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9337Y1 - Suction nozzle for vacuum cleaner - Google Patents

Suction nozzle for vacuum clea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9337Y1
KR200299337Y1 KR20-2002-0024894U KR20020024894U KR200299337Y1 KR 200299337 Y1 KR200299337 Y1 KR 200299337Y1 KR 20020024894 U KR20020024894 U KR 20020024894U KR 200299337 Y1 KR200299337 Y1 KR 2002993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vacuum cleaner
suction plate
present
d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4894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만식
Original Assignee
김만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만식 filed Critical 김만식
Priority to KR20-2002-00248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9337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93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9337Y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Abstract

본 고안은 진공청소기(1)의 연장관(3)과 연계되어 손이 닿지 않는 좁은 틈새에 먼지나 찌꺼기 등의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구에 관련된다. 본 고안은 일면이 개방되는 중공의 사각틀구조로서 저면에 흡입공(11)과 지지돌부(12)를 구비하는 흡입판(10)과; 상기 흡입판(10)과 연통되도록 후단에 결합되고, 상기 연장관(3)의 탄성돌부에 의해 착탈되도록 결합공(21)을 구비하는 연결관(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고안의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흡입판(10)은 개방된 일면의 상부에 개재되는 자석(30)을 구비하되, 상기 흡입판(10)의 개방된 일면을 통하여 먼지나 찌꺼기 등의 이물질을 흡입하는 동시에 내부에 개재되는 자석(30)을 이용하여 금속붙이 등을 수거가 가능하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let for suctioning foreign matter such as dust or debris in a narrow gap which is not reachable in connection with the extension pipe 3 of the vacuum cleaner 1. The present invention is a hollow rectangular frame structure in which one surface is opened, the suction plate 10 having a suction hole 11 and a support protrusion 12 on the bottom; Coupled to the rear end to communicate with the suction plate 10,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necting pipe 20 having a coupling hole 21 to be detached by the elastic protrusion of the extension pipe (3). At this time, as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ction plate 10 is provided with a magnet 30 inter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open, foreign matter such as dust or debris through the open one surface of the suction plate 10 At the same time to suck the metal using a magnet 30 interposed therein to enable the collection of metal paste.

이에 본 고안은, 진공청소기의 흡입구가 닿지 않는 사각지대의 청소가 용이하도록 함은 물론 사용자가 보다 편안한 자세에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여 그 기능성은 최대한 살리면서도 집진 능력과 함께 실용성과 편의성을 만족시키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makes it easier to clean the blind spot that the suction port of the vacuum cleaner does not reach, but also enables the user to use it in a more comfortable posture, while maintaining its functionality as much as possible, while satisfying practicality and convenience with dust collecting ability There is.

Description

진공청소기용 흡입구{Suction nozzle for vacuum cleaner}Suction nozzle for vacuum cleaner

본 고안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진공청소기의 흡입구가 닿지 않는 사각지대의 청소가 용이하도록 함은 물론 사용자가 보다 편안한 자세에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여 그 기능성은 최대한 살리면서도 집진 능력과 함께 실용성과 편의성을 만족시키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to facilitate the cleaning of the blind area that the suction port of the vacuum cleaner does not reach, as well as to enable the user to use in a more comfortable posture, while maintaining its functionality as much as possible,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inlet for satisfying practicality and convenience.

언제부턴가 우리나라도 각 가정의 생활 공간 자체가 밀폐성이 높은 아파트나 주택, 그리고 그에 상응하는 구조가 눈에 띄게 발전됨에 따라 청소가 용이하고 구석진 곳의 먼지까지 깨끗하게 빨아들이는 진공청소기가 생활필수품으로 자리잡고있는 실정이다.Everywhere in Korea, the living space of each home itself is a highly confined apartment or house, and the corresponding structure is remarkably developed, so it is easy to clean and sucks dust in the corners as a necessity. I'm holding it.

이러한 진공청소기(vacuum cleaner, 眞空淸掃機)는 저압부(低壓部)의 흡수력을 이용하여 먼지 등을 빨아들이게 된 청소 기구로서 전기소제기(掃除機)라고도 한다. 진공청소기는 그 기능과 형태에 따라서, ① 핸드타입(hand type), ② 업라이트 타입(upright type), ③ 포트 타입(pot type), ④ 실린더형 플로어 타입(floor type) 등으로 구분된다. 한편, 가정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실린더형 플로어 타입은 집진용량이 크면서도 보통 600 W 정도의 소비전력으로 모터의 소음을 대폭 감소시킨 방음(防音) 설계된 모델도 출시되고 있다.Such a vacuum cleaner (vacuum cleaner) is a cleaning device that sucks dust and the like by using the absorption force of the low pressure portion, it is also referred to as an electric cleaner (기 機). Vacuum cleaners are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types: ① hand type, ② upright type, ③ pot type, and ④ cylindrical floor type. On the other hand, the cylindrical floor type, which is widely used for home use, has a large amount of dust collection capacity and is also a soundproofed model that significantly reduces the noise of the motor with a power consumption of about 600 W.

도 1은 일반적인 진공청소기의 구조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예시도가 도시된다.1 shows an exploded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general vacuum cleaner.

진공청소기(1)는 먼지나 찌꺼기 등의 이물질을 빨아들이는 흡입장치와 흡입된 이물질 등을 집진하는 먼지받이 케이스가 내장되는 본체(2)와, 흡입장치에서 발생되는 흡입력에 의하여 흡입되는 이물질을 가이드하는 연장관(3)과, 연장관에 연결되어 이물질 등을 빨아들이는 흡입구(4)를 구비한다. 작동에 있어서, 흡입장치로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들고 난 다음 먼지나 찌꺼기 등의 이물질을 흡입구를 통해 빨아들인다. 이때, 흡입장치로 빨아들인 먼지나 찌꺼기 등은 먼저 먼지봉투에서 거르고 난 뒤 흡입된 공기는 본체의 공기정화필터에서 한번 걸러주고 공기는 배기구를 통해 빠져나간다.The vacuum cleaner 1 includes a main body 2 having a suction device for sucking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or debris and a dust collecting case for collecting the sucked foreign substances, and a foreign substance sucked by the suction force generated by the suction device. An extension pipe (3) for guiding and a suction port (4) connected to the extension pipe for sucking foreign matters and the like are provided. In operation, the interior is vacuumed with a suction device, and foreign matter such as dust and debris is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At this time, the dust or debris sucked into the suction device is first filtered from the dust bag, and the sucked air is once filtered out of the air purifying filter of the main body, and the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exhaust port.

이와 같이 진공청소기(1)는 그 사용장소에 따라서 흡입구(4)를 교체하여 사용하여 왔는데, 이는 카페트, 마루바닥 등과 같은 평평한 곳은 일반 롤러브러시를사용하고 TV나 오디오 기기의 뒷면, 조명기구, 식당이나 거실의 선반 등 손이 닿지 않는 높은 곳은 롤러브러시를 빼고 연장관만으로 사용하며 소파 사이의 틈새, 창틀의 홈, 침대의 틈새, 가구 틈새 등 손이 닿지 않는 곳은 틈새용 흡입구를 사용하여 청소를 수행한다.In this way, the vacuum cleaner (1) has been used by replacing the inlet (4) according to the place of use, which is a flat place such as carpet, floor, etc. using a general roller brush and the back of TV or audio equipment, lighting equipment, Remove the roller brush and use the extension pipe only for high places that are out of reach, such as shelves in restaurants or living rooms, and use inlet suctions for gaps between sofas, grooves of window frames, gaps between beds, and furniture gaps. Perform

그러나, 통상적인 진공청소기(1)에 사용장소에 따라 별도로 장착이 가능한 흡입구(4)는 사용자가 사용하기 편리하게 설계되어 있다. 하지만, 사용자가 손이 닿지 않는 소파 사이의 틈새, 창틀의 홈, 침대의 틈새, 가구 틈새 등의 좁은 틈새를 청소하기에는 통상적인 틈새용 흡입구의 길이에 제한을 받거나 아니면 틈새용 흡입구는 들어가지만 이와 연계된 연장관(3)이 더 이상 들어가지 않아 청소를 수행하지 못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However, the suction port 4 which can be separately mounted according to the use place in the conventional vacuum cleaner 1 is designed to be convenient for the user. However, in order to clean narrow gaps such as gaps between sofas, grooves of window frames, bed gaps, and furniture gaps that are out of reach, the user is limited to the length of the usual inlet for gaps, or the inlet for gaps can be connected but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extension tube (3) is no longer entered and can not be cleaned.

이외에도, 손이 닿지 않는 틈새 중에서 특히 침대, 가구, 소파 등의 틈새를 청소할 경우에는 사용자가 일일이 허리와 무릎을 구부려 엎드린 자세에서 청소를 수행하므로 한번 청소를 하고 난 뒤에는 사용자의 허리와 무릎 등에 통증이 발생하는 등의 폐단이 따랐다.In addition, when cleaning the gaps, such as beds, furniture, and sofas, which are out of reach, the user performs cleaning in a prone position by bending his / her back and knees. It occurred, such as the following occurred.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진공청소기의 흡입구가 닿지 않는 사각지대의 청소가 용이하도록 함은 물론 사용자가 보다 편안한 자세에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여 그 기능성은 최대한 살리면서도 집진 능력과 함께 실용성과 편의성을 만족시키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fundamentally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o facilitate the cleaning of the blind spot that does not reach the suction port of the vacuum cleaner, as well as to enable the user to use in a more comfortable posture and its functionality is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acuum cleaner suction port that satisfies practicality and convenience with maximum dust collection capacity.

도 1은 일반적인 진공청소기의 구조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예시도.1 is an exploded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general vacuum cleaner.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흡입구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suction 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흡입구의 요부를 배면에서 일부분 확대한 상태와 이를 종단면으로 나타내는 구성도.Figure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portion of the main portion of the suction port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enlarged in the rear and a longitudinal section thereof.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흡입구의 요부를 배면에서 일부분 확대한 상태와 이를 횡단면으로 나타내는 구성도.Figure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portion of the main portion of the suction port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nlarged in the rear and a cross-sectional view thereof.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진공청소기(1)의 연장관(3)과 연계되어 손이 닿지 않는 좁은 틈새에 먼지나 찌꺼기 등의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구에 있어서: 일면이 개방되는 중공의 사각틀구조로서 저면에 흡입공(11)과 지지돌부(12)를 구비하는 흡입판(10)과; 상기 흡입판(10)과 연통되도록 후단에 결합되고, 상기 연장관(3)의 탄성돌부에 의해 착탈되도록 결합공(21)을 구비하는 연결관(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extension tube (3) of the vacuum cleaner (1) in the suction inlet to suck foreign matter, such as dust or debris in a narrow gap out of reach: hollow rectangular frame structure with one side open A suction plate 10 having a suction hole 11 and a support protrusion 12 on a bottom thereof; Coupled to the rear end to communicate with the suction plate 10,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necting pipe 20 having a coupling hole 21 to be detached by the elastic protrusion of the extension pipe (3).

본 고안의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흡입판(10)은 개방된 일면의 상부에 개재되는 자석(30)을 구비하되, 상기 흡입판(10)의 개방된 일면을 통하여 먼지나 찌꺼기 등의 이물질을 흡입하는 동시에 내부에 개재되는 자석(30)을 이용하여 금속붙이 등을 수거가 가능하도록 한다.As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ction plate 10 is provided with a magnet 30 inter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open one, and sucks foreign matter such as dust or debris through the open one side of the suction plate 10. At the same time, the metal paste can be collected using the magnet 30 interposed therein.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흡입판(10)의 내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보강리브(13)를 더 구비한다.As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ction plate 10 further includes a reinforcing rib 13 at regular interval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흡입구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흡입구의 요부를 배면에서 일부분 확대한 상태와 이를 종단면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inlet 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ain portion of the suction 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artially enlarged in the rear and longitudinal section thereof.

본 고안은 진공청소기(1)의 연장관(3)과 연계되어 손이 닿지 않는 좁은 틈새에 먼지나 찌꺼기 등의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구에 관련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흡입구(40)는 소파 사이의 틈새, 창틀의 홈, 침대의 틈새, 가구 틈새 등 손이 닿지 않는 곳의 청소가 용이하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let for suctioning foreign matter such as dust or debris in a narrow gap which is not reachable in connection with the extension pipe 3 of the vacuum cleaner 1. More specifically, the suction opening 40 is easy to clean out of reach such as the gap between the sofa, the groove of the window frame, the gap of the bed, the furniture gap.

도 1 및 도 2의 공통적인 사항인 진공청소기(1)는 종래 고안을 기준하여 부호를 개재하되, 본 고안에서는 진공청소기를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다. 진공청소기(1)는 본체(2)의 주요부분, 연장관(3) 및 흡입구(4)로 이루어진다. 본체(2)는 흡입장치인 모터와 회전날개 및 먼지받이 케이스로 되어 있으며, 모터로 회전날개를 1만 회 이상 회전시켜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들고 먼지나 찌꺼기를 흡입구를 통해 본체내로 빨아들인 뒤 먼지, 찌꺼기 등은 필터에서 걸러주고 공기는 배기구로 빠져나간다. 연장관(3)은 플랙시블 호스와 다단으로 그 길이가 연장되는 긴 관으로 이루어지고, 흡입구(4)는 진공청소기(1)의 사용장소에 따라 별도로 장착한다.The vacuum cleaner 1, which is a common matter of FIGS. 1 and 2, is provided with reference to a conventional design, but the vacuum cleaner 1 is not shown separately in the present design. The vacuum cleaner 1 consists of the main part of the main body 2, the extension pipe 3, and the suction port 4. The main body (2) consists of a motor, a suction blade, a rotary blade, and a dust collector case. The motor rotates the rotary blade more than 10,000 times to make the interior vacuum and sucks dust or debris into the main body through the suction port. , Wastes are filtered out of the filter and air is exhausted through the exhaust vents. Extension tube (3) consists of a flexible hose and a long tube extending in length in multiple stages, the inlet (4) is mounted separately depending on the place of use of the vacuum cleaner (1).

이때, 본 고안에서의 흡입구(40)는 흡입판(10), 연결관(20) 등으로 이루어지는 주요부는 도 2를 통하여 설명하고, 이의 상세한 구성은 도 3을 통하여 설명한다.At this time, the suction port 40 in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main portion consisting of the suction plate 10, the connecting pipe 20, etc.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ure 2, the detailed configura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본 고안에 따른 흡입판(10)은 일면이 개방되는 중공의 사각틀구조로서 저면에 흡입공(11)과 지지돌부(12)를 구비한다. 흡입판(10)은 2장의 금속재로서 스테인레스, 알루미늄 압출제를 사용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양단을형으로 절곡하여 사출 성형한다. 이들 금속재중에서 도면 3a와 도 3b를 나타내듯이 저면에 위치할 금속재에 흡입공(11), 지지돌부(12) 및 후술하는 보강리브(13)를 성형하기위해 프레스(press)로 가공하는데, 이는 커터(cutter)로 소정의 모양으로 절단하는 절단가공과 다이(die)와 펀치(punch)로 필요한 모양을 따내는 따내기가공으로 소정의 형상을 형성한다. 이어서, 소정의 형상을 형성한 2장의 금속을 교차시켜 스폿(SPOT)용접으로 서로 접합한다.The suction plat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ollow rectangular frame structure in which one surface is open, and includes a suction hole 11 and a support protrusion 12 at a bottom thereof. The suction plate 10 is preferably made of stainless steel or aluminum extruder as two metal materials, It is bent into a mold and injection molded. Among these metal materials, as shown in FIGS. 3A and 3B, a metal material to be placed on the bottom is formed by pressing to form a suction hole 11, a support protrusion 12, and a reinforcing rib 13 to be described later. A predetermined shape is formed by a cutting process of cutting into a predetermined shape with a cutter and a cutting process of extracting a required shape with a die and a punch. Subsequently, two metals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are crossed to be bonded to each other by spot welding.

한편, 스폿용접(Spot Welding)은 용접하려는 2개 이상의 금속을 맞대거나 겹쳐서, 단시간 내에 대전류를 통전하여 그때 접촉면에 발생하는 전기저항열을 이용하여 접합하려는 부분의 온도를 상승시키면서 압력을 가하여 접합하는 용접방법이다. 최근에는 스폿용접 또는 리벳접합을 필요로 하는 금속박판(sheet metal)접합부분에 재래적인 이러한 방법 대신, 주어진 모재의 조건에 맞는 TOOL(TOG-L-LOC TOOL)을 사용하여 접합되어야 할 부분에 가압(pressing)하여 모재를 국부적으로 소성변형시킴으로 결합력을 형성해내는 기술이 시행됨에 따라 칼라강판(PCM), 알루미늄판, 이종재질판, 등 스폿용접이 불가한 소성변형이 가능한 겹치기이음의 전부분에 모두 접합 가능하여 생산성과 자동화에 유리하다.Spot welding, on the other hand, joins or overlaps two or more metals to be welded, and conducts a large current in a short time, and then joins them by applying pressure while increasing the temperature of the portion to be joined by using electric resistance heat generated at the contact surface. It is a welding method. In recent years, instead of conventional methods for sheet metal joints that require spot welding or rivet joining, pressure is applied to the part to be joined using a tool (TOG-L-LOC TOOL) suitable for the given base material conditions. As the technology to form the bonding force by locally pressing the base metal by pressing it is applied, all parts of the overlapping joints that can be plastically deformed where spot welding is impossible such as PCM, aluminum plate, dissimilar material plate, etc. Bonding is advantageous for productivity and automation.

이때, 도 3b에서 상기 흡입판(10)은 개방된 일면의 상부에 개재되는 자석(30)을 구비하되, 상기 흡입판(10)의 개방된 일면을 통하여 먼지나 찌꺼기 등의 이물질을 흡입하는 동시에 내부에 개재되는 자석(30)을 이용하여 금속붙이 등을 수거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는 흡입판(10)의 구성하는 한 장의 금속판 선단을 내부로 말아 올리고 난 뒤 그 내부로 자성을 띄는 자석(30)을 장착하여 금속판의 양단을 가압하여 고정시킨다. 이로 인해 두 장의 금속판이 벌어지게 되고 이로서 흡입판(10)의 선단이 개방되고 이를 통해서 먼지나 찌꺼기 등의 이물질 등을 흡입하게된다.At this time, the suction plate 10 in Figure 3b is provided with a magnet 30 inter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open, while suctioning foreign matters such as dust or debris through the open one surface of the suction plate 10 By using the magnet 30 interposed therein, it is possible to collect the metal paste. This rolls up the tip of one sheet of the metal plate constituting the suction plate 10 therein and mounts a magnet 30 having magnetic properties therein to press and fix both ends of the metal plate. As a result, two metal plates are opened, and thus, the tip of the suction plate 10 is opened to suck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or debris.

그리고, 상기 흡입판(10)의 내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보강리브(13)를 더 구비한다. 흡입판(10)은 무게가 가벼운 금속재로 이루어짐에 따라 소정의 충격으로 흡입판이 휘어지거나 구부려지기 때문에 도 3b에서, 흡입판(10)의 구성하는 2장의 금속재에 일정한 간격으로 적정 길이로 보강리브(13)를 프레스(press)로 가공으로 형성하여 소정의 충격으로부터 휘어지거나 구부려지지 않게 된다.In addition, the suction plate 10 further includes a reinforcing rib 13 at regular intervals. Since the suction plate 10 is made of a light weight metal material and the suction plate is bent or bent due to a predetermined impact, in FIG. 3B, the suction plate 10 is provided with a reinforcing rib having a proper length at regular intervals to the two metal materials constituting the suction plate 10. 13) is formed by pressing to prevent bending or bending from a predetermined impact.

또, 본 고안에 따른 연결관(20)은 상기 흡입판(10)과 연통되도록 후단에 결합되고, 상기 연장관(3)의 탄성돌부에 의해 착탈되도록 결합공(21)을 구비한다. 연결관(20)은 상기의 흡입판(10)과 같은 소재를 사용하여 일체감을 주도록 하고 끝단부에 결합공(21)을 양측에 형성한다. 연결관(20)의 결합공(21)을 통하여 종래의 도면인 도 1을 참조하면 진공청소기(1)의 연장관(3)에 형성되는 탄성돌부(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착탈된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pipe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rear end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suction plate 10, and has a coupling hole 21 to be detached by the elastic protrusion of the extension pipe (3). The connection pipe 20 uses the same material as the suction plate 10 to give a sense of unity and forms coupling holes 21 at both ends. Referring to FIG. 1, which is a conventional drawing, through the coupling hole 21 of the connecting pipe 20, it is detached by an elastic protrusion (not shown) formed in the extension pipe 3 of the vacuum cleaner 1.

사용에 있어서는, 도 2에서 연결관(20)의 결합공(21)을 통하여 진공청소기(1)의 연장관(3)에 형성되는 탄성돌부(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결착시킨다. 이어서, 사용자가 서 있는 자세에서 흡입구(40)를 침대, 가구, 소파 등의 틈새에 위치시키고 난 다음 진공청소기(1)에 전원을 인가시키면 진공청소기(1)에 의해 강한 흡입력이 작용하게 된다. 이에 따라 흡입판(10)의 개방된 일면과 저면의 흡입공(11)을 통해서 먼지나 찌꺼기 등의 이물질이 흡입되고 개방된 일면으로 흡입되는 이물질 중에서 금속붙이 등은 자석(30)에 의해 수거된다. 여기서, 흡입구(40)에 강한 흡입력이 작용하면 흡입판(10)이 바닥면과 밀착되기 때문에 흡입구(40)의 유동이 쉽게 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됨에 따라서 흡입판(10)의 하부에 돌출되는 지지돌부(12)에 의해 흡입판(10)과 바닥면이 밀착되지 않아 흡입구(40)의 유동이 가능하게 된다.In use, it binds by the elastic protrusion (not shown) formed in the extension pipe 3 of the vacuum cleaner 1 through the coupling hole 21 of the connection pipe 20 in FIG. Subsequently, when the user places the suction port 40 in a gap of a bed, furniture, sofa, etc. in a standing posture, power is applied to the vacuum cleaner 1 so that a strong suction force is applied by the vacuum cleaner 1. Accordingly, foreign matters such as dust or debris are sucked through the suction hole 11 of the open side and the bottom of the suction plate 10, and the metal paste is collected by the magnet 30 from the foreign matter sucked to the open side. . Here, when a strong suction force acts on the suction port 40, the suction plate 1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so that the flow of the suction port 40 does not become easy, thus protruding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suction plate 10. The suction protrusions 10 and the bottom surface are not in close contact by the support protrusions 12, and thus the suction port 40 may flow.

한편, 흡입구(40)를 구성하는 흡입판(10)자체를 슬라이드방식을 통해서 다단으로 그 길이가 연장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uction plate 10 itself constituting the suction port 40 may be formed to extend the length in multiple stages through a slide method.

이와 같이, 본 고안의 흡입구(40)를 통하여 통상적으로 진공청소기(1)의 흡입구가 미치지 못하는 사각지대의 청소가 용이하게 되는 한편, 사용자가 손이 닿지 않는 틈새 중에서 특히 침대, 가구, 소파 등의 틈새를 청소할 경우에 일일이 허리와 무릎을 구부려 엎드린 자세에서 청소를 수행할 필요가 없게 되고 아주 편안한 자세인 그냥 서있는 자세에서 상기의 틈새들의 청소를 수행하게 된다.As such, while the suction port 40 of 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easy to clean the blind spot that the suction port of the vacuum cleaner 1 cannot reach, the bed, furniture, sofa, etc., among the gaps out of reach of the user. If you are cleaning the gap, you do not need to bend your back and knees and perform the cleaning in the prone position, and clean the gaps in the standing position, which is a very comfortable position.

이로 말미암아, 진공청소기의 흡입구의 기능성을 최대한 살리게 되고 먼지나 찌꺼기 등의 많이 쌓여 있는 틈새의 청소가 가능하여 진공청소기의 실용성과 편의성을 만족시키게 된다.This makes it possible to maximize the functionality of the suction inlet of the vacuum cleaner and to clean the accumulated gaps such as dust and debris, thereby satisfying the practicality and convenience of the vacuum cleaner.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흡입구의 요부를 배면에서 일부분 확대한 상태와 이를 횡단면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Figure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ain portion of the suction port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artially enlarged in the cross-sectional view.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서, 상기 흡입구(40)를 금속재가 아닌 합성수지재로 사출 성형할 경우에는 4면이 막혀 있으면서 중공의 장방향 형태로 성형한다. 그리고, 흡입구(40)를 형성하는 흡입판(10)의 선단부 저면에 흡입공(11)과 지지돌부(12) 및 보강리브(13)를 형성하고, 흡입공(11)의 사이 적정위치에 자성의 띄는 자석(30)을 내부에 장착시킨다. 여기서, 상기의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하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키고, 그 작용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였다.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inlet 40 is injection-molded with a synthetic resin material rather than a metal material, the inlet 40 is molded into a hollow long shape while four surfaces are blocked. In addition, the suction hole 11, the support protrusion 12, and the reinforcing rib 13 ar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ip end portion of the suction plate 10 forming the suction port 40, and the magnetic portion is disposed at an appropriate position between the suction holes 11. Of the magnet 30 is mounted inside. Her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in the above drawings refer to the same member having the same function, and the overlapping description is omitted since the operation is the same.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such modifications or modifications will have to belong to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진공청소기의 흡입구가 닿지 않는 사각지대의 청소가 용이하도록 함은 물론 사용자가 보다 편안한 자세에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여 그 기능성은 최대한 살리면서도 집진 능력과 함께 실용성과 편의성을 만족시키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makes it easier to clean the blind spot where the suction port of the vacuum cleaner does not reach, but also enables the user to use it in a more comfortable posture, while maintaining its functionality while maintaining practicality and convenience. It has a satisfying effect.

Claims (3)

진공청소기(1)의 연장관(3)과 연계되어 손이 닿지 않는 좁은 틈새에 먼지나 찌꺼기 등의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구에 있어서:In the suction port which is connected to the extension tube 3 of the vacuum cleaner 1 and sucks in foreign matters such as dust or debris in a narrow gap which cannot be reached by hand: 일면이 개방되는 중공의 사각틀구조로서 저면에 흡입공(11)과 지지돌부(12)를 구비하는 흡입판(10)과;A hollow rectangular frame structure in which one surface is opened, and a suction plate 10 having a suction hole 11 and a support protrusion 12 at a bottom thereof; 상기 흡입판(10)과 연통되도록 후단에 결합되고, 상기 연장관(3)의 탄성돌부에 의해 착탈되도록 결합공(21)을 구비하는 연결관(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It is coupled to the rear end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suction plate 10, the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necting pipe 20 having a coupling hole 21 to be detached by the elastic protrusion of the extension pipe (3) Inlet.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흡입판(10)은 개방된 일면의 상부에 개재되는 자석(30)을 구비하되,The suction plate 10 is provided with a magnet 30 that is inter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open, 상기 흡입판(10)의 개방된 일면을 통하여 먼지나 찌꺼기 등의 이물질을 흡입하는 동시에 내부에 개재되는 자석(30)을 이용하여 금속붙이 등을 수거가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A suction port for a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it sucks foreign matters such as dust or debris through an open surface of the suction plate 10 and at the same time collects metal pastes using a magnet 30 interposed therein. .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흡입판(10)의 내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보강리브(13)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구.Inlet for the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uction plate 10 further comprises a reinforcing rib 13 at regular intervals.
KR20-2002-0024894U 2002-08-21 2002-08-21 Suction nozzle for vacuum cleaner KR200299337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4894U KR200299337Y1 (en) 2002-08-21 2002-08-21 Suction nozzle for vacuum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4894U KR200299337Y1 (en) 2002-08-21 2002-08-21 Suction nozzle for vacuum clea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9337Y1 true KR200299337Y1 (en) 2003-01-03

Family

ID=49397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4894U KR200299337Y1 (en) 2002-08-21 2002-08-21 Suction nozzle for vacuum clea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9337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4062454A3 (en) Vacuum cleaner with cleaning pad
US20070039118A1 (en) Suction hose supporting structure for upright type vacuum cleaner capable of being converted to canister type
US7036184B2 (en) Accessory tool assembly for vacuum cleaner
KR200299337Y1 (en) Suction nozzle for vacuum cleaner
CN111568302A (en) Water washing cleaning device
CN217792832U (en) Gap brush structure with spray head
CN213046712U (en) High-efficiency filtering handheld dust collector
CN215226209U (en) Intelligent sofa with dust collection function
CN111772532B (en) Locker cleaning device
CN209136442U (en) A kind of brush head of dust collector component
CN209091176U (en) Dust collector and floor brush assembly thereof
CN212525286U (en) Central air conditioning tuber pipe cleaning device
CN209890948U (en) Socks production is with tailorring device
CN219813981U (en) Multifunctional household dust collector
CN210227540U (en) Sofa with clean dust absorption function
CN215605358U (en) Dust collector extension structure
CN214342110U (en) High-efficiency dust-absorbing floor brush
CN218922406U (en) Dust collector
JP2003093283A (en) Attachment for vacuum cleaner and vacuum cleaner using the same
CN211704434U (en) Cleaning device for cleaning indoor furniture
CN214342111U (en) Easily clean type scrubbing brush subassembly
CN217244058U (en) Household small-sized dust collector
CN217066239U (en) Easy-to-disassemble dust-absorbing floor brush
CN218856805U (en) Assembly device for part machining
CN220069634U (en) Disposable air filtering box for sweeping robo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