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8350Y1 - 하체벨트의 진동제어방법에 의한 진동장치 - Google Patents

하체벨트의 진동제어방법에 의한 진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8350Y1
KR200298350Y1 KR2020020026994U KR20020026994U KR200298350Y1 KR 200298350 Y1 KR200298350 Y1 KR 200298350Y1 KR 2020020026994 U KR2020020026994 U KR 2020020026994U KR 20020026994 U KR20020026994 U KR 20020026994U KR 200298350 Y1 KR200298350 Y1 KR 2002983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switch
lower body
control circuit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69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선
Original Assignee
조영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영선 filed Critical 조영선
Priority to KR20200200269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83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83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8350Y1/ko

Links

Landscapes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체 벨트에 진동 모터 및 진동 제어 회로를 장착하여 하체를 진동 제어회로에 의해 진동모터를 작동시킴으로써 마사지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하체 벨트의 진동 제어 방법에 의한 진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진동 모터를 하체 벨트의 좌우에 각 2조 장착하고, 조절부 내에는 사용자가 필요에 의해 ON/OFF가 제어되는 스위치를 하체 벨트의 중앙부분에 설치하고, 1회 진동시간 및 대기시간을 설정하여 상기 스위치의 ON신호에 의해 진동 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회로를 상부에 설치하며, 상기 진동 모터의 동작 전원 및 제어 회로의 동작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를 하부에 설치 구성하여, 스위치가 ON되면 미리 정해둔 1회 진동 시간동안 진동을 지속하고, 진동 종료 후 미리 정해둔 대기시간동안 스위치 신호와 무관하게 대기하였다가 그 시간이 경과된 후에 다시 상기 스위치 신호에 의해 진동을 제어하는 진동 방법에 의한 진동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하체벨트의 진동 제어 방법에 의한 진동장치{Vibrator for the lower part of body by control method of vibration}
본 발명은 하체 벨트의 진동 제어 방법에 의한 진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체 벨트의 좌우에 진동 모터를 설치하고 조절부 내에 제어회로를 구비하여 진동시간 및 진동 방법을 제어하여 최적의 마사지 효과를 얻을 수 있고, 하체를 곧바르게 교정시킬 수 있도록 한 하체벨트의 진동 제어방법에 의한 진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간은 직립보행을 함에 따라 혈액이 인체의 하부로 편중되는 현상이 있어 하체가 붓거나 혈액순환과 신진대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혈행 장애가 일어나거나 상당한 피로가 누적되어 인체에 나쁜 영향을 주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진동 장치의 제어회로를 이용하여 진동시간 및 진동 방법을 조절함으로서 하체의 피로를 해소하는데 도움을 주고 마사지 효과를 최적화시켜 신진대사를 촉진시키며 하체를 곧바르게 교정시켜주는데 도움을 주기 위한 진동 제어 방법에 의한 진동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진동 모터를 하체 벨트의 좌우에 각2조 장착하고 조절부 내에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ON/OFF가 제어되는 스위치를 하체벨트 조절부의 중앙부문에 설치하여 진동 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 회로를 중앙 상부에 설치하고, 상기 진동 모터의 동작 전원 및 제어 회로의 동작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를 중앙 하부에 설치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진동 제어 방법에 의한 진동장치는 스위치가 ON되면 미리 정해둔 1회 진동시간동안 진동을 지속하고, 진동 종료 후 미리 정해둔 대기시간동안 스위치 신호와 무관하게 대기하였다가 그 대기 시간이 경과된 후에 다시 상기 스위치 신호에 의해 진동을 제어하도록 반복하여 작동시켜 진동장치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한 진동장치가 하체벨트를 차고 사용자가 조절부 내의 스위치를 ON시키면 제어 회로에 설정되어진 1회 진동시간동안 진동하고, 이후 대기시간동안 상기 스위치의 ON/OFF와 무관하게 대기 상태에 있다가 상기 스위치의 ON에 의해 다시 진동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체 벨트의 진동으로 자극을 줌으로써 적절한 시간 간격으로 진동되어 하체를 마사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혈액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하체의 부기를 해소하는데 도움을 주고, 피로 및 저압효과로 신진대사를 촉진시킴으로서 혈행장애를 효과적으로 극복할 수 있으며 하체를 곧바르게 교정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하체 벨트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하체 벨트의 전체 구성도
도3은 본 발명의 하체 벨트의 진동 장치 입실시예를 보인 예시도
도4는 본 발명의 하체·벨트의 진동 장치의 일부 구성도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제어회로의 구성도
도6은 본 발명에 의한 하체 벨트의 진동 장치 및 진동 제어 방법을 보인 제어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12, 13, 14 : 제 1, 2, 3, 4 안내 홈
20. 지지부
30. 진동 모터
31. 불평형 분동 40. 제어회로
41. 입력부 42. 제어부
43. 구동부 50. 스위치
51. 누름부재 60. 배터리
70. 진동전달부재 80. 접착부재 (凹凸)
100. 조절부
200. 벨트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하체벨트의 전체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체벨트의 조절부(100)에는 진동 제어회로(40)와 스위치(50), 배터리(60)가 장착되고, 하체벨트 좌우에는 각 2조의 진동모터(30)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하체 벨트의 진통 장치의 예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체 벨트의 좌우에는 상면에 다수의 돌기가 돌출된 진동 전달부재(70)가 형성된 제1안내홈(11)이 형성되고, 그 안내홈(11)에는 진동 지지부(20)에 진동모터(30)가 삽입 고정 장착되고 상기 진동모터 (30)의 축에 불평형 분동(31)이 장착되어 진동모터(30)의 구동에 의해 불평형 분동(31)이 회전되어 진동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조절부(100)중앙의 제2안내홈(12)에는 ON/OFF스위치가 설치되고 중앙상부의 제3안내홈(13)에는 구동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어회로(40)가 형성되며 중앙 하부에는 제4안내홈(14)이 형성되어 상기 진동모터 및 제어 회로의 동작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60)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진동 모터와 진동지지부의 구성을 보인 구성도로서 진동 지지부(20)는 모터 외부에 지지부(20)가 형성되어 상기 진동모터(30)가 삽입고정되고 그 모터 지지부(20)와 일체형으로 형성된 구조로 구성된다. 이 진동 지지부(20)는 진동 모터(30)를 고정시켜 진동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제어회로(40)의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바와 같이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스위치가 ON되면 늘려서 접점과 접촉되고, 스위치가 OFF되면 접점과 떨어지도록 이루어진 스위치(50)와 그 스위치(50)의 신호를 트리거 신호로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41)와 그 입력부(41)로부터 스위치 ON신호가 입력되면 미리정해둔 1회 진동이 지속되는 시간동안 상기 진동모터(30)를 동작시키기 위한 구동신호를 출력함과 아울러 그 1회 진동이 종료된 후 다음 진동을 위해 대기하기 위해 정해둔 진동주기 시간동안 상기 스위치 (50)신호와 무관하게 대기상태를 유지하고, 그 진동주기 시간이 경과된 후에 상기 스위치(50)신호에 의해 진동 제어를 하는 제어부(42)와 그 제어부(42)의 진동모터(30)구동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진동모터(30)를 구동시괴는 구동부(43)로 구성된다.
따라서 제어회로(40)의 구체적인 실시예로 상기 제어부(42)는 타이머 IC를 이용하고, 상기 입력부(41)는 콘덴서(C1)과 저항(R2)를 이용하여 트리거 신호로 입력받도록 구성하고, 상기 구동부(43)는 트랜지스터(Q1)과 저항(R1)으로 이루어져 제어부(42)의 제어신호에 의해 트랜지스터(Q1)가 스위칭되어 배터리(60)의 전원을 진동모터(30)에 공급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또한 벨트는 탄력이 있는 스판밴드(200)로 구성되며, 그 벨트의 고정부위는 접착부(80)로 구성하며 진동전달부재(70) 상면으로 다수의 돌기가 돌출된 구성으로 지압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50)의 상부에는 스위치가 정확히 눌릴 수 있도록 누름부재(51)를 포함시켜 구성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하체벨트 진동장치는 사용자가 필요에 의해 스위치(50)를 ON하면 접점과 접촉되고, 이에 전원이 공급되면 입력부(41)의 콘덴서(C1) 및 저항(R2)을 통해서 트리거 신호가 제어부(42)에 인가된다. 이에따라 제어부(42)는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구동부(43)를 통해 진동모터(30)를 구동시키며, 그 진동모터(30)가 구동되어 진동이 발생된다. 그 진동모터(30)의 진동은 최종적으로 진동전달부재(70)에 전달되고, 진동전달부재(70)가 진동되어 사용자의 하체를 맛사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때 하체벨트(200)는 스판밴드의 탄력으로 하체를 압박하여 고정시켜 진동을 효과적으로 전달함으로써, 지압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어부(42)는 타이머 IC를 이용하고, 그 제어부(42)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어흐름으로 진동제어를 하게 된다. 먼저 스위치 (50) ON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한다(S1). 만약 스위치(S1)가 ON되면, 진동모드인지 대기모드인지를 판단한다.(S2)진동모드인 경우는 진동모터(30)를 ON시키기 위한 구동신호를 출력한다(S3) 진동모터(30)를 ON시킨 상태에서 1회 진동시간을 체크하여 미리 설정된 1회 진동시간(여기서는 5분을 실시예로 하였으나 설계자에 의해 변경가능)이 경과될때까지 상기 진동모터(30) ON상태를 유지시켜 진동이 연속되도록 제어한다.(S4) 이어서 상기 1회 진동시간이 완료되면 진동 모터(30)를 OFF시키고 진동모드를 해제하여 대기모드로 변환한다.(S6) 한편 진동모드가 아니고 대기 모드이면 미리 정해둔 다음 진동시작까지의 대기시간(여기서는 10분을 실시예로 하였으나 설계자에 의해 변경가능)이 경과되었는지를 제공한다(S7). 만약 진동 종료후 대기시간이 경과되면 대기모드를 해제하고 진동모드로 변환한 후 (S8) 상기 스위치가 ON 되는지를 체크하는 단계(S1)로 되돌아간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초기에 스위치가 ON되면 5분간 연속하여 진동모터(30)를 구동시킨다. 이때에는 스위치(50)의 ON/OFF에 관계없이 한번의 스위치 ON신호에 의해 5분간 연속해서 진동모터(30)를 구동시킨다. 이후 5분이 경과되면, 진동모터(30)를 OFF 시킨 후에 대기모드로 변환한다.
대기모드는 1회 진동(5분진동)후에 다음 진동까지의 대기시간을 의미하는 것으로 약 10분을 대기 시간으로 결정한다. 진동 종료후 대기 시간동안에는 스위치(50)의 ON/OFF와 무관하게 진동모터(30)를 OFF시켜 진동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이후 대기시간이 경과되면 다시 신호를 입력받아 5분간의 진동제어를 하도록 한다.
이와같이 진동모드와 대기모드를 분리하여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진동을 제어하는 이유는 일정한 대기시간을 두고 진동에 의한 자극을 줌으로서 거부반응 없이 편안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제어부(42)가 진동모드와 대기 모드의 모드 판단 및 시간 체크등은 각 신호처리에 의해 간단한 로직회로로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 타이머 IC를 이용하여 충분히 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응용예로서 배터리(60)의 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한 충전장치를 더 추가할 수 있으며, 운동시간 및 예약시간 체크 등을 제어부에 별도의 타이머 IC를 추가 이용한다. 또 본 발명의 응용예로서 신체 모든 부분에 적합하도록 여러 종류의 벨트를 제작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하체 벨트에 진동 제어회로가 장착된 진동모터의 스위치가 눌림에 따라 일정한 시간동안 진동모터를 구동시켜 진동시키므로 하체 벨트를 차고 있는 것만으로도 하체의 마사지 효과가 있다. 또한 1회 진동이 종료된 후 소정시간동안 대기하였다가 다시 스위치에 의해 진동을제어하므로 사용자가 너무 지속적인 진동에 거부반응하지 않고 편안하게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하체 벨트의 진동 지지부(20)에 진동모터(30)를 삽입하여 좌우에 각 2조의 진동모터를 고정 장착하고, 조절부(100) 내의 중앙에는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접점이 ON/OFF 되도록 설치한 스위치(50) 및 진동시간이 경과되면 미리 정해둔 대기시간동안 상기스위치(50)의 신호와 무관하게 대기 상태를 유지한 후 다시 상기 스위치의 신호에 의해 상기 진동모터(30)의 구동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어회로 (40)가 설치되며, 중앙하부에는 상기 진동모터(30) 및 제어회로(40)의 동 작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60)가 설치되어 구성되며 상기 제어회로(40)는 입력부, 제어부, 구동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벨트의 진동제어방법에 의한 진동장치
KR2020020026994U 2002-09-09 2002-09-09 하체벨트의 진동제어방법에 의한 진동장치 KR2002983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6994U KR200298350Y1 (ko) 2002-09-09 2002-09-09 하체벨트의 진동제어방법에 의한 진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6994U KR200298350Y1 (ko) 2002-09-09 2002-09-09 하체벨트의 진동제어방법에 의한 진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8350Y1 true KR200298350Y1 (ko) 2002-12-16

Family

ID=73128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6994U KR200298350Y1 (ko) 2002-09-09 2002-09-09 하체벨트의 진동제어방법에 의한 진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835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6320Y1 (ko) 안면 마사지기
US20140336540A1 (en) Cleaning and massaging system
KR101699852B1 (ko) 신체 마사지기
US10940078B1 (en) Vibratory massage apparatus
KR100306874B1 (ko) 신발의 진동장치 및 진동 제어방법
KR200424257Y1 (ko) 물리치료 장치
KR200298350Y1 (ko) 하체벨트의 진동제어방법에 의한 진동장치
KR102043436B1 (ko) 다리 안마기
KR200298351Y1 (ko) 복부 벨트의 진동제어 방법에 의한 진동장치
KR20070053911A (ko) 리모컨으로 작동되는 진동신발
KR102311560B1 (ko) 눈 마사지기
CN211272225U (zh) 一种拍打抖动机构
KR20040020762A (ko) 복부 벨트의 진동장치및 진동제어방법
KR20050007993A (ko) 다리 안마기
EP3760171A1 (en) Thermotherapy device
KR200224778Y1 (ko) 발 마사지 장치
KR200186506Y1 (ko) 신발의 진동을 이용한 발바닥 마사지 장치
KR200305336Y1 (ko) 휴대용 저주파 마사지기
KR20090103598A (ko) 주무르기식 안마장치
KR100306424B1 (ko) 고관절의 내회전 변형을 바로잡는 장치
US12005017B2 (en) Thermo-therapeutic apparatus
CN216061252U (zh) 一种按摩装置
JP2004216109A (ja) マッサージ器
KR100246064B1 (ko) 지압기
KR20000018122A (ko) 신발의 진동을 이용한 발바닥 마사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