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8082A - Room and bathroom atmosphere contol system - Google Patents

Room and bathroom atmosphere contol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8082A
KR20030008082A KR1020010042839A KR20010042839A KR20030008082A KR 20030008082 A KR20030008082 A KR 20030008082A KR 1020010042839 A KR1020010042839 A KR 1020010042839A KR 20010042839 A KR20010042839 A KR 20010042839A KR 20030008082 A KR20030008082 A KR 200300080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ic
control unit
mood
controlling
control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28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수열
서기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소프트빌닷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소프트빌닷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소프트빌닷컴
Priority to KR1020010042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08082A/en
Publication of KR20030008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8082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2Automatically-operated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1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centralized architec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04S20/242Home appliances
    • Y04S20/246Home appliances the system involving the remote operation of lamps or lighting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PURPOSE: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mood of a room and a bathroom is provided to enjoy a rest and a bath in a comfortable and easy mood by generating the mood wanted by a user. CONSTITUTION: A key input part(1) is for a user to input key signals required for controlling a system including all kinds of mood modes. A data memory part(11) keeps predetermined data including all kinds of control programs, and outputs the corresponding program and data according to the request of a central control part(2). The central control part(2) controls the whole system by executing the predetermined programs. An external device control part(3) directly controls driving of all kinds of external devices. An audio control part(4) outputs music through a speaker according to the mood mode selected by the user. An analog-to-digital converter(5) converts analog signals into digital signals so that the center control part(2) utilizes the digital signals as data necessary for controlling a whirl pool device(7) and a lighting device(9). A whirl pool control part(6) controls the whirl pool device(7) fitting to the selected mood mode and music. A lighting control part(8) controls the lighting device(9) fitting to the selected mood mode and music.

Description

실내 및 욕실내 무드 제어장치{Room and bathroom atmosphere contol system}Room and bathroom atmosphere contol system

본 발명은 실내 및 욕실내 무드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현대인의 만성피로와 스트레스를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침실이나 객실등과 같은 실내 및 욕실에서 음악과 조명, 영상 및 월풀을 이용하여 해결할 수 있음은 물론 보다 편안하고 안락한 분위기에서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od control device indoors and bathrooms, and more particularly, to solve the chronic fatigue and stress of the modern man using time, music, lighting, images and whirlpools in indoors and bathrooms, such as bedrooms or rooms, regardless of time. Of course, it is invented to relax in a more comfortable and comfortable atmosphere.

일반적으로 음악은 인류문명의 시작 이래로 치료적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music has been used for therapeutic purposes since the beginning of human civilization.

이와같은 음악치료에 관한 가장 오래된 문헌적 기록은 성서에 있는데, 구약의 목동 다윗이 사울왕의 질병을 위해 하프를 연주할 때 악신이 떠나고 제정신이 들었다는 것이 그것이다. 이런 예들은 당시 사람들의 음악을 이용한 치료에 관한 인식을 어느 정도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음악이 치료적 목적으로 오랜 기간 사용되어 왔다 하더라도 과학적 연구와 관찰을 통해 전문적 영역으로 자리잡게 된 것은 불과 수 십년 전의 일이다.The oldest literary record of this kind of music therapy is in the Bible, where evil spirits were left and sanctified when the Old Testament shepherd David played the harp for King Saul's disease. These examples reflect some of the perceptions of people using music at that time. However, even though music has been used for a long time for therapeutic purposes, it is only a few decades ago that scientific research and observation have made it a professional field.

세계 제 2차 대전의 발 발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전쟁을 통한 심신의 상처를 입게 되었다. 미국의 경우 많은 부상 군인들이 정신적 충격을 경험하게 되었는데, 이 환자들을 돕기 위해 음악인들이 병원에서 음악을 연주하게 되었다. 환자들의 음악적 경험은 의료진이 예상치 못했던 긍정적 결과를 양산 하게 되어 음악의 치료적 효과가 새롭게 인식되기 시작했다.The outbreak of World War II caused many to be hurt by war and mind. In the United States, many injured soldiers experienced mental shock, and musicians played music in hospitals to help these patients. Patients' musical experiences produced unexpected results for medical staff, and the therapeutic effects of music began to be recognized.

그 후 음악을 치료적 목적으로 체계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전문 인력에 대한 사회적 필요가 대두되면서 음악치료사를 양성하는 학교가 대학의 학부와 대학원에 생기게 되었으며, 1950년에 전미국 음악치료협회 (National Association for Music Therapy: NAMT) 가 결성되어 음악치료사의 학위 취득을 위한 기본 교육과정과 훈련과정에 관한 기준을 제정하게 되었다. 현재는 음악치료에 대한 이념과 훈련과정에 대한 이견으로 다르게 결성된 또 다른 미국음악치료협회 (Americal Association for Music Therapy: AAMT) 와 통합되어 다가올 2000년대의 음악치료의 발전을 기약하고 있다.Later, with the emergence of a social need for professional staff to systematically use music for therapeutic purposes, a school of music therapists was created in the undergraduate and graduate schools of the university.In 1950,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Music Therapy Music Therapy (NAMT) was formed to establish standards for basic curriculum and training for music therapist degrees. It is now united with another American Association for Music Therapy (AAMT), which has been formed differently based on ideologies about music therapy and disagreements about the training process, and is committed to the development of music therapy in the 2000s.

미국에는 현재 3000여명의 음악치료사들이 많은 보건 관련 기관에서 일하고 있고 그 영역은 점차 확장되고 있다. 미국외에도 독일, 영국, 벨기에, 호주, 캐나다 등의 선진국에서 음악치료를 활발히 사용하고 있고, 최근에 한국과 일본, 대만, 중국, 남미의 많은 나라들도 음악치료에 관해 조금씩 인식하고 치료에 적용하고 있다.There are currently more than 3,000 music therapists working in many health-related institutions in the United States, and the area is expanding. In addition to the United States, music therapy is actively used in developed countries such as Germany, the United Kingdom, Belgium, Australia, and Canada. Recently, many countries in Korea, Japan, Taiwan, China, and South America have been aware of music therapy and applied it to treatment. have.

여러 형태의 음악 활동은 사람의 행동과 심리상태에 여러 가지 반응을 일으킨다. 박자가 일정하고 리듬이 강한 음악은 춤을 추고 싶게 만들고, 부드러운 멜로디의 느린 서정적 음악은 평화롭고 목가적인 장면을 연상시킨다. 여러 사람들이 모여서 합창을 할 때 음악은 사람들 사이의 새로운 유대관계를 형성하게 만든다. 이렇듯 음악은 인간의 생리적 (Physiological), 심리적 (Psychological), 사회적 (Social) 반응을 유발시킨다. 바로 이점이 음악치료의 이론적 근거를 형성한다.Different forms of musical activity produce different reactions to a person's behavior and psychological state. The rhythmical and rhythmic music makes you want to dance, and the slow lyrical music with soft melody reminds you of a peaceful and idyllic scene. When a group of people choruses together, music creates a new bond between people. As such, music provokes physiolog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responses in humans. This is what forms the rationale for music therapy.

음악이 인간의 신체에 직접적인 반응을 일으킨다는 연구는 지난 수십년간 활발히 이루어져 왔다. 예를 들면 음악이 혈압, 심장 박동, 호흡수, 뇌파, 피부 반응 (Galvanic Skin Response) 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연구 결과가 때로는 숫자상 통계적인 관심을 끌만큼 크지 못한 경우도 있었지만, 음악이 신체적 반응을 야기시킨다는 점에는 큰 이견이 없다. 최근에는 음악감상과 신체 이완법이 인간의 면역체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가 미국의 템플 (Temple) 대학의 딜레오 머란토(Dileo Maranto) 교수팀에 의해 밝혀졌다. 이런 연구 결과는 음악치료가 암환자의 면역증가요법의 하나로 사용되는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기도 했다.The research that music has a direct response to the human body has been active for decades. For example, music affects blood pressure, heart rate, respiratory rate, brain waves, and galvanic skin response. Although the findings were sometimes not large enough to attract statistical attention, there is no big difference that music causes physical reactions. In recent years, research on music and body relax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human immune system, a research team by Dileo Maranto, a professor at Temple University in the United States. These findings provide the theoretical basis for music therapy to be used as an immune booster for cancer patients.

또 음악은 진통중의 환자의 주의를 통증이라는 부정적 자극으로부터 음악과 연상을 이용한 긍정적 자극으로 이끌어 내어 통증을 경감시킨다. 음악이 일으키는 이러한 생리적 반응은 분만시 산모의 통증의 조절, 암환자의 면역증가, 기타 안정이 필요한 환자의 신체적 이완 등에 음악치료의 적용 가능성을 시사한다.Music also relieves pain by drawing the attention of patients in pain from a negative stimulus called pain to a positive stimulus using music and association. This physiological response of music suggests the possibility of music therapy for the control of maternal pain at delivery, increased immunity in cancer patients, and physical relaxation in patients in need of stability.

음악이 인간의 정서적 반응을 일으킨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음악심리학에서 특정 음악과 정서적 반응에 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 졌는데, 음악 자체가 특정 정서를 유발하기 보다는 음악을 듣는 사람의 과거 경험과 문화적 배경, 기호와 음악 교육 등이 음악을 들을때의 정서적 반응과 관계가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Radocy and Boyle). 그러나 리듬, 화성, 선율등의 음악의 요소와 화성적 구조 등이 음악을 듣는 사람이 개인적으로 갖게되는 음악적 의미를 어느정도 결정한다.It is well known that music causes human emotional reactions. Much research has been done in music psychology on specific music and emotional reactions.The music experiences are not related to specific emotions, but the past experiences, cultural backgrounds, preferences, and music education of the listeners. It turns out that there is a relationship (Radocy and Boyle). However, the elements of music, such as rhythm, harmony, and melody, and the harmonic structure, determine to some extent the musical meaning that the listener has personally.

음악의 성격은 크게 흥분을 지향하는 음악과 안정을 지향하는 음악으로 나눌 수 있다. 흥분을 지향하는 음악은 빠른 빠르기, 강한 박자, 음악적 구조의 급작스런 변화 등의 성격을 포함하고, 안정을 지향하는 음악은 이와 반대되는 성격을 갖는다. 그러므로 흥분을 지향하는 음악은 노인성 치매 환자를 위한 음악치료에서 신체적 자극과 움직임을 유도할 때 사용할 수 있고, 안정을 지향하는 음악은 흥분을 가라앉히고 신체적 이완을 촉진할 필요가 있는 암환자의 통증관리에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사용되는 음악은 환자의 기호와 개인적 반응을 충분히 고려하여 선택하여야 한다.The nature of music can be divided into music that aims for excitement and music that aims for stability. Excited music includes characteristics such as fast pace, strong beats, and sudden changes in the musical structure, while stability-oriented music has the opposite character. Therefore, excitement-oriented music can be used to induce physical stimulation and movement in music therapy for senile dementia patients, while stability-oriented music can manage pain in cancer patients who need to calm down excitement and promote physical relaxation. Can be used for The music to be used should be selected with due consideration of the patient's preferences and personal responses.

한편, 박실 (Boxille)은 음악을 가장 오래되고 가장 자연스러운 의사소통과 자기표현 수단이라 했다. 언어의 사용능력이 제한된 환자라도 치료사와 함께 연주하면서 분노나 기쁨과 같은 자신의 감정을 음악으로 표현할 수 있다. 그 감정은 음악을 통해 치료사에게 전달되고 치료사의 음악적 지지는 환자에게 감정적 지지로 인식된다. 거의 말을 하지 않는 자페아동도 음악적으로 치료사와 관계를 맺을 수 있으며 음악적 관계는 사회적 관계로 발전하게 된다. 음악은 언어로써 표현하기 어려운 무의식의 잠재된 내면의 문제들을 음악속으로 표현하게 돕는다. 음악적 표현은 새로운 자아 인식으로 연결되고, 자아 인식과 연결된 자기 표현은 정신치료 집단속에서 새로운 사회적 교류로 이어지게 된다. 그러므로 음악치료가 정신과 환자들의 치료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Boxille, meanwhile, calls music the oldest and most natural means of communication and self-expression. Even patients with limited language skills can play with the therapist to express their emotions, such as anger or joy, in music. The emotion is transmitted to the therapist through music, and the musical support of the therapist is perceived as emotional support to the patient. Children who rarely speak can also have a musical relationship with a therapist, and the musical relationship develops into a social relationship. Music helps to express in music the potential inner problems of the unconscious that are difficult to express in language. Musical expression leads to new self-awareness, and self-expression linked to self-awareness leads to new social exchange in the psychotherapy group. Therefore, music therapy can be effectively used for the treatment of psychiatric patients.

또한, 일반적으로 색상, 명도, 채도로 나타낼 수 있는 모든 사물의 성질, 물리학적으로는 육안으로 볼 수 있는 범위의 파장을 가진 스펙트럼, 즉 빛으로 알려진 가시 스펙트럼으로 구성되어 있다. 색을 인식하는 것은 시각, 빛, 개개인의 해석에 따라 다르므로 색은 물리학뿐만 아니라 생리학, 심리학과도 관련되어있다. 색은 인류문명이 시작될 때부터 이어져 왔는데, 이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1666년 뉴턴의 연구에서 시작되었다.In addition, it consists of a spectrum of wavelengths in the physically visible range, ie the visible spectrum known as light, in general, the properties of all things represented by hue, brightness, and saturation. Recognition of color depends on visual, light and individual interpretation, so color is not only related to physics, but also to physiology and psychology. Color has been around since the beginning of human civilization, a systematic study of which began in Newton's study in 1666.

뉴턴은 암실의 작은 구멍으로 들어온 빛이 유리 프리즘을 통과하면 스펙트럼이라고 하는 색들의 배열이 생긴다는 것을 발견했다. 그리고 2번째 프리즘과 렌즈를 사용하여 이 스펙트럼의 색들을 재결합시키면 원래 백색광선으로 돌아가는 것을확인하였다. 이 스펙트럼은 연속적인 색배열로 되어 있지만 뉴턴은 빨강, 주황, 노랑, 초록, 파랑, 남색, 보라의 7가지 색으로 구분했다. 이 7가지 색이 현대 색상환의 기초가 되었다.Newton found that when light entering a small hole in a dark room passes through a glass prism, an array of colors called a spectrum is created. Using a second prism and a lens, recombining the colors in the spectrum returns to the original white light. The spectrum consists of a series of color arrays, but Newton distinguishes between seven colors: red, orange, yellow, green, blue, indigo and violet. These seven colors were the basis of the modern color wheel.

이 사실로부터 그는 원래 태양광선에 모든 스펙트럼의 색이 포함되어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 또한 그는 많은 실험을 통해 물체에 백색광선을 쪼였을 때 그 반사광 중의 일부 스펙트럼 성분이 강하게 반사되기 때문에 물체가 색을 나타낸다고 결론을 내렸다. 이 정성적인 결론은 오늘날 백색광선속의 여러 가지 파장을 지닌 빛의 표면반사율을 분광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함으로써 확인되었다.From this fact he concluded that the original sunlight contained all the spectrum's colors. In addition, many experiments have concluded that an object appears color because it is strongly reflected when some spectral components of the reflected light are irradiated with white light. This qualitative conclusion was confirmed by measuring the surface reflectance of light with various wavelengths of white light flux today using a spectrometer.

색은 색상, 채도, 명도 등 3가지 특성에 의해 정확히 지정될 수 있다. 색상은 스펙트럼의 우세한 파장에 따라 결정되며 보통 빨강, 주황, 노랑 등과 같은 용어와 관련된 색의 속성이다. 채도는 상대적 순도를 말하며 그 색상에 섞여 있는 무채색의 양이 많아질수록 채도는 낮아 진다. 색상과 채도의 임의조합에 의해 나타나는 빛은 다양한 명도를 가질 수 있는데, 명도는 빛의 에너지량에 의존한다.Color can be precisely specified by three characteristics: hue, saturation, and brightness. Color is determined by the dominant wavelength of the spectrum and is usually a property of color associated with terms such as red, orange, and yellow. Saturation refers to relative purity, and as the amount of achromatic color mixed into the color increases, the saturation decreases. Light produced by any combination of color and saturation can have varying brightness, which depends on the amount of energy.

심리작용에서 색을 보면 적색이나 황색은 따뜻하고, 청색이나 녹색은 시원하게 느껴진다. 색 상환을 황록색과 보라색을 연결하는 직선으로 분할하면 한쪽 반원은 온감, 다른쪽 반원은 냉감을 주는 색상으로 나뉜다. 한 색상에서는 밝은 색이 어두운 색보다 시원하게 느껴진다. 색을 평면상에 배열하면 온감을 주는 색상은 진출해 보이고 냉감을 주는 색상은 후퇴해 보인다. 그리고 진출하는 색은 크게 부풀어 보이고, 후퇴하는 색은 오그라들어 보임에 따라 몸집이 작은 사람은 빨강, 노랑 계통의 옷을 입으면 크게 보이는 효과를 노릴 수 있다.When you look at the colors in the psychological action, red or yellow is warm and blue or green feels cool. If you divide the red color into a straight line connecting yellow-green and purple, one half circle is divided into colors that give a warm feeling and the other half circle gives a cold feeling. In one color, light colors feel cooler than dark ones. If you arrange the colors on a flat surface, the colors that give a warm feeling will advance and the colors that give a sense of cold will retreat. The advancing color looks bloated and the receding color fades, so small people can see the effect when they wear red and yellow clothes.

어두운 색은 무겁게, 밝은 색은 가볍게 느껴진다. 상부가 하부보다 많은 배색은 무게중심이 아래쪽에 있는 것처럼 보이므로 안정감을 준다. 그러나 안정은 둔중한 것과도 통하므로 활동적으로 보이지 않는다는 역효과를 수반한다.Dark colors feel heavy and light colors feel light. Color schemes with a higher top than the bottom give a sense of stability because the center of gravity appears to be below. But stability is also dull and therefore has the adverse effect of not being active.

레스토랑의 환경배색에 온감을 주는 색을 사용하면 손님의 회전율을 올릴 수 있다고 하고, 명랑한 느낌, 침울한 느낌은 주로 밝기에 달려있다.Using a warm color to the restaurant's environmental color scheme can increase the turnover rate of the restaurant.

주로 빨강은 방화, 정지, 금지를 주황은 위험을, 노랑은 주의를, 녹색은 안전, 진행, 구급, 구호를, 파랑은 조심을, 자주는 방사능을, 흰색은 통로, 정돈을 나타내며, 이들을 특정형의 표지에 사용하여 사업장의 안전확보를 도모하고 있다. 또 공장 내 배관의 색도 내용물과 색과의 관련을 규정하여 안전보수에 도움이 되도록 하고 있다. 교통신호의 규제도 색을 활용하여 멈춤은 빨강, 주의는 귤색, 진행은 녹색 색광이 전국적으로 통용되고 있다.Mainly red indicates arson, stop, prohibition, orange indicates danger, yellow indicates caution, green indicates safety, progress, first aid, relief, blue indicates caution, often radioactivity, white indicates passage, order It is used for the sign of the older brother to secure the safety of the workplace. In addition, the chromaticity of piping in the factory is related to the contents and color to help safe maintenance. The traffic light is also regulated by color, with red light for stop, orange color for attention, and green color for progress.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일반 가정이나 호텔 모텔 등에서의 실내나 욕실에는 음악과 조명, 영상 및 월풀 등을 이용한 종합 무드설정 시스템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 침실이나 객실등과 같은 실내 및 욕실에서 이들을 이용한 만성피로와 스트레스를 해소시킬 수 없음은 물론 보다 편안하고 안락한 분위기를 창출해 낼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Nevertheless, there is no general mood setting system using music, lighting, video, and whirlpool in the indoor or bathroom of a conventional home or hotel motel. Not only can not relieve stress,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create a more comfortable and comfortable atmosphere.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일반 가정의 침실이나 호텔 및 모텔 등지에서의 객실등을 포함하여 욕실에서 음악과 조명 및 월풀을 이용하여 만성피로와 스트레스를 해소시킬 수 있음은 물론 보다 편안하고 안락한 분위기에서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실내 및 욕실내 무드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including the bedroom in a normal home, a hotel, a room in a motel, etc. to eliminate chronic fatigue and stress by using music, lighting and whirlpool in the bathroom.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mood control devices in the interior and in the bathroom to relax in a more comfortable and comfortable atmosphere.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각종 무드모드를 포함한 시스템의 제어에 필요한 키신호를 사용자가 키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키 입력부와; 상기 키 입력부의 출력신호에 부응하는 각종 제어프로그램을 포함한 소정의 데이타들이 기억하고 있다가 중앙제어부의 요청이 있을시 출력해 주는 데이타 기억부와;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각종 키신호에 부응하는 제어신호를 포함한 각종 데이타를을 각부로 출력시키는 등 소정 프로그램의 수행을 통해 시스템의 전반적인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중앙제어부와; 상기 중앙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각종 외부기기의 구동을 직접적으로 제어하는 외부기기 제어부와; 상기 중앙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소정 음악을 사용자의 무드선택 모드에 맞게 스피커를 통해 출력시켜 주는 오디오 제어부와; 상기 오디오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각종 아날로그 음악신호를 디지탈신호로 변환시켜 월풀 및 조명제어에 필요한 데이타로 중앙제어부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출력시켜 주는 A/D 변환기와; 상기 중앙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욕실내에 설치되어 있는 월풀장치를 선택된 무드모드 및 음악에 맞게 제어하는 월풀 제어부와; 상기 중앙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실내 및 욕실내에 설치되어 있는 조명기구를 선택된 무드모드 및 음악에 맞게 제어하는 조명 제어부;로 구성하므로써 달성할 수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ncludes a key input unit for allowing a user to key input key signals necessary for controlling a system including various mood modes; A data storage unit for storing predetermined data including various control programs corresponding to an output signal of the key input unit and outputting the data when a request is made from the central control unit; A central control unit performing overall control functions of the system by executing a predetermined program such as outputting various data including control signals corresponding to various key signals inputted through the key input unit to each unit; An external device controller for directly controlling driving of various external devices under the control of the central controller; An audio controller for outputting predetermined music through a speaker according to a mood selection mode of the user under the control of the central controller; An A / D converter which converts various analog music signals output from the audio control unit into digital signals and outputs the data necessary for whirlpool and lighting control to be used by the central control unit; Whirlpool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whirlpool device installed in the bathroom under the control of the central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selected mood mode and music; It can be achieved by configuring a lighting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lighting fixtures installed in the room and bathroom under the control of the central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selected mood mode and music.

따라서, 실내 및 욕실에서 음악과 조명, 영상 및 월풀을 이용하여 만성피로와 스트레스를 해소시킬 수 있음은 물론 보다 편안하고 안락한 분위기에서 휴식을취할 수 있고, 또 업소측의 입장에서는 객실관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실시하여 경제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투숙객의 편안함과 안락한 투숙을 유발하여 보다 안정된 수익성을 가지게 할 수 있을 것이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lieve chronic fatigue and stress by using music, lighting, video, and whirlpool indoors and bathrooms, as well as to relax in a more comfortable and comfortable atmosphere. This will not only improve economics and efficiency, but also lead to more comfortable and comfortable stays for guests, making them more stable and profitable.

도 1은 본 발명 장치의 블럭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 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2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main parts of drawing

1 : 키 입력부2 : 중앙제어부1: Key input unit 2: Central control unit

3 : 외부기기 제어부4 : 오디오 제어부3: external device control unit 4: audio control unit

5 : A/D 변환기6 : 월풀 제어부5: A / D converter 6: Whirlpool control unit

7 : 월풀장치8 : 조명 제어부7: whirlpool device 8: lighting control unit

9 : 조명기구10 : 스피커9: light fixture 10: speaker

11 : 데이타 기억부12 : 외부기기11: data storage unit 12: external device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 장치의 블럭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1 shows a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따르면, 각종 무드모드를 포함한 시스템의 제어에 필요한 키신호를 사용자가 키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키 입력부(1)와;According to this, there is provided a key input unit (1) for allowing a user to key input key signals necessary for controlling a system including various mood modes;

상기 키 입력부(1)의 출력신호에 부응하는 각종 제어프로그램을 포함한 소정의 데이타들이 기억하고 있다가 중앙제어부(2)의 요청이 있을시 해당 프로그램 및 데이타를 출력해 주는 데이타 기억부(11)와;A data storage unit 11 for storing predetermined data including various control programs corresponding to the output signal of the key input unit 1 and outputting the corresponding program and data upon request of the central control unit 2; ;

상기 키 입력부(1)를 통해 입력되는 각종 키신호에 부응하여 소정 프로그램의 수행하여 시스템의 전반적인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중앙제어부(2)와;A central control unit (2) for performing overall control functions of the system by executing a predetermined program in response to various key signals inputted through the key input unit (1);

상기 중앙제어부(2)의 제어를 받아 각종 외부기기(12 : 예를들어 세톱박스, 퍼스널 컴퓨터, TV, PDA, TFT 등과 같은 영상기기 등)의 구동을 직접적으로 제어하는 외부기기 제어부(3)와;Under the control of the central control unit 2 and the external device control unit 3 for directly controlling the driving of various external devices (e.g., video equipment such as a top-top box, personal computer, TV, PDA, TFT, etc.) and ;

상기 중앙제어부(2)의 제어를 받아 사용자가 선택한 무드모드에 맞는 음악을 스피커(10)를 통해 출력시켜 주는 오디오 제어부(4)와;An audio controller 4 which outputs music suitable for the mood mode selected by the user through the speaker 10 under the control of the central controller 2;

상기 오디오 제어부(4)에서 출력되는 각종 아날로그 음악신호를 디지탈신호로 변환시켜 차후 상기 중앙제어부(2)가 월풀장치(7) 및 조명기구(9)의 제어에 필요한 데이타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A/D 변환기(5)와;A / A for converting various analog music signals output from the audio control unit 4 into digital signals so that the central control unit 2 can be used as data for controlling the whirlpool device 7 and the luminaire 9 later. A D converter 5;

상기 중앙제어부(2)의 제어를 받아 욕실내에 설치되어 있는 월풀장치(7)를 선택된 무드모드 및 음악에 맞게 제어하는 월풀 제어부(6)와;A whirlpool controller 6 for controlling the whirlpool device 7 installed in the bathroom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entral controller 2 according to the selected mood mode and music;

상기 중앙제어부(2)의 제어를 받아 실내 및 욕실내에 설치되어 있는 각종 조명기구(9)를 선택된 무드모드 및 음악에 맞게 제어하는 조명 제어부(8);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ighting control unit 8 for controlling the various lighting fixtures 9 installed in the room and the bathroom under the control of the central control unit 2 according to the selected mood mode and music.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 장치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and effect of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먼저, 사용자가 키 입력부(1)를 이용하여 무드 제어장치를 "온"시키고 기 서렁되어 있는 무드모드(러브/명상 등) 중 자신이 원하는 무드모드를 선택하면 중앙제어부(2)에서 이를 인식하고 데이타 기억부(11)에 기억되어 있는 소정의 제어프로그램과 각종 데이타를 이용하여 각부를 제어하는데 필요한 제어신호를 산출해 낸다.First, when the user "turns on" the mood control device by using the key input unit 1 and selects a mood mode he / she wants from among the premature mood modes (love / meditation, etc.), the central controller 2 recognizes this. Using a predetermined control program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11 and various data, control signals necessary for controlling the units are calculated.

따라서, 상기 중앙제어부(2)의 제어를 받는 외부기기 제어부(3)에서는 세톱박스, 퍼스널 컴퓨터, TV, PDA, TFT 등과 같은 영상기기로 구성되는 외부기기(12)들을 사용자의 선택 무드모드에 맞게 구동시키게 되고, 또 오디오 제어부(4)에서는 상기 중앙제어부(2)의 제어를 받아 사용자가 선택한 무드모드에 맞는 음악을 스피커(10)를 통해 출력시켜 주게 된다.Accordingly, the external device controller 3 under the control of the central controller 2 adjusts the external devices 12 including image devices such as a top-top box, a personal computer, a TV, a PDA, and a TFT to suit a user's selection mood mode. In addition, the audio control unit 4 outputs music suitable for the mood mode selected by the user through the speaker 10 under the control of the central control unit 2.

한편, 상기와 같이 오디오 제어부(4)에서 럽 또는 명상 무드모드 등에 맞는음악을 자동 재생시킬시 A/D 변환기(5)에서는 상기 오디오 제어부(4)에서 출력되는 각종 아날로그 음악신호를 디지탈신호로 변환시켜 상기 중앙제어부(2)로 입력시켜 주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audio control unit 4 automatically plays music suitable for the rup or meditation mood mode as described above, the A / D converter 5 converts various analog music signals output from the audio control unit 4 into digital signals. It is input to the central control unit (2).

따라서, 상기 중앙제어부(2)에서는 A/D 변환기(5)를 통해 디지탈신호로 입력되는 음악의 진폭 변화량을 산출한 후 그 크기에 맞는 제어신호를 월풀 제어부(6) 및 조명 제어부(8)로 출력시키게 된다.Accordingly, the central control unit 2 calculates the amplitude change amount of the music input as the digital signal through the A / D converter 5, and then transmits a control signal suitable for the magnitude to the whirlpool control unit 6 and the lighting control unit 8. Will be printed.

그러므로, 상기 중앙제어부(2)의 제어를 받는 월풀 제어부(6)에서는 욕실내에 설치되어 있는 월풀장치(7)의 구동모터를 선택된 무드모드 및 음악의 진폭(즉, 고조)에 맞게 제어하게 되므로 월풀장치가 이에 맞게 작동되어 분수들의 물줄기가 마치 음악에 맞추의 춤을 추는 형태를 갖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whirlpool control unit 6 under the control of the central control unit 2 controls the drive motor of the whirlpool device 7 installed in the bathroom according to the selected mood mode and the amplitude of the music (that is, the height). The device works accordingly so that the streams of fountains are shaped to dance to music.

뿐만 아니라 상기 중앙제어부(2)의 제어를 받는 조명 제어부(8) 역시 실내 및 욕실내에 설치되어 있는 각종 조명기구(9)의 점/소등 및 그 밝기를 사용자가 선택한 무드모드 및 음악의 진폭에 맞게 제어하게 되므로 조명기구(9)들이 무드음악에 맞추의 자동으로 번쩍거리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lighting control unit 8 under the control of the central control unit 2 also controls the brightness of the various lighting fixtures 9 installed in the room and the bathroom and its brightness according to the mood mode and the amplitude of music selected by the user. Since the lighting fixtures 9 are automatically flashed to match the mood music.

따라서, 이러한 환경속에서 쉬거나 목욕을 하는 사용자는 해다 무드에 맞는 음악과 조명, 영상 및 월풀의 기능에 의해 피로 및 스트레스가 해소될 뿐만 아니라, 보다 편안하고 안락한 분위기에서 휴식 및 목욕을 즐길 수 있고, 또 업소측의 입장에서는 고객 및 객실 관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어 경제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투숙객에게 편안함과 안락한 투숙을 유발시킬 수 있어 보다 안정된 수익성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Therefore, the user who rests or bathes in such an environment not only relieves fatigue and stress by the music, lighting, video and whirlpool function suitable for the mood, but also can relax and bathe in a more comfortable and comfortable atmosphere. In addition, from the viewpoint of the business side, customer and room management can be performed more efficiently, which can improve economics and efficiency, as well as induce comfortable and comfortable stays for the guests, thereby achieving stable profitability.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그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 할 수 있다.Meanwhil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implemented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일반 가정의 침실이나 호텔 및 모텔 등지에서의 객실등을 포함하는 실내 및 욕실에서 음악과 조명, 영상 및 월풀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무드를 자유럽게 창출시킬 수 있어 음악과 빛, 영상 및 월풀을 이용한 심리적 육체적 안정감을 줄 수 있어 만성피로와 스트레스를 해소시킬 수 있음은 물론 보다 편안하고 안락한 분위기에서 휴식 및 목욕을 즐길 수 있고, 또 업소측에서는 고객 및 객실 관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어 경제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투숙객이 편안하고 안락한 투숙 및 목욕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심리를 자연스럽게 유발시킬 수 있어 보다 안정된 수익성을 얻을 수 있음은 물론 고객에 대한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ood desired by a user can be created by using music, lighting, images, and a whirlpool in a room and a bathroom including a bedroom of a general home, a room in a hotel, a motel, and the like. It can provide psychological and physical stability using music, light, video, and whirlpool to relieve chronic fatigue and stress as well as to enjoy relaxation and bathing in a more comfortable and comfortable atmosphere. It can be carried out more efficiently, which can improve economics and efficiency, and it can naturally induce the psychology that allows guests to enjoy a comfortable and comfortable stay and bath, which can result in more stable profits and service to customers. It is a very useful invention that can improve the quality.

Claims (1)

각종 무드모드를 포함한 시스템의 제어에 필요한 키신호를 사용자가 키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키 입력부(1)와;A key input unit (1) for allowing a user to input key signals necessary for controlling a system including various mood modes; 상기 키 입력부(1)의 출력신호에 부응하는 각종 제어프로그램을 포함한 소정의 데이타들이 기억하고 있다가 중앙제어부(2)의 요청이 있을시 해당 프로그램 및 데이타를 출력해 주는 데이타 기억부(11)와;A data storage unit 11 for storing predetermined data including various control programs corresponding to the output signal of the key input unit 1 and outputting the corresponding program and data upon request of the central control unit 2; ; 상기 키 입력부(1)를 통해 입력되는 각종 키신호에 부응하여 소정 프로그램의 수행하여 시스템의 전반적인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중앙제어부(2)와;A central control unit (2) for performing overall control functions of the system by executing a predetermined program in response to various key signals inputted through the key input unit (1); 상기 중앙제어부(2)의 제어를 받아 각종 외부기기(12 : 예를들어 세톱박스, 퍼스널 컴퓨터, TV, PDA, TFT 등과 같은 영상기기 등)의 구동을 직접적으로 제어하는 외부기기 제어부(3)와;Under the control of the central control unit 2 and the external device control unit 3 for directly controlling the driving of various external devices (e.g., video equipment such as a top-top box, personal computer, TV, PDA, TFT, etc.) and ; 상기 중앙제어부(2)의 제어를 받아 사용자가 선택한 무드모드에 맞는 음악을 스피커(10)를 통해 출력시켜 주는 오디오 제어부(4)와;An audio controller 4 which outputs music suitable for the mood mode selected by the user through the speaker 10 under the control of the central controller 2; 상기 오디오 제어부(4)에서 출력되는 각종 아날로그 음악신호를 디지탈신호로 변환시켜 차후 상기 중앙제어부(2)가 월풀장치(7) 및 조명기구(9)의 제어에 필요한 데이타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A/D 변환기(5)와;A / A for converting various analog music signals output from the audio control unit 4 into digital signals so that the central control unit 2 can be used as data for controlling the whirlpool device 7 and the luminaire 9 later. A D converter 5; 상기 중앙제어부(2)의 제어를 받아 욕실내에 설치되어 있는 월풀장치(7)를 선택된 무드모드 및 음악에 맞게 제어하는 월풀 제어부(6)와;A whirlpool controller 6 for controlling the whirlpool device 7 installed in the bathroom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entral controller 2 according to the selected mood mode and music; 상기 중앙제어부(2)의 제어를 받아 실내 및 욕실내에 설치되어 있는 각종 조명기구(9)를 선택된 무드모드 및 음악에 맞게 제어하는 조명 제어부(8);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및 욕실내 무드 제어장치.Lighting control unit (8) for controlling the various lighting fixtures 9 installed in the room and bathroom under the control of the central control unit (2) according to the selected mood mode and music; Control unit.
KR1020010042839A 2001-07-16 2001-07-16 Room and bathroom atmosphere contol system KR2003000808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2839A KR20030008082A (en) 2001-07-16 2001-07-16 Room and bathroom atmosphere contol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2839A KR20030008082A (en) 2001-07-16 2001-07-16 Room and bathroom atmosphere contol system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1532U Division KR200253739Y1 (en) 2001-07-16 2001-07-16 Room and bathroom atmosphere contol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8082A true KR20030008082A (en) 2003-01-24

Family

ID=27715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2839A KR20030008082A (en) 2001-07-16 2001-07-16 Room and bathroom atmosphere contol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08082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0315A (en) * 2003-12-30 2005-07-07 삼성물산 주식회사 Health illumation apparatus of living room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99407A (en) * 1990-11-29 1992-07-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Environment controller
KR920022072A (en) * 1991-05-13 1992-12-19 지아-밍 슈 Indoor atmosphere control system
KR19980083350A (en) * 1997-05-13 1998-12-05 김남균 Emotional Lighting Audio System
KR19990005259A (en) * 1997-06-30 1999-01-25 허진호 Ambient Environment Control Device
KR20020060496A (en) * 2001-01-11 2002-07-18 구자홍 User fitting service system and operation method of the sam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99407A (en) * 1990-11-29 1992-07-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Environment controller
KR920022072A (en) * 1991-05-13 1992-12-19 지아-밍 슈 Indoor atmosphere control system
KR19980083350A (en) * 1997-05-13 1998-12-05 김남균 Emotional Lighting Audio System
KR19990005259A (en) * 1997-06-30 1999-01-25 허진호 Ambient Environment Control Device
KR20020060496A (en) * 2001-01-11 2002-07-18 구자홍 User fitting service system and operation method of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0315A (en) * 2003-12-30 2005-07-07 삼성물산 주식회사 Health illumation apparatus of living roo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chterberg et al. Rituals of healing: Using imagery for health and wellness
Eum et al. Literature and art therapy in post-stroke psychological disorders
US20060199715A1 (en)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a physical fitness regimen with color healing
WO2012125080A2 (en) Psycho-emotional relaxation method based on an audio-visual effect
Kelly Using meditative techniques in psychotherapy
Núñez Medicinal drumming: An ancient and modern day healing approach
Brewer Healing sounds
KR200253739Y1 (en) Room and bathroom atmosphere contol system
KR20030008082A (en) Room and bathroom atmosphere contol system
Douglas Hypnosis: useful, neglected, available
Whitcomb The way to go home: Creating comfort through therapeutic music and milieu
US20200101260A1 (en) Wellness Device and Method of Using Same
Ellis Improving quality of life and well-being for children and the elderly through vibroacoustic sound therapy
Repede All that holds: a story of healing
Boerstler et al. Life to death: Harmonizing the transition: A holistic and meditative approach for caregivers and the dying
US11701525B2 (en) Sonoluminescent biophysical oscillation techniques (SBOTs) to improve health
TW202019524A (en) Sensory stimulation assis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nsory stimulation assisting device is wearable, uses sound to generate vibration and controls the color and flash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 according to the sound
Postu Music Therapy–History, Methods and Effects
Fattorini et al. Music and the Brain
Miller et al. The use of music for neuromodulation
Shushardzhan et al. Scientific Music Therapy Technologies for Psychological Care and Rehabilitation in the COVID-19 Pandemic
Shaw Introducing Biodynamic Craniosacral Therapy (BCST) into the Landscape of Jungian Thought
Wormit et al. Music Therapy in Geriatric Care: A practical guide
Green Using colour to improve care environments
Brink Three stages of hypno-family therapy for psychosomatic probl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