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13Y1 - 전기온돌판넬 - Google Patents

전기온돌판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13Y1
KR200300013Y1 KR20-2002-0028995U KR20020028995U KR200300013Y1 KR 200300013 Y1 KR200300013 Y1 KR 200300013Y1 KR 20020028995 U KR20020028995 U KR 20020028995U KR 200300013 Y1 KR200300013 Y1 KR 2003000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wire
lead
wiring box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89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연수
Original Assignee
김연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연수 filed Critical 김연수
Priority to KR20-2002-00289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0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00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13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3/00Electric heating systems
    • F24D13/02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Abstract

본 고안은 전기온돌판넬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난방등을 목적으로 하는 전기온도판넬에서 열선을 리드선으로 연결접속하고 각종감지선을 연결선으로 연결접속하는 결선작업을 용이하게 할수 있는 전기온돌판넬의 구성으로 작업효율과 외관을 크게 향시킬수 있게 한 것이다.
즉, 판넬내부에 배치된 열선을 연결접속하는 리드선과 감지선등을 연결접속하는 연결선을 배선박스에서 결선하는 전기온돌판넬에 있어서, 상기 리드선(12)과 연결선(13)이 위치하는 판넬(10)의 양측모서리부분에 배선박스(20)를 설치하고 그 배선박스(20)는 일측이 개방된 개구부(21)를 통해 내측공간부(22)로 이어지고 내부벽체부분에 리드선인출부(23)와 연결선인출부(24)를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온돌판넬이다.

Description

전기온돌판넬{electricity hypocaust panel}
본 고안은 전기온돌판넬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난방등을 목적으로 하는 전기온도판넬에서 열선을 리드선으로 연결접속하고 각종감지선을 연결선으로 연결접속하는 결선작업을 용이하게 할수 있는 전기온돌판넬의 구성으로 작업효율과 외관을 크게 향시킬수 있게 한 것이다.
종래의 전기온돌판넬에서는 판넬의 상면일측에 상향개구된 형태의 요함부에 배선박스가 설치되어 그 배선박스에는 열선과 연결접속하는 두개의 리드선과 감지선등을 연결접속하는 하나의 연결선이 구비된 상태에서 결선작업을 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결선작업이 끝나면 그 배선박스의 개구부를 커버로 덮어 판넬상면과 평평하게 유지토록하였으나 커버부분이 유동되므로 판넬상면과 일체감이 없어서 안정감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상향개구된 배선박스를 통해서는 판넬내부로 전선을 증설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즉, 전기온도판넬이 다수배치된 공간에서 부분난방을 위해 연선연결을 분할하거나 각종감지선을 추가하기 위해 리드선이나 연결선을 증설하기 위해서는 전기온도판넬의 바깥에서 연결하였으므로 외부로 노출된 전선에 의해 외관이 좋지 않고 안전사고 발생위험도 많았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판넬의 모서리부분측부에 배선박스를 설치하되 배선박스에 열선을 리드선으로 연결할수 있는 리드선인출부와 각종감지선등을 연결하는 연결선인출부를 형성하고 배선박스내에 리드선과 연결선의 결선부가 내입될수가 있는 공간부를 형성하여 리드선과 연결선의 결선및 증설작업을 용이하게 할수 있도록 한 전기온돌판넬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기온돌판넬을 나타낸 일부절개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판넬설치상태를 나타낸 일부확대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배선박스의 저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배선박스와 전선보호대의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판넬 11 : 열선
12 : 리드선 13 : 연결선
14 : 결선부 15 : 연결홈
16 : 단열재 20 : 배선박스
21 : 개구부 22 : 공간부
23 : 리드선인출부 24 : 연결선인출부
25,25' : 측부안내벽 26 : 전선보호대
전기온돌판넬은 판넬(10)내부에 배치시킨 열선(11)을 연결접속하는 리드선(12)과 감지선등을 연결접속하는 연결선(13)을 배선박스(20)에서 결선하는 구조로 되어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전기온돌판넬에서 상기 리드선(12)과 연결선(13)이 위치하는 판넬(10)의 양측모서부분에 배선박스(20)를 설치하고 그 배선박스(20)는 일측이 개방된 개구부(21)를 통해 내부공간부(22)로 이어지고 내부벽체부분에 열선(11)을 연결하는 리드선인출부(23)와 각종감지선등을 연결하는 연결선인출부(24)를 형성한다.
상기 연결선인출부(24)는 배선박스(20)의 모서리부분에 호형의 측부안내벽(25)(25')을 형성하여 그 측부안내벽(25)(25')을 통해 판넬(10)의 측부연결홈(15)으로 연결선(13)의 인출이 용이하고 판넬(10)의 모서리부분을 측부안내벽(25)(25')으로 보강지지하는 기능도 할수 있게 한다.
리드선(12)과 연결선(13)에 잭형태로 구비한 결선부(14)는 공간부(22)내에내입시킬수 있게 하며 배선박스(20)의 개구부(21)하측은 합성수지제로된 전선보호대(26)를 설치하여 금속제로 이루어진 판넬(10)부분에 전선이 접촉되어 피복이 벗겨지는 것을 방지토록 한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16은 판넬의 상부에 설치되는 단열재이다.
이와같이 된 본 고안의 전기온돌판넬은 열선(11)을 연결접속하고 있는 두개의 리드선(12)만이 판넬(10)의 양측모서리부분에 설치된 배선박스(20)의 개구부(21)외측으로 나와 있는 상태로 구비되고 연결선(13)은 설치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되며, 이러한 전기온돌판넬을 설치할때는 서로다른 각각의 판넬(10)의 리드선(12)을 서로 결선하되 잭형태의 결선부(14)로 간편하게 결선하여 배선박스(20)내에 내입시킴으로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리드선(12)을 결선하면서 다수의 전기온돌판넬이 배치된 공간에서 부분난방등을 하기 열선(11)의 리드선(12)을 분할연결하거나 각종감지선의 설치및 추가하기 위한 연결선(13)은 배선박스(20)일측의 연결선인출부(24)를 통해 필요로 하는 갯수의 연결선(13)을 판넬(10)의 측부연결홈(15)으로 좌우배선박스(20)를 거쳐 인출하여 상기 리드선(12)의 결선방식으로 결선하여 전기온돌판넬의 설치작업을 하게 된다.
이와같이 본 고안의 전기온돌판넬은 리드선과 연결선의 결선작업이 간편하고리드선이나 연결선의 증설작업시에도 판넬내부에 필요한 갯수만큼 증설할수 있게 되고 이 전선이 외부에 노출될 염려가 없으므로 외관이 미려하고 안정성을 크게 향상시킬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판넬내부에 배치된 열선을 연결접속하는 리드선과 감지선등을 연결접속하는 연결선을 배선박스에서 결선하는 전기온돌판넬에 있어서, 상기 리드선(12)과 연결선(13)이 위치하는 판넬(10)의 양측모서리부분에 배선박스(20)를 설치하고 그 배선박스(20)는 일측이 개방된 개구부(21)를 통해 내측공간부(22)로 이어지고 내부벽체부분에 리드선인출부(23)와 연결선인출부(24)를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온돌판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선인출부(24)는 배선박스(20)의 모서리부분에 호형의 측부안내벽(25)(25')을 형성하여 판넬(10)의 측부 연결홈(15)으로 연결선(13)을 인출할수 있게 하여서된 전기온돌판넬
KR20-2002-0028995U 2002-09-27 2002-09-27 전기온돌판넬 KR2003000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8995U KR200300013Y1 (ko) 2002-09-27 2002-09-27 전기온돌판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8995U KR200300013Y1 (ko) 2002-09-27 2002-09-27 전기온돌판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13Y1 true KR200300013Y1 (ko) 2003-01-06

Family

ID=49398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8995U KR200300013Y1 (ko) 2002-09-27 2002-09-27 전기온돌판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01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6185B1 (ko) 2007-11-05 2008-02-22 이상준 실내보온용 난방장치
KR101332397B1 (ko) * 2013-04-02 2013-11-25 (주)태일전기 전기온돌판넬의 전선 마감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6185B1 (ko) 2007-11-05 2008-02-22 이상준 실내보온용 난방장치
KR101332397B1 (ko) * 2013-04-02 2013-11-25 (주)태일전기 전기온돌판넬의 전선 마감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82816C1 (ru) Устройство электрического соединения фотогальванической установки
KR200300013Y1 (ko) 전기온돌판넬
RU2680375C1 (ru) Устройство электрического соединения фотогальванической установки
US4467179A (en) Portable electric baseboard heater having an integral handle
CN208154666U (zh) 空调器的电控盒组件以及空调器
CN206060103U (zh) 一种接线盒
CN206755704U (zh) 冰箱门体和冰箱
US2140771A (en) Building construction
CN206977790U (zh) 一种电动车用控制器功率电路板
CN205753007U (zh) 一种具有高防水性能的电柜
JP5139336B2 (ja) 垂直布設バスダクトの防水分岐構造及びその組立方法
CN208316232U (zh) 电工接线盒
CN220774996U (zh) 电气设备
KR19980062575U (ko) 배선박스용 연결박스
CN204385969U (zh) 角柱连接结构及具有其的可拆卸箱式房屋
JP6164728B2 (ja) 屋根構造
CN213125180U (zh) 一种户外散热型配电柜
CN218820907U (zh) 空调器用过线槽结构及空调器
CN216556745U (zh) 照明装置及吸油烟机
CN210897760U (zh) 一种隐藏式地插结构
JP4560460B2 (ja) 電気接続箱
CN213783777U (zh) 一种接线端子安装盒和家用电器
WO2015106672A1 (zh) 一种增加接触器绝缘性能的防护罩及外壳结构
KR200170308Y1 (ko) 계량기 함
KR19980021382U (ko) 저압전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