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7992Y1 - 인조해파리 - Google Patents

인조해파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7992Y1
KR200297992Y1 KR2020020017210U KR20020017210U KR200297992Y1 KR 200297992 Y1 KR200297992 Y1 KR 200297992Y1 KR 2020020017210 U KR2020020017210 U KR 2020020017210U KR 20020017210 U KR20020017210 U KR 20020017210U KR 200297992 Y1 KR200297992 Y1 KR 2002979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ellyfish
support
artificial
center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72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의
Original Assignee
김선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의 filed Critical 김선의
Priority to KR20200200172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79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79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7992Y1/ko

Links

Landscapes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물속에서 떠다니는 해파리를 수지재로 제조함으로써 어항의 관리가 쉽고 또한 모양과 색상이 화려한 인조해파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인 인조해파리는,
오목한 형상의 몸체와, 삼방형인 지지대가 상기 몸체 하단의 일측에 접착되며, 발이 형성된 꼬리부의 중심부가 상기 지지대의 중심부에 접착되는, 유연한 수지재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대의 중심부에 추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의 외주에 1개 이상의 공기구멍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인조해파리{ artificial jellyfish }
본 고안은 해파리를 유연한 수지재로 만든 인조해파리에 관한 것으로,
오목한 형상의 몸체와, 삼방형인 지지대가 상기 몸체 하단의 일측에 접착되며, 발이 형성된 꼬리부의 중심부가 상기 지지대의 중심부에 접착되는, 유연한 수지재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대의 중심부에 추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의 외주에 1개 이상의 공기구멍을 형성한 것으로, 물속에서 떠다니는 살아있는 해파리를 연상시키므로써, 어항의 관리가 쉽고 또한 모양과 색상이 화려한 인조해파리에 관한 것이다.
관상용으로 기르는 열대어들은 몸과 지느러미의 모양 및 색상이 다양하고 화려하여 일반 가정이나 공공건물 등에 실내장식으로 어항에 관상어를 기르고 있다.
이때 관상어로 취급되는 대부분의 열대어는 수족관에서 기르기가 매우 까다로운데, 이는 어항의 수질을 위해 주기적으로 깨끗한 물로 교환해 주어야 하는 한편 열대어에 적합한 수온을 항시 유지해 주어야 하며, 때맞추어 먹이를 주어야 하며, 또한 열대어는 생명력이 약해 오래 살지 못하므로 죽은 열대어에 따라 계속적으로 보충시켜서 어항을 관리하는 어려움에, 사람들은 인조물고기로 관상을 대신하였으나 인조물고기는 그 동작이 섬세하지 못하여 그 가치가 높지 못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종래의 인조물고기가 지닌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오목한 형상의 몸체와, 삼방형인 지지대가 상기 몸체 하단의 일측에 접착되며, 발이 형성된 꼬리부의 중심부가 상기 지지대의 중심부에 접착되는, 유연한 수지재를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지지대의 중심부에 추를 형성하며, 또한 상기 몸체의 외주에 1개 이상의 공기구멍을 형성한 것으로, 어항의 수질을 관찰해 주기적으로 물을 갈아주거나 때맞추어 먹이를 주는 번거로움을 없애 어항의 관리가 쉽고 유지비용을 줄이는 한편 미세한 물의 움직임에도 움직이는 살아있는 해파리를 연상시키므로써 실내가습 및 실내장식으로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인조해파리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구성요부 중 지지대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구성요부 중 지지대를 다른 방법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구성요부 중 몸체를 다른 방법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몸체 20 : 지지대
21 : 추 22 : 돌기
23 : 요홈 30 : 꼬리부
31 : 발 40 : 접착
50 : 공기구멍 60 : 어항
61 : 물 62 : 수중모타
63 : 입구 64 : 출구
100 : 인조해파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인 인조해파리는,
오목한 형상의 몸체(10)와, 삼방형인 지지대(20)가 상기 몸체 하단의 일측에 접착(40)되며, 발(31)이 형성된 꼬리부(30)의 중심부가 상기 지지대의 중심부에 접착(40)되는, 유연한 수지재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대(20)의 중심부에 추(21)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10)의 외주에 1개 이상의 공기구멍(50)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으로, 이때 유연한 수지재란 실리콘, 우레탄등과 같이 합성수지재와 라텍스등과 같이 천연 수지재등 유연성을 갖고 물에 견디며 어느 정도 탄성이 있으면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지닌 인조해파리는, 어항의 수질을 관찰해 주기적으로 물을 갈아주거나 때맞추어 먹이를 주는 번거로움이 없어 어항의 관리가 쉽고 유지비용을 줄이는 한편 미세한 물의 움직임에도 움직이는 살아있는 해파리를 연상시키므로써 실내가습 및 실내장식으로 극대화 한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특징을 지닌 본 고안인 인조해파리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인조해파리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한 형상의 몸체(10)와, 삼방형인 지지대(20)가 상기 몸체 하단의 일측에 접착(40)되며, 물의 흐름을 따라 움직이는 발(31)을 형성한 꼬리부(30)의 중심부가 상기 지지대의 중심부에 접착(40) 된다. 이때 접착(40) 방법은 초음파 접착과 물성 접착등 물에 견디는 방법이면 그 목적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며, 꼬리부(30)는 가능한한 얇고 가늘게 만들어 미세한 물의 이동에 움직이도록 되어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구성요부 중 지지대(20)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이때 지지대(20)는 몸체(10)의 일측과 접착되어 상기 몸체(10)의 형상을 유지하며, 또한 몸체(10)와 꼬리부(30)가 연결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22)를 만들어 접착(40)하면 접착 강도를 높일수 있으므로 그 목적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며, 이때 형광물질을 함유하여 화려한 색상을 연출하면 다양한 인조해파리를 만들 수도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구성요부 중 지지대(20)를 다른 방법으로 나타낸 구성도로서, 이때 추(21)는 요홈(23)을 만들어 끼워 넣는 방법이 적당하며, 이때 추(21)의 무게는 인조물고기(100)의 무게를 물의 비중 보다 약간 높게 0.8-0.95 정도로 하여 인조해파리(100)가 물에 서서히 뜨는 것이 좋으며, 추(21)의 재질은 스치롤폴등이 적당하다.
도 4는, 본 고안의 구성요부 중 몸체(10)를 다른 방법으로 나타낸 구성도로서, 상기 몸체(10)의 외주에 공기구멍(50)을 형성한 것으로, 몸체(10)내의 잔여 공기를 공기구멍(50)을 통해 쉽게 배출되므로, 인조해파리가 물에 서서히 가라앉는 것에 도움을 주며, 공기구멍(50)의 갯수는 1개 이상 필요에 따라 추가 형성해도 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 예를 나타낸 개략도로 어항(60)속의 물(61)이 수중모타(62)의 입구(63)와 출구(64)에 따라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인조해파리(100)는 우선 입구(63)쪽에서 물(61)의 이동방향으로 강제 이송됨으로 가라앉는다. 다시 물(61)이 출구(64)의 방향에 따라 옆으로 이동함으로 인조해파리(100)도 옆으로 이동한다. 다시 물(61)이 측면에 막혀 상향방향으로 이동하면 인조해파리(100)의 비중이 0.8-0.95정도이므로 떠오르고 다시 물(61)흐름에 따라 다시 입구(63)쪽에서 서서히 가라앉는 반복적인 운동이 이루어지며, 이때 발(31)은 미세한 물(61)의 요동에도 섬세하게 운동함으로써, 살아있는 해파리로 연상되어 실내장식이 극대화된다. 상기 실시 예에서 오징어, 문어, 말미잘등의 제작에도 이용될 수 있음을 알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인조해파리는 어항의 수질을 관찰해 주기적으로 물을 갈아주거나 때맞추어 먹이를 주는 번거로움이 없어 어항의 관리가 쉽고, 유지비용을 줄이고, 실내 인테리어를 위해 미적감각을 극대화한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3)

  1. 어항에 담수하여 관상하는 인조해파리에 있어서,
    오목한 형상의 몸체(10)와, 삼방형인 지지대(20)가 상기 몸체 하단의 일측에 접착(40)되며, 발(31)이 형성된 꼬리부(30)의 중심부가 상기 지지대의 중심부에 접착(40)되는, 유연한 수지재를 특징으로 하는 인조해파리.
  2. 어항에 담수하여 관상하는 인조해파리에 있어서,
    오목한 형상의 몸체(10)와, 중심부에 추(21)를 형성한 삼방형인 지지대(20)가 상기 몸체 하단의 일측에 접착(40)되며, 발(31)이 형성된 꼬리부(30)의 중심부가 상기 지지대의 중심부에 접착(40)되는, 유연한 수지재를 특징으로 하는 인조해파리.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의 외주에 1개 이상의 공기구멍(50)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해파리.
KR2020020017210U 2002-06-04 2002-06-04 인조해파리 KR2002979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7210U KR200297992Y1 (ko) 2002-06-04 2002-06-04 인조해파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7210U KR200297992Y1 (ko) 2002-06-04 2002-06-04 인조해파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7992Y1 true KR200297992Y1 (ko) 2002-12-12

Family

ID=73124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7210U KR200297992Y1 (ko) 2002-06-04 2002-06-04 인조해파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799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8331B1 (ko) * 2016-03-23 2016-09-20 주용범 수중운동체를 포함하는 관상용 수족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8331B1 (ko) * 2016-03-23 2016-09-20 주용범 수중운동체를 포함하는 관상용 수족관
WO2017164470A1 (ko) * 2016-03-23 2017-09-28 주용범 수중운동체를 포함하는 관상용 수족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49991A (en) Ornaments
US6751903B2 (en) Modular floating decorative garden and related water quality process
US4201006A (en) Oscillating flasher for deep water fishing
US6025042A (en) Artificial aquatic plants
KR200297992Y1 (ko) 인조해파리
CN2520658Y (zh) 立体多层网箱
KR20190077709A (ko) 바다 생물을 위한 인공어초
US6039005A (en) Aquatic habit extension device
CN209861991U (zh) 一种喷泉鱼缸
CN2574408Y (zh) 水族景观地板
KR200287223Y1 (ko) 인조 수중생물체 및 이를 이용한 수족관시스템
KR200294887Y1 (ko) 부양체
KR200386972Y1 (ko) 장식용 인조 수중생물체 및 그 수족관
US7178979B2 (en) Water agitation system for water retention structure
CN2150716Y (zh) 子母套式假鱼饵
CN209057632U (zh) 一种用于盆栽定时浇水的陶瓷工艺品
CN105815139B (zh) 一种多功能盆栽鱼缸
CN109699562B (zh) 一种喷泉鱼缸
CN209749392U (zh) 一种室内盆景
KR200401804Y1 (ko) 양식 어망용 부구
KR200327147Y1 (ko) 관상용 인조물고기
CN2154593Y (zh) 分体式可调鱼漂
KR200313040Y1 (ko) 다용도 수족관
CN2825126Y (zh) 一种自浮景观喷泉喷水器
CN213463528U (zh) 扁尾加宽醒目钓鱼浮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