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6852A - desk - Google Patents

des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6852A
KR20030006852A KR1020010042964A KR20010042964A KR20030006852A KR 20030006852 A KR20030006852 A KR 20030006852A KR 1020010042964 A KR1020010042964 A KR 1020010042964A KR 20010042964 A KR20010042964 A KR 20010042964A KR 20030006852 A KR20030006852 A KR 200300068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k
chair
support member
main body
sl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29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권하
Original Assignee
정권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권하 filed Critical 정권하
Priority to KR10200100429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06852A/en
Publication of KR20030006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6852A/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68Arm-rest tables ; or back-rest tables
    • A47C7/70Arm-rest tables ; or back-rest tables of foldabl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14Foldable table and seat units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PURPOSE: A chair which also serves as a desk is provided to facilitate a folding manipulation of the desk while keeping the support strength of the desk, thus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use thereof, and to endow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thereto. CONSTITUTION: The chair(2) comprises a body part(1), which is formed at one side thereof, and an arm rest part(3), which is formed at the other side thereof and adapted to support the body part and to share a load of the body part. The body part includes a desk, a body support member and a rotating device. The desk is able to effectively perform a function of an ankle support as well as a function of conventional desks, through a free change effect of installation position thereof.

Description

의자기능을 겸한 책상{desk}Desk with chair function {desk}

본 발명은 책상이 형성된 의자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책상을 절첩하여 책상을 사용하지 않고 의자로서 만의 기능을 담당케 할 수도 있으며, 또한 책상을 의자에 완전히 결합을 하여 절첩이 불가능하나 견고한 결합을 통하여 강의용 의자 등으로 활용을 할 수가 있다. 또한 책상을 절첩식 의자에 결합하여 의자와 책상의 절첩을 동시에 행 할 수도 있다. 책상의 길이 등을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맞도록 조절할 수가 있도록 구성을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발목지지대로서 책상을 이용할 수가 있도록 구성을 하였다. 본 발명은 책상이 형성된 본체부와 이를 지지하는 팔걸이부를 통하여 견고히 책상을 지지할 수가 있도록 구성이 되어진다. 본 발명에서 책상이 형성이 되어진 본체부와 이를 지지하는 팔걸이부는 각각 단독으로 또는 양자를 동시에 사용을 할 수가 있으며, 이들을 비사용시에는 절첩하여 보관을 할 수도 있게 하였다. 또한 보조적인 소책상을 좌판에 착탈 또는 고정식으로 설치할 수가 있도록 구성하여 간이책상의 사용효율을 극대화시킬 뿐만아니라, 독서대를 절첩식으로 책상에 구성하여 편리함을 추가시켰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ir on which a desk is forme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olded to the desk without having to use the desk as a chair, and can be used as a chair, and can also be used as a lecture chair, etc. through the rigid coupling combined with the desk completely combined with the chair. It is also possible to combine the desk with a folding chair to simultaneously fold the chair and the desk. The length of the desk can be adjusted to suit the physical condition of the user.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was configured to be able to use the desk as ankle support.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be able to firmly support the desk through the body portion and the armrest supporting the desk is form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portion and the armrest portion supporting the desk may be used alone or both at the same time, and when not in use, they can be folded and stored. In addition, the auxiliary bookshelf can be detachably or fixedly installed on the seat to maximize the use efficiency of the simple desk, and the convenience of adding the convenience by folding the reading stand on the desk.

본 발명은 의자와 책상의 기능을 동시에 사용할 수가 있게 한 책상기능을 구성한 의자 또는 의자 기능을 구성한 책상에 대한 기술이다. 본 발명은 의자와 책상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게도 하며, 책상을 사용하지 않고 의자만의 기능을 사용케 할 수도 있다. 종래 기술로서는 휠체어 의자에 형성이 되어진 팔걸이의 한 측면에 힌지 결합을 통하여 간이책상을 펴거나 접거나 하는 정도의 간단한 기술이 있어왔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technique for a desk comprising a chair or a chair function that constitutes a desk function that allows the functions of a chair and a desk to be used at the same time. The present invention also allows the chair and the desk to be used at the same time, it is also possible to use the function of the chair without using the desk. In the prior art, there has been a simple technique such as extending or folding a simple desk through a hinge coupling to one side of an armrest formed on a wheelchair chair.

책상의 기능이 구비되어진 의자에 있어서, 책상의 절첩을 행할 수가 있는 기술적 구성과, 또한 책상의 사용시 견고하며 편리하게 사용자가 사용을 할 수가 있도록 본체부와 팔걸이부로 분리하여 책상이 받는 하중을 지지하게 하는 기술과 발목지지대로서 책상을 사용할 수가 있는 기능 등 편리함을 주기 위한 본체부의 다양한 기능적 측면을 제고한 기술의 구현을 그 과제로 하였다.In the chair equipped with the function of the desk, the technical configuration that can fold the desk, and also separate the main body and armrest so that the user can use the desk when using the desk to support the load that the desk receives The task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to implement a technology that enhances various functional aspects of the main body to provide convenience, such as a function to use a desk as a support and an ankle support.

제 1 도는 종래의 절첩식 의자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folding chair.

제 2 도는 절첩식 의자에 책상을 형성한 의자의 구성도이다.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hair in which a desk is formed on a folding chair.

제 3 도는 제 2 도의 사용 상태도이다.3 is a use state diagram of FIG.

제 4 도는 본체부의 구성도이다.4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main body.

제 5 도는 회전수단의 실시예이다.5 is an embodiment of a rotating means.

제 6 도는 팔걸이부의 구성도이다.6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armrest portion.

제 7 도는 기능확대 팔걸이부의 구성도이다.7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function expansion armrest.

제 8 도는 동일 평면내의 회전수단의 구성도이다.8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rotating means in the same plane.

제 9 도는 책상으로 사용할 때의 상태도이다.9 is a state diagram when using as a desk.

제 10 도는 발목 지지대로 사용할 때의 상태도이다.10 is a state diagram when used as an ankle support.

제 11 도는 의자로만 사용할 때의 상태도이다.11 is a state diagram when using only as a chair.

제 12 도는 제 11 도의 부가설명도이다.12 is an additional explanatory diagram of FIG.

제 13 도는 절첩상태도이다.13 is a folded state diagram.

제 14 도는 다단 슬라이더 정지홈을 형성시킨 구성의 설명도이다.14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configuration in which a multistage slider stop groove is formed.

제 15 도는 길이조절 수단의 실시예이다.15 is an embodiment of the length adjusting means.

제 16 도는 내부수장 슬라이더를 가지는 복합수단의 실시예이다.16 is an embodiment of a combined means having an internal palm slider.

제 17 도는 내부지지부재의 단면도이다.1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ner support member.

제 18 도는 내부수장 슬라이더를 가지는 버팀부재의 작용 설명도이다.18 is an explanatory view of the operation of the brace member having the inner storage slider.

제 19 도는 내부수장 슬라이더를 가지는 지지블라켓의 구성도이다.19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upport bracket having an internal storage slider.

제 20 도는 고정책상부를 형성한 분할책상의 구성도이다.20 is a block diagram of a divided desk forming a high policy upper part.

제 21 도는 고정식 의자에 대한 책상 구성도이다.2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desk for a stationary chair.

제 22 도는 제 21 도의 사용 설명도이다.22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use of FIG.

제 23 도는 또다른 고정식 의자에 대한 책상 구성도이다.23 is a desk diagram for another stationary chair.

제 24 도는 제 23 도의 사용 설명도이다.24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the use of FIG.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Description of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1:본체부 2:의자 3:팔걸이부 4:독서대 7:결합돌출부 9:회전수단1: main body 2: chair 3: armrest 4: reading stand 7: combined protrusion 9: rotating means

11:버팀부재 18:결합요홈 44:슬라이더 60:내부수장슬라이더11: Bracing member 18: Joining groove 44: Slider 60: Internal storage slider

63:스토퍼 77:고정책상부63: Stopper 77: High policy upper part

본 발명은 의자에 책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책상이 형성이 되어져 있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를 지지하며 본체부의 하중을 분담하기 위한 팔걸이부로 구성이 되어진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팔걸이부의 구성을 생략하여 본체부만으로서도 휼륭히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팔걸이부 만으로도 독자적인 기능을 충분히 달성할 수가 있으므로, 본 발명의 이러한 독자적인 부분도 역시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한다. 본 발명 책상은 책상으로 사용을 하는 것과, 발목지지대로 사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도록 구성을 하였다. 이를 가능토록 하기 위하여 책상을 특정위치에 위치토록 하는 슬라이더의 기능에 특징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효과를 추구하기 위하여 의자에 책상이 형성되는 것뿐만 아니라, 의자의 좌판 하부에 수납장을 형성하며, 책상의 전면에 절첩식 독서대를 구성키도 하며, 의자 좌판의 일측에 컴퓨터 사용시 마우스등을 위치시킬 수 있는 소책상을 형성한다. 물론 이러한 다양한 기술적 구성은 절첩을 시킬 수 있는 절첩식 의자와 완전히 고정이 되어 절첩이 불가능한 고정식 의자에도 공히 사용이 되어질 수 있는 기술구성이다. 또한 절첩식 의자의 경우에는 책상도 의자와 같이 절첩을 할 수도 있으며, 비절첩식 의자의 경우에도 책상만이라도 의자에 절철할 수 있는 기술적 구성을 형성을 할 수가 있다. 그러나 모두 절첩을 하지 않는 경우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바탕으로 상세히 설명을 하겠다.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a main body portion on which a desk is formed, and an armrest portion for supporting the main body portion and sharing the load of the main body portion in order to form a desk in a chair. However, in some cases, since the structure of the armrest part is omitted, not only the main body part can perform the function well, but also the armrest part alone can sufficiently achieve its own function, and this unique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o. The des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be used as a desk and also to be used as an ankle support. It is characterized by the slider's ability to position the desk in a specific position to make this possible. In addition, in order to pursue the various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a desk is formed in the chair, but also a storage cabinet is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seat of the chair, and a folding reading stand is formed in the front of the desk, and a computer is used on one side of the chair seat. We form small desk which we can place mouse. Of course, these various technical configurations are a folding configuration that can be folded and a technical configuration that can be used both in the fixed chair can not be completely fixed.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folding chair, the desk can also be folded like a chair. In the case of a non-folding chair, even a desk can form a technical configuration that can be folded on the chair. However, it is also possible to not fold them all. 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drawings.

제 1 도는 종래의 절첩식 의자의 사시도이다. 일반적으로 널지 알려진 절첩가능한 의자이다. 본 발명은 도시된 형상의 절첩가능한 의자만을 적용대상으로 하지 않는다. 단지 본 도면은 그 대표적인 절첩의자를 예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은 절첩식 의자에 책상을 형성한 것과 후술되어지는 고정식 의자에 책상을 형성하는 기술을 포함한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folding chair. It is a folding chair known in general.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the only collapsible chair of the illustrated shape. This figure only illustrates the representative folding chair.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echnique of forming a desk on a folding chair as shown and a desk on a fixed chair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제 2 도와 제 3 도는 절첩식 의자에 책상을 형성한 의자의 구성도이다. 본 도면에서도 책상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키로 하고, 본 도면에서 우선 본 발명은 종래의 의자(2)에 책상이 형성된 본체부(1)와 상기 본체부를 지지하는 팔걸이부(3)로 형성되었음을 알수가 있다. 책상에는 절첩가능한 독서대(4)를 형성하며, 또한 컵을 고정시킬 수가 있는 컵고정구멍(5) 등을 형성을 할 수가 있다.2 and 3 are diagrams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hair in which a desk is formed on a folding chair. In the drawings,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desk will be described later. First, in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seen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f a body part 1 having a desk formed on a conventional chair 2 and an armrest part 3 supporting the body part. There is. The desk can be formed with a foldable reading table 4, and a cup fixing hole 5 or the like which can fix the cup can be formed.

제 4 도는 본체부의 구성도이다. 본체부에는 책상(6)이 형성이 되어져 있으며, 책상은 본체부지지부재(10)에 의하여 의자의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이 되어져 있다. 본체부 지지부재에는 회전수단(9)이 결합이 되며, 회전수단에 의하여 본체부지지부재와 책상이 연결이 되어진다. 본체부 지지부재에는 버팀부재(11)의 한쪽 단부가 슬라이더를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이 되어진다. 슬라이더는 본체부 지지부재를 따라 이동하며 특정위치에 고정이 될 수가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슬라이더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제 14 도에서 하겠다. 상기 버팀부재의 다른 단부는 의자의 기둥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이 되어진다. 회전수단(9)은 책상을 본체부 지지부재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수단이다. 이러한 회전수단으로서는 경첩등 다른 다양한 형태의 것들로도 회전수단을 구성을 할 수가 있다. 회전수단에 있어서 책상의 회전을 일정한 각도범위에만 회전을 시킬 수도 있으며, 각도의 제한 없이 자유롭게 회전만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양자 모두 각자의 기술적인 특징을가지게 되므로 본 발명에서는 모두 채택을 할 수가 있다.책상의 밑바닥 면에는 상기 책상을 팔걸이부에 견고히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고정구(8)를 형성 할 수도 있다. 또한 책상의 하부면의 일부에 돌출되어진 결합돌출부(7)를 형성하며, 이를 팔걸이부의 결합요홈(18)에 결합시킨다. 본 발명에서 본체부의 기술구성은 중요한 부분을 감당한다. 본체부는 책상의 본체가 형성된 부분이며, 의자로 출입을 할 수가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출입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본체부에서는 책상을 회전시켜서 사용자가 들어가고 나올 수가 있도록 하는 구성을 취한다. 책상의 회전의 방법에 있어서, 후술될 제 8 도에서와 같이 책상이 형성된 평면 내에서 책상을 회전시킬 수도 있으며, 다른 방법으로는 책상을 본체부 지지부재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을 시킬 수도 있다. 만약 본체부에 회전수단이 결합이 되어있지 않다면 그것은 이미 본체부의 기능이 아니라 팔걸이부의 기능으로 개념이 이동이 되어진다. 본 발명에서 본체부는 반드시 본체부 지지부재와 책상을 회전수단으로 결합하는 것으로 정의를 한다. 지지부재에 책상을 가진다 하더라도 회전수단을 가지지 않게 되면 본 발명의 개념상으로는 본체부에 해당하지 않고 오히려 후술되어질 팔걸이부에 해당이 된다하겠다.4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main body. A desk 6 is formed in the main body, and the desk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frame of the chair by the main body supporting member 10. The rotating means 9 is coupled to the main body supporting member, and the main body supporting member and the desk are connected by the rotating means. One end of the support member 11 is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support member through a slider. The slider moves along the main body support member, and has a structure that can be fixed at a specific posi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lider will be given in FIG. The other end of the brace member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pillar of the chair. The rotating means 9 is a means for rotatably connecting the desk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support member. As the rotating means, the rotating means can be made of various other types such as hinges. In the rotating means, the rotation of the desk may be rotated only in a certain angle range, or may be freely rotated without limiting the angle. Since both of them have their own technical features, both of them can be adopt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ottom surface of the desk may be formed with a fastener 8 that securely attaches and detaches the desk to the armrest. In addition, it forms a coupling protrusion 7 protruding from a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desk, it is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18 of the armrest por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main body covers an important part. The main body is a portion in which the main body of the desk is formed, and provides a function of allowing access to the chair. In order to provide a function of the access, the main body portion is configured to rotate the desk so that the user can enter and exit. In the method of rotating the desk, the desk may be rotated in a plane in which the desk is formed as shown in FIG. 8 to be described later. Alternatively, the desk may be rotated about an axis of the main body support member. If the rotating means is not coupled to the main body, it is not already a function of the main body, but rather a function of the armres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portion is necessarily defined as combining the main body support member and the desk by the rotation means. Even if the support member has a desk, if it does not have a rotating means,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correspond to the main body, but rather corresponds to the armrest to be described later.

제 5 도는 회전수단의 실시예이다. 회전수단이란 책상을 본체부 지지부재에 대하여 회전을 시키는 수단을 말하며 이것은 다양한 형태를 구성을 할 수가 있다. 가장 간단한 하나의 실시예로서 회전스토퍼(15)가 형성된 회전체(14)와 회전범위(13)가 형성된 정지체(16)를 결합하여 회전의 범위를 한정하는 구성을 들 수가 있다.5 is an embodiment of a rotating means. Rotating means means a means for rotating the desk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support member, which can be configured in various forms. As one of the simplest embodiments, there may be exemplified a constitution in which the rotating body 14 having the rotary stopper 15 and the stopper 16 having the rotating range 13 are combined to limit the range of rotation.

제 6 도는 팔걸이부의 구성도이다. 팔걸이부는 상기의 본체부를 지지하는 기능을 담당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독자적으로 팔걸이부의 기능을 담당하기도 한다. 팔걸이부는 팔걸이지지부재(19)에 의하여 지지가 된다. 팔걸이부 지지부재에는 팔걸이(17)가 형성이 되고, 일 단부는 의자의 프레임 기둥에 회전가능하게 연결이 되어진다. 또한 지지부재의 중간부에는 슬라이더를 통하여 버팀부재(21)가 회전가능하게 연결이 되어진다. 상기 버팀부재의 다른 일 단부는 의자의 기둥에 회전가능하게 연결이 되어진다. 슬라이더(26)는 팔걸이 지지부재를 따라 슬라이더 이동을 행하며, 특정 위치에 정지할 수가 있도록 구성이 되어진다. 팔걸이(17)에는 본체부의 결합돌부가 결합이 되어지는 결합요홈(18)이 형성된다.6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armrest portion. The armrest part is responsible for the function of supporting the main body part, and in some cases may also be responsible for the function of the armrest part independently. The armrest part is supported by the armrest support member 19. Armrest 17 is formed in the armrest support member, one end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frame pillar of the chair. In addition, the support member 21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intermediate portion of the support member through a slider. The other end of the brace member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pillar of the chair. The slider 26 performs a slider movement along an armrest support member, and is comprised so that it may stop at a specific position. The armrest 17 is formed with a coupling groove 18 to which the coupling protrusion of the main body is coupled.

제 7 도는 기능확대 팔걸이부의 구성도이다. 이는 팔걸이부의 면적을 증대시키며 결합요홈(27)과 컵고정구멍(28)을 형성하는 등 다양한 기능을 추가하여 편리하게 사용을 할 수가 있다. 팔걸이부로서의 가장 간단한 형태는 팔걸이지지부재 자체만으로 구성되는 경우이며, 다음으로 간단한 경우는 팔걸이지지부재에 팔걸이만 형성되게 하여 책상을 지지하면서 팔걸이의 기능을 담당하는 형태이다. 한 걸음 나아가 팔걸이의 면적을 크게 하여 각종 다양한 간단한 형태의 책상기능을 팔걸이에 추가하게 될 경우에는 이를 기능확대 팔걸이부라 정의를 한다. 본체부와 팔걸이부의 구별점은 회전수단의 유무에 의하여 결정한다. 즉 지지부재와 책상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전부재가 존재하면 본체부로, 만약 회전부재가 존재하지 않으면 팔걸이부로 정의를 한다. 본체부와 팔걸이부를 상기의 설명과 같이 지지부재를 통하여 절첩식으로 형성을 할 수도 있으며, 이들을 연결하는 지지부재들을 의자의 프레임에 대하여 완전히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식으로 형성을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고정식에 대한 설명은 후술키로 한다.7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function expansion armrest. This increases the area of the armrest portion and can be conveniently used by adding a variety of functions, such as forming the coupling groove 27 and the cup fixing hole 28. The simplest form as the armrest part is the case consisting of only the armrest support member itself, and the next simple case is to form the armrest support member on the armrest support member to support the desk while supporting the function of the armrest. In addition, if the area of the armrest is increased to add various various simple desk functions to the armrest, this is defined as the function expansion armrest part. The distinction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armrest is determined by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rotating means. In other words, if there is a rotating member that rotatably connects the support member and the desk, it is defined as the main body part, and if there is no rotating member, the armrest part is defined. As described above, the main body and the armrest may be formed by folding the support member, and the supporting members connecting them may be fixedly formed by welding or the like to the frame of the chair. . The description of the fixed type will be described later.

제 8 도는 동일 평면내의 회전수단의 구성도이다. 사용자가 의자내부로 들어오고 나가도록 하기 위하여서는 책상을 회전을 시켜야만 하는데 본 도면에서는 책상을 책상이 사용되어지고 있는 상태 즉 수평 평면 내에서 회전을 시킬 수 있는 구조의 회전대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책상은 사용자의 출입을 위하여 회전을 시키게 된다. 이때 회전 시 책상 위에 놓여있던 물건을 있는 그대로 둔 상태로 출입을 하면 더욱 효과적이라 하겠다. 이를 위하여서는 책상이 놓여진 평면 내에서 책상을 회전시키면 이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목적으로 본체부 지지부재(31)에 회전대(30)를 형성하며, 상기 회전대에 책상(29)을 핀으로 결합시키면, 책상의 회전이 책상이 놓여진 평면 내에서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8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rotating means in the same plane. In order to allow the user to enter and exit the inside of the chair, the desk must be rotated. In this drawing, the desk is an explanatory diagram illustrating a swivel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desk can be rotated within a horizontal plane. The desk is rotated for the user's entrance and exit. At this time, it would be more effective to enter and leave things that were on the desk as it was when rotating. This is possible by rotating the desk in the plane in which it is placed. For this purpose, by forming the rotary table 30 in the main body support member 31, by coupling the desk 29 to the rotary table with a pin, the rotation of the desk is to be made in the plane on which the desk is placed.

제 9 도는 책상으로 사용할 때의 상태도이다. 팔걸이부의 작용과 본체부의 작용이 동일하므로 본 도면에서부터는 팔걸이 부의 작용을 중심으로 기술을 설명하고자 한다. 책상(32)이 본체부지지부재(34)위에 위치가 되어져 있다. 물론 회전수단에 의하여 연결이 되어지나, 본 도면에서는 회전수단의 도시가 생략이 되어져 있다. 책상은 사용자의 신체구조에 따라 사용자의 앞 뒤로 이동시킬 수가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본체부 지지부재에 길이조절수단(33)을 형성하며, 이에 대하여서는 후술키로 한다. 본체부 지지부재에 슬라이더를 통하여 버팀부재(35)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버팀부재는 또한 의자의 기둥에 회전가능하게 연결이 된다. 본체부 지지부재는 회동부재에 의하여 의자 기둥에 회전가능하게 연결이 된다.슬라이더를 지지부재의 특정부위에 위치를 하게 되면, 책상이 수평으로 견고히 위치를 하게 되는데 본 도면은 그 상태를 의미한다.9 is a state diagram when using as a desk. Since the operation of the armrest portion and the operation of the body portion is the same, from this figure will be described the technique centering on the action of the armrest portion. The desk 32 is positioned on the main body support member 34. Of course, the connection is made by the rotating means, but the illustration of the rotating means is omitted in this figure. The desk may be moved back and forth according to the user's body structure. To this end, the length adjusting means 33 is formed on the main body support member,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support member 35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support member through the slider, and the support member is also rotatably connected to the pillar of the chair. The main body supporting member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chair post by the rotating member. When the slider is positioned at a specific portion of the supporting member, the desk is firmly positioned horizontally, and this drawing means the state.

제 10 도는 발목 지지대로 사용할 때의 상태도이다. 제 9 도에서 슬라이더를 책상쪽으로 이동을 시켜서 일정위치에 정지하게 되면, 버팀부재(37)와 책상(38)이 회전하다가 일정위치에 멈추게 된다. 이 위치는 의자의 사용자가 발목을 지지할 수가 있는 위치이다. 이와 같이 책상을 회전시켜서 발목 지지대로서 사용을 할 수가 있다.10 is a state diagram when used as an ankle support. In FIG. 9, when the slider is moved to the desk to stop at a predetermined position, the support member 37 and the desk 38 rotate and stop at a predetermined position. This position is where the user of the chair can support the ankle. In this way, the desk can be rotated and used as an ankle support.

제 11 도는 의자로만 사용할 때의 상태도이다. 제 10 도에서 슬라이더를 더욱 이동시키게 되면, 책상(40)이 의자 기둥과 만나는 위치가 있게 된다. 이 경우에는 책상의 용도는 사라지고 의자의 용도만 남게 된다.11 is a state diagram when using only as a chair. Further moving the slider in FIG. 10 results in a position where the desk 40 meets the chair post. In this case, the purpose of the desk disappears and only the purpose of the chair remains.

제 12 도는 제 11 도의 부가설명도이다. 제 11 도에서 책상을 길이조절수단을 통하여 윗쪽으로 단정히 정리를 할 수가 있음을 보여준다.12 is an additional explanatory diagram of FIG. 11 shows that the desk can be neatly arranged upward through the length adjusting means.

제 13 도는 절첩상태도이다. 본 도면은 책상과 의자를 동시에 절첩한 경우를 설명한다. 책상만을 절첩할 수도 있으며, 책상과 의자를 동시에 절첩을 행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양자를 동시에 절첩을 행 할 경우는 운반이 용이하며, 보관 장소를 작게 할 수가 있다.13 is a folded state diagram. This figure illustrates a case where a desk and a chair are folded at the same time. Only the desk can be folded, and of course, the desk and the chair can be folded at the same time. When both are folded at the same time, it is easy to carry and the storage place can be made small.

제 14 도는 다단 슬라이더 정지홈을 형성시킨 구성의 설명도이다. 슬라이더는 위치에 따라 이동시킬 수가 있다. 또한 슬라이더는 이동이 되어진 특정위치에 고정적으로 위치하여 있도록 구성이 된다. 여러 특정한 위치에 멈추도록 하기 위하여서 다단 슬라이더 정지홈을 형성 한다. 지지부재(45)에 다수의 슬라이더정지홈(46,47,48)를 형성하며, 상기 지지부재를 따라 미끄럼 이동하는 슬라이더(44)를 형성한다. 상기 슬라이더에는 스프링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지지가 되어지는 스토퍼(43)가 구성되며, 상기 스토퍼가 슬라이더 정지홈에 위치되어 특정위치에 슬라이더가 고정이 되어지게 한다. 이때 슬라이더 스토퍼를 해제하여 다른 슬라이더 정지홈으로 이동을 시킬 수가 있는 구성을 가진다. 스토퍼의 단면은 경사면(49)을 형성한다.14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configuration in which a multistage slider stop groove is formed. The slider can be moved by position. In addition, the slider is configured to be fixedly positioned at a specific position that has been moved. Multistage slider stops are formed to stop at various specific positions. A plurality of slider stop grooves 46, 47, and 48 are formed in the support member 45, and a slider 44 sliding along the support member is formed. The slider is provided with a stopper 43 that is elastically supported by a spring, and the stopper is positioned in the slider stop groove so that the slider is fixed at a specific position. At this time, the slider stopper is released to move to another slider stop groove. The cross section of the stopper forms an inclined surface 49.

제 15 도는 길이조절 수단의 실시예이다. 본체부와 팔걸이부에 대하여 사용자의 신체조건 등을 감안하여 그 전후 길이를 조절하는 것이 필요할 경우가 발생한다. 상기의 길이조절 수단의 실시예로서, 본체부 지지부재 또는 팔걸이부 지지부재(52)를 중공파이프로 구성하며, 상기 중공파이프 내부로 길이조절부재(51)를 삽입을 하고, 상기 지지부재와 길이조절부재를 슬라이더 시켜서 길이를 조절하게 하는 구성이다. 이때 지지부재에 길이방향으로 장공(53)을 형성하고, 길이조절부재에 길이조절핀(50)을 형성하며, 상기 길이조절핀이 장공의 바깥부로 돌출하여 장공내를 이동하게 한다. 너트를 통하여 길이조절핀의 위치를 고정함으로서 길이를 조절 할 수가 있다.15 is an embodiment of the length adjusting means. In some cases,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length before and after the main body and the armrest in consideration of the user's physical condition. As an embodiment of the length adjusting means, the main body support member or the armrest support member 52 is composed of a hollow pipe, inserting the length adjusting member 51 into the hollow pipe, the support member and the length It is a configuration to adjust the length by sliding the adjustment member. At this time, the long hole 53 is formed in the supporting memb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length adjusting pin 50 is formed in the length adjusting member, and the length adjusting pin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long hole to move in the long hole. The length can be adjusted by fixing the position of the length adjusting pin through the nut.

제 16 도는 내부수장 슬라이더를 가지는 복합수단의 실시예이다. 슬라이더를 지지부재를 둘러싸게 구성하는 것과 지지부재 내부에 수장되게 함으로서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하는 방법이 있다. 상기의 설명에서는 슬라이더를 지지부재를 외부에 보이게 구성을 하였으나 본 도면에서는 슬라이더를 지지부재 내부에 수장하는 것을 설명한다. 또한 길이조절을 하기 위하여 외부지지부재(54)의 내부에 내부지지부재(55)를 형성한다. 상기 내부지지부재는 상기 외부지지부재내에서 슬라이더 운동을 한다. 본체부 또는 팔걸이부의 내부지지부재의 내부에 슬라이더를 형성하고, 상기 슬라이더에 버팀부재(57)의 한 단부를 핀 결합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버텀부재의 다른 일단은 프레임 기둥(58)에 핀결합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이 되어진다. 또한 내부지지부재는 지지 브라켓(56)에 의하여 의자 기둥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이 되어진다. 슬라이더는 제 14 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슬라이더 정지홈에서 스토퍼에 의하여 멈출 수가 있다.16 is an embodiment of a combined means having an internal palm slider. There is a method of configuring the slider to surround the support member and to allow the slider to be enclosed within the support member so as to be invisible from the outside.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slider is configured to make the support member visible to the outside, but in this drawing, the slider is stored inside the support member. In addition, the inner support member 55 is formed inside the outer support member 54 to adjust the length. The inner support member performs a slider movement in the outer support member. A slider is formed in the inner support member of the main body portion or the armrest portion, and a structure for rotatably connecting one end of the support member 57 to the slider by pin coupling, and the other end of the bottom member is framed. The pillar 58 is rotatably coupled by pin coupling. In addition, the inner support member is rotatably coupled to the chair post by the support bracket 56. The slider can be stopped by the stopper in the slider stop groove as described in FIG.

제 17 도는 제 16 도의 내부지지부재의 단면도이다. 내부지지부재(59)의 내부에는 내부 수장 슬라이더(60)가 위치할 수 있는 슬라이더 홈이 형성이 되며, 상기 내부수장 슬라이더는 상기 내부 수장 슬라이더 홈 속에서 미끄럼 운동을 하며 위치한다. 상기 내부 수장 슬라이더의 하부에서 회전가능하게 연결핀(62)에 의하여 핀 결합으로 연결이 되는 버팀부재(61)가 구성이 된다. 버팀부재의 다른 단부는 의자의 기둥부에 역시 회전 가능하게 연결이 되어진다. 버팀부재는 프레임 기둥의 외면 형상과 부분적으로 동일한 표면 형상을 갖는 것으로 구성을 하게 되면 절첩하였을 경우에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 할 수가 있다.1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ner support member of FIG. Inside the inner support member 59 is formed a slider groove in which the inner head slider 60 can be positioned, and the inner head slider slides in the inner head slider groove. The support member 61 is connected to the pin coupling by the connecting pin 62 rotatably at the bottom of the inner storage slider is configured. The other end of the brace member is also rotatably connected to the post of the chair. The brace member has a surface shape that is partially identical to the outer surface shape of the frame pillar, thereby minimizing the space occupied when folded.

제 18 도는 내부수장 슬라이더를 가지는 버팀부재의 작용 설명도이다. 프레임기둥(69)에 핀 결합에 의하여 연결된 버팀부재(68)의 다른 단부는 내부수장 슬라이더(64)에 핀결합이 되어진다. 상기의 내부수장 슬라이더는 내부지지부재(66)에 형성된 슬라이더 가이더 홈(67) 내에서 슬라이더 운동을 하게 된다. 이러한 슬라이더 운동의 범위를 제한하는 슬라이더 리미트(65)가 내부지지부재에 형성이 된다.상기 리미트의 앞부분에는 스토퍼(63)가 형성이 된다. 상기 스토퍼는 스프링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지지되며, 상기 슬라이더의 운동을 제한하게 하는 기능을 한다.18 is an explanatory view of the operation of the brace member having the inner storage slider. The other end of the brace member 68 connected to the frame pillar 69 by pin coupling is pin coupled to the inner storage slider 64. The inner storage slider performs a slider movement in the slider guider groove 67 formed in the inner support member 66. A slider limit 65 for limiting the range of the slider movement is formed in the inner support member. A stopper 63 is formed in front of the limit. The stopper is elastically supported by a spring and functions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slider.

제 19 도는 내부수장 슬라이더를 가지는 지지블라켓의 구성도이다. 본 도면은 지지부재가 절첩된 상태이며, 버팀부재 역시 절첩이 되어진 상태를 나타낸다. 의자의 프레임 기둥(74)을 둘러싸고 있는 브라켓(70)에 전방으로 브라켓 날개를 양쪽으로 형성되며, 상기 브라켓 날개의 안에는 내부지지부재(71)가 회동핀(75)에 의하여 결합이 되어진다. 내부지지부재의 내부에 형성된 슬라이더 홈에는 내부수장 슬라이더(72)가 형성이 되며, 상기 내부수장 슬라이더는 버팀부재(73)와 회전핀에 의하여 핀 결합이 행하여진다. 이러한 구조의 가장 큰 장점 중의 하나는 절첩시 지지부재에 의한 공간점령을 현격히 줄일 수가 있게 된다. 즉, 내부에 공간이 형성이 된 지지부재의 안으로 프레임 기둥이 들어가 위치하게 되므로 지지부재를 형성하는 뚜께를 얇게 하면 절첩 할 경우에 지지부재가 차지하는 공간을 현격하게 줄일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버팀부재의 단면형상은 프레임 기둥의 표면부의 형상과 같게하여 절첩 하였을 경우에 버팀부재가 프레임 기둥을 감싸는 형상을 하게 됨으로 공간점령을 최대한 줄일 수가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19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upport bracket having an internal storage slider. This figure shows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member is folded, and the support member is also folded. Bracket wing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racket 70 surrounding the frame pillars 74 of the chair forward, and the inner support member 71 is coupled by the pivot pin 75 in the bracket wings. An internal storage slider 72 is formed in the slider groove formed in the internal support member, and the internal storage slider is pin-coupled by the support member 73 and the rotation pin. One of the greatest advantages of this structure is that the space occupied by the support member during folding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That is, since the frame pillar is placed into the support member having a space formed therein, if the thickness forming the support member is thinned, the space occupied by the support member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when folded.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support member is the same as the shape of the surface of the frame pillar so that the support member wraps around the frame pillar when folded, so that the space occupation can be reduced as much as possible.

제 20 도는 고정책상부를 형성한 분할책상의 구성도이다. 사용자가 외부로 출입을 하기 위하여 책상을 회전시킬 때, 책상 위에 남아있는 물건들이 놓여질 장소가 필요하다. 회전되지 않고 책상의 일부가 평면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하여서, 책상을 좌우로 분할을 하여 한쪽은 회전이 가능한 회전책상부를 형성하며, 한쪽은 회전이 불가능한 고정책상부를 형성한다. 본체부 지지부재(80)에 회전이 불가능한 고정책상부(77)를 고정시키고, 상기 고정책상부에 경첩과 같은 회전수단(78)을 이용하여 회전책상부(76)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한다. 회전책상부는 한쪽 단은 고정책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이 되며, 다른 한쪽 단은 팔걸이부 지지부재 위에 결합돌출부와 결합요홈에 의하여 결합되면서 올려지게 하는 것이다. 또한 고정책상부의 면적을 넓게 하기 위하여 고정책상부를 크게 형성을 하며, 사용자의 몸 쪽으로 넓은 면적을 형성하기 위하여 회전책상부보다 넓게 여유면적분(79)을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20 is a block diagram of a divided desk forming a high policy upper part. When the user rotates the desk to enter and exit the outside, there is a need for a place where objects left on the desk will be placed. In order to keep a part of the desk in a flat state without being rotated, the desk is divided into left and right sides to form a rotatable desk that can be rotated, and one side to form a high-policy upper part that cannot be rotated. The non-rotating high policy upper part 77 is fixed to the main body support member 80, and the rotary desk part 76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high policy upper part using a rotating means 78 such as a hinge. Rotating desk is one e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high policy top, the other end is to be raised while being coupled by the engaging projection and the coupling groove on the armrest support member.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form a high policy upper part in order to widen the area of the high policy upper part, and to provide a wider area 79 than the revolving desk part in order to form a wide area toward the user's body.

제 21도와 제 22 도와 제 23 도와 제 24 도는 고정식 의자에 대한 본 발명의 책상 구성도이다. 기존의 고정식 의자(2)의 좌판의 일부에 소책상(82,85)을 착탈식 또는 고정식으로 형성을 하며, 좌판의 하부에 물건을 보관할 수가 있는 수납장(86)을 형성한다. 이제 책상을 형성하기 위한 구성을 설명하겠다. 책상은 책상이 형성되어져 있는 본체부(1)와 상기 본체부를 지지하는 팔걸이부(3)로 구성이 되어진다. 팔걸이부와 본체부는 완전 고정식 또는 착탈식으로 구성이 될 수가 있으며, 이들은 절첩식으로 구성을 할 수도 있고 또한 절첩이 불가능한 완전 고정식으로 구성을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의자와 책상의 기능을 결합시킨 기술로서, 통상의 의자에 책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본체부와 팔걸이부를 형성하여 의자에 결합을 시키는 형태를 취한다. 본체부에는 책상이 형성이 되어져서 의자의 프레임에 결합이 되어지며, 팔걸이부는 상기 본체부를 지지하며, 본체부의 책상이 받는 수직하중을 분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나 팔걸이부도 독자적으로 기능을 수행을 할 수도 있다. 이때에는 팔걸이의 기능을 수행하기도 하며, 간단한 책상의 기능을 수행키도하는 것이다. 책상에는 절첩이 가능한 독서대(81)를 형성할 수가 있다.21 and 22 and 23 and 24 are diagrams of desk configu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 stationary chair. Small desks 82 and 85 are detachably or fixedly formed on a part of the seat of the existing stationary chair 2, and a cabinet 86 for storing an object in the bottom of the seat is formed. Now I will explain the configuration to form a desk. The desk is composed of a main body portion 1 on which a desk is formed and an armrest portion 3 supporting the main body portion. Armrest portion and the main body portion can be configured to be completely fixed or removable, they can be configured to be folded or can also be configured as a completely fixed non-foldable. The present invention is a technology that combines the functions of the chair and the desk, in order to form a desk in a conventional chair, the present invention takes the form of forming the main body and armrests to be coupled to the chair. The main body is formed with a desk is coupled to the frame of the chair, the armrest portion supports the main body, and performs a function of sharing the vertical load received by the desk of the main body. However, the armrest can also perform its own function. At this time, it also performs the function of the armrest, and also to perform the function of a simple desk. The reading table 81 which can be folded can be formed in a desk.

본 발명을 실시함에 의하여 의자와 책상의 기능을 극대화시키었다. 의자만 사용하는 기능, 의자와 책상을 동시에 사용하는 기능, 팔걸이부만 사용하는 기능, 본체부만 사용하는 기능, 본체부와 팔걸이부를 동시에 사용하는 기능 발목지지대 기능 등 다양한 형태의 기능적 응용을 할 수가 있다.By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to maximize the function of the chair and desk. It can be used for various types of functional applications such as using only chairs, using both chairs and desks at the same time, using only the armrests, using only the body, and using the body and armrests at the same time. have.

Claims (17)

의자의 일측에 책상이 형성된 본체부를 구성하며, 의자의 다른 일측에는 책상의 하중을 분담하여 지지하여 주는 팔걸이부를 형성하며, 상기 본체부는 책상과 본체부지지부재와 회전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One side of the chair constitutes a main body formed with a desk, and the other side of the chair forms an armrest for supporting and sharing the load of the desk, wherein the main body is composed of a desk, a main body support member and a rotating means. desk. 의자의 일측에 책상이 형성된 본체부를 구성하며, 의자의 다른 일측에는 책상의 하중을 분담하여 지지하여 주는 팔걸이부를 형성하며, 본체부와 팔걸이부를 일정각도 회전시켜서 발목지지대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A desk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chair, the desk is formed, and the other side of the chair forms an armrest for supporting and sharing the load of the desk, and the desk is characterized by using the ankle support by rotating the body and the armrest at an angle. . 제 1 항에 있어서, 본체부 또는 팔걸이부가 의자의 좌판 또는 칼럼에 견고히 고정이 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The desk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in body portion or the armrest portion is firmly fixed to the seat plate or column of the chair. 제 1 항에 있어서, 본체부 또는 팔걸이부가 절첩이 가능하게 결합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The desk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in body portion or the armrest portion is coupled to be folded. 의자의 일측에 책상이 형성된 본체부를 구성하며, 상기 본체부는 책상과 본체부 지지부재와 회전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A desk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chair is formed in the main body, wherein the main body is a desk,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the main body support member and the rotating means. 제 1 항 또는 제 2 항 또는 제 3 항 또는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회전수단이 책상을 상하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The desk according to claim 1 or 2 or 3 or 4 or 5, wherein the rotating means rotates the desk in the vertical direction. 제 1 항 또는 제 2 항 또는 제 3 항 또는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회전수단이 책상이 형성된 수평 평면 내에서 책상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The desk according to claim 1 or 2 or 3 or 4 or 5, wherein the rotating means rotates the desk in a horizontal plane in which the desk is formed. 제 1 항 또는 제 2 항 또는 제 3 항 또는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지지부재에 슬라이더가 연결되며, 상기 슬라이더에 버팀부재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6. A desk according to claim 1 or 2 or 3 or 4 or 5, wherein a slider is connected to the support member and a support member is connected to the slider. 제 1 항 또는 제 2 항 또는 제 3 항 또는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지지부재에 내부수장 슬라이더가 연결되며, 상기 내부수장 슬라이더에 버팀부재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The desk according to claim 1 or 2 or 3 or 4 or 5, wherein an internal storage slider is connected to the support member, and a support member is connected to the internal storage slider. 제 1 항 또는 제 2 항 또는 제 3 항 또는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책상에 절첩 가능한 독서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The desk according to claim 1 or 2 or 3 or 4 or 5, wherein the desk is provided with a foldable reading stand. 제 1 항 또는 제 2 항 또는 제 3 항 또는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좌판에 소책상이 형성이 되며, 상기 소책상은 소책상 지지부재에 의하여 연결되며, 상기 소책상 지지부재는 의자에 좌판의 측면 또는 하부면에 형성된 소책상 고정부재에 결합이 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or 3 or 4 or 5, wherein the booklet is formed on the seat plate, the booklet is connected by a booklet support member, the booklet support member is Desk,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book-like fixing member formed on the side or bottom surface of the seat plate on the chair. 제 1 항 또는 제 2 항 또는 제 3 항 또는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길이조절수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The desk according to claim 1 or 2 or 3 or 4 or 5, wherein the length adjusting means is formed. 제 1 항 또는 제 2 항 또는 제 3 항 또는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좌판의 하부에 수납장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The desk according to claim 1 or 2 or 3 or 4 or 5, wherein a storage cabinet is formed under the seat plate. 제 1 항 또는 제 2 항 또는 제 3 항 또는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본체부와 팔걸이부가 결합돌부와 결합요홈에 의하여 결합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The desk according to claim 1 or 2 or 3 or 4 or 5, wherein the main body portion and the armrest portion are coupled by a coupling protrusion and a coupling recess. 절첩가능하게 형성된 본체부 또는 팔걸이부를 가지는 의자에 있어서, 지지부재에 슬라이더가 형성이 되어지며, 상기 슬라이더에 버팀부재를 결합하며, 상기 버팀부재의 다른 일단부는 의자의 프레임 기둥에 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A chair having a body portion or an armrest formed to be foldable, wherein a slider is formed on a support member, and a brace member is coupled to the slider, and another end of the brace member is pin-coupled to a frame pillar of the chair. Desk. 상기 제 15 항에 있어서, 슬라이더가 스토퍼를 가지며, 슬라이더 정지홈에서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16. The desk according to claim 15, wherein the slider has a stopper and allows the position to be fixed in the slider stop groove. 제 1 항 또는 제 2 항 또는 제 3 항 또는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책상을 분할하여 회전책상부와 고정책상부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The chair according to claim 1 or 2 or 3 or 4 or 5, wherein the desk is divided into a rotary desk portion and a high policy upper portion.
KR1020010042964A 2001-07-13 2001-07-13 desk KR2003000685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2964A KR20030006852A (en) 2001-07-13 2001-07-13 des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2964A KR20030006852A (en) 2001-07-13 2001-07-13 des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6852A true KR20030006852A (en) 2003-01-23

Family

ID=27715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2964A KR20030006852A (en) 2001-07-13 2001-07-13 des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06852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5988B1 (en) * 2005-08-08 2007-05-09 임주택 Folding chair which the desk consist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5988B1 (en) * 2005-08-08 2007-05-09 임주택 Folding chair which the desk consist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65911A (en) Adjustable positioned system for chair-mounted tables
US7963231B2 (en) Folding table and support frame assembly
JPH11318568A (en) Foldable table
US5685600A (en) Combined table and chair assembly
US5129715A (en) Portable desk with bifolding supports
KR20130040487A (en) An integral dest and chair for two
KR20030006852A (en) desk
KR20030006767A (en) lecture chair
KR200253126Y1 (en) chair
CN211431487U (en) Deformable multifunctional table and chair
KR101293305B1 (en) A Chair
JPH0744172Y2 (en) Reversible table
CN113509008A (en) Combined desk and chair capable of being mutually converted
KR20030006851A (en) desk
JPH09353A (en) Desk having auxiliary top plate function
CN212480710U (en) Notebook computer support
KR20020095413A (en) frame chair
KR20030006448A (en) lecture chair
KR20030006665A (en) lecture chair
KR20010088648A (en) chair
CN220756859U (en) Folding building block table
KR20020096756A (en) frame chair
CA2430396A1 (en) Chair and work surface system
JP2967467B2 (en) Tabletop mirror
KR20030001182A (en) chai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