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6117A -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etting timer of electrical applianc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etting timer of electrical applianc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6117A
KR20030006117A KR1020010041686A KR20010041686A KR20030006117A KR 20030006117 A KR20030006117 A KR 20030006117A KR 1020010041686 A KR1020010041686 A KR 1020010041686A KR 20010041686 A KR20010041686 A KR 20010041686A KR 20030006117 A KR20030006117 A KR 200300061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time information
electric appli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16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종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416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06117A/en
Publication of KR20030006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6117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54Systems for transmission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 H04B3/542Systems for transmission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the information being in digital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lectric Clock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PURPOSE: A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setting a time of an electric instrument by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ethod therefor are provided to prevent the accumulation of a time error according to the long-time use of a timer by automatically setting a time of the timer of the electric instrument by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STITUTIO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120) has a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122) for transmitting an RF(Radio Frequency) signal according to a set method, and a time transmission control unit(121) for transmitting its time information through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122) in case that a time information request is received in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122). An electric instrument(110) has a time setup control unit(111) for transmitting the time information reques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120) and extracting time information from the RF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120), and a time setup unit(112) for setting a time of a timer according to time information extracted in the time setup control unit(111). The electric instrument(110) has a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113) for receiving the time information request of the time setup control unit(111), transmitting the received time information reques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120), receiving the RF signal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120), and transmitting the received RF signal to the time setup control unit(111).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전기기구의 시간설정 자동화 장치 및 그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etting timer of electrical applianc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etting timer of electrical applianc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전기기구의 시간설정 자동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통신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전기기구의 타이머 시간을 자동적으로 설정하도록 하여 타이머의 장시간 사용에 따른 시간 오차의 누적을 방지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전기기구의 시간설정 자동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utomation of time setting of an electric applianc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utomatically set a timer time of an electric applianc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by accumulating time error due to long use of a tim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time setting device for an electric apparatus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ethod thereof.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단말기는 위치등록기능(Home Location Registration, 또는 HLR)에 따라 자신의 위치를 등록하면서 기지국과의 연동을 위해 기지국의 표준시간을 전송받는다. 기지국은 주기적으로 표준시간을 단말기로 전송하며, 기지국과 단말기의 현재시각은 서로 일치된다.In genera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 terminal receives its standard time for interworking with a base station while registering its location according to a home location registration (HLR). The base station periodically transmits the standard time to the terminal, and the current time of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coincide with each other.

그리고 가전제품중에는 타이머를 부착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기기의 작동개시 시각이나 작동시간을 설정할 수도 있는 경우도 있다. 타이머가 부착된 가전제품은 사용자에게 기기 조작의 즉시성에서 벗어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In some home appliances, a timer may be attached to set a start time or an operation time of the device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Home appliances with a timer serve to increase convenience by providing a user with an opportunity to escape the immediate operation of the device.

가전제품의 타이머는 해당 제품의 출고시 현재시각을 부정확하게 지시하기도 한다. 그래서 타이머는 리셋기능을 갖추어 사용자에 의한 시간 설정이 가능하도록 한다.The timer for a home appliance may incorrectly indicate the current time of shipment of the product. Thus, the timer has a reset function to allow the user to set the time.

가전기기는 초기에 사용할 때 타이머를 수동으로 설정하여야 한다. 보통 타이머의 설정 사항은 날짜, 요일, 시간, 분, 초 등이며 각 항목을 사용자가 직접 설정해 주어야 한다. 타이머의 재설정 과정에서 일부 사항은 자동적으로 설정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다년도의 달력이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날짜를 설정하는 정도만으로 요일이 자동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Appliances must set the timer manually when initially used. Normally, timer setting items are date, day of the week, hour, minute, second, etc. and each item must be set by user. Some of the settings may be set automatically during the timer reset. For example, when a multi-year calendar is stored, the day of the week may be automatically set only by setting a date.

종래에는 가전기기의 외부에 있는 키를 눌러 시간을 수동으로 설정하는 방식을 채택하였다. TV, VCR, 전화기 등과 같이 키가 여러 개 있는 제품의 경우에는 날짜, 시간, 분, 요일의 입력이 다소 용이하지만 조작 키가 적은 주방용 가전기기의 경우에는 시간 설정시 수회의 키 조작이 요구되어 번거로운 단점이 있다.Conventionally, a method of manually setting a time by pressing a key external to the home appliance is adopted. For products with multiple keys, such as TVs, VCRs, and telephones, it is easier to enter the date, hour, minute, and day of the week.However, for kitchen appliances with few operation keys, several key manipulations are required when setting the time. There are disadvantages.

뿐만 아니라 갑작스런 파워 다운(Power Down)이나 전원 플러그가 빠져서 타이머로의 전원공급이 중단되면 시간이 리셋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시간을 다시 설정해 주어야만 하는데, 이러한 시간설정 과정의 복잡성으로 사용자에게 큰 불편을 끼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처럼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채택된 타이머가 가전기기 사용자에게 불편을 끼치게 되는 역효과가 유발되기도 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time is reset when the power supply to the timer is interrupted due to a sudden power down or power plug drop. Therefore, the user must reset the time. There is a problem. As described above, the timer adopted for the purpose of increasing the convenience of the user may cause an adverse effect that causes inconvenience to the home appliance user.

그래서 일부 가전기기는 정전을 대비하여 백업 배터리를 내장하여 시간정보 등을 기억하기도 한다. 그렇지만 백업 배터리를 운용하는 방식은 배터리를 별도로 구비하여야 하고, 배터리의 기능적 결함이나 단자간 접촉불량 등으로 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도 있다.Therefore, some home appliances store time information by embedding a backup battery in case of power failure. However, the method of operating the backup battery requires a separate battery, and may not function properly due to a functional defect of the battery or a poor contact between terminals.

또한, 전기기기에 내장된 타이머는 정밀도가 높지 않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시 누적오차가 발생하여 현재시각을 부정확하게 지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현재시각이 부정확하면 타이머의 예약기능 등이 사용자의 의도대로 수행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수동으로 타이머 시간을 수정해 주어야만 한다.In addition, since the timer embedded in the electric device does not have high precis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an accumulative error occurs for a long time and inaccurately indicates the current time. If the current time is incorrect, the timer reservation function is not performed as the user intended. Therefore, the user must manually modify the timer tim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전기기구의 타이머 시간을 자동적으로 설정하도록 하여 타이머의 장시간 사용에 따른 시간 오차의 누적을 방지하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전기기구의 시간설정 자동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utomatically set a timer time of an electric applianc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by accumulating time error due to long time use of a timer. It is to provide a time setting automation device for an electric applianc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preven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정확한 시간정보를 갖는 이동통신용 단말기와 전기기구간에 전력선을 통한 데이터 교환을 수행하여 전기기구의 타이머 시간을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전기기구의 시간설정 자동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ime setting automation device for an electric applianc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accurately set the timer time of the electric appliance by performing data exchange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electric appliance having accurate time information through the power line To provide.

본 발명의 세번째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와 전기기구간 데이터 통신절차를 규정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시간정보를 전송하면 이 시간정보에 따라 전기기구의 타이머 시간이 설정되도록 함으로써 타이머 시간이 정확하게 설정되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전기기구의 시간설정 자동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thir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fine a data communication procedure betwee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n electric appliance, so that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ransmits time information, the timer time of the electric appliance is set according to the time information so that the timer time is set correctly. It is to provide a method for automating time setting of an electric appliance using a communication terminal.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전기기구의 시간설정 자동화 장치의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of a time setting automation apparatus for an electric applianc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도1에 따른 시간설정 자동화장치의 운용예시도.Figure 2 is an operation example of the time setting automation apparatus according to Figure 1;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전기기구의 시간설정 자동화 방법의 순서도.3 is a flow chart of a method for automating time setting of an electric applianc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0 : 전기기구111 : 시간설정 제어부110: electrical appliance 111: time setting control unit

112 : 시간설정 유니트113 : 송수신부112: time setting unit 113: transceiver

120 : 이동통신 단말기121 : 시간송출 제어부12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21: time transmission control unit

122 : 송수신부122: transceive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전기기구의 시간설정 자동화 장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전기기구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설정된 방식에 따라 무선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송수신부와; 시간정보 요청이 상기 송수신부로 수신되는 경우에 해당 단말기의 시간정보를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전송하기 위한 시간송출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전기기구는 시간 계수를 위한 타이머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시간정보 요청을 발하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전송되는 무선신호에서 시간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시간설정제어부와; 상기 시간설정 제어부가 추출한 시간정보에 따라 상기 타이머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시간설정 유니트와; 상기 시간설정 제어부의 시간정보 요청을 전달받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측에 전송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시간설정 제어부로 전달하기 위한 송수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An apparatus for automatic time setting of an electric applianc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n electric appliance, where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a transceiver for transmitting a radio signal according to a set method; ; When the time information request is received by the transceiver unit, and comprises a time transmission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the time information of the terminal through the transceiver unit, the electrical apparatus includes a timer for counting time; A time setting controller for issuing a time information reques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extracting time information from a wireless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time setting unit for setting the timer time according to the time information extracted by the time setting controller; And receiving and transmitting the time information request of the time setting controller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receiving and transmitting a radio signal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time setting controller.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는 기지국과의 데이터 교환을 위해 정확한 표준시간 정보를 갖는다. 그래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전기기구의 타이머 시간을 설정하면 타이머의 현재시각이 높은 정확도를 갖도록 할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와 전기기구간에는 무선통신을 통한 데이터 교환이 수행된다. 무선통신은 양측에 구비된 송수신부를 통해 수행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accurate standard time information for data exchange with the base station. Therefore, when the timer time of the electric appliance is set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current time of the timer can be made highly accurate. Data exchange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is performed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electric appliance. Wireless communication is performed through a transceiver provided on both sides.

여기서 전기기구는 타이머가 내장된 전기기구를 지시한다. 전기기구는 RF(Radio Frequency) 신호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무선신호 교환을 수행하기 위한 송수신부를 포함하며,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무선통신 절차와 타이머 시간설정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시간설정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기기구는 이외에도 시간설정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타이머로 전기적인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시간설정 유니트를 포함한다.Here, the electric appliance indicates an electric appliance with a built-in timer. The electrical apparatus includes a transceiver for performing a radio signal exchange wit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using a radio frequency (RF) signal, and includes a time setting controller for performing a wireless communication procedure and a timer time setting procedure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is made to include. The electrical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time setting unit for operating in accordance with a control signal of the time setting controller to apply an electrical signal to the timer.

이러한 전기기구와 무선통신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통상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와 같이 RF 신호를 처리하는 송수신부를 구비한다. 더불어 이동통신 단말기는 시간송출 제어부를 더 구비한다. 시간송출 제어부는 전기기구로부터 무선전송된 시간정보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에 해당 단말기내에 보유된 시간정보를 무선신호로 변조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로 무선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바람직하게는 시간정보는 단말기의 현재시간이 되도록 한다.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such an electric appliance includes a transceiver for processing an RF signal as in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urther includes a time transmission control unit. The time transmission control unit performs a function of wirelessly modulating the time information held in the terminal into a radio signal when the request for time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wireless device is received from the electronic device. Preferably, the time information is to be the current time of the terminal.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전기기구의 시간설정 자동화 장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전기기구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외부 장비와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데이터 전송포트와; 상기 데이터 전송포트를 통해 시간정보 요청이 입력되면, 해당 단말기의 시간정보를 상기 데이터 전송포트를 통해 전송하기 위한 시간송출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전기기구는 시간 계수를 위한 타이머와; 상기 타이머의 시간설정이 필요할 때에 시간정보 요청을 발하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전송되는 시간정보를 수신하는 시간설정 제어부와; 상기 시간설정 제어부가 수신한 시간정보에 따라 상기 타이머 시간을 설정하는 시간설정 유니트와; 상기 시간설정 제어부의 시간정보 요청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시간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데이터 전송포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전기기구간에는 데이터 전송케이블을 통한 데이터 교환이 이루어지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ime setting automation device of the electric appliance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electric applianc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 data transmission port for data exchange with external equipment Wow; When the time information request is input through the data transmission port, and comprises a time transmission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the time information of the terminal through the data transmission port, the electrical apparatus comprises a timer for time counting; A time setting controller which issues a time information request when time setting of the timer is necessary and receives tim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time setting unit for setting the timer time according to the time information received by the time setting controller; And a data transmission port for transmitting the time information request of the time setting controller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receiving time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data transmission cable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electric device. It is another feature that the data exchange is performed.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와 전기기구간 데이터 통신을 무선통신 방식이 아닌 데이터 통신 케이블을 통한 전송방식으로 수행한다. 데이터 통신 케이블은 특정한 케이블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도 있으나 가정에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상용 전력선을 이용하여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electric apparatus is performed by using a data communication cable rather than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The data communication cable may be implemented using a specific cable, but it is preferable to use a commercial power line that is easily accessible at home.

데이터 통신 케이블을 통한 신호전송을 위해서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전기기구간에 데이터 통신포트가 구비되어야 한다. 통상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데이터 통신포트를 구비한다.In order to transmit a signal through a data communication cable, a data communication port must be provided betwee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n electric apparatus. Typicall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a data communication port.

데이터 통신 케이블로 전력선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전력선과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전기기구간에 데이터 변환을 위한 전력선 송수신기가 구비되어야 한다. 전력선 송수신기는 잘 알려진 바와 같다.In the case of using a power line as a data communication cable, a power line transceiver for data conversion between a power line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an electric appliance should be provided. Power line transceivers are well known.

더불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전기기구의 시간설정 자동화 방법은, 전기기구의 시간설정이 요구되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시간송출 제어부가 해당 단말기내에 보유된 시간정보를 상기 전기기구로 전송하며, 상기 전기기구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시간정보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시간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전기기구의 시간설정 제어부는 시간설정 유니트를 제어하여 상기 수신된 시간정보에 따라 해당 단말기의 타이머 시간이 설정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ime setting automation method of the electric appliance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f the time setting of the electric appliance is required, the time transmission control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time information held in the terminal; Transmitting to an electric appliance, the electric appliance determining whether the time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when the time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trolling the time setting unit of the electric appliance to set a timer time of the corresponding terminal according to the received time information. .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와 전기기구간 시간정보 교환을 위한 전송절차를 수행한다. 시간설정이 필요한지 여부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시간송출 제어부 또는 전기기구의 시간설정 제어부에서 판정하게 되는데,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자가 특정키를 입력하는 동작으로 시간설정 여부가 결정될 수도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performs a transmission procedure for the exchange of time information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electric appliance. Whether or not time setting is required is determined by the time sending control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the time setting control unit of the electric apparatus. In some cases, the user may input a specific key to determine whether to set the time.

시간설정이 요구되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시간송출 제어부는 해당 단말기내에 보유된 시간정보를 무선신호로 변조하여 무선전송하거나 데이터 전송 포트를 통해 출력한다. 이 절차를 시간정보 전송이라 통칭할 수 있다.If time setting is required, the time transmission control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odulates the time information held in the terminal into a radio signal for wireless transmission or outputs it through a data transmission port. This procedure may be referred to as time information transmission.

전송된 시간정보는 전기기구의 시간설정 제어부로 수신된다. 시간설정 제어부는 시간정보에 근거하여 타이머의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이 제어신호에 의해 시간설정 유니트가 제어되어 타이머 시간이 설정된다.The transmitted time information is received by the time setting controller of the electric appliance. The time setting controller outputs a control signal for setting the time of the timer based on the time information, and the time setting unit is controlled by this control signal to set the timer time.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전기기구의 시간설정 자동화 장치의 블록도이고, 도2는 도1에 따른 시간설정 자동화장치의 운용예시도이며,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전기기구의 시간설정 자동화 방법의 순서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time setting automation device for an electric applianc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operation example of the time setting automation device according to Figure 1, Figure 3 is a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A flowchart of a method for automating time setting of an electric applianc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1에 따르면, 전기기구의 시간설정 자동화를 위한 장치는 전기기구(110)와 이동통신 단말기(120)로 이루어진다.According to FIG. 1, an apparatus for automating time setting of an electric appliance includes an electric appliance 110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20.

전기기구(110)에는 타이머가 내장되어 있으며, 일반적인 가전제품이 적용될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시간설정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전기기구가 데이터 교환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더불어 교환된 데이터를 해석하여 데이터에 따라 특정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The electric appliance 110 has a built-in timer, general home appliances can be applied. In order for the time setting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be made, the electric appliance must be able to perform data exchange. In addition, the exchanged data must be interpreted to perform specific actions according to the data.

그래서 전기기구(110)는 시간정보를 수신하여 시간설정 유니트(112)를 제어하기 위한 시간설정 제어부(111)를 구비하며, 일정한 통신방식에 따른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송수신부(113)와, 시간설정 제어부(111)의 제어를 받아 타이머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시간설정 유니트(1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us, the electric appliance 110 includes a time setting controller 111 for controlling the time setting unit 112 by receiving time information, and a transceiver 113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method, And a time setting unit 112 for setting a timer time under the control of the time setting control unit 111.

이동통신 단말기(120)는 송수신부(122)를 구비하며, 특정한 절차에 따라 전기기구의 요청을 수신하여 시간정보를 전달하는 일련의 과정을 제어하기 위한 시간송출 제어부(12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20 includes a transceiver 122, and includes a time transmission controller 121 for controlling a series of processes for receiving time requests and transmitting time information according to a specific procedure.

도2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210)와 전기기구(310)간에는 RF 송수신기(220)(320)를 통한 무선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RF 송수신기(220)(320)는 통신방식이 서로 일치되어야 하며, 이동통신 단말기(210)와 전기기구(310)간의 무선신호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정도로 그 기능이 달성된다. 그러므로 RF 송수신기(220)(320)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전기기구내에 포함된 송수신부(113)(122)의 기능이 연장된 것이다. 여기서 송수신부(113)(122)나 RF 송수신기(220)(320)의 장착형태는 한정되지 않는다. 가능한 장착형태로는 내장형/외장형, 일체형/분리형 등이 예정된다.According to FIG. 2, wireless communication may be performed through the RF transceiver 220 and 320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10 and the electric appliance 310. The RF transceivers 220 and 320 should be matched with each other, the function is achieved to the extent that the radio signal transmission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10 and the electrical appliance 310 is made. Therefore, the RF transceivers 220 and 320 extend the functions of the transceivers 113 and 122 inclu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electric appliance. Here, the mounting form of the transceiver 113, 122 or the RF transceiver 220, 320 is not limited. Possible mounting forms are internal / external, integral / separable, and the like.

한편, 이동통신 단말기(210)와 전기기구(310)간 데이터 통신은 무선통신 이외에 데이터 전송 케이블을 통한 유선통신으로 수행될 수 있다.Meanwhile,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10 and the electric appliance 310 may be performed by wire communication through a data transmission cable in addition to wireless communication.

즉,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전송 케이블로 상용 전력선을 채택하여 이를 통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전력선을 통한 데이터 전송을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210)와 전력선(240)간, 전기기구(310)와 전력선(340)간에는 전력선 송수신기(230)(330)가 각각 설치된다.That is, as shown in FIG. 2, a commercial power line may be adopted as the data transmission cable to perform data communication. Power line transceivers 230 and 330 are installed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10 and the power line 240 and between the electric appliance 310 and the power line 340 for data transmission through the power line.

전력선 송수신기(230)(330)와의 데이터 교환을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210)와 전기기구(310)는 데이터 전송 포트(도시되지 않음)를 각각 구비하여야 한다. 이러한 데이터 전송 포트는 유선을 통한 데이터 교환에 적합한 접속포트로 구현될 수 있다.In order to exchange data with the power line transceivers 230 and 330,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10 and the electric appliance 310 should be provided with data transmission ports (not shown), respectively. Such a data transmission port may be implemented as a connection port suitable for data exchange through a wire.

그리고 이동통신 단말기(210)와 전기기구(310)간에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는 순서는 무선통신 방식에 의한 경우이든 전력선 통신에 의한 경우이든 동일하다.The order in which data communication is performed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10 and the electric appliance 310 is the same regardless of the case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or the power line communication.

이하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와 전기기구간 시간정보 전송 및 시간설정 절차를 설명한다.Hereinafter, the time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time setting procedure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electric appliance will be described.

도3에 따르면, 우선 전기기구의 시간설정 제어부가 시간설정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한다(S310).Referring to FIG. 3, first, the time setting controller of the electric appliance determines whether time setting is necessary (S310).

본 실시예에서는 전기기구에서 시간설정 여부를 판단한다.In this embodimen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time is set in the electric appliance.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시간설정 절차가 개시되는 경우라면 전기기구에 장착된 특정 버튼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특정키를 누르는 정도의 동작으로 해당 절차가 개시되도록 할 수 있다.If the time setting procedure is initiated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the procedure may be started by pressing a specific button mounted on an electric apparatus or a specific ke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시간설정이 필요한 것으로 판정되면, 전기기구의 시간설정 제어부는 시간정보 요청을 무선이나 데이터 케이블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한다(S320).If it is determined that time setting is necessary, the time setting control unit of the electric apparatus transmits the time information reques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a wireless or data cable (S320).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시간송출 제어부는 시간정보 요청이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30).The time transmission controller determines whether a time information request is receiv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330).

시간정보 요청이 수신되면, 시간송출 제어부는 요청을 발한 전기기구측으로 시간정보를 전송한다. 이때 전송되는 시간정보는 해당 단말기의 현재시각이 될 수 있으며, 현재시각에는 연도, 월, 날짜, 요일, 시, 분, 초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시간정보를 변복조하는 방식은 여기서 한정하지 않는다.When the time information request is received, the time sending control unit transmits time information to the electric appliance that has made the request. At this time, the transmitted time information may be the current time of the terminal, the current time may include the year, month, date, day of the week, hours, minutes, seconds, and the like. The method of modulating and demodulating time information is not limited here.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전송된 시간정보는 전기기구의 시간설정 제어부로 전달된다. 시간설정 제어부는 수신된 시간정보에 근거하여 시간설정 유니트를 제어함으로써 타이머 시간이 설정되도록 한다. 그러면 타이머의 현재시각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시각에 일치된다(S340).The tim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transmitted to the time setting controller of the electric appliance. The time setting controller controls the time setting unit based on the received time information so that the timer time is set. Then, the current time of the timer corresponds to the current tim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340).

한편, 단계 S310~S330의 절차를 생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기기구의 요청에 무관하게 이동통신 단말기가 일정 주기로 시간정보를 자동 송출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러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시간정보가 도달되는 범위내에 속하는 전기기구들에 있어서 타이머 시간이 자동적으로 설정된다.On the other hand, the procedure of steps S310 to S330 may be omitted. For exampl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y automatically transmit time information at regular intervals regardless of the request of the electric appliance. Then, the timer time is automatically set in the electric appliances belonging to the range in which the time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reached.

또 다른 실시예로는 단계 S310~S330의 절차를 생략하고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상의 특정 키 또는 메뉴 항목을 선택하는 경우에만 시간송출 제어부가 시간정보를 송출하도록 할 수 있다. 이처럼 송출된 시간정보를 수신하여 타이머를 설정하는 기타의 절차는 위와 같다.In another embodiment, the procedure of steps S310 to S330 may be omitted, and the time transmission controller may transmit time information only when the user selects a specific key or menu item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other procedure for setting the timer by receiving the transmitted time information is as described above.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변화, 변경 및 균등물의 범위에 속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대한 기재내용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within the scope of change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전기기구의 시간설정 자동화 장치 및 그 방법에 따르면, 전기기구의 타이머를 자동으로 설정해 줌으로써 전기기구의 초기 사용시 수동으로 시간을 설정해 주는 번거로움을 해소시켜 주며 높은 정확도로 시간을 설정해 주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apparatus for automatic time setting of an electric appliance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ethod thereof, by automatically setting the timer of the electric appliance, eliminating the trouble of manually setting the time during the initial use of the electric appliance and with high accuracy. It has the effect of setting the time.

또한, 본 발명이 적용되면 예정되지 않게 발생되는 파워 다운이나 전원불량 등으로 인하여 시간정보가 리셋 되는 경우에도 상당한 시간내에 시간 설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져 전기기구의 시간 오차를 최소화시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even if time information is reset due to unplanned power down or power failure, time setting is automatically performed within a considerable time, thereby minimizing time error of an electric appliance.

더불어 본 발명은 주기적으로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전기기구의 타이머 시간을 설정해 주므로 타이머의 장시간 사용에 따른 시간 오차의 누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을 갖는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accumulation of time error due to the long time use of the timer because it sets the timer time of the electric appliance periodically or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Claims (7)

이동통신 단말기와 전기기구에 있어서,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electric appliance,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설정된 방식에 따라 무선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송수신부와; 시간정보 요청이 상기 송수신부로 수신되는 경우에 해당 단말기의 시간정보를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전송하기 위한 시간송출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A transceiver for transmitting a radio signal according to a set method; When the time information request is received by the transceiver, and comprises a time transmission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the time information of the terminal through the transceiver, 상기 전기기구는,The electric appliance, 시간 계수를 위한 타이머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시간정보 요청을 발하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전송되는 무선신호에서 시간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시간설정 제어부와; 상기 시간설정 제어부가 추출한 시간정보에 따라 상기 타이머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시간설정 유니트와; 상기 시간설정 제어부의 시간정보 요청을 전달받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측에 전송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시간설정 제어부로 전달하기 위한 송수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전기기구의 시간설정 자동화장치.A timer for counting time; A time setting controller for issuing a time information reques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extracting time information from a wireless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time setting unit for setting the timer time according to the time information extracted by the time setting controller; And a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for receiving the time information request of the time setting controller and transmitting the received time informa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receiving a wireless signal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received radio signal to the time setting controller. Automated time setting device for electric appliances. 이동통신 단말기와 전기기구에 있어서,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electric appliance,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외부 장비와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데이터 전송포트와; 상기 데이터 전송포트를 통해 시간정보 요청이 입력되면, 해당 단말기의 시간정보를 상기 데이터 전송포트를 통해 전송하기 위한 시간송출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A data transmission port for exchanging data with external equipment; When the time information request is input through the data transmission port, and comprises a time transmission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the time information of the terminal through the data transmission port, 상기 전기기구는,The electric appliance, 시간 계수를 위한 타이머와; 상기 타이머의 시간설정이 필요할 때에 시간정보 요청을 발하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전송되는 시간정보를 수신하는 시간설정 제어부와; 상기 시간설정 제어부가 수신한 시간정보에 따라 상기 타이머 시간을 설정하는 시간설정 유니트와; 상기 시간설정 제어부의 시간정보 요청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시간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데이터 전송포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A timer for counting time; A time setting controller which issues a time information request when time setting of the timer is necessary and receives tim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time setting unit for setting the timer time according to the time information received by the time setting controller; And a data transmission port for transmitting the time information request of the time setting controller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receiving time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전기기구간에는 데이터 전송케이블을 통한 데이터 교환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전기기구의 시간설정 자동화장치.Automated time setting apparatus for an electric applianc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exchange of data through the data transmission cable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electric appliance.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포트와 상기 전기기구의 데이터 전송포트에 각각 접속되어 전력선을 통한 데이터 교환이 수행되도록 하기 위한 전력선 송수신기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And a power line transceiver for connecting data to the data transmission por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data transmission port of the electric device, respectively, to perform data exchange through a power line. 상기 데이터 전송케이블은 상전용 전력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전기기구의 시간설정 자동화장치.The data transmission cable is a time setting automation device for an electric applianc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power line. 전기기구의 시간설정이 필요한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의 시간송출 제어부가 해당 단말기내에 보유된 시간정보를 상기 전기기구로 전송하며, 상기 전기기구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시간정보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a) 단계와;When the time setting of the electric appliance is necessary, the time sending control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ransmits the time information held in the terminal to the electric appliance, and the electric appliance determines whether the time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performing;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시간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전기기구의 시간설정 제어부는 시간설정 유니트를 제어하여 상기 수신된 시간정보에 따라 해당 단말기의 타이머 시간이 설정되도록 하는 (b)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전기기구의 시간설정 자동화 방법.If time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time setting controller of the electric appliance includes a step of controlling a time setting unit to set a timer time of the corresponding terminal according to the received time information. Method for automating time setting of an electric applianc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에서 상기 시간송출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in the step (a), the time transmission control unit,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해당 단말기에 미리 설정해 둔 주기마다 상기 시간설정이 요구된 것으로 판정하여 시간정보를 전기기구로 송출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전기기구의 시간설정 자동화 방법.And determining that the time setting is required for each period previously set by the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ransmitting time information to the electric device.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에서 상기 시간송출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in the step (a), the time transmission control unit,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해당 단말기의 특정 키를 누르는 경우에 상기 시간설정이 요구된 것으로 판정하여 시간정보를 전기기구로 송출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전기기구의 시간설정 자동화 방법.When the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esses a specific key of the terminal, it is determined that the time setting is required to send the time information to the electric appliance, characterized in that the automatic time setting of the electric appliance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단계 (a)에서 시간설정이 요구되는지 여부는 상기 전기기구의 시간설정 제어부에 의해 판단되며, 상기 전기기구의 시간설정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상기 시간설정 제어부가 시간정보 요청을 발하여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전기기구에서 전송된 상기 시간정보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시간송출 제어부가 해당 단말기내에 보유된 시간정보를 상기 전기기구로 전송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전기기구의 시간설정 자동화 방법.Whether or not time setting is required in step (a) is determined by the time setting control unit of the electric appliance. When time setting of the electric appliance is required, the time setting control unit issues a time information request and transmits the request through the transceiver. And transmitting the time information held in the terminal to the electric apparatus when the time information request transmitted from the electric apparatus is received, when the time information request transmitted from the electric apparatus is received. Method for automating time setting of an electric applianc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20010041686A 2001-07-11 2001-07-11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etting timer of electrical applianc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3000611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1686A KR20030006117A (en) 2001-07-11 2001-07-11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etting timer of electrical applianc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1686A KR20030006117A (en) 2001-07-11 2001-07-11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etting timer of electrical applianc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6117A true KR20030006117A (en) 2003-01-23

Family

ID=27714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1686A KR20030006117A (en) 2001-07-11 2001-07-11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etting timer of electrical applianc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06117A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8485A (en) * 1996-03-29 1997-10-13 배순훈 Time setting system via power cord communication
KR19990048430A (en) * 1997-12-09 1999-07-05 윤종용 Time setting method of home appliance using set top box and power line
KR20020034517A (en) * 2000-11-02 2002-05-09 조정남 Apparatus for setting standard time and method thereof
KR20020074629A (en) * 2001-03-21 2002-10-04 이영희 A clock module having an automatic clock setting function
KR20020085911A (en) * 2001-05-10 2002-11-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utomatic clock setting method for a vehicl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8485A (en) * 1996-03-29 1997-10-13 배순훈 Time setting system via power cord communication
KR19990048430A (en) * 1997-12-09 1999-07-05 윤종용 Time setting method of home appliance using set top box and power line
KR20020034517A (en) * 2000-11-02 2002-05-09 조정남 Apparatus for setting standard time and method thereof
KR20020074629A (en) * 2001-03-21 2002-10-04 이영희 A clock module having an automatic clock setting function
KR20020085911A (en) * 2001-05-10 2002-11-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utomatic clock setting method for a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58792B1 (en) Selecting a wireless link in a public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5334975A (en) Residential time reference system
CN100591164C (en) Radio remote control system
EP2627110B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radio frequency device pairing
JP4170222B2 (en) Home appliance network
TWI574518B (en) Ble transmitting equipment, ble receiving equipment, and methods thereof
US6215862B1 (en) Automated time synchronization of peripheral devices using a telephone
JP3879890B2 (en) Automatic meter reading wireless system
US6393306B1 (en) Automatic clock setting
JP2008096389A (en) Electronic device, time-managing apparatus, time setting program, time-setting method
KR20080061755A (en) Watt-hour meter with wireless remote meter reading function
KR2003000611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etting timer of electrical applianc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358308B1 (en) wireless telemetering system
JP2014055798A (en) Display unit, method and program
KR19990060587A (en) Home Automation Device Using Cordless Phone
JPH11205456A (en) Mobile radio equipment with clock and time control system therefor
CN114124595A (en) Method for connecting household electrical appliance to network
JP2014107637A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system
JP2005057412A (en) Wireless data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master unit and wireless slave unit
KR200213126Y1 (en) apparatus for wireless telemetering
JP4026069B2 (en) Remote monitoring system
KR20050073802A (en) Method and apparatus of setting time for electronic equipment
JP2003198744A (en) Radio master set and radio slave set
JP4330807B2 (en) Automatic meter reading radio
JP2019062445A (en) Radio communication device, electronic watch, transmission power setting method, and radio communication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31007

Effective date: 20050330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3101003982;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31007

Effective date: 20050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