전력증폭기를 공유하여 특정 섹터의 전력증폭기에 불량이 발생했을 때 인접 섹터의 유휴자원을 활용하여 이동전화의 통화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기지국의 전력증폭 공유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hared power amplification in radio port}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서의 전력증폭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 기지국에서 셀 섹터간 전력증폭기를 공유하여 특정 섹터의 전력증폭기에 불량이 발생했을 때 인접 섹터의 유휴자원을 활용하여 이동전화의 통화품질을 향상시키기에 적당하도록 한 기지국의 전력증폭 공유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시스템은 사람, 자동차, 선박, 열차, 항공기 등 이동체를 대상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으로, 이에는 키폰 시스템, 이동전화(휴대전화, 차량전화), 항만전화, 항공기전화, 이동공중전화(열차, 유람선, 고속버스 등에 설치), 무선호출, 무선전화, 위성이동통신, 아마추어무선, 어업무선 등이 포함된다.
그래서 이러한 이동통신 시스템은, 운용자의 입력을 받아 망 내의 시스템들에 반영하는 망운용부와; 상기 망운용부와 하부의 기지국들의 데이터를 취합하여 교환 시스템 측으로 전송하는 기지국 제어부와; 상기 기지국 제어부의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들에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들의 데이터를 취합하여 상기 기지국 제어부로 전송하는 기지국(Radio Port, RP)과; 상기 기지국에서 전송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하고, 전달된 사용자의 음성 또는 부호급의 정보를 무선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기지국은 일반 유선가입자나 이동전화 가입자로부터 전달되는 음성및 데이터 신호를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코드 분할 다중 접속) 신호 변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을 거친다. 그리고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는 이동전화 가입자의 단말기로 전달되기 위해 기지국의 송신단에 있는 전력증폭 장치에서 최종적으로 전력증폭된 후 안테나 단에서 방사된다.
기지국의 서비스 가능지역(셀)은 주파수 효율을 높이기 위해 2-3개의 섹터(??, ??, ??)로 나누어지는데, 전력증폭 장치도 각 섹터별로 구성되어 RF(Radio Frequency) 전력을 공급한다.
도 1은 종래 기지국의 전력증폭 장치의 블록구성도로써, 섹터가 ??와 ??의 두 개 섹터일 경우의 예를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상세구성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 섹터와 ?? 섹터의 RF 신호를 각각 분배시키는 제 1 및 제 2 분배부(1)(2)와; 상기 제 1 분배부(1)에서 분배된 RF 신호의 전력을 각각 증폭시키는 제 1 및 제 2 전력증폭부(3)(4)와; 상기 제 2 분배부(2)에서 분배된 RF 신호의 전력을 각각 증폭시키는 제 3 및 제 4 전력증폭부(5)(6)와; 상기 제 1 및 제 2 전력증폭부(3)(4)에서 각각 증폭된 신호를 결합시키는 제 1 결합부(7)와; 상기 제 3 및 제 4 전력증폭부(5)(6)에서 각각 증폭된 신호를 결합시키는 제 2 결합부(8)와; 상기 제 1 및 제 2 결합부(7)에서 각각 결합된 신호를 각각 필터링하는 제 1 및 제 2 송신 필터(51)(52)와; 상기 제 1 및 제 2 송신 필터(51)(52)에서 필터링된 신호를 ?? 섹터와 ?? 섹터로 각각 방사시키는 안테나(61)(62)로 구성된다.
도 3은 종래 기지국의 전력증폭 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셀의 섹터로 RF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T1)와;상기 수신된 RF 신호를 분배하여 각각 전력 증폭을 시킨 다음 전력증폭된 신호를 결합시키는 단계(ST2 ~ ST4)와; 상기 결합된 신호를 필터링 한 다음 안테나를 통해 각 섹터로 송신시키는 단계(ST5)를 수행한다.
그래서 기지국의 서비스 셀 구조가 2 섹터인 경우, 전력증폭 장치도 2개의 블록으로 구성된다.
각 블록에는 주파수 변환부(이는 도면상에 미도시)로부터 입력받은 RF 신호를 각 전력증폭부(3 ~ 6)로 분배하는 분배부(1)(2)가 있다. 그리고 전력증폭부(3 ~ 6)는 분배부(1)(2)에서 각각 출력되는 ?? 섹터와 ?? 섹터의 신호를 일정 레벨까지 각각 증폭시켜 준다. 또한 결합부(7)(8)에서는 각 전력증폭부(3 ~ 6)에서 전력 증폭된 신호를 다시 하나로 결합시켜 해당 섹터 안테나(11)(12)로 신호를 공급해준다.
전력증폭부(3 ~ 6)를 제외한 분배부(1)(2)와 결합부(7)(8)는 일체형으로 설계되며, 전력증폭기 컴바이너(Combiner)로 통칭된다.
그리고 도 1 및 도 2에는 2개의 전력증폭 장치를 결합시키는 구조(최종 출력에 따라 전력증폭 장치의 수가 결정됨)이며, 각 섹터간에서 분배부(1)(2), 전력증폭부(3 ~ 6), 결합부(7)(8)는 개별적으로 작동하여 인접 섹터간 영향 및 간섭이 없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한 전력증폭 장치에 불량이 발생했을 경우 해당 섹터의 서비스 영역(셀 반경)은 최대 1/2로 감소하게 되어 접속율과 통화품질이 급격히 나빠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때 나머지 인접 섹터의 접속용량이 여유가 있더라도 용량이 부족한 섹터로 유휴 RF 전력을 전환시킬 수 없어 저하된 서비스 품질을 개선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기지국에서 셀 섹터간 전력증폭기를 공유하여 특정 섹터의 전력증폭기에 불량이 발생했을 때 인접 섹터의 유휴자원을 활용하여 이동전화의 통화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지국의 전력증폭 공유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기지국의 전력증폭 공유장치는,
기지국 셀의 각 섹터별로 수신되는 RF 신호를 분배시키고, 수신되는 RF 신호를 분배하여 인접 섹터에서 전력 증폭이 될 수 있게 하는 제 1 공유부를 구비한 분배부와; 상기 분배부에서 분배된 RF 신호의 전력을 일정 레벨까지 증폭시키는 전력증폭부와; 상기 전력증폭부에서 전력 증폭된 신호를 결합시키고, 인접 섹터의 RF 신호가 전력 증폭된 신호를 결합시키는 제 2 공유부를 구비한 결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기지국의 전력증폭 공유방법은,
각 섹터별로 전력 증폭 상태를 파악하여 전력증폭부에 이상이 발생했는지 판별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전력증폭부에 이상이 발생했으면, 인접 섹터의 RF 전력사용 현황을 파악하여 전력 증폭의 여유가 있는 섹터가 있는지 판별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전력 증폭의 여유가 있는 섹터가 있으면, 전력 증폭의 여유가 있는 섹터의 전력증폭부의 입/출력 선로를 전력이 부족한 섹터로 스위칭시켜 전력 증폭이 수행되도록 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제 3 단계 후 이상이 발생된 전력증폭부의 출력이 원상회복 되었는지 판별하는 제 4 단계와; 상기 이상이 발생된 전력증폭부의 출력이 원상회복 되었으면, 상기 전력증폭부의 현황을 파악한 다음 상기 전력증폭부를 스위칭되기 전의 원상태로 스위칭시키는 제 5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지국의 전력증폭 장치의 블록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상세구성도이며,
도 3은 종래 기지국의 전력증폭 방법을 보인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기지국의 전력증폭 공유장치의 블록구성도이며,
도 5는 도 4의 상세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기지국의 전력증폭 공유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22, 23, 26, 27 : 분배부 21, 41 : 공유부
24, 28, 44, 48 : 스위치 25, 29, 45, 49 : 스터브
30, 31, 32, 33, 34 : 전력증폭부 40, 42, 43, 46, 47 : 결합부
50, 51, 52 : 송신 필터 60, 61, 62 : 안테나
70 : 전력증폭 상태감시부 71 : RF 검파부
72 : RF 전력 비교부 73 : 프로세서
74 : 통신부 80 : 스위치 제어부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기지국의 전력증폭 공유장치 및 그 방법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일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기지국의 전력증폭 공유장치의 블록구성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 셀의 각 섹터별로 수신되는 RF 신호를 분배시키고, 수신되는 RF 신호를 분배하여 인접 섹터에서 전력 증폭이 될 수 있게 하는 제 1 공유부(21)를 구비한 분배부(20)와; 상기 분배부(20)에서 분배된 RF 신호의 전력을 일정 레벨까지 증폭시키는 전력증폭부(30)와; 상기 전력증폭부(30)에서 전력 증폭된 신호를 결합시키고, 인접 섹터의 RF 신호가 전력 증폭된 신호를 결합시키는 제 2 공유부(41)를 구비한 결합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참조번호 50은 상기 결합부(40)에서 결합된 신호를 필터링시키는 송신 필터이고, 60은 상기 송신 필터(50)에서 필터링된 신호를 각 섹터별로 방사시키는 안테나(60)이다.
도 5는 도 4의 상세구성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지국의 전력증폭 공유장치는, 상기 결합부(40)에서 결합된 신호를 감시하여 전력이 증폭된 상태를 감시하는 전력증폭 상태감시부(70)와; 상기 전력증폭 상태감시부(70)에서 감시결과를 입력받고, 상기 분배부(20)와 상기 결합부(40) 내의 제 1 및 제 2 공유부(21)(41)에 대한 스위칭을 제어하는 스위치 제어부(80)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에서 분배부(20)는, 기지국 셀의 일 섹터(?? 섹터)에서 수신되는 RF 신호를 분배시키는 제 1 분배부(22)와; 기지국 셀의 일 섹터(?? 섹터)에서 수신되는 RF 신호를 분배시켜 자체 섹터(?? 섹터)와 인접 섹터(?? 섹터)에서 전력 증폭이 될 수 있게 하는 제 2 분배부(23)와; 기지국 셀의 타 섹터(?? 섹터)에서 수신되는 RF 신호를 분배시키는 제 3 분배부(26)와; 기지국 셀의 타 섹터(?? 섹터)에서 수신되는 RF 신호를 분배시켜 자체 섹터(?? 섹터)와 인접 섹터(?? 섹터)에서 전력 증폭이 될 수 있게 하는 제 4 분배부(27)와; 상기 스위치 제어부(80)의 스위칭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분배부(22)에서 분배된 일 신호와 상기 전력증폭부(30) 내의 일 섹터(?? 섹터)에서 분배된 전력을 증폭시키는 제 2 전력증폭부(32)를 연결시키거나 또는 상기 제 4 분배부(27)에서 분배된 일 신호와 상기 전력증폭부(30) 내의 상기 제 2 전력증폭부(32)를 연결시키는 제 1 스위치(24)와; 상기 스위치 제어부(80)의 스위칭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 3 분배부(26)에서 분배된 일 신호와 상기 전력증폭부(30) 내의 일 섹터(?? 섹터)에서 분배된 전력을 증폭시키는 제 3 전력증폭부(33)를 연결시키거나 또는 상기 제 2 분배부(23)에서 분배된 일 신호와 상기 전력증폭부(30) 내의 상기 제 2 전력증폭부(32)를 연결시키는 제 2 스위치(28)와; 상기 제 1 및 제 2 스위치(24)(28)와 각각 연결되어 전송선로의 단간 임피던스를 각각 맞춰주는 제 1 및 제 2 스터브(Stub)(25)(2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력증폭부(30)는 이동통신 기지국이나 중계기의 송신 최종단에 위치하여 RF 신호를 원하는 전력 레벨까지 증폭시켜주는 것으로, 이에는 여러 개의 주파수 캐리어(Carrier)를 동시에 증폭할 수 있도록 최종 출력에 따라 개수를 결정하여 복수개로 구성된다.
여기서 참조번호 31은 ?? 섹터의 RF 신호를 분배시키는 제 1 분배부(22)의 일 신호를 증폭시키는 제 1 전력증폭부이고, 32는 제 1 스위치(24)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증폭시키는 제 2 전력증폭부이며, 33은 제 2 스위치(28)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증폭시키는 제 3 전력증폭부이고, 34는 ?? 섹터의 RF 신호를 분배시키는 제 3 분배부(22)의 일 신호를 증폭시키는 제 4 전력증폭부이다.
또한 상기에서 결합부(40)는, 상기 분배부(20) 내의 제 1 및 제 2 스위치(24)(28)에서 각각 출력되어 전력증폭된 신호를 입력받아 각각 스위칭하는 제 3 및 제 4 스위치(44)(48)와; 상기 제 3 및 제 4 스위치(44)(48)와 각각 연결되어 전송선로의 단간 임피던스를 각각 맞춰주는 제 3 및 제 4 스터브(45)(49)와; 상기 분배부(20) 내의 제 1 분배부(22)에서 출력된 일 신호를 증폭한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제 1 스위치(44)에서 스위칭된 신호를 입력받아 결합시키는 제 1 결합부(42)와; 상기 제 1 스위치(44)에서 스위칭된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제 2 스위치(48)의 제 2 스터브(49)와 연결되어 스위칭된 신호를 입력받아 전력증폭이 각 섹터간 공유되도록 하여 결합시키는 제 2 결합부(43)와; 상기 제 2 스위치(44)에서 스위칭된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분배부(20) 내의 제 4 분배부(26)에서 출력된 일 신호를 증폭한 신호를 입력받아 결합시키는 제 3 결합부(46)와; 상기 제 1 스위치(44)의 제 1 스터브(45)와 연결되어 스위칭된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제 2 스위치(48)에서 스위칭된 신호를 입력받아 전력증폭이 각 섹터간 공유되도록 하여 결합시키는 제 4 결합부(4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에서 전력증폭 상태감시부(70)는, 상기 결합부(40)로 입력되는 각 섹터별로 분배되어 입력되는 전력이 증폭된 신호를 각각 검파하는 복수개의 RF 검파부(71)와; 상기 복수개의 검파부(71)의 출력을 입력받아 한 섹터 당 처리되는 전력 증폭 상태를 비교하는 RF 전력비교부(72)와; 상기 RF 전력비교부(72)의 비교결과를 입력받아 한 섹터 당 처리되는 전력 증폭 상태를 판별하여 상기 전력증폭부(30)의 이상여부를 확인하여 스위칭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프로세서(73)와; 상기 프로세서(73)에서의 스위칭제어신호를 상기 스위치제어부(80)로 전송하여 특정 섹터의 전력증폭기에 불량이 발생했을 때 인접 섹터의 유휴자원이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 통신부(7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기지국의 전력증폭 공유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섹터별로 전력 증폭 상태를 파악하여 전력증폭부(30)에 이상이 발생했는지 판별하는 제 1 단계(ST11)(ST12)와; 상기 전력증폭부(30)에 이상이 발생했으면, 인접 섹터의 RF 전력 사용 현황을 파악하여 전력 증폭의 여유가 있는 섹터가 있는지 판별하는 제 2 단계(ST13)(ST14)와; 상기 전력 증폭의 여유가 있는 섹터가 있으면, 전력 증폭의 여유가 있는 섹터의 전력증폭부(30)의 입/출력 선로를 전력이 부족한 섹터로 스위칭시켜 전력 증폭이 수행되도록 하는 제 3 단계(ST15)(ST16)와; 상기 제 3 단계 후 이상이 발생된 전력증폭부(30)의 출력이 원상회복 되었는지 판별하는 제 4 단계(ST17)와; 상기 이상이 발생된 전력증폭부(30)의 출력이 원상회복 되었으면, 상기 전력증폭부(30)의 현황을 파악한 다음 상기 전력증폭부(30)를 스위칭되기 전의 원상태로 스위칭시키는 제 5 단계(ST18)(ST19)를 포함하여 수행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기지국의 전력증폭 공유장치 및 그 방법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종래 전력증폭부의 컴바이너 단의 분배기 및 결합기 구조를 변경하여 각 섹터간 특정 전력증폭기(30)를 필요에 따라 서로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분배기와 결합기에 RF 스위치(24)(28)(44)(48)와 스위치 제어부(80)를 추가하였고, 전력증폭기(30)의 불량발생 유무를 판단하기 위해 전력증폭 상태감시부(70)를 구성하였다.
그래서 전력증폭 상태감시부(70)에는 각 섹터 증폭기(30)들의 출력전력을 모니터하여 서로 비교한다.
임의의 섹터에서 한 전력증폭기(30)에 일시적인 장애나 혹은 영구적인 손상이 발생하여 출력이 같은 섹터 내의 다른 증폭기(30) 보다 일정 레벨(예를 들면, 10dB) 이상 낮은 경우가 발생하게 되면, 전력증폭 상태감시부(70)는 인접 섹터의 RF 전력 사용 현황을 파악한다. 그리고 증폭기(30) 1개 출력 분의 여유가 있는 섹터를 찾아내어 미리 지정한 전력증폭기(30)의 입/출력 선로를 전력이 부족한 섹터로 스위칭하도록 스위치 제어부(80)를 제어한다.
이때 RF 전력이 부족했던 섹터는 3개의 전력증폭기(30)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무선전력 부족분을 충당할 수 있게 되고, 전력증폭기(30)를 공급해준 섹터는 1개의 전력증폭기(30)로 운용하게 된다.
문제가 발생된 전력증폭기(30)가 다시 정상 출력으로 회복하여(혹은 전력증폭기 교체에 의한 복구) 2개의 전력증폭기(30)로 운용 가능하게 되면, 전력증폭 상태감시부(70)에서는 스위치 제어부(80)를 제어하여 인접 섹터에서 빌려왔던 전력증폭기(30)를 다시 원래대로 되돌릴 수 있도록 전력증폭기(30)의 입/출력 스위치(24)(28)(44)(48)를 스위칭하게 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이동통신 기지국에서 셀 섹터간 전력증폭기를 공유하여 특정 섹터의 전력증폭기에 불량이 발생했을 때 인접 섹터의 유휴자원을 활용하여 이동전화의 통화품질을 향상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기지국의 전력증폭 공유장치 및 그 방법은 이동통신 기지국에서 셀 섹터간 전력증폭기를 공유하여 특정 섹터의 전력증폭기에 불량이 발생했을 때 인접 섹터의 유휴자원을 활용하여 이동전화의 통화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2개의 섹터 중 1개 섹터가 일시적 또는 영구적인 전력증폭기 출력장애가 발생하는 상황에서도 나머지 인접 섹터의 여유 무선자원을 활용하여 해당 섹터의 서비스 영역을 그대로 유지하게 됨으로써, 이동전화 접속율을 향상시키고, 전력증폭기의 과부하 부담을 감소시켜 전력증폭기의 평균수명도 연장할 수 있는 효과도 있게 된다.

Claims (6)

  1. 기지국 셀의 각 섹터별로 수신되는 RF 신호를 분배시키고, 수신되는 RF 신호를 분배하여 인접 섹터에서 전력 증폭이 될 수 있게 하는 제 1 공유부를 구비한 분배부와;
    상기 분배부에서 분배된 RF 신호의 전력을 일정 레벨까지 증폭시키는 전력증폭부와;
    상기 전력증폭부에서 전력 증폭된 신호를 결합시키고, 인접 섹터의 RF 신호가 전력 증폭된 신호를 결합시키는 제 2 공유부를 구비한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의 전력증폭 공유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의 전력증폭 공유장치는,
    상기 결합부에서 결합된 신호를 감시하여 전력이 증폭된 상태를 감시하는 전력증폭 상태감시부와;
    상기 전력증폭 상태감시부에서 감시결과를 입력받고, 상기 분배부와 상기 결합부 내의 제 1 및 제 2 공유부에 대한 스위칭을 제어하는 스위치 제어부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의 전력증폭 공유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부는,
    기지국 셀의 일 섹터에서 수신되는 RF 신호를 분배시키는 제 1 분배부와;
    기지국 셀의 일 섹터에서 수신되는 RF 신호를 분배시켜 자체 섹터와 인접 섹터에서 전력 증폭이 될 수 있게 하는 제 2 분배부와;
    기지국 셀의 타 섹터에서 수신되는 RF 신호를 분배시키는 제 3 분배부와;
    기지국 셀의 타 섹터에서 수신되는 RF 신호를 분배시켜 자체 섹터와 인접 섹터에서 전력 증폭이 될 수 있게 하는 제 4 분배부와;
    상기 스위치 제어부의 스위칭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분배부에서 분배된 일 신호와 상기 전력증폭부 내의 일 섹터에서 분배된 전력을 증폭시키는 제 2 전력증폭부를 연결시키거나 또는 상기 제 4 분배부에서 분배된 일 신호와 상기 전력증폭부 내의 상기 제 2 전력증폭부를 연결시키는 제 1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 제어부의 스위칭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 3 분배부에서 분배된 일 신호와 상기 전력증폭부 내의 일 섹터에서 분배된 전력을 증폭시키는 제 3 전력증폭부를 연결시키거나 또는 상기 제 2 분배부에서 분배된 일 신호와 상기 전력증폭부 내의 상기 제 2 전력증폭부를 연결시키는 제 2 스위치와;
    상기 제 1 및 제 2 스위치와 각각 연결되어 전송선로의 단간 임피던스를 각각 맞춰주는 제 1 및 제 2 스터브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의 전력증폭 공유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분배부 내의 제 1 및 제 2 스위치에서 각각 출력되어 전력증폭된 신호를 입력받아 각각 스위칭하는 제 3 및 제 4 스위치와;
    상기 제 3 및 제 4 스위치와 각각 연결되어 전송선로의 단간 임피던스를 각각 맞춰주는 제 3 및 제 4 스터브와;
    상기 분배부 내의 제 1 분배부에서 출력된 일 신호를 증폭한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제 1 스위치에서 스위칭된 신호를 입력받아 결합시키는 제 1 결합부와;
    상기 제 1 스위치에서 스위칭된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제 2 스위치의 제 2 스터브와 연결되어 스위칭된 신호를 입력받아 전력증폭이 각 섹터간 공유되도록 하여 결합시키는 제 2 결합부와;
    상기 제 2 스위치에서 스위칭된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분배부 내의 제 4 분배부에서 출력된 일 신호를 증폭한 신호를 입력받아 결합시키는 제 3 결합부와;
    상기 제 1 스위치의 제 1 스터브와 연결되어 스위칭된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제 2 스위치에서 스위칭된 신호를 입력받아 전력증폭이 각 섹터간 공유되도록 하여 결합시키는 제 4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의 전력증폭 공유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증폭 상태감시부는,
    상기 결합부로 입력되는 각 섹터별로 분배되어 입력되는 전력이 증폭된 신호를 각각 검파하는 복수개의 RF 검파부와;
    상기 복수개의 검파부의 출력을 입력받아 한 섹터 당 처리되는 전력 증폭 상태를 비교하는 RF 전력비교부와;
    상기 RF 전력비교부의 비교결과를 입력받아 한 섹터 당 처리되는 전력 증폭상태를 판별하여 상기 전력증폭부의 이상여부를 확인하여 스위칭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프로세서와;
    상기 프로세서에서의 스위칭제어신호를 상기 스위치제어부로 전송하여 특정 섹터의 전력증폭기에 불량이 발생했을 때 인접 섹터의 유휴자원이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 통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의 전력증폭 공유장치.
  6. 각 섹터별로 전력 증폭 상태를 파악하여 전력증폭부에 이상이 발생했는지 판별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전력증폭부에 이상이 발생했으면, 인접 섹터의 RF 전력 사용 현황을 파악하여 전력 증폭의 여유가 있는 섹터가 있는지 판별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전력 증폭의 여유가 있는 섹터가 있으면, 전력 증폭의 여유가 있는 섹터의 전력증폭부의 입/출력 선로를 전력이 부족한 섹터로 스위칭시켜 전력 증폭이 수행되도록 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제 3 단계 후 이상이 발생된 전력증폭부의 출력이 원상회복 되었는지 판별하는 제 4 단계와;
    상기 이상이 발생된 전력증폭부의 출력이 원상회복 되었으면, 상기 전력증폭부의 현황을 파악한 다음 상기 전력증폭부를 스위칭되기 전의 원상태로 스위칭시키는 제 5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의 전력증폭 공유방법.
KR10-2001-0045308A 2001-07-27 2001-07-27 기지국의 전력증폭 공유장치 및 그 방법 KR1004343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5308A KR100434339B1 (ko) 2001-07-27 2001-07-27 기지국의 전력증폭 공유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5308A KR100434339B1 (ko) 2001-07-27 2001-07-27 기지국의 전력증폭 공유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0390A true KR20030010390A (ko) 2003-02-05
KR100434339B1 KR100434339B1 (ko) 2004-06-04

Family

ID=27716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5308A KR100434339B1 (ko) 2001-07-27 2001-07-27 기지국의 전력증폭 공유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433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08656B (en) * 2003-11-28 2006-06-14 Motorola Inc Radio resource management
US7376437B2 (en) 2003-11-28 2008-05-20 Motorola, Inc. Radio resource management
KR101869407B1 (ko) 2017-09-18 2018-06-20 이동훈 바늘 위치 센서 신호를 이용한 생산 정보 산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00735B1 (ko) 2018-04-13 2019-07-16 김혜란 단처리용 재봉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4284A (ko) * 2017-01-16 2018-07-25 주식회사 브로던 동축 도파관 공간결합기를 이용한 고출력 전력 증폭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1166B1 (ko) * 1998-12-30 2006-05-25 유티스타콤코리아 유한회사 다중 채널 기지국의 채널별 이중화 대전력 증폭기를 공유하는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08656B (en) * 2003-11-28 2006-06-14 Motorola Inc Radio resource management
US7376437B2 (en) 2003-11-28 2008-05-20 Motorola, Inc. Radio resource management
KR101869407B1 (ko) 2017-09-18 2018-06-20 이동훈 바늘 위치 센서 신호를 이용한 생산 정보 산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00735B1 (ko) 2018-04-13 2019-07-16 김혜란 단처리용 재봉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34339B1 (ko) 2004-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12409B2 (en) Self-contained masthead units for cellular communication networks
US9225410B2 (en) Communicatio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US6336042B1 (en) Reverse link antenna diversity in a wireless telephony system
KR100259843B1 (ko) 고출력 증폭기와 광 안테나의 정합 시스템을 이용한 양방향성 옥외용 기지국
US7221906B2 (en) Distributed multi-drop base station/repeating unit using extension of analog optical transmiss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7024231B2 (en) Booster system in a cellular phone base station
US7376446B2 (en)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with expanded carrier capacity and method of expanding base station carrier capacity
US6438359B1 (en) Dual transmitter arrangement with back-up switching
KR100434339B1 (ko) 기지국의 전력증폭 공유장치 및 그 방법
US7218954B2 (en) LPA shelf and LPA type switching method for a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US5530921A (en) Enhanced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a backup control channel in a cellular telecommunication network
US20010051512A1 (en) Redundancy scheme for the radio frequency front end of a broadband wireless hub
CN100514876C (zh) 一种实现射频收发链路冗余设计的系统及方法
CN201167390Y (zh) Gsm基站功放单元及gsm基站
KR20000021613A (ko) 무선가입자망 시스템에서의 대전력 증폭기의 이중화 장치
KR100229968B1 (ko) 개인 휴대 통신 서비스 주파수 대역의 기지국을 위한송수신 일체형 안테나 초단
KR100551166B1 (ko) 다중 채널 기지국의 채널별 이중화 대전력 증폭기를 공유하는장치
KR20000051543A (ko) 선택적 이중경로 수신기를 이용한 기지국
CA2212360C (en) Enhanced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a back-up control channel in a cellular telecommunication network
KR200297971Y1 (ko) 기지국 액티브 어레이 안테나
JP2003115793A (ja) Cdma無線基地局装置
KR20010059944A (ko) 이중화 대전력 증폭 장치
WO2001056217A2 (en) Redundancy scheme for the radio frequency front end of a broadband wireless hub
JPH04127622A (ja) 移動通信システム
KR20000041345A (ko) 무선가입자망의 기지국 수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