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8905A - Method of character Input In Screen Pop-up Keyboard Of Handheld Device - Google Patents

Method of character Input In Screen Pop-up Keyboard Of Handheld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8905A
KR20030008905A KR1020010043934A KR20010043934A KR20030008905A KR 20030008905 A KR20030008905 A KR 20030008905A KR 1020010043934 A KR1020010043934 A KR 1020010043934A KR 20010043934 A KR20010043934 A KR 20010043934A KR 20030008905 A KR20030008905 A KR 200300089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board
input
gesture
mode
vow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39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형근
Original Assignee
김형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근 filed Critical 김형근
Priority to KR10200100439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08905A/en
Publication of KR20030008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8905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7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methods for entering alphabetical characters, e.g. multi-tap or dictionary disambigu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PURPOSE: A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on a screen pop-up keyboard of a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is provided to input the characters using both hands by arranging a consonant keyboard left and arranging a vowel keyboard right. CONSTITUTION: If a user clicks a display keyboard of a terminal(201), a click number recognizing unit measures the number of clicks(202). A grapheme designating unit determines grapheme set according to the number of clicks(204). If the user pushes the display keyboard and takes a gesture, a gesture recognizing unit recognizes the gesture(203) and the grapheme designating unit changes a selected grapheme to a predetermined other grapheme(204). A word assembling unit assembles the consonants and the vowels of the selected grapheme(205). An output unit outputs a word(206).

Description

휴대정보 단말기의 스크린 팝업 키보드 상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Method of character Input In Screen Pop-up Keyboard Of Handheld Device}Method of character input in screen pop-up keyboard of handheld device}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단말기에서 입력을 가능하게 하는 정보 입력 방식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formation input method that enables input in a terminal using a touch screen.

기존의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단말기에서의 정보 입력 방식은 일반 키보드, 마우스와 같은 데스크탑 PC에서의 입력 방식 외에도 스크린 팝업 키보드 입력 방식, 수기 입력(Handwriting Recognition)방식, 음성 인식 방식 등이 있다.The information input method in the terminal using a conventional touch screen includes a screen pop-up keyboard input method, handwriting recognition method, and voice recognition method, in addition to the input method in a desktop PC such as a general keyboard and a mouse.

특히, 휴대정보단말기(휴대폰, IMT 2000 단말기, PDA, 핸드헬드PC 등)에서는 일반 키보드와 마우스의 휴대성 문제로 스크린에 키보드 형태의 입력창을 띄워서 펜 클릭으로 입력을 받는 스크린 팝업 키보드(Screen Pop-up Keyboard) 입력 방식과 사람의 수기(필기)를 인식하여 데이터 코드로 변환시켜 주는 수기 입력(Handwriting Recognition) 방식이 그들의 휴대성과 음성 인식의 기술적 난관에 따른 불완전성 때문에 각광을 받고 있다.In particular,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s (mobile phones, IMT 2000 terminals, PDAs, handheld PCs, etc.) have a keyboard-type input window on the screen due to portability problems of a general keyboard and mouse. -up Keyboard) Handwriting Recognition, which recognizes human handwriting and converts it into data codes, is in the spotlight due to their portability and imperfections due to technical difficulties in speech recognition.

한편 현재 스크린 팝업 키보드 입력 방식은 일반 데스크탑컴퓨터의 자판을 그대로 본떠와서 구성하여 협소한 디스플레이를 가진 휴대정보단말기에서 작은 자판으로 인한 낮은 가독성, 느린 문자입력 속도, 높은 오류확률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을 보유하고 있다. 수기입력은 필기를 통한 입력방식이라는 점 때문에 입력의 편리성 및 용이성 면에서는 뛰어나지만 입력속도가 빠르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urrent screen pop-up keyboard input method is modeled after the keyboard of general desktop computer and has various problems such as low readability, slow text input speed, and high error probability due to small keyboard in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with narrow display. have. Handwriting input is excellent in terms of convenience and ease of input because it is an input method through handwriting, but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input speed is not fast.

또한 휴대폰에서 사용되는 자판 입력 방식은 숫자위주로 자판이 구성되어 있고, 휴대폰의 특성상 작은 단말기 크기로 인하여 현재 한글 및 영문 입력은 단지 10개의 자판으로 구성이 되어있다. 한글의 구성이 자음 19개, 모음 21개인 것을 고려하면 현재 한글 자판의 입력이 불편하고 속도 또한 느리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여러 회사에서 입력을 간편하게 하는 방법을 고안하여 입력 속도를 한 단계 상승시켰지만 여전히 적은 숫자의 자판으로 한글을 입력하기에는 많은 불편한점이 잔존하며 특히 초보자 및 중장년층에게는 매우 높은 사용 장벽이 되고 있다.In addition, the keyboard input method used in the mobile phone is composed mainly of numbers, and due to the nature of the mobile phone, the Korean and English input is composed of only 10 keyboards. Considering that the Korean alphabet consists of 19 consonants and 21 vowels, the current Korean keyboard input is inconvenient and slow.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various companies have devised a method to simplify input, which has increased the input speed by one step, but there are still many inconveniences to input Hangul with a small number of keyboards. have.

또한 현재 휴대 정보 단말기에서 어느 한 입력 모드에서 다른 모드, 즉 한글 입력 자판에서 영문 입력 자판모드로 변경하고자 할 경우 입력 모드 변경 자판을 클릭, 또는 입력 모드 메뉴로 넘어가서 입력 방식을 변경해야하는 불편한 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current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when changing from one input mode to another mode, that is, from Korean input keyboard to English input keyboard mode, it is inconvenient to change the input method by clicking the input mode changing keyboard or moving to the input mode menu. .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 정보 단말기 상에서 클릭 수에 따른 자소 변화와 제스처에 의한 자소 변화를 가져오는 입력 방식을 적용하여 자판의 크기를 크게 하고, 자음 자판을 왼쪽, 모음 자판을 오른쪽에 배열하여 휴대 정보 단말기 상에서 양손으로 입력이 가능하게 하여 현재 휴대정보단말기상에서의 늦은 입력 속도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단말기의 입력 방법을 더욱 편리하게 하는 입력 방법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crease the size of the keyboard by applying an input method that brings the phoneme change according to the number of clicks and the phoneme change by the gesture on the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and the consonant keyboard is arranged on the left side and the vowel keyboard on the right sid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problem of late input speed on a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by enabling input with both hands on a terminal, and to develop an input method that makes the input method of a terminal using a touch screen more convenient.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단말기의 일 실시예 구성도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terminal using a touch screen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단말기에서의 키보드 입력 방법의 실시예 흐름도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keyboard input method in a terminal using a touch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키보드 구성이 가능한 일예시도Figure 3 is an example of a possible keyboard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단말기에서의 모음 조합의 구체적인 일예시도Figure 4 is a specific example of the vowel combination in the terminal using a touch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단말기에서의 자음 조합의 구체적인 일예시도Figure 5 is a specific example of the consonant combination in the terminal using a touch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제스처를 통한 입력 모드의 자동 변환을 나타내는 일예시도6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utomatic conversion of an input mode through a ges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휴대정보 단말기의 스크린 팝업 키보드 상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에 있어서 한글 키보드(제 1 모드 키보드) 왼쪽편에는 자음 자판 구성, 오른쪽에는 모음 자판을 구성하여 사용자가 왼손으로 자음 자판을 클릭하고, 오른 손으로는 모음 자판을 클릭하도록 함으로써 문자를 입력 받는 제 1 단계; 및 상기 키보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자판에 대한 클릭 횟수 또는 클릭된 자판에서의 제스처에 따라 해당 자소를 출력하는 제 2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정보단말기의 스크린 팝업키보드 상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을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haracter input method on a screen pop-up keyboard of a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A first step of inputting characters by clicking on the consonant keyboard and clicking the vowel keyboard with the right hand; And a second step of outputting the corresponding phoneme according to the number of clicks on the keyboard or the gesture on the clicked keyboard in the keyboard configura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도면을 참고로 하여 자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단말기의 일 실시예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단말기에서의 키보드 입력 방법의 실시예 흐름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terminal using a touch screen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keyboard input method in a terminal using a touch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단말기에서 이용자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키보드 자판(101)을 클릭 할 경우 클릭 횟수 인식부(102)가 클릭 횟수를 측정(202)하여 자소 지정부(104)에서 선택된 자판에 대해 클릭 횟수에 따라 설정되어 있는 자소로 정한다(204). 또한 상기 과정에서 선택한 자판을 누른 상태에서 제스처를 취하면 제스처 인식부(103)에서 제스처를 인식(203)하여 선택된 자소를 자소 지정부(104)에서 기 설정되어 있는 다른 자소로 변화시킨다.In the terminal using the touch screen, when the user clicks on the display keyboard keyboard 101 of the terminal, the click count recognition unit 102 measures the number of clicks (202) to determine the number of clicks on the keyboard selected by the phoneme designation unit (104). According to the phoneme set accordingly, it is determined (204). In addition, when a gesture is taken while pressing the selected keyboard in the above process, the gesture recognition unit 103 recognizes the gesture 203 and changes the selected phoneme to another phoneme preset in the phoneme designation unit 104.

선택된 자소는 단어 조합부(105)에서 자음과 모음을 조합(205)하여 출력부(106)에서 단어를 출력한다(206).The selected phoneme combines 205 consonants and vowels in the word combination unit 105 and outputs a word in the output unit 106 (206).

이와는 별도로 어느 한 입력 모드(이하 ①한글은 제 1 모드, ②영문, ③숫자, ④특수 문자는 제 2 모드로 칭함)에서 위, 아래, 오른쪽, 왼쪽의 방향 제스처를 취하면 제스처 인식부(103)에서 인식하여 입력 방식 변경부(107)에서 방향에 따라 기 설정되어있는 입력모드로 자동 변화된다.Apart from this, in one of the input modes (hereinafter, the Korean language is referred to as first mode, ② English, ③ number, and ④ special characters are referred to as second mode), the gesture recognition unit 103 may perform the up, down, right, and left direction gestures. In the input mode change unit 107 is automatically changed to the preset input mode according to the direc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키보드 구성이 가능한 일예시도이다.3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key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자음 자판은 왼쪽에 배치, 모음 자판은 오른쪽에 배치함으로써 현재 데스크탑의 키보드의 자판의 구성과 비슷하게 하였으며, 휴대정보단말기의 작은 디스플레이를 고려하여 자주 사용되는 자음과 모음의 빈도수에 따라 한 개의 자판을 1-3개의 자소를 넣어 자판의 크기를 크게 하여 양손으로 입력 가능하게 하여 입력 속도를 한 단계 상승시킨다. 한 개의 자판에 여러개의 자소를 넣는 방법은 영문 키보드에도 적용 가능하므로 영문 자판도 크게 하여 양손으로 입력 가능하도록 구현 할 수 있다.The consonant keyboard is placed on the left side and the vowel keyboard is placed on the right side, similar to the keyboard layout of the current desktop keyboard, and one keyboard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consonants and vowels that are frequently used in consideration of the small display of the portable terminal. -Increase the input speed by one step by inserting three letters to increase the size of the keyboard and enabling input with both hands. The method of putting several phonemes in one keyboard can be applied to an English keyboard, so that the English keyboard can also be enlarged to allow input by both hands.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단말기에서의 모음 조합의 구체적인 일예시도이다.Figure 4 is a specific example of the vowel combination in the terminal using a touch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모음 키보드에서 복모음(ㅙ)을 만들 경우 'ㅗ ㅛ' 자판(402)을 한번 클릭하면 클릭 횟수 인식부에서 'ㅗ' 모음을 인식한다. 그 후 'ㅏ ㅑ' 모음 자판(401)이 클릭될 경우 단어 조합부는 모음 조합을 하여 'ㅘ를' 출력한다. 출력된 결과 후에 자음이 출력되면 모음 조합부는 모음을 'ㅘ'로 인식하고 'ㅣ' 모음 자판(403)이 클릭되면 단어 조합부에서는 모음 조합을 하여 'ㅙ'를 출력한다. 만약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되지 않는 모음 조합이 나올 경우 모음을 조합하는 것이 아니라 모음을 두 개로 분할하여 인식한다.When a double vowel (ㅙ) is made from the vowel keyboard, once the 'ㅗ ㅛ' keyboard 402 is clicked once, the click count recognition unit recognizes the 'ㅗ' vowel. Thereafter, when the 'ㅏ ㅑ' vowel keyboard 401 is clicked, the word combination unit combines vowels and outputs' ''. If the consonant is output after the output result, the vowel combination unit recognizes the vowel as 'ㅘ', and when the 'ㅣ' vowel keyboard 403 is clicked, the word combination unit performs the vowel combination and outputs 'ㅙ'. If a combination of vowels is found that are not included in the database, the vowel is divided into two rather than the combination.

단모음(ㅏ, ㅓ, ㅗ, ㅜ)에서 복모음(ㅑ, ㅕ, ㅛ, ㅠ)으로 변화하고자 할 경우 선택 자판을 두 번 클릭하거나 또는 상기 단모음이 있는 자판이 클릭된 상태에서 제스처가 입력된 경우에는 복모음 출력이 가능하다. 예로 'ㅑ' 모음을 출력할 경우, 첫 번 째 방법은 'ㅏ, ㅑ'로 구성되어 있는 자판(410)을 두 번 클릭하면 클릭 회수 인식부에서 두 번째 단어인 'ㅑ'를 인식한 후 또 다른 클릭이 없을 경우 'ㅑ'를 출력한다. 다른 방법으로 'ㅏ, ㅑ' 자판(420)을 선택한 후 누른 상태에서 방향을 위로 제스처를 취하면 제스처 인식부에서는 제스처를 감지하여 기 설정되어 있는 단어 'ㅑ'를 출력한다.If you want to change from a single vowel (ㅏ, ㅓ, ㅗ, TT) to a double vowel (ㅑ, ㅕ, ㅛ, ㅠ), or double-click the selection keyboard, or if the gesture is input while the keyboard with the short vowel is clicked Double vowel output is possible. For example, in the case of outputting a 'ㅑ' vowel, the first method is to double-click the keyboard 410 composed of 'ㅏ, 한', and the click count recognition unit recognizes the second word 'ㅑ' and then again. If there is no other click, it prints 'ㅑ'. Alternatively, when the 'ㅏ, ㅏ' keyboard 420 is selected, the gesture recognition unit detects the gesture and outputs a preset word 'ㅑ' while pressing the direction upward while pressing.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단말기에서의 자음 조합의 구체적인 일예시도이다.5 is a view illustrating a specific consonant combination in a terminal using a touch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 상에 'ㅂ, ㅍ' 자판(510)을 한번 클릭할 경우 자음 'ㅂ'을 출력한다. 그리고 'ㅈ, ㅊ' 자판(520)을 두 번 클릭할 경우 클릭 횟수 인식부에서 클릭을 두 번을 감지하여 'ㅈ'이후의 단어인 'ㅊ'을 출력한다. 또한 연음이 있는 자판(ㄱ, ㄷ, ㅂ, ㅅ, ㅈ)에서 경음(ㄲ, ㄸ, ㅃ, ㅆ, ㅉ)으로 변화하고자 하는 경우 연음이 있는 자판이 세 번 클릭 되거나 또는 상기 연음이 있는 자판이 클릭된 상태에서 제스처가 입력 경우에는 상기 연음에 대응하는 경음을 출력 가능하다. 예로 'ㄲ'과 같은 자음을 출력하고자 할 경우에는 'ㄱ ㅋ'자판(530)을 세 번 클릭(531)하거나 또는 'ㄱ, ㅋ' 자판을 누른 상태에서 제스처를 위로 취하면 된다(532).As shown in the drawing, when the 'ㅂ,' keyboard 510 is clicked once on the touch screen, a consonant 'ㅂ' is output. In addition, if the user clicks twice on the keyboard 520, the click count recognition unit detects two clicks and outputs the word after the word ㅈ. In addition, if you want to change from the keyboard with the sound (a, c, ㅂ, ㅂ,,) to the sound (경, ㄸ, ㅆ, ㅆ, ㅉ), the keyboard with the sound is clicked three times or the keyboard with the sound is When a gesture is input in the clicked state, a warning sound corresponding to the soft sound may be output. For example, if you want to output a consonant, such as '된다' three times click (531) the 'ㄱ ㅋ' keyboard 530 or the gesture while holding the 'ㄱ, ㅋ' keyboard (step 532).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제스처를 통한 입력 모드의 자동 변환을 나타내는 일 예시도이다.6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utomatic conversion of an input mode through a ges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입력 모드(601)에서 다른 모드로 변경하고자 할 경우 제스처를 취하면 다른 키보드 입력 모드로 자동 변화되는 것을 뜻한다.As shown in the figure, when the user wants to change from one input mode 601 to another mode, it means that the user automatically changes to another keyboard input mode.

현재 PDA 또는 휴대폰의 키보드 상에서 다른 키보드 입력 모드로 변경하고자 할 때 자판을 눌러서 변경하던지 또는 휴대폰 상에서는 입력 모드 메뉴로 넘어가서 입력 방법을 선택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한글을 쓰다가 영문, 숫자 혹은 특수문자로 변경해야 할 경우에 많은 시간 지연이 생기게 되어 있다.If you want to change to other keyboard input mode on the keyboard of PDA or mobile phone, you have to press keyboard or change to input mode on mobile phone, and you need to select input method. There is a lot of time delay if you have to.

도면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한 입력 모드에서 단지 위(602), 아래(604), 왼쪽(603), 오른쪽(605) 방향으로 제스처를 취하면 자동으로 키보드 입력 모드가 변화하게 된다. 한 예로 제 1 모드 입력, 즉 한글 입력 모드 창(601)에서 제 2 모드 입력, 즉 영문 입력 모드 창으로 변경하고자 할 경우 단지 터치스크린 상에서 아래 방향을 제스처를 취하면 제스처 인식부에서는 방향을 감지하여 기 설정되어진 입력 모드인 영문 키보드(604)로 자동 변환 시켜준다.As illustrated in the figure, if a gesture is made in only one of the input modes in the directions 602, 604, 603, and 605, the keyboard input mode is automatically changed. For example, when changing from the first mode input, that is, the Korean input mode window 601 to the second mode input, that is, the English input mode window, the gesture recognition unit detects the direction by simply making a downward gesture on the touch screen. It automatically converts to the English keyboard 604 which is a preset input mod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단말기에서 하나의 키보드에 사용하는 빈도수에 따라 자소를 1∼3개 배치시켜 자판의 크기를 크게 하여 두 손으로 터치스크린 상에서 빠른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입력속도의 향상 및 편리성을 극대화하였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configured to enable fast input on the touch screen with two hands by increasing the size of the keyboard by placing 1 to 3 phonemes according to the frequency used in one keyboard in the terminal using the touch screen input speed Improved and maximized convenience.

그 예로 휴대폰의 기존 숫자 키패드를 통한 입력 방식 중 가장 많은 인지도를 확보하고 있는 '천지인' 한글 입력 방식과 비교하여 기존의 'ㅙ' 모음을 출력하기 위해서는 '·' → 'ㅡ' → 'ㅣ' → '·' → 'ㅣ' 의 5번 클릭이 필요하지만 당 발명을 활용할 경우 'ㅗ' → 'ㅏ' → 'ㅣ'의 3회 클릭만으로 가능하게 됨으로써 속도 및 사용의 편리성을 극대화 할 수 있다.For example, compared to 'Cheonjiin' Hangul input method, which has the most recognition of input methods through the existing numeric keypad of mobile phone, to output the existing 'ㅙ' vowel '·' → 'ㅡ' → 'ㅣ' → 5 times of '·' → 'ㅣ' is required, but when using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aximize speed and ease of use by enabling only 3 clicks of 'ㅗ' → 'ㅏ' → 'ㅣ'.

따라서, 휴대정보단말기의 가장 큰 취약점인 소형 디스플레이 및 입력 수단의 불편을 개선하여 무선 인터넷 사용의 인식 제고 및 사용자 저변확대를 가져오는 파급 효과를 가진다.Therefore, the inconvenience of the small display and the input means, which is the biggest weakness of the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improves the perception of the use of the wireless Internet and has the ripple effect of increasing the user base.

Claims (6)

휴대정보 단말기의 스크린 팝업 키보드 상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에 있어서 한글 키보드(제 1 모드 키보드) 왼쪽편에는 자음 자판 구성, 오른쪽에는 모음 자판을 구성하여 사용자가 왼손으로 자음 자판을 클릭하고, 오른손으로는 모음 자판을 클릭하도록 함으로써 문자를 입력 받는 제 1 단계; 및In the character input method on the screen pop-up keyboard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consonant keyboard is configured on the left side of the Hangul keyboard (first mode keyboard) and the vowel keyboard is configured on the right side. A first step of inputting characters by causing the keyboard to click on the keyboard; And 상기 키보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자판에 대한 클릭 횟수 또는 클릭된 자판에서의 제스처에 따라 해당 자소를 출력하는 제 2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정보단말기의 스크린 팝업키보드 상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And a second step of outputting a corresponding phoneme according to the number of clicks on the keyboard or a gesture of a clicked keyboard in the keyboard configur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자주 사용되는 자음과 모음의 빈도수에 따라 한 개의 자판을 1-3개의 자소를 넣어 자판의 크기를 크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정보 단말기의 스크린 팝업 키보드 상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 input method on the screen pop-up keyboard of the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size of the keyboard to increase the size of the keyboard by one to three letters depending on the frequency of consonants and vowels frequently us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판의 모드 사용 중 다른 입력 모드로 변경하고자 할 경우 상기 자판 및 자판이 아닌 부분에서 기 설정되어 있는 제스처를 취하면 상기 제 1 모드가 또 다른 모드(제 2 모드)로 변경되는 3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정보 단말기의 스크린 팝업 키보드 상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when a user wants to change to another input mode while using the keyboard mode, the first mode is changed to another mode (second mode) when a predetermined gesture is performed on the keyboard and the non-keyboard part. Character input method on the screen pop-up keyboard of the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further comprising the three steps to be changed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의 제 2 모드는 영어, 숫자, 특수 문자 중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정보 단말기의 스크린 팝업 키보드 상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econd mode of the third step comprises at least one of English, numbers, and special characters.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음이 있는 자판이 세 번 클릭 되거나 또는 상기 연음이 있는 자판이 클릭된 상태에서 제스처가 입력된 경우에는 상기 연음에 대응한 경음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정보 단말기의 스크린 팝업 키보드 상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if a gesture is input while the keyboard having a soft sound is clicked three times or the keyboard having a soft sound is clicked, the sound corresponding to the soft sound is output. Character input method on screen pop-up keyboard of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모음이 있는 자판이 두 번 클릭되거나 또는 상기 단모음이 있는 자판이 클릭된 상태에서 제스처가 입력된 경우에는 상기 단모음에 대응하는 복모음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정보 단말기의 스크린 팝업 키보드상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when a keyboard with a single vowel is double-clicked or a gesture is input while the keyboard with the single vowel is clicked, a double vowel corresponding to the short vowel is output. Character input method on screen pop-up keyboard of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KR1020010043934A 2001-07-20 2001-07-20 Method of character Input In Screen Pop-up Keyboard Of Handheld Device KR2003000890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3934A KR20030008905A (en) 2001-07-20 2001-07-20 Method of character Input In Screen Pop-up Keyboard Of Handheld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3934A KR20030008905A (en) 2001-07-20 2001-07-20 Method of character Input In Screen Pop-up Keyboard Of Handheld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8905A true KR20030008905A (en) 2003-01-29

Family

ID=27716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3934A KR20030008905A (en) 2001-07-20 2001-07-20 Method of character Input In Screen Pop-up Keyboard Of Handheld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08905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27810B2 (en) 2004-07-27 2010-11-09 Lg Electronics Inc. Air conditione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48512A (en) * 1995-02-28 1998-05-05 Microsoft Corporation Adjusting keyboard
KR19980067011A (en) * 1997-01-30 1998-10-15 박재하 Hangul input device and method
KR19990009719U (en) * 1997-08-25 1999-03-15 구자홍 Hangul virtual keyboard
KR20010079177A (en) * 2001-06-20 2001-08-22 홍성용 Apparatus for inputting korean letters
US20020149569A1 (en) * 2001-04-12 2002-10-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ouchscreen user interfa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48512A (en) * 1995-02-28 1998-05-05 Microsoft Corporation Adjusting keyboard
KR19980067011A (en) * 1997-01-30 1998-10-15 박재하 Hangul input device and method
KR19990009719U (en) * 1997-08-25 1999-03-15 구자홍 Hangul virtual keyboard
US20020149569A1 (en) * 2001-04-12 2002-10-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ouchscreen user interface
KR20010079177A (en) * 2001-06-20 2001-08-22 홍성용 Apparatus for inputting korean letter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27810B2 (en) 2004-07-27 2010-11-09 Lg Electronics Inc. Air condition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8344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visual indication of character ambiguity during text entry
RU2206118C2 (en) Ambiguity elimination system with downsized keyboard
Masui POBox: An efficient text input method for handheld and ubiquitous computers
US6401065B1 (en) Intelligent keyboard interface with use of human language processing
US7719521B2 (en) Navigational interface providing auxiliary character support for mobile and wearable computers
JP482990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rming manually entered indeterminate text input using speech input
KR100377432B1 (en) Creation method for characters/words and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ervice method thereby
US7170430B2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single-handed data entry
KR10059399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the character
US20080154576A1 (en) Processing of reduced-set user input text with selected one of multiple vocabularies and resolution modalities
JPH07261896A (en) Information input device and key arranging method for individual region of input device thereof
KR20120006503A (en) Improved text input
JP2003015808A (en) Touch-type key input apparatus
KR100651396B1 (en) Alphabet recognition apparatus and method
JP2010517159A (en) Method for increasing button efficiency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equipment
KR20030008873A (en) Word input method 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KR20040087321A (en) Character Inputting System for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KR20030008905A (en) Method of character Input In Screen Pop-up Keyboard Of Handheld Device
KR20020085309A (en) Method of Input Type Conversion By Display Type In Terminal Using Touch Screen
KR100823307B1 (en) A text inputting method
KR100373330B1 (en) Method for korean character input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100025628A (en) The method of providing more bigger effect of button
JP4675265B2 (en) Portable terminal and program for determining input characters by tone and stroke
KR2005004897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ging character arrangement of software keyboard in device with touch screen
WO2002065267A1 (en) Global text input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