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7810A - Method for supporting a handover between radio access networks - Google Patents

Method for supporting a handover between radio access network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7810A
KR20030007810A KR1020027016337A KR20027016337A KR20030007810A KR 20030007810 A KR20030007810 A KR 20030007810A KR 1020027016337 A KR1020027016337 A KR 1020027016337A KR 20027016337 A KR20027016337 A KR 20027016337A KR 20030007810 A KR20030007810 A KR 200300078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user equipment
access network
wireless access
hand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63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훌코넨토니
백주하
Original Assignee
노키아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키아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노키아 코포레이션
Priority to KR10200270163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07810A/en
Publication of KR20030007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7810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66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of control information between different types of networks in order to establish a new radio link in the target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 1무선접속망(11)에서 제 2무선접속망(13)으로의 사용자장비의 핸드오버(handover)를 지원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핸드오버의 성공을 보장하기 위해, 코어망이 적어도 어느 사용자장비(15)에 대해 사용자장비(15)의 핸드오버가 허용되는 모든 무선접속망(11, 13)을 식별하는 리스트를 저장하는 것을 제안한다. 다음 코어망은 제 1무선접속망(11)이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전에 특정 사용자장비(15)에 대해 저장된 정보를 제 1무선접속망(11)에 전송할 수 있어서(단계 c), 제 1무선접속망(11)은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전에 핸드오버가 허용될 다른 무선접속망(13)을 정확히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동일하게 제안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설계된 코어망, 코어망의 구성요소 및 무선접속망의 구성요소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supporting handover of user equipment from a first wireless access network (11) to a second wireless access network (13). In order to ensure the success of the handover, it is proposed that the core network store a list for at least which user equipment 15 identifies all radio access networks 11 and 13 which are allowed to handover of the user equipment 15. . Next, the core network may transmit the stored information about the specific user equipment 15 to the first wireless access network 11 before the first wireless access network 11 performs the handover (step c), so that the first wireless access network ( 11) may correctly determine another radio access network 13 to be allowed for handover before performing the handov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re network, a component of a core network, and a component of a radio access network designed to perform the same proposed method.

Description

무선접속망 사이의 핸드오버를 지원하는 방법{METHOD FOR SUPPORTING A HANDOVER BETWEEN RADIO ACCESS NETWORKS}How to support handover between wireless access networks {METHOD FOR SUPPORTING A HANDOVER BETWEEN RADIO ACCESS NETWORKS}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무선접속망은 사용자장비에 이동통신을 위한 무선접속을 제공한다. 각 무선접속망은 코어망에 연결되며, 코어망을 통해 사용자장비는 희망하는 연결에 따라서, 동일한 이동통신시스템의 무선접속망과 연결되거나 다른 이동통신시스템의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상기 사용자장비란 용어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또는 UMTS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USIM(UMTS Subscriber Identity Module) 등의 가입자신원 모듈을 갖는 이동단말기에 대해 사용된다.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 wireless access network provides a user equipment with a wireless connection for mobile communication. Each radio access network is connected to the core network, through which the user equipment is connected to the radio access network of the sam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or to the components of the other mobile communication system, depending on the desired connection. The term user equipment is used for a mobile terminal having a subscriber identity module such as a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or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UMTS) UMTS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제 1무선접속망에 연결된 사용자장비가 어떤 이유로 제 2무선접속망으로 핸드오버되어야 할 때, 제 1무선접속망은 이 제 2무선접속망을 선택해야 한다. 그러한 핸드오버는 다양한 이유로 필요하게 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장비가 제 1무선접속망의 서비스영역에서 벗어난 경우, 제 1무선접속망을 위한 충분한 용량이 더 이상 없는 경우, 요구한 서비스가 제 1무선접속망에 의해 제공될 수 없는 경우, 가입자가 너무 빠르게 이동하는 경우 등이다.When the user equipment connected to the first wireless access network should be handed over to the second wireless access network for some reason, the first wireless access network should select this second wireless access network. Such handover is necessary for various reasons. For example, if the user equipment is out of the service area of the first wireless access network, if there is no longer enough capacity for the first wireless access network, if the requested service cannot be provided by the first wireless access network, If you move too fast.

사용자장비에 의한 접속을 지원하지 않는 무선접속망으로 사용자장비가 핸드오버되는 경우, 설정된 연결은 두절된다. 코어망은 이러한 사용자장비를 사용하는가입자에 의한 무선접속망(사용자장비가 핸드오버 하려는 무선접속망)으로의 접속을 허용하지 않는데 이것은 가입자가 다른 종류의 가입자(예를 들어 UMTS 가입자만이 허용될 때 GSM 가입자)이기 때문이다. 더욱이, 현재 진행 중인 서비스는 목표망 등에서 지원되지 않을 수 있다.If the user equipment is handed over to a wireless access network that does not support connection by the user equipment, the established connection is broken. The core network does not allow access to the radio access network (the radio network to which the user equipment is going to handover) by subscribers using such user equipment, which means that when subscribers are allowed to other types of subscribers (eg only UMTS subscribers) Subscribers). In addition, the ongoing service may not be supported in the target network.

핸드오버에서의 잠재적인 두절에 대한 다른 이유는 사용자장비가 가상이동망운영사업자(Mobile Virtual Network Operator; MVNO)에 가입하고 일반이동망운영자에 직접 가입하지 않은 경우이다.Another reason for potential disruption in handover is when a user equipment joins a Mobile Virtual Network Operator (MVNO) and not directly with a general mobile network operator.

MVNO는 무선라이센스 또는 무선접속인프라를 소유하지 않고도 자신의 브랜드를 갖고 가입자에게 무선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운영사업자이다. MVNO는 무선자원 및 다른 망 하부시스템에 대해 일반이동망운영자에 의존한다.MVNO is a mobile operator that provides its own brand and wireless service to its subscribers without owning a wireless license or wireless access infrastructure. MVNOs rely on general mobile network operators for radio resources and other network subsystems.

MVNO와 일반이동망운영자 사이의 합의에 따라서, 일반이동망운영자의 인프라를 공유함에 있어서 다양한 옵션들이 존재한다. MVNO란 정밀한 망 구조나 특정한 표준시스템구성요소 집단과의 관련을 의미하지 않는다. 최소한의 실행을 위해서, MVNO는 그 운영의 대부분을 호스트망 운영자에게 위탁하고 단지 호스트망 운영자로부터 자신의 고객에 관련된 과금정보를 수신한다. 극단적으로는, MVNO 가입자는 무선인터페이스와의 접속만을 공유한다. 이 경우, MVNO는 기존 망 기능들을 복제하고 그것들을 특정 서비스제공에 맞도록 함으로써 무선접속망을 상호연결한다. MVNO와 일반이동망운영자 사이의 합의에는 또한 예를 들어 MVNO 가입자가 일반이동망운영자의 망에서 이동하여 상호 공중육상이동망(inter PLMN) 핸드오버가 수행되어야 할 때, 가입자가 다른 특정의 망들 중 하나로 핸드오버되어야 한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방문된 운영자는 이 요건을 지원하기 위해 망 장비를 조정한다.In accordance with the agreement between the MVNO and the mobile network operator, various options exist for sharing the infrastructure of the mobile network operator. MVNO does not mean precise network structure or association with a particular group of standard system components. For minimal implementation, the MVNO entrusts most of its operations to the host network operator and only receives billing information related to its customers from the host network operator. At the extreme, the MVNO subscribers only share a connection with the wireless interface. In this case, the MVNO interconnects the radio access network by duplicating existing network functions and adapting them to specific service offerings. The agreement between the MVNO and the mobile network operator may also include, for example, when an MVNO subscriber moves from the mobile network operator's network and an inter PLMN handover is to be performed, the subscriber hands over to one of the other specific networks. May include. Visited operators coordinate network equipment to support this requirement.

MVNO의 예는 영국에서는 "버진 모빌(Virgin Mobile)"이고, 노르웨이에서는 "센스(Sense)"이다.An example of an MVNO is "Virgin Mobile" in the UK and "Sense" in Norway.

그러한 MVNO의 가입자가 핸드오버에 관련되는 경우, 이용가능한 다른 무선접속망들 중 어느 것이 MVNO 가입자의 사용자장비의 핸드오버를 실제로 허용하는가는 적어도 두 가지 요인에 의존한다. 첫 번째, 서빙(serving) 무선접속망에서 목표(target) 무선접속망으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것이 기술적으로 가능해야 한다. 두 번째, 방문된 망의 운영자와 가입자의 운영자 사이의 로밍(roaming) 합의에 달려 있다. 따라서, MVNO 가입자의 핸드오버 동안 접속의 잠재적인 두절의 부가적인 이유는 예를 들어 목표망이 사용자 홈네트워크와 로밍 합의를 갖지 않거나 다른 로밍 제한(이 경우에는 접속이 두절될 수 있으나, 반드시 두절되는 것은 아니다)이 있기 때문이다.When a subscriber of such an MVNO is involved in handover, which of the other available radio access networks actually allows handover of the MVNO subscriber's user equipment depends on at least two factors. First, it should be technically possible to perform a handover from a serving radio access network to a target radio access network. Second, it depends on the roaming agreement between the operator of the visited network and the operator of the subscriber. Thus, an additional reason for potential disruption of the connection during the handover of the MVNO subscriber is, for example, that the target network does not have roaming agreement with the user's home network or other roaming restrictions (in this case the connection may be lost but the connection must be lost). Is not).

도 1은 MVNO에 가입한 사용자장비가 핸드오버 되는 동안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의 예를 나타낸다. 도면에서, 3개의 무선접속망이 도시되어 있다. 제 1무선접속망(11)은 제 1망운영자(A)가 소유하는 제 1공중육상이동망(PLMN 1)의 UMTS무선접속망이다. 제 2무선접속망(12)은 제 1망운영자(A)가 소유하는 상기 제 1공중육상이동망(PLMN 1)의 GSM 무선접속망이다. 마지막으로, 제 3무선접속망(13)은 제 2망 운영자 B가 소유하는 제 2공중육상이동망(PLMN 2)의 GSM 무선접속망이다.1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a problem may occur while a user equipment subscribed to an MVNO is handed over. In the figure, three radio access networks are shown. The first wireless access network 11 is a UMTS wireless access network of the first 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 1) owned by the first network operator (A). The second wireless access network 12 is a GSM wireless access network of the first 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 1) owned by the first network operator (A). Finally, the third wireless access network 13 is a GSM wireless access network of the second 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 2) owned by the second network operator B.

또한, 도 1의 상황에서 제 1사용자장비(14)는 제 1망운영자(A)에 가입되고, 제 2사용자장비(15)는 제 2망운영자(B)에 가입되어 있음을 나타낸다.In addition, in the situation of FIG. 1, the first user equipment 14 is subscribed to the first network operator A, and the second user equipment 15 is subscribed to the second network operator B. FIG.

제 1망운영자(A)와 제 2망운영자(B) 사이의 합의에 기초하여, MVNO는 자신의 가입자에게 무선접속을 제공하기 위해 제 1 및 제 3무선접속망(11, 13)을 이용한다. MVNO 가입자의 각 국제이동가입자신원(IMSI)은 제 1 또는 제 3망운영자(A, B)의 IMSI로부터 할당된다. 동일하게, MVNO 가입자는 그들의 신원확인의 부분으로서 이동국가코드(MCC) 및 이동망코드(MNC)(가입자의 접속이 허용되는 무선접속망(11, 13) 중의 하나를 식별한다)를 사용한다.Based on the agreement between the first network operator A and the second network operator B, the MVNO uses the first and third wireless access networks 11 and 13 to provide wireless access to its subscribers. Each 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IMSI) of an MVNO subscriber is assigned from the IMSI of the first or third network operator (A, B). Equally, MVNO subscribers use Mobile Country Codes (MCCs) and Mobile Network Codes (MNCs) (which identify one of the radio access networks 11 and 13 to which subscribers are allowed to connect) as part of their identification.

도 1에서의 사용자장비(14, 15)는 예를 들어 제 1무선접속망(11)의 서비스영역 밖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다른 무선접속망으로 핸드오버된다. 따라서, 제 1무선접속망(11)은 어느 사용자장비가 다른 무선접속망(12, 13) 중 어느 곳으로 핸드오버되는지를 판정하여야 한다.The user equipment 14, 15 in FIG. 1 is handed over to another radio access network, for example, because it moves out of the service area of the first radio access network 11. Therefore, the first wireless access network 11 must determine which user equipment is handed over to another of the wireless access networks 12 and 13.

기술적으로 두 사용자장비(14, 15)를 다른 두 무선접속망(12, 13)의 어디로도 핸드오버할 수 있다. 그러나, 제 1사용자장비(14)가 제 1망운영자(A)에만 가입되어 있고 제 2사용자장비(15)가 MVNO에만 가입되어 있기 때문에, 제 1사용자장비(14)는 단지 제 2무선접속망(12)에 성공적으로 핸드오버할 수 있고 제 2사용자장비(15)는 단지 제 3무선접속망(13)에 성공적으로 핸드오버할 수 있다. 제1망운영자(A)에 가입한 제 1사용자장비(14)에 대하여, 제 1무선접속망(11)은 제 1사용자장비(14)가 핸드오버되는 다른 무선접속망(12)을 표시하는 디폴트 정보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무선접속망(11)은 목표 무선접속망(12)이 제 2사용자장비(15)에 적용되지 않는다는 것과 목표 무선접속망(13)이 제 2사용자장비(15)에 대해 선택되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없다. 이 경우, 제 1무선접속망(11)은 제 2사용자장비(15)의 핸드오버에 대하여 잘못된 목표 무선접속망을 선택하여, 제 2사용자장비(15)의 접속이 두절될 것이다.Technically, the two user equipments 14 and 15 can be handed over to any other two radio access networks 12 and 13. However, since the first user equipment 14 is subscribed only to the first network operator A and the second user equipment 15 is subscribed only to the MVNO, the first user equipment 14 is merely a second wireless access network ( 12 can be successfully handed over and the second user equipment 15 can only successfully hand over to the third wireless access network 13. For the first user equipment 14 subscribing to the first network operator A, the first wireless access network 11 is the default information indicating another wireless access network 12 to which the first user equipment 14 is handed over. Have However, the radio access network 11 may not know that the target radio access network 12 is not applied to the second user equipment 15 and that the target radio access network 13 should be selected for the second user equipment 15. . In this case, the first wireless access network 11 selects an incorrect target radio access network for the handover of the second user equipment 15, so that the connection of the second user equipment 15 will be lost.

동일한 문제가 MVNO에 가입한 사용자장비가 포함된 여러 다른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다.The same problem can occur in several different situations involving user equipment subscribed to MVNO.

또한 MVNO에 가입된 사용자장비의 관련 없이도, 유사한 문제가 예를 들어 국경지역의 국제로밍가입자의 핸드오버에서 발생할 수 있다. 그러한 시나리오에서, 국제로밍가입자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외국망운영자는 국제로밍가입자가 가입자 홈네트워크의 서비스영역으로 다시 이동할 때 가입자 홈네트워크로 국제로밍가입자를 핸드오버해야 한다. 한 편, 외국망운영자와 협력 합의를 갖고 있는 망운영자는 경계를 거쳐 바로 이 사업파트너의 무선접속망으로 가입자를 핸드오버하는데 관심이 있다.Similar problems may also arise, for example, in the handover of international roaming subscribers in border areas, without the involvement of user equipment subscribed to MVNO. In such a scenario, the foreign network operator serving the international roaming subscriber should hand over the international roaming subscriber to the subscriber home network when the international roaming subscriber moves back to the service area of the subscriber home network. On the other hand, network operators with cooperative agreements with foreign network operators are interested in handing over subscribers to the business partner's wireless access network across borders.

다른 소유자들에 의해 공유되는 망들 또한 유사한 문제를 갖는다. 예를 들어, UMTS 라이센스 소지자는 공통망을 공유함으로써 그들의 망을 구축하는데 필요한 초기투자액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찾고 있다. 공유 UMTS 망의 서비스영역에서, 다시 2이상의 가능한 목표망이 있고 핸드오버가 발생할 때 정확한 목표망이 선택되어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통화가 두절될 수 있다.Networks shared by other owners also have a similar problem. UMTS licensees, for example, are looking for ways to reduce the initial investment required to build their networks by sharing a common network. In the service area of the shared UMTS network, again there are two or more possible target networks and when the handover occurs the correct target network must be selected or the call can be dropped.

본 발명은 제 1무선접속망에서 제 2무선접속망으로의 사용자장비의 핸드오버(handover)를 지원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동일하게 통신시스템을 위한 코어망, 코어망을 위한 망구성요소 및 무선접속망을 위한 망구성요소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supporting handover of user equipment from a first wireless access network to a second wireless access network. The invention likewise relates to a core network for a communication system, a network component for a core network and a network component for a radio access network.

도 1은 서로 다른 핸드오버의 가능성을 갖는 상황을 나타낸다.1 illustrates a situation with the possibility of different handovers.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신호흐름을 나타낸다.2 shows a signal flow fo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목적은 제 1무선접속망에서 제 2무선접속망으로의 핸드오버의 성공을 보장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ensure the success of a handover from a first wireless access network to a second wireless access network.

상기 목적은 제 1무선접속망에서 제 2무선접속망으로의 사용자장비의 핸드오버를 지원하는 방법에 의해 달성되며, 상기 방법에서 제 1무선접속망이 연결된 코어망이 상기 코어망에 저장된 정보를 제 1무선접속망으로 송신하고, 상기 정보는 사용자장비의 핸드오버가 어느 무선접속망으로 허용되는지를 표시한다.The object is achieved by a method for supporting handover of user equipment from a first wireless access network to a second wireless access network, in which the core network to which the first wireless access network is connected receives information stored in the core network. Transmitted to the access network, the information indicating to which radio access network the handover of the user equipment is allowed.

한 편, 상기 목적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장비에 대해 또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장비 그룹에 대해 각각의 사용자장비의 핸드오버가 어느 무선접속망으로 허용되는지를 표시하는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수단을 포함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코어망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코어망은 특정 사용자장비에 대해 또는 특정 사용자장비 그룹에 대해 저장된 상기 정보를 상기 특정 사용자장비 또는 상기 사용자장비 그룹의 멤버가 현재 연결되거나 연결을 설정하고 있는 무선접속망으로 송신하는 송신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목적은 또한 이러한 특성을 포함하는 통신시스템의 코어망을 위한 망구성요소에 의해 달성된다. 사용자장비 그룹은 사용자장비의 특정 카테고리, 예를 들어 특정 망의 가입자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object includes mobile means for storing at least one user equipment or for at least one group of user equipment, the storage means for storing information indicating which wireless access network a handover of each user equipment is allowed to. This is achieved by the core network of the system. In addition, the core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the information stored for a specific user equipment or a specific user equipment group to a wireless access network to which the specific user equipment or a member of the user equipment group is currently connected or establishing a connection. A transmission means. The object is also achieved by a network component for the core network of a communication system comprising this characteristic. The user equipment group may be a subscriber of a specific category of user equipment, for example a particular network.

결국 상기 목적은 상기 망구성요소에 현재 연결되거나 연결을 설정하는 사용자장비에 대해 상기 사용자장비의 핸드오버가 어느 무선접속망으로 허용되는지를 표시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수단을 포함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코어망을 위한망구성요소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망구성요소는 이에 부가하여 상기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사용자장비에 대한 정보에 따라서 다른 무선접속망의 망구성요소로의 상기 사용자장비의 핸드오버를 위해 다른 무선접속망의 망구성요소를 선택하는 선택수단을 포함한다.After all, the object is a core of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receiving means for receiving information indicating which wireless access network is allowed for handover of the user equipment to the user equipment currently connected to or establishing a connection to the network component. Achieved by a network component for the network. The network component may additionally select a network component of another radio access network for handover of the user equipment to the network element of another radio access network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about the user equipment received by the receiving means. Selection means.

본 발명은 제 1무선접속망에 현재 연결된 사용자장비의 다른 무선접속망으로 의 성공적인 핸드오버를 위해, 제 1무선접속망은 어느 무선접속망이 이 사용자장비의 핸드오버를 허용할 것인가를 알아야 한다는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착안된 것이다. 이를 위해, 제 1무선접속망은 관련정보를 제공받아야 한다. PLMN의 코어망이 다른 망의 운영자와의 로밍 합의를 알고 있기 때문에, 그러한 정보를 저장하여 필요할 때마다 제 1무선접속망에 그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최선이다. 상기 정보는 늦어도 연결된 사용자장비의 핸드오버 전에 제 1무선접속망에 존재하여야 한다. 한 편, 코어망이 사용자장비가 제 1무선접속망과의 연결 설정을 원하는 것을 알기 전에는 상기 정보가 제공될 수 없다.The present invention contemplates from the technical idea that for a successful handover of a user equipment currently connected to a first radio access network to another radio access network, the first radio access network must know which radio access network will allow handover of this user equipment. It is. To this end, the first wireless access network must be provided with relevant information. Since the PLMN's core network is aware of roaming agreements with operators of other networks, it is best to store such information and provide it to the primary wireless access network whenever necessary. The information must be present in the first radio access network at least before handover of the connected user equipment. On the other hand, the information cannot be provided until the core network knows that the user equipment wants to establish a connection with the first wireless access network.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속항에서 명확해진다.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re apparent in the dependent claims.

상기 정보는 제 1무선접속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장비와 상기 코어망 사이의 연결 설정 동안 코어망에서 제 1무선접속망으로 송신된다. 본 발명은 다른 무선접속망이 핸드오버를 위해 선택될 때 상기 정보가 제 1무선접속망에서 즉시 이용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정보는 코어망에 의한 상기 사용자장비의 인증 후에 송신된다. 인증절차는 코어망에 사용자장비의 IMSI를 제공하고, 이 시점에서 코어망은 송신을 위해 상기 사용자장비에 대해 저장된 정보를 선택한다.The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core network to the first wireless access network during the establishment of the connection between the user equipment and the core network via the first wireless access network.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information can be used immediately in the first radio access network when another radio access network is selected for handover. Specifically, the information is transmitted after authentication of the user equipment by the core network. The authentication procedure provides the IMSI of the user equipment to the core network, at which point the core network selects the stored information about the user equipment for transmission.

상기 정보는 또한 상기 제 1무선접속망의 제 1망구성요소에서 상기 제 1무선접속망의 제 2구성요소로 상기 사용자장비를 핸드오버하기 위해 송신된 핸드오버 신호 동안 상기 코어망에서 상기 제 1무선접속망으로 송신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정보는 동일한 무선접속망 내의 사용자장비의 핸드오버 후에도 제공될 것이다.The information may also be transmitted by the first wireless access network in the core network during a handover signal transmitted to handover the user equipment from the first network component of the first wireless access network to the second component of the first wireless access network. Is sent. As such, the information will be provided even after handover of the user equipment in the same radio access network.

각 무선접속망에 할당된 MMC과 MNC와의 결합으로 각 무선접속망이 명확히 식별될 수 있다. 따라서, 송신된 정보는 상기 사용자장비의 핸드오버가 허용되는 각 무선접속망의 MCC 및 MNC를 포함한다.The combination of the MMC and the MNC assigned to each radio access network can clearly identify each radio access network. Accordingly, the transmitted information includes the MCC and MNC of each radio access network to which handover of the user equipment is allowed.

상기 정보는 핸드오버가 어느 무선접속망으로 허용되는지를 표시할 뿐만 아니라 이 무선접속망들이 제 1무선접속망에 의해 선택되는 순서를 표시한다.The information not only indicates to which radio access network the handover is allowed, but also indicates the order in which these radio access networks are selected by the first radio access network.

상기 정보는 상기 코어망이 속하는 통신시스템의 운영자에 의해 코어망에 제공된다. 상기 정보는 코어망이 서비스할 수 있는 각 사용자장비에 대해 저장될 필요는 없고, 단지 망운영자에 의해 선택된 것들에 대해서만 저장된다. 더욱이, 허용된 목표망에 대한 다수 집단의 정보가 있을 수 있고, 각 집단은 특정 사용자 그룹에 적용된다. 따라서, 무선접속망에서 디폴트정보는 예를 들어 코어망이 목표망을 지시하지 않은 사용자장비에 대해서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의 송신은 선택적일 수 있어서, 코어망은 우선 각 사용자장비에 대해 상기 저장된 정보를 송신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한다.The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core network by the operator of the communication system to which the core network belongs. The information need not be stored for each user equipment that the core network can service, only for those selected by the network operator. Furthermore, there may be multiple groups of information about allowed target networks, each group applying to a specific group of users. Thus, in the radio access network, the default information can be used, for example, for user equipment whose core network does not indicate the target network. In addition, the transmission of the information may be optional, so that the core network first determines whether to transmit the stored information for each user equipment.

본 발명의 망구성요소는 구체적으로 2G/3G(제 2세대/제 3세대) SGSN과 같은 SGSN(Serving General Packet Radio System Support Node), MSC/VLR(Mobile Services Switching Center/Visitor Location Register), 통신시스템의 코어망을위한 3GGP 공표 4에서 소개된 MSC 서버가 있다. 패킷스위칭 코어망의 SGSN에 저장된 정보 및 회로스위칭 코어망의 MSC/VLR에 저장된 정보는 UMTS 또는 GSM 무선접속망으로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망구성요소는 통신시스템의 무선접속망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UMTS RNC(Radio Network Controller) 또는 GSM BSC(Base Station Controller)가 될 수 있다. PLMN에서, 모든 SGSN, MSC/VLR, PLMN의 UMTS RNC 및 GSM BSC에서 그 특성들이 실현될 수 있다.The network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pecifically for a Serving General Packet Radio System Support Node (SGSN) such as 2G / 3G (2nd / 3rd Generation) SGSN, Mobile Services Switching Center / Visitor Location Register (MSC / VLR), communication There is an MSC server introduced in 3GGP Publication 4 for the core network of the system. Information stored in the SGSN of the packet switching core network and information stored in the MSC / VLR of the circuit switching core network may be supplied to a UMTS or GSM radio access network. The network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pecifically a UMTS RNC (Radio Network Controller) or a GSM BSC (Base Station Controller) for a radio access network of a communication system. In PLMN, the characteristics can be realized in all SGSN, MSC / VLR, UMTS RNC and GSM BSC of PLMN.

사용자장비가 가상이동망운영사업자에 가입되고 일반이동망운영자에 가입되지 않은 경우 가입자신원이 반드시 서비스제공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는 않기 때문에 제 1무선접속망은 핸드오버를 위해 허용된 목표 무선접속망을 정확히 선택할 수 없다는 점에서 본 발명은 특히 이점이 있다. 동일하게, 본 발명은 국경지역에서 국제 로밍서비스가입자의 핸드오버를 지원하는데 그리고 여러 소유자에 의해 공유된 망에서 이점이 있다.If the user equipment is subscribed to the virtual mobile network operator and not the general mobile network operator, since the subscriber identity does not necessarily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service provider, the first wireless access network can accurately select the target wireless access network allowed for handover. The present invention is particularly advantageous in that it is not present. Equally,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supporting handover of international roaming service subscribers in the border area and in a network shared by several owners.

본 발명은 다른 무선접속망들 사이의 핸드오버를 지원하는 모든 이동망에서 적용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ll mobile networks that support handover between other radio access networks.

다음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In the following,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도 1은 발명의 배경기술에서 설명하였다.1 is described in the background of the invention.

사용자장비는 다른 무선접속망을 통해 PLMN에 접속할 수 있다. 다음 설명되는 본 발명의 방법의 실시예는 다른 종류의 접속에 대하여 본 발명의 방법을 실시할 수 있는 다른 가능성들을 포함한다.User equipment can access the PLMN through other radio access networks. Embodiments of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include other possibilities for implementing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other types of connections.

사용자장비는 예를 들어 UMTS 무선접속망의 노드 B를 통해 PLMN에 접속할 수있다. 각 노드 B는 무선접속망의 RNC에 연결된다. UMTS 무선접속망의 RNC는 또한 Iu 인터페이스를 통해 회로스위칭 코어망의 MSC/VLR에 연결되고, Iu 인터페이스를 통해 패킷스위칭 코어망의 SGSN에 연결된다.The user equipment can, for example, access the PLMN via Node B of the UMTS radio access network. Each Node B is connected to the RNC of the radio access network. The RNC of the UMTS radio access network is also connected to the MSC / VLR of the circuit switching core network through the lu interface, and to the SGSN of the packet switching core network through the lu interface.

사용자장비는 또한 GSM 무선접속망의 기지국을 통해 PLMN에 접속할 수 있다. 각 기지국은 무선접속망의 BSC에 연결된다. GSM 무선접속망의 BSC는 또한 A-인터페이스를 통해 회로스위칭 코어망의 MSC/VLR에 연결되고, Gb 인터페이스를 통해 패킷스위칭 코어망의 SGSN에 연결된다.User equipment may also access the PLMN through the base station of the GSM radio access network. Each base station is connected to a BSC of a radio access network. The BSC of the GSM radio access network is also connected to the MSC / VLR of the circuit switching core network via the A-interface and to the SGSN of the packet switching core network via the Gb interface.

도 2는 회로스위칭(CS) 도메인에서의 사용자장비와 UMTS 무선접속망 사이의 통화를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설정하기 위해 교환되는 신호를 나타낸 것으로, 여기에 본 발명에 의한 신호정보가 부가된다.2 shows a signal exchanged for establishing a call between a user equipment in a circuit switching (CS) domain and a UMTS radio access network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o which signal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dded.

도면의 좌측에는 사용자장비(21)가 표시되어 있다. 도면의 가운데에는 UMTS 무선접속망의 RNC(22)가 표시되어 있다. 도면의 우측에는 RNC(22)에 연결된 코어망의 MSC/VRL(23)이 표시되어 있다. 유닛을 연결하는 화살표와 직사각형은 단계(a-j)에서 유닛들간의 신호를 표시한다.On the left side of the figure, the user equipment 21 is displayed. In the center of the figure, an RNC 22 of a UMTS radio access network is shown. The right side of the figure shows the MSC / VRL 23 of the core network connected to the RNC 22. The arrows and rectangles connecting the units indicate the signals between the units in steps (a-j).

사용자장비(21)는 현재 어느 무선접속망에도 연결되지 않고 있으나, RNC(22)에 연결될 것이다. 이것은 RNC(22)가 속해 있는 PLMN의 망운영자와의 합의를 갖고동일하게 다른 망운영자와의 합의를 갖는 MVNO에 가입되어 있다. 이 합의는 사용자장비(21)가 RNC(22)의 무선접속망 및 상기 망운영자들 중 하나에 속하는 특정한 다른 무선접속망에 접속하는 것을 허용한다. 이것은 도 1에서 도시한 제 2사용자장비(15)의 상황에 대응하는데, 제 2사용자장비(15)는 MVNO에 가입되어 있고 제 1망운영자(A)의 제 1무선접속망(11) 및 제 2망운영자(B)의 제 3무선접속망(13)에 접속할 수 있다.The user equipment 21 is not currently connected to any radio access network, but will be connected to the RNC 22. It is subscribed to the MVNO, which has an agreement with the network operators of the PLMN to which the RNC 22 belongs and the same with other network operators. This agreement allows the user equipment 21 to access the radio access network of the RNC 22 and certain other radio access networks belonging to one of the network operators. This corresponds to the situation of the second user equipment 15 shown in FIG. 1, in which the second user equipment 15 is subscribed to the MVNO and the first wireless access network 11 and the second of the first network operator A. The third wireless access network 13 of the network operator B can be connected.

연결이 설정된 후 핸드오버가 어떤 시점에서 필요한 경우, RNC(22)는 사용자장비(21)의 핸드오버가 허용되는 무선접속망에 대한 어떠한 정보도 현재 가지고 있지 않다.If handover is needed at some point after the connection is established, the RNC 22 does not currently have any information about the radio access network that is allowed to handover of the user equipment 21.

반대로, MSC/VLR(23)은 저장수단을 포함하는데 망운영자가 각각의 여러 사용자장비들에 대한 리스트 또는 다른 그룹의 사용자장비들에 대한 리스트를 그 저장수단에 저장하며, 사용자장비는 망운영자와 망자원을 공유하는 합의를 갖는 MVNO에 가입되어 있다. 각각의 리스트는 MCC/MNC 쌍을 포함하는데 이것은 망운영자와 MVNO 사이의 합의에 따라서 각각의 사용자장비가 핸드오버될 수 있는 모든 무선접속망을 식별한다.In contrast, the MSC / VLR 23 includes a storage means in which the network operator stores a list for each of the various user equipments or a list of other groups of user equipments in the storage means. It is subscribed to the MVNO with an agreement to share network resources. Each list contains an MCC / MNC pair, which identifies all radio access networks to which each user equipment can be handed over according to an agreement between the network operator and the MVNO.

도 2에서 도시한 신호의 대부분은 기술사양 3GPP TS 24.008 V3.6.0: "제 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 기술사양 그룹 코어망; 이동무선인터페이스층 3 사양; 코어망 프로토콜-단계 3", 예를 들어 공표 1999 그리고 3GPP TS 25.413 V3.4.0: "제 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 기술사양 그룹 무선접속망; UTRAN Iu 인터페이스 RANAP 신호" 예를 들어 공표 1999에서 규정한 신호에 대응한다.Most of the signals shown in FIG. 2 are published in Technical Specification 3GPP TS 24.008 V3.6.0: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Technical Group Core Network; Mobile Wireless Interface Layer 3 Specification; Core Network Protocol-Phase 3", for example, published. 1999 and 3GPP TS 25.413 V3.4.0: "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Technical Group Radio Access Network; UTRAN Iu Interface RANAP Signals", for example, corresponds to the signals specified in Publication 1999.

이 표준에 의하여, 제 1단계(a)에서 L3-MM(층 3 이동성관리) CM(연결관리) 서비스요청이 이동국(21)에서 RNC(22)를 통해 MSC/VLR(23)로 송신된다. 이 메시지는 연결관리 하부층 실체에 대한 서비스(예를 들어, 회로스위칭 연결설정, 보조 서비스 활성화, 단문메시지 전송 및 위치 서비스)를 요청하기 위해 이동국에 의해 망으로 전송된다. 다음 단계(b)에서, 인증절차는 이동국(21)을 인증하기 위해 수행된다. 단계(c)에서, RANAP(무선접속망 응용부분) 공통 ID 메시지가 MSC/VLR(23)에서 RNC(22)로 송신된다. 이 메시지는 RNC(22)에 이동국(21)의 공통 ID 즉 이동국(21)의 영구 NAS(Non Access Stratum) ID를 공급한다. 부가적으로, 공통 ID 메시지는 특정 사용자에 대해 허용된 목표 PLMN의 리스트를 운반한다. 보안설정절차는 단계(d)에서 수행된다. 이 절차의 목적은 코어망이 암호 및 무결성모드(integrity mode) 정보를 UMTS 무선접속망으로 전달하게 하는 것이다. 무선접속망은 이 정보를 이용하여, 적절한 파라미터로 사용자 및 신호 데이터를 위한 암호화장치를 선택 및 로드하고 또한 무결성 알고리즘을 위한 적절한 파라미터를 저장한다. 단계(e)는 이동국(21)에서 RNC(22)를 통해 MSC/VLR(23)로 L3-CC(통화제어) 설정신호를 송신하는데 사용된다. 설정메시지는 통화를 처리하는 망에 의해 요구되는 모든 정보(통화 상대방 어드레스정보와 같은 정보)를 포함한다. 단계(f)에서 반대방향의 송신은 통화가 처리되고 있다는 것을 표시하는 L3-CC 통화진행을 운반한다. 단계(g)에서 RAB(무선접속운반자) 할당절차가 수행된다. RAB 할당절차의 목적은 새로운 RAB를 설정하고/하거나 주어진 사용자장비에 대하여 이미 설정된 RAB의 변경 또는/및 해제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단계(h, i)는 MSC/VLR(23)에서 RNC(22)를 통해이동국(21)으로의 대안적인 송신을 포함한다. 단계(h)에서 L3-CC 경고신호는 통화상대방 사용자측에서 경고가 시작되었다는 것을 표시한다. 단계(i)에서 L3-CC 연결신호는 통화상대방 사용자측에서 통화가 승낙되었다는 것을 표시한다. 마지막으로 L3-CC 연결신호는 RNC(22)를 통해 MSC/VLR(23)로 송신되는 L3-CC 연결확인메시지로 이동국(21)에 의해 응답된다. 다른 신호 및 절차와 관련된 상세는 언급한 표준으로부터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is standard, in the first step (a), the L3-MM (layer 3 mobility management) CM (connection management) service request is transmitted from the mobile station 21 to the MSC / VLR 23 via the RNC 22. This message is sent by the mobile station to the network to request services (e.g., circuit switching connection establishment, assistive service activation, short message transmission and location service) for the connection management underlying entity. In the next step (b), an authentication procedure is performed to authenticate the mobile station 21. In step (c), a RANAP (Radio Access Network Application) common ID message is sent from the MSC / VLR 23 to the RNC 22. This message supplies the RNC 22 with the common ID of the mobile station 21, i.e., the permanent NAS (Non Access Stratum) ID of the mobile station 21. In addition, the common ID message carries a list of target PLMNs allowed for a particular user. The security setting procedure is performed in step (d). The purpose of this procedure is to allow the core network to communicate cryptographic and integrity mode information to the UMTS radio access network. The radio access network uses this information to select and load the encryption device for the user and signal data with the appropriate parameters and also to store the appropriate parameters for the integrity algorithm. Step (e) is used to transmit the L3-CC (call control) setting signal from the mobile station 21 to the MSC / VLR 23 via the RNC 22. The setup message includes all the information (such as call counterpart address information) required by the network that handles the call. The reverse transmission in step f carries the L3-CC call progress indicating that the call is being processed. In step (g), the RAB (Radio Access Carrier) allocation procedure is performed. The purpose of the RAB allocation procedure is to set up a new RAB and / or to enable modification and / or release of an already established RAB for a given user equipment. Steps h and i include alternative transmissions from the MSC / VLR 23 to the mobile station 21 via the RNC 22. In step (h), the L3-CC warning signal indicates that the warning has started on the other end of the call. In step (i), the L3-CC connection signal indicates that the call is accepted at the call partner user. Finally, the L3-CC connection signal is responded by the mobile station 21 to the L3-CC connection confirmation message sent through the RNC 22 to the MSC / VLR 23. Details regarding other signals and procedures can be obtained from the standards mention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표준에서 기술한 신호에 부가하여, 코어망의 MSC/VLR(23)는 사용자장비(21)를 위해 저장된 허용된 목표 무선접속망의 리스트를 통화설정 동안(더욱 구체적으로 단계(c)의 RANAP 공통 ID 메시지에서) RNC(22)로 전송한다. 리스트에 부가하여, 사용자장비(21)의 IMSI가 송신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signals described in the standard, the MSC / VLR 23 of the core network may also display a list of allowed target radio access networks stored for the user equipment 21 during call setup (more specifically, In the RANAP common ID message of step (c)). In addition to the list, the IMSI of the user equipment 21 is transmitted.

RNC(22)는 사용자장비(21)의 IMSI와 함께 수신 리스트를 저장하고, 이 리스트를 사용자장비(21)가 RNC(22)로부터 단절된 후에만 삭제한다. 따라서, RNC(22)는 사용자장비(21)의 가능한 핸드오버에 대하여 잠재적인 목표 무선접속망을 알 수 있다.The RNC 22 stores the reception list with the IMSI of the user equipment 21 and deletes this list only after the user equipment 21 is disconnected from the RNC 22. Thus, the RNC 22 may know the potential target radio access network for possible handover of the user equipment 21.

RANAP 공통 ID 메시지는 가입자의 IMSI가 코어망에 알려진 후 어느 때라도 전송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도 2에서 도시된 것처럼 가입자 인증이 성공적으로 실행된 후에 전송된다.The RANAP common ID message may be sent at any time after the subscriber's IMSI is known to the core network. Typically, as shown in Fig. 2, after the subscriber authentication is successfully executed, it is transmitted.

설명한 신호흐름은 또한 UMTS 패킷스위칭 PS 도메인에서 채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UMTS 무선접속망이 Iu 인터페이스를 통해 패킷스위칭 코어망의 SGSN에 연결되기 때문에 허용된 목표 무선접속망의 리스트가 SGSN에 저장되어야 한다. UMTS 패킷 도메인을 위한 신호는 회로스위칭 도메인과 동일한 표준에서 규정된다.The signal flow described can also be employed in the UMTS packet switching PS domain. However, in this case, since the UMTS radio access network is connected to the SGSN of the packet switching core network through the lu interface, a list of allowed target radio access networks must be stored in the SGSN. Signals for the UMTS packet domain are defined in the same standard as the circuit switching domain.

UMTS 무선접속망에서, 허용된 목표 무선접속망의 리스트는 RNC(22)로 또한 사용자장비(21)와의 연결이 특히 RANAP 재배치 요청(재배치에 필요한 자원의 할당을 목표 RNC에 요청하기 위해 코어망에 의해 전송된다)에서 이미 설정되었을 때의 이후 시점에서 전송될 수 있다.In a UMTS radio access network, the list of allowed target radio access networks is transmitted to the RNC 22 and also to the user equipment 21 by the core network in particular to request the target RNC to allocate RANAP relocation requests (allocation of resources necessary for relocation). Can be transmitted at a later time when it has already been set.

허용된 목표 무선접속망의 리스트를 회로스위칭 GSM 무선접속망에 제공할 수 있기 위해, 그러한 리스트는 GSM 무선접속망의 GSM BSC가 A-인터페이스를 통해 코어망의 MSC/VLR에 연결되면서 MSC/VLR에 다시 저장되어야 한다. 다음, 선택된 사용자장비 특정 리스트는 통화설정 동안 GSM BSC로의 BSSMAP(기지국 서브시스템 응용부분) 공통 ID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다. UMTS를 위한 RANAP 공통 ID 메시지와 유사하게, BSSMAP 공통 ID 메시지는 IMSI에 대한 BSC를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해 송신된다. 이 경우, 보안설정 및 할당절차는 상기 언급한 표준들 중의 하나에서 규정되는 것이 아니라, 기술사양 3GPP TS 48.008 V4.2.0: "제 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터; 기술사양 그룹 GSM EDGE 무선접속망; 이동서비스 스위칭센터 - 기지국 시스템(MSC - BSS) 인터페이스; 층 3 사양", 예를 들어 공표 1999에서 규정된다.In order to be able to provide a list of allowed target radio networks to the circuit switched GSM radio network, such a list is stored back in the MSC / VLR while the GSM BSC of the GSM radio network is connected to the MSC / VLR of the core network via the A-interface. Should be. The selected user equipment specific list may then be included in the BSSMAP (Base Station Subsystem Application) Common ID message to the GSM BSC during call setup. Similar to the RANAP Common ID message for UMTS, a BSSMAP Common ID message is sent to inform the user of the BSC for IMSI. In this case, the security setting and allocation procedure is not specified in one of the above mentioned standards, but technical specification 3GPP TS 48.008 V4.2.0: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or; technical group GSM EDGE wireless access network; mobile service switching center A base station system (MSC-BSS) interface; layer 3 specification ", for example published 1999.

GSM 2G PS 도메인에서, GSM 무선접속망의 GSM BSC는 Gb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시 SGSN에 연결된다. 따라서, 또한 이 옵션에 대하여, 허용된 목표 무선접속망의 리스트는 SGSN에 저장되어야 한다. 다음, 사용자장비 특정 리스트는 DL(다운링크)-UNIDATA 메시지(다운링크 상의 정보요소를 포함한다)에 또는 Gb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SGSN에서 GSM BSC로의 BSS-CREATE-PFC(Packet Flow Context)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다. BSS-CREATE-PFC 메시지는 BSS가 BSS Packet Flow Context를 생성하거나 수정하는 것을 SGSN이 요청할 수 있도록 한다. 세션 설정을 위한 BSC과 SGSN 사이의 신호는 GSM PS 도메인에 대하여 기술사양 3GPP TS 48.018 V4.0.0: "제 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 기술사양 그룹 GSM EDGE 무선접속망; 일반패킷무선서비스(GPRS); 기지국시스템(BBS) - 서빙 GPRS 지원노드(SGSN); BSS GPRS 프로토콜(BSSGP)", 예를 들어 공표 2000에서 규정된다.In the GSM 2G PS domain, the GSM BSC of the GSM radio network is connected back to the SGSN via the Gb interface. Therefore, also for this option, a list of allowed target radio access networks must be stored in the SGSN. The user equipment specific list may then be included in a DL (downlink) -UNIDATA message (including information elements on the downlink) or in a BSS-CREATE-PFC (Packet Flow Context) message from SGSN to GSM BSC using the Gb interface. Can be. The BSS-CREATE-PFC message allows the SGSN to request that the BSS create or modify the BSS Packet Flow Context. Signals between BSC and SGSN for session establishment are specified for the GSM PS domain. Technical Specification 3GPP TS 48.018 V4.0.0: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Technical Group GSM EDGE Radio Access Network; 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Base Station System. (BBS)-Serving GPRS Support Node (SGSN); BSS GPRS Protocol (BSSGP) ", for example as defined in Publication 2000.

또한 GSM에서, 상기 리스트는 특히 BSSMAP 핸드오버 요청메시지(사용자장비가 BSS로 핸드오버되어야 한다는 것을 표시하기 위해 MSC에서 BSS로 전송된다)에서 이후 시점에서 GSM BSC로 송신될 수 있다.Also in GSM, the list may be transmitted to the GSM BSC at a later point in time, especially in a BSSMAP handover request message (sent from the MSC to the BSS to indicate that the user equipment should be handed over to the BSS).

PLMN으로의 사용자장비에 대한 접속의 다른 가능성의 결과로서, 모든 SGSN 및 PLMN의 MSC/VLR은 선택된 사용자장비에 대하여 사용자장비의 핸드오버가 어느 무선접속망으로 허용되는지를 표시하는 리스트를 제공받아야 한다. 그러면 성공적인 핸드오버는 광범위한 방법으로 가능하다.As a result of the different possibilities of access to the user equipment to the PLMN, all SGSNs and MSCs / VLRs of the PLMN shall be provided with a list indicating which radio access network the handover of the user equipment is permitted for the selected user equipment. Successful handover is then possible in a wide range of ways.

리스트의 송신은 단지 코어망에 대해 옵션이다. 리스트가 실제로 RNC에 전송되는지 여부는 코어망의 재량이다.Sending the list is only optional for the core network. Whether the list is actually sent to the RNC is at the discretion of the core network.

Claims (16)

제 1무선접속망(11)에서 제 2무선접속망(13)으로의 사용자장비(15)의 핸드오버를 지원하는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for supporting the handover of the user equipment 15 from the first wireless access network 11 to the second wireless access network 13, 상기 제 1무선접속망(11)이 연결된 코어망이 상기 코어망에 저장된 정보를 상기 제 1무선접속망(11)에 송신하고, 상기 정보는 상기 사용자장비(15)의 핸드오버가 어느 무선접속망(13)으로 허용되는지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core network to which the first wireless access network 11 is connected transmits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core network to the first wireless access network 11, and the information indicates that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13 has a handover of the user equipment 15. ) To indicate whether it is allow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무선접속망(11)을 통해 상기 사용자장비(15)와 상기 코어망 사이의 연결 설정 동안, 상기 정보는 상기 코어망에서 상기 제 1무선접속망(11)으로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during the connection establishment between the user equipment 15 and the core network via the first wireless access network 11, the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core network to the first wireless access network 11. Characterized in that the method.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상기 코어망에 의한 상기 사용자장비(15)의 인증 후 상기 코어망에서 상기 제 1무선접속망(11)으로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said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said core network to said first wireless access network (11) after authentication of said user equipment (15) by said core network.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상기 제 1무선접속망(11)의 제 1망구성요소에서 상기 제 1무선접속망(11)의 제 2망구성요소로 상기 사용자장비를 핸드오버하기 위해 송신된 핸드오버 신호 동안 상기 코어망에서 상기 제 1무선접속망(11)으로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4. The user equipment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information is from a first network component of the first wireless access network 11 to a second network component of the first wireless access network 11. And from said core network to said first wireless access network (11) during a handover signal transmitted for handover.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망에서 상기 제 1무선접속망(11)으로 송신된 상기 정보는 상기 사용자장비(15)의 핸드오버가 허용되는 각 무선접속망(13)의 MCC(이동국가코드) 및 MNC(이동망코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5. The radio access network (13)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said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said core network to said first radio access network (11) is allowed for handover of said user equipment (15). MCC (Mobile Country Code) and MNC (Mobile Network Code).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망에서 상기 제 1무선접속망(11)으로 송신되는 상기 정보는 상기 코어망이 속하는 이동통신망의 운영자에 의해 상기 코어망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th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ore network to the first wireless access network 11 is provided to the core network by an operator of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which the core network belongs. How to feature.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망은 특정 사용자장비(15)에 대하여 상기 정보가 송신되어야 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Method according to one of the preceding claim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re network determines whether the information should be transmitted for a particular user equipment (15).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망에서 상기 제 1무선접속망(11)으로 송신되는 상기 정보는 상기 사용자장비(15)에 의한 핸드오버가 허용되는 무선접속망(11, 13)이 상기 제 1무선접속망(11)에 의한 핸드오버에 대해 어느 순서로 선택되는 지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8. The wireless access network (11)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wherein th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ore network to the first wireless access network (11) is allowed for handover by the user equipment (15). And 13) indicating in which order the handover by the first wireless access network (11) is selected.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장비(15)는 가상이동망운영사업자에 가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9.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claims,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r equipment (15) is subscribed to a virtual mobile network operator.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장비에 대해 또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장비 그룹에 대해 각각의 사용자장비(15)의 핸드오버가 어느 무선접속망(11, 13)으로 허용되는지를 표시하는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수단과,Storage means for storing information indicating to which radio access network (11, 13) handover of each user equipment (15) is permitted for at least one user equipment or for at least one user equipment group; 특정 사용자장비(15)에 대해 또는 특정 사용자장비 그룹에 대해 저장된 상기 정보를 상기 특정 사용자장비(15) 또는 상기 사용자장비 그룹의 멤버가 현재 연결되거나 연결을 설정하고 있는 무선접속망(11)으로 송신하는 송신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코어망.Transmitting the information stored for a specific user equipment 15 or for a specific user equipment group to a wireless access network 11 to which the particular user equipment 15 or a member of the user equipment group is currently connected or establishing a connection. A core network of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omprising a transmitting means. 이동통신시스템의 코어망을 위한 망구성요소로서,As a network component for a core network of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장비에 대해 또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장비 그룹에 대해 각각의 사용자장비(15)의 핸드오버가 어느 무선접속망(11, 13)으로 허용되는지를 표시하는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수단과,Storage means for storing information indicating to which radio access network (11, 13) handover of each user equipment (15) is permitted for at least one user equipment or for at least one user equipment group; 특정 사용자장비(15)에 대해 또는 특정 사용자장비 그룹에 대해 저장된 상기 정보를 상기 특정 사용자장비(15) 또는 상기 사용자장비 그룹의 멤버가 현재 연결되거나 연결을 설정하고 있는 무선접속망(11)으로 송신하는 송신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구성요소.Transmitting the information stored for a specific user equipment 15 or for a specific user equipment group to a wireless access network 11 to which the particular user equipment 15 or a member of the user equipment group is currently connected or establishing a connection. Network element comprising a transmitting means.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망구성요소는 SGSN(서빙 일반패킷무선시스템 지원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구성요소.12. The network component of claim 11, wherein the network component is a serving general packet wireless system support node (SGSN).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망구성요소는 MSC/VLR(이동서비스 스위칭센터/방문자위치 레지스터) 또는 MSC 서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구성요소.12. The network component of claim 11, wherein the network component is a mobile service switching center / visitor location register (MSC / VLR) or an MSC server. 이동통신시스템의 코어망을 위한 망구성요소로서,As a network component for a core network of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상기 망구성요소에 현재 연결되거나 연결을 설정하는 사용자장비(15)에 대해 상기 사용자장비(15)의 핸드오버가 어느 무선접속망(11, 13)으로 허용되는지를 표시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수단과,Receiving means for receiving information indicating to which user equipment 15 a handover of the user equipment 15 is permitted to the user equipment 15 that is currently connected or establishes a connection to the network component; , 상기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사용자장비에 대한 정보에 따라서 다른 무선접속망의 망구성요소로의 상기 사용자장비(15)의 핸드오버를 위해 다른 무선접속망의 망구성요소를 선택하는 선택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구성요소.And selecting means for selecting a network component of another wireless access network for handover of the user equipment 15 to the network component of another wireless access network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about the user equipment received by the receiving means. Network component characterized in that.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망구성요소는 UMTS RNC(UMTS 무선망 제어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구성요소.15. The network component of claim 14, wherein the network component is a UMTS radio network controller (UMTS RNC).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망구성요소는 GSM BSC(GSM 기지국 제어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구성요소.15. The network component of claim 14, wherein the network component is a GSM base station controller (BSC).
KR1020027016337A 2002-11-29 2001-03-30 Method for supporting a handover between radio access networks KR2003000781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7016337A KR20030007810A (en) 2002-11-29 2001-03-30 Method for supporting a handover between radio access network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7016337A KR20030007810A (en) 2002-11-29 2001-03-30 Method for supporting a handover between radio access network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7810A true KR20030007810A (en) 2003-01-23

Family

ID=49322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6337A KR20030007810A (en) 2002-11-29 2001-03-30 Method for supporting a handover between radio access network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07810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4243B1 (en) * 2003-06-30 2010-08-06 텔레콤 이탈리아 소시에떼 퍼 아찌오니 A Method For Network Selec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Related Network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Theref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4243B1 (en) * 2003-06-30 2010-08-06 텔레콤 이탈리아 소시에떼 퍼 아찌오니 A Method For Network Selec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Related Network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Theref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029587A1 (en) Method for supporting a handover between radio access networks
KR100960628B1 (en) Intersystem handover of a mobile terminal
AU2005290973B2 (en) Transfer of a user equipment in a communication system
US7200401B1 (en) Operator forced inter-system handover
JP3851271B2 (en) Communication 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networks
CN1864394B (en) Method for selecting a core network
EP1360862B1 (en) Coordinated subscriber access handling for shared network support
US7957721B2 (en) Coordinated subscriber access handling for shared network support
CA2365013C (en) Ip address allocation for mobile terminals
CA2352233C (en) A method for controlling connections to a mobile station
KR101773158B1 (en) Method for dynamically switching mobile network, subscription manager, and user equipment
EP1419666B1 (en) Methods involving a core network node that is handling a mobile subscriber and initiates a request to a second core network node to handle said mobile subscriber
KR101684699B1 (en) Method for communicating in mobile telecommunication network and system therefor
CN103517360A (en) Switching method, system and device
WO2002065789A2 (en) Method for determining whether to grant access of a user equipment to a radio access network
CN107995635B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network access result and computer storage medium
WO2019158483A1 (en) Interconnections between the core networks
KR20030007810A (en) Method for supporting a handover between radio access networks
AU2001265850A1 (en) Method for supporting a handover between radio access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