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8207Y1 - A terminal box - Google Patents

A terminal box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8207Y1
KR200298207Y1 KR2020020026883U KR20020026883U KR200298207Y1 KR 200298207 Y1 KR200298207 Y1 KR 200298207Y1 KR 2020020026883 U KR2020020026883 U KR 2020020026883U KR 20020026883 U KR20020026883 U KR 20020026883U KR 200298207 Y1 KR200298207 Y1 KR 2002982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ase
terminal box
fitting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6883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오준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광통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광통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광통신
Priority to KR20200200268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8207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82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8207Y1/en

Links

Landscapes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신축 건물 공사시 벽면에 매설되는 단자함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도어의 조립이 용이한 단자함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개방된 면을 이루는 테두리에 끼움홈을 구비한 케이스와, 상기 끼움홈에 끼워지는 끼움편과, 상기 끼움편과는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잠금손잡이를 구비하는 도어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box embedded in the wall during construction of a new build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rminal box for easy assembly of a door.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ase having a fitting groove on the edge forming an open face, a fitting piece fitted into the fitting groove, and a door having a locking handle install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tting piece.

Description

단자함{A TERMINAL BOX}Terminal box {A TERMINAL BOX}

본 고안은 신축 건물 공사시 벽면에 매설되는 단자함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도어의 착탈이 용이한 단자함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box buried in the wall during construction of a new build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rminal box for easy detachability of the door.

일반적으로 모든 건축물을 시공할 때에는 많은 단자함들이 벽면내부로 매설된다. 특히, 아파트의 경우에는 모든 세대마다 단자함들이 설치된다.In general, many terminal boxes are buried inside walls when all buildings are constructed. In particular, in apartments, terminal boxes are installed in every household.

기존의 단자함은 케이스와 도어를 갖는다. 상기 케이스는 일면이 개방된 상자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단자함의 케이스는 벽면에 매설된다. 상기 도어는 케이스의 베이스상에 장착되는 단자 블록과 같은 통신기기(미도시됨) 등의 보호나 외관을 미려하게 하기 위하여 케이스 전면에 설치된다.Conventional terminal boxes have a case and a door. The case is made of a box-shaped open one side. The case of the terminal box is embedded in the wall. The door is installed at the front of the case to enhance the protection or appearance of a communication device (not shown) such as a terminal block mounted on the base of the case.

상기 단자함은 상기 도어를 상기 케이스로부터 분리해야 만, 통신기기들의 장착, 전선들의 연결, 보수 등의 작업을 수월하게 할 수 있다.The terminal box should be detached from the case to facilitate the installation of communication devices, connection of wires, maintenance, and the lik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9)의 일측에 축봉(10)을 결합하여, 도어(9)가 상기 축봉(10)을 힌지점으로 회전자재하면서 단자함을 개폐하도록 되어 있다. 이처럼 상기 도어(9)는 축봉(10)이라는 부품을 도어(9)에 조립해야하는 작업이 필요했고, 도어(9)를 케이스(2)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축봉(10)의 한쪽을 케이스 커버(7)의 힌지공(7a)에 먼저 끼운 후, 축봉(10)의 다른쪽을 케이스 커버(7)의 힌지공에 끼우는 식으로 도어(9)를 케이스에 조립해야했다. 마찬가지로 케이스(2)로부터 도어(9)를 분리할 때에도, 한쪽 축봉(10)을 케이스 커버(7)의 힌지공으로부터 빼낸 후 나머지 한쪽을 빼내야 하는 조립 및 분리하는데 불편함이 있다.As shown in FIG. 1, the shaft rod 10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door 9 so that the door 9 opens and closes the terminal box while rotating the shaft rod 10 to a hinge point. As such, the door 9 required a task of assembling a part called the shaft 10 to the door 9, and in order to mount the door 9 to the case 2, one side of the shaft 10 may be attached to a case cover ( After first inserting into the hinge hole 7a of 7), the door 9 had to be assembled to the case by inserting the other side of the shaft rod 10 into the hinge hole of the case cover 7. Similarly, when removing the door 9 from the case 2, there is an inconvenience in assembling and detaching, in which one shaft bar 10 is removed from the hinge hole of the case cover 7 and then the other one must be removed.

이처럼, 기존의 단자함(1)은 도어와 케이스를 조립하기 위해 별도의 축봉이라는 부품을 필요로 했기 때문에, 부품수 증가와 조립공정 증가로 인한 생산단가 증가라는 문제점이 있다.As such, the conventional terminal box (1) required a separate shaft called a part for assembling the door and the cas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roduction cost increases due to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parts and the assembly process.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케이스와도어의 조립이 용이한 새로운 형태의 단자함을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such a problem, the object is to provide a new type of terminal box that is easy to assemble the case and the door.

도 1은 일반적인 단자함을 보여주는 도면;1 shows a typical terminal box;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자함의 분해 사시도;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terminal box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자함의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terminal box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케이스에 도어를 조립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들;4 is a view showing a process of assembling the door to the case;

도 5는 도어의 정면도이다.5 is a front view of the door.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0 : 케이스110: case

120 : 도어120: door

122 : 잠금레버122: lock lever

124 : 끼움편124: fitting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단자함은 바닥면과, 상하/ 좌우 측면들 그리고 개방된 면을 갖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면을 열고/닫기 위한 도어를 포함하되; 상기 케이스는 상기 개방된 면을 이루는 테두리에 끼움홈을 구비하고, 상기 도어는 상기 끼움홈에 끼워지는 끼움편과; 상기 끼움편과는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잠금손잡이를 구비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terminal box and the case having a bottom surface, the upper and lower sides and the open side; A door for opening / closing an open side of the case; The case has a fitting groove in the rim forming the open surface, the door is fitted with the fitting piece; The fitting piece is provided with a locking handle that is installed in a corresponding position.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면들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가 병기되어 있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4.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components that perform the same function.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자함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자함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어의 정면도이다. 도 5는 케이스에 도어를 조립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terminal box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terminal box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ront view of the door. 5 is a view showing a process of assembling the door to the case.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단자함(100)은 케이스(110)와 도어(120)로 이루어진다.2 and 3, the terminal box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a case 110 and a door 120.

상기 케이스(110)는 건축물의 벽면에 설치된다. 벽면에 설치된 케이스(110)는 콘크리트 타설 작업, 미장 작업에 의해 벽면에 매설된다. 이 케이스(110)는 금속, ABS 또는 PVC 등의 재질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일면이 개방된 상자형으로 이루어진다.The case 110 is installed on the wall of the building. The case 110 installed on the wall is embedded in the wall by concrete pouring work, plastering work. The case 110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metal, ABS or PVC, and is formed in a box shape with one surface open.

상기 케이스(110)는 속판이 고정 결합되는 바닥면과, 상하/좌우 측면들 그리고 개방된 일면(116)을 갖는다. 상기 케이스(110)의 개방된 일면(116)은 상기 도어(120)에 의해 개폐된다. 상기 케이스(110)는 개방된 면을 이루는 4개의 플랜지들(117a,117b)을 갖으며, 이들 중에서 3개의 플랜지(117b; 이하 "제2플랜지"라 칭함)에는 도어(120)를 받치는 받침편(119)이 연장되어 형성된다. 나머지 하나의 플랜지(117a; 이하 "제2플랜지"라 칭함)는 상기 도어(120)와의 결합을 위한 끼움부분(118)을 제공한다. 상기 제1플랜지(117a)는 제2플랜지(117b)와는 높이 차이를 갖고 형성된다. 이러한 높이 차이에 의해 상기 도어의 끼움편(124)이 삽입될 수 있는 틈새가 제공된다. 이처럼, 상기 제1플랜지(117a)는 상기 도어(120)의 끼움편(124)이 끼워질 수 있는 틈새인 끼움부분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예컨대, 상기 틈새의 간격은 상기 도어의 끼움편(124)의 두께정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틈새의 간격이 끼움편의 두께보다 작을 경우에는 끼움편이 상기 끼움부분에 삽입되지 못하고, 반대로 큰 경우에는 상기 끼움편이 상기 끼움부분에 헐겁게 끼워질 수 있다.The case 110 has a bottom surface to which the inner plate is fixedly coupled, upper and lower sides, and left and right sides 116. One open surface 116 of the case 110 is opened and closed by the door 120. The case 110 has four flanges 117a and 117b constituting an open surface, and three of the flanges 117b (hereinafter referred to as “second flanges”) support pieces supporting the door 120. 119 is extended. The other flange 117a (hereinafter referred to as “second flange”) provides a fitting portion 118 for engagement with the door 120. The first flange 117a is formed to have a height difference from that of the second flange 117b. This height difference provides a gap into which the fitting piece 124 of the door can be inserted. As such, the first flange 117a may provide a fitting portion that is a gap in which the fitting piece 124 of the door 120 may be fitted. For example, the gap is preferably made of about the thickness of the fitting piece 124 of the door. When the gap is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fitting piece, the fitting piece may not be inserted into the fitting part. On the contrary, when the gap is large, the fitting piece may be loosely fitted into the fitting part.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도어(120)는 잠금레버(122)와 상기 끼움부분(118)에 끼워지는 끼움편(124)을 갖는다. 상기 끼움편(124)은 상기 도어(120)의 테두리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처럼, 본 고안의 도어(120)는 기존 도어처럼 별도의 축봉이나 힌지축을 구비하지 않는다.Referring to FIG. 5, the door 120 has a locking lever 122 and a fitting piece 124 fitted to the fitting portion 118. The fitting piece 124 extends from the edge of the door 120. As such, the door 120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have a separate shaft or hinge shaft like the existing door.

상기 도어(120)가 상기 케이스(110)에 조립되는 과정을 도 4a 및 도 4b를 참고하면서 설명한다.A process of assembling the door 120 to the case 11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A and 4B.

우선, 상기 도어(120)의 끼움편(124)을 상기 케이스의 끼움부분(118)에 끼움후 다음, 케이스(110)에 도어(120)를 닫는다. 그리고 잠금레버(122)를 잠금상태로 회동시키면, 상기 도어(120)는 끼움편(124)과 상기 잠금레버(122)의 잠금편(123)에 의해 상기 케이스(110)에 결합되는 것이다.First, the fitting piece 124 of the door 120 is inserted into the fitting portion 118 of the case, and then the door 120 is closed to the case 110. When the locking lever 122 is rotated in the locked state, the door 120 is coupled to the case 110 by the fitting piece 124 and the locking piece 123 of the locking lever 122.

한편, 상기 도어(120)를 상기 케이스(110)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과정은, 잠금레버(122)를 열림상태로 회동시킨 후 잠금레버(122)를 잡고 도어(120)를 비스듬하게 잡아당기면 상기 끼움편(124)이 상기 끼움부분(118)으로 빠져나오면서 상기 도어가 분리된다.On the other hand, the process for removing the door 120 from the case 110, the locking lever 122 is rotated in the open state and then holding the lock lever 122 to pull the door 120 obliquely the fitting The door is separated as the piece 124 exits into the fitting portion 118.

이상에서, 본 고안에 따른 단자함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In the above,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terminal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accordance with the above description and drawings,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이와 같은 본 고안을 적용하면, 도어를 케이스에 조립 또는 분리하는 것이 매우 편리하다. 그리고 기존에 비하여 부품수를 줄임으로써 생산 단가를 낮출 수 있다.Applying this invention, it is very convenient to assemble or remove the door to the case. In addition, the cost of production can be lowered by reducing the number of parts compared to the existing one.

Claims (2)

바닥면과, 상하/ 좌우 측면들 그리고 개방된 면을 갖는 케이스와;A case having a bottom surface, upper and lower sides, and open sides;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면을 열고/닫기 위한 도어를 포함하되;A door for opening / closing an open side of the case; 상기 케이스는 상기 개방된 면을 이루는 제1및제2플랜지들과, 제1플랜지에 형성된 끼움부를 구비하고,The case includes first and second flanges constituting the open surface, and a fitting portion formed on the first flange, 상기 도어는 상기 끼움부에 끼워지는 끼움편과;The door is fitted with the fitting piece; 상기 끼움편과는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잠금손잡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단자함.Terminal box,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locking handle which is installed in a corresponding position with the fitting piec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플랜지는 상기 제2플랜지와의 높이 차이를 갖으며,The first flange has a height difference from the second flange, 상기 끼움부는 상기 제1플랜지와 상기 제2플랜지의 높이 차이에 의해 제공되는 틈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함.The fitting portion is a terminal box, characterized in that the gap provided by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flange and the second flange.
KR2020020026883U 2002-09-09 2002-09-09 A terminal box KR200298207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6883U KR200298207Y1 (en) 2002-09-09 2002-09-09 A terminal box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6883U KR200298207Y1 (en) 2002-09-09 2002-09-09 A terminal box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8207Y1 true KR200298207Y1 (en) 2002-12-16

Family

ID=73078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6883U KR200298207Y1 (en) 2002-09-09 2002-09-09 A terminal box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8207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90418A (en) Access panel assembly with door and multi-functional frame
JP2004308416A (en) Container with window
EP3430959A1 (en) Shower door frame, and shower door
CA2324665A1 (en) Access door incorporating a dual pivoted fastening bracket
KR200298207Y1 (en) A terminal box
JP2009243180A (en) Partly-covered remodeled door frame and remodeling method therefor
JP4446470B2 (en) Refurbished sash
KR101489255B1 (en) The doorframe that can easily set up
KR200259426Y1 (en) A terminal box cover having warpage prevention structure
JP3848337B2 (en) Sash window construction method
KR200357693Y1 (en) Terminal box
KR200447940Y1 (en) A terminal box
KR200357692Y1 (en) Terminal box
JP7225035B2 (en) door
KR200390363Y1 (en) Door damage prevention device
JP2002242509A (en) Opening-section device
KR101098237B1 (en) Functional door
KR200367664Y1 (en) A charnel house
KR200390368Y1 (en) Assistance apparatus for prevention unlock a door
KR200358286Y1 (en) an outlet terminal box
JPH08260823A (en) Construction for imparting seismic function to existing door frame
KR100737824B1 (en) Security pivot hinge
KR200372431Y1 (en) A combination device of cover
JP2596175Y2 (en) Switch for drop-in
KR200281174Y1 (en) A sectional doorfr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2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