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9643Y1 - 직진안정성파워스티어링 - Google Patents

직진안정성파워스티어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9643Y1
KR200299643Y1 KR2019970043839U KR19970043839U KR200299643Y1 KR 200299643 Y1 KR200299643 Y1 KR 200299643Y1 KR 2019970043839 U KR2019970043839 U KR 2019970043839U KR 19970043839 U KR19970043839 U KR 19970043839U KR 200299643 Y1 KR200299643 Y1 KR 2002996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power steering
coil
rack cylinde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38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1130U (ko
Inventor
남궁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20199700438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9643Y1/ko
Publication of KR1999003113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113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96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964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6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 B62D5/2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 of steering gear or particular application
    • B62D5/22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 of steering gear or particular application for rack-and-pinion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6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 B62D5/1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characterised by type of power unit
    • B62D5/12Piston and cylin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 In Accordance With Driving Condi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직진 안정성 파워 스티어링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이를 위해 차량용 파워 스티어링 구조에 있어서, 피스톤(9)이 랙 실린더(10)의 내부에 중립상태인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피스톤(9)이 위치한 랙 실린더(10)의 외주면에는 코일(11)이 구비되고, 상기 코일(11)의 폭은 피스톤(9)의 폭 보다 3배 이내로 구비되어 구성된다.

Description

직진 안정성 파워 스티어링
본 고안은 직진 안정성 파워 스티어링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중ㆍ고속 직진 주행중에 랙 실린더의 외주면 적소에 구비된 코일에 의해 피스톤이 자화되면 핸들 회전 토오크가 증대되어 운전자는 안정된 조향감을 갖고 운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의 차량용 파워 스티어링은 도 1,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다.
즉, 기어박스(1)의 내부에 유압 제어를 위해 유로를 전환하거나 압력을 조정하기 위한 밸브보디(2)와, 상기 밸브보디(2)의 내부에 동력전달장치에 동력을 끌어들이는 인풋 샤프트(3)와, 상기 인풋 샤프트(3)의 내부에는 토션바(4)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기어박스(1)의 외주면 일측 적소에는 밸브보디(2)의 유로와 연통되어 작동되는 솔레노이드 밸브(5)가 구비된다.
또한 부호 10은 랙 실린더로, 이 랙 실린더(10)의 내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랙바(8)가 구비되고, 이 랙바(8)의 외주면 적소에는 피스톤(9)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랙 실린더(10)의 외주면 적소에는 피스톤(9)을 중심으로 왼쪽에 좌측유로 튜브(6)의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피스톤(9)을 중심으로 오른쪽에는 우측유로 튜브(7)의 일단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좌측유로 튜브(6)와 우측유로 튜브(7)의 타단은 상기 기어박스(1)의 외주면 적소에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기술적 구성의 작용은 우선 차량의 중ㆍ고속인 상태의 속도를 차속센서(12)가 감지한후 ECU(13)로 신호를 보내면 상기 ECU(13)는 솔레노이드 밸브(5)로 신호를 보낸다. 그러면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5)는 인풋 샤프트(3)와 밸브보디(2)의 상호 작동에 의해 흐르는 유압을 적절히 개폐시켜 좌측유로 튜브(6)와 우측유로 튜브(7)로 똑같은 유압을 유입시키게 되면 조향휠이 무겁게되어 운전자는 안정된 상태에서 운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적 구성은 별도로 인풋 샤프트(3)의 외주면 적소에 솔레노이드 밸브(5)를 구비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즉, 솔레노이브 밸브(5)가 구비됨으로 인해 기어박스(1)의 구조는 복잡해 지고, 이로인해 작업성과 작업능률이 저하되며, 비용상승의 문제점 등이 발생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차량의 중ㆍ고속 직진 주행중에 운전자가 느끼는 불안감을 간단한 구조로 해소되도록 한 것으로, 특히 랙 실린더의 외주면 적소에 구비된 코일에 의해 피스톤이 자화되도록 하고, 이로인해 핸들의 회전 토오크가 증대되면 운전자는 안정된 조향감을 갖고 운전할 수 있도록 한 직진 안정성 파워 스티어링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피스톤이 랙 실린더의 내부에 중립상태인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피스톤이 위치한 랙 실린더의 외주면에는 코일이 구비되고, 상기 코일의 폭은 피스톤의 폭 보다 3배 이내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직진 안정성 파워 스티어링을 제공한다.
이하에서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종래 솔래노이드 밸브가 구비된 유압제어 밸브의 단면도.
도 2 는 종래 차량용 파워 스티어링의 구성도.
도 3 은 본 고안에 구비된 코일이 랙 실린더의 적소에 구비된 상태의 차량용 파워 스티어링의 구성도.
도 4 는 본 고안에 구비된 코일이 랙 실린더에 구비된 상태의 요부 확대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기어박스 2: 밸브보디
3: 인풋 샤프트 4: 토션바
5: 솔레노이드 밸브 6,7: 좌,우측 유로튜브
8: 랙바 9: 피스톤
10: 랙 실린더 11: 코일
본 고안에 적용된 직진 안정성 파워 스티어링은 도 3,4 에 도시된 바와 같이구성되는 것으로, 여기서 부호 1은 기어박스이다.
상기 기어박스(1)의 내부에는 유압 제어를 위해 유로를 전환하거나 압력을 조정하기 위한 밸브보디(2)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밸브보디(2)의 내부에는 동력전달장치에 동력을 끌어들이는 인풋 샤프트(3)가 구비되고, 상기 인풋 샤프트(3)의 내부에는 토션바(4)가 구비된다.
또한 부호 10은 랙 실린더로, 이 랙 실린더(10)의 내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랙바(8)가 구비되고, 이 랙바(8)의 외주면 적소에는 피스톤(9)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랙 실린더(10)의 외주면 적소에는 피스톤(9)을 중심으로 왼쪽에 좌측유로 튜브(6)의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피스톤(9)을 중심으로 오른쪽에는 우측유로 튜브(7)의 일단이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좌측유로 튜브(6)와 우측유로 튜브 (7)의 타단은 상기 기어박스(1)의 외주면 적소에 고정된다.
본 고안의 특징은 상기 랙 실린더(10)의 외주면 적소에 코일(11)이 구비되는 것이다. 즉, 상기 코일(11)의 위치는 피스톤(9)이 랙 실린더(10)의 내부에 중립상태인 위치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코일(11)의 폭은 피스톤(9)의 폭 보다 3배 이내로 구비됨이 바람직 하나 필요에 따라 그 폭을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직진 안정성 파워 스티어링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우선 도 3,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속도가 중ㆍ고속인 상태이면 차량의 적소에 구비된 차속센서(12)가 이를 감지한 후 ECU(13)로 신호를 보낸다. 그러면 상기 ECU(13)는 랙 실린더(10)의 외주면에 구비된 코일(11)로 신호를 보내고, 이 코일(11)은 랙 실린더(10)의 내부에서 좌우로 작동되는 피스톤(9)을 자화시킨다. 상기와 같이 자화된 피스톤(9)은 상기 코일(11)의 폭 범위에서 토오크(Torque)가 증대되고, 그럼으로 핸들 회전 토오크는 증대되어 직진 중ㆍ고속인 상태에서 운전자는 안정된 운전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차량을 파킹할때나 차량의 속도가 저속시에는 상기 차속센서(12)가 이를 감지한 후 ECU(13)로 신호를 보낸다. 그러면 상기 ECU(13)는 코일(11)로 보내지는 신호를 차단하여 상기 랙 실린더(10)의 내부에 구비된 피스톤(9)을 자화시키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는 기어박스(1)의 내부에 구비된 밸브보디(2)와 인풋 샤프트(3) 그리고 토션바(4)의 상호 작동에 의해 좌,우측 유로튜브(6,7)로 선택적인 유압이 유입됨으로 랙바(8)와 피스톤(9)은 도 4 에 도시된 가상선과 같이 좌우로 용이하게 작동되어 운전자는 조향휠을 보다 쉽게 작동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차량의 중ㆍ고속 직진 주행중에 운전자가 느끼는 불안감을 간단한 구조로 해소되도록 한 것으로, 특히 랙 실린더의 외주면 적소에 구비된 코일에 의해 피스톤이 자화되도록 하고, 이로인해 핸들의 회전 토오크가 증대되면 운전자는 안정된 조향감을 갖고 운전할 수 있도록 한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유압에 의해 이동되는 피스톤(9)이 내부에 설치된 랙실린더(10)와,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는 차속센서(12)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피스톤(9)의 이동을 조절하는 ECU(13)를 구비한 차량용 파워스티어링에 있어서,
    상기 랙실린더(10)의 외주면에는 상기 ECU(13)에 의해 동작되어 중립상태인 위치에 배치된 상기 피스톤(9)의 이동에 저항을 줄 수 있도록 코일(11)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진 안정성 파워 스티어링.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11)의 축방향 폭은 피스톤(9)의 축방향 폭의 3배 이내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직진 안정성 파워 스티어링.
KR2019970043839U 1997-12-30 1997-12-30 직진안정성파워스티어링 KR2002996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3839U KR200299643Y1 (ko) 1997-12-30 1997-12-30 직진안정성파워스티어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3839U KR200299643Y1 (ko) 1997-12-30 1997-12-30 직진안정성파워스티어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1130U KR19990031130U (ko) 1999-07-26
KR200299643Y1 true KR200299643Y1 (ko) 2003-04-16

Family

ID=49397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3839U KR200299643Y1 (ko) 1997-12-30 1997-12-30 직진안정성파워스티어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964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6711B1 (ko) * 1999-02-10 2003-01-06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용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1130U (ko) 1999-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ITRM950426A1 (it) Dispositivo per il controllo parametrico della forza di reazione, in particolare di un volante di sterzo servoassistito.
KR100192381B1 (ko) 자동차의 동력조향장치
KR200299643Y1 (ko) 직진안정성파워스티어링
JPH0156018B2 (ko)
KR19990011100A (ko) 가변 강성의 토오션 바를 이용한 파워스티어링
KR970065292A (ko) 파워스티어링 장치
KR200206514Y1 (ko) 전자석을이용한속도감응형동력조향장치
JPS60261779A (ja) 全油圧式パワ−ステアリング装置
KR100291063B1 (ko) 속도감응형파워스티어링시스템
KR100217691B1 (ko) 동력조향장치용 유량제어수단
KR100268086B1 (ko) 속도감응형 파워스티어링 시스템
KR0170615B1 (ko) 자동차용 조향장치
KR0133302Y1 (ko) 자동차용 조향핸들의 파워스티어링 장치
KR100458224B1 (ko) 스티어링장치의 랙스톱퍼
JP2503411Y2 (ja) 4輪操舵車の車速制限装置
KR19990040239A (ko) 자기력을 이용한 조향핸들 조작력 제어장치
KR200158239Y1 (ko) 자동차 보조조향장치의 중립 제어장치
KR19980030062A (ko) 차량용 일렉트로닉 파워 스티어링
KR100552728B1 (ko) 자동차의 동력조향장치
KR200261495Y1 (ko) 자동차용조향장치의조향기어구조
KR0142728B1 (ko) 자동차의 동력 조향장치
KR100401072B1 (ko) 직진안전성을향상시킨자동차용메뉴얼조향기어
KR100366713B1 (ko) 전자제어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의 유로제어장치
KR100378302B1 (ko) 차량용조향장치
KR100361307B1 (ko) 속도감응형 동력조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1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