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7509Y1 - 스트로우 - Google Patents

스트로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7509Y1
KR200297509Y1 KR2020020025830U KR20020025830U KR200297509Y1 KR 200297509 Y1 KR200297509 Y1 KR 200297509Y1 KR 2020020025830 U KR2020020025830 U KR 2020020025830U KR 20020025830 U KR20020025830 U KR 20020025830U KR 200297509 Y1 KR200297509 Y1 KR 2002975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w
contents
outside air
container
sealing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58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희성
Original Assignee
황희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희성 filed Critical 황희성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75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7509Y1/ko

Links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밀봉용기 등에 수납된 액상 내용물(음료 등)을 마실 때 개봉막이 형성된 유출공에 스트로우를 꽂으면 외기가 밀봉용기 내부로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하여 내용물이 원활하게 유출되어 마시기가 용이하고 내용물이 누출되는 폐단도 일소할 수 있도록 한 스트로우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스트로우(1)는 밀봉용기(3)에 보관되어 있는 음료와 같은 내용물을 스트로우(1)를 사용하여 마시고자 할 때 외기유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스트로우(1) 상부에 일체형으로 외기유입수단(2)을 형성함으로써 스트로우(1)만 밀봉용기(3)의 개봉막(4)에 꽂으면 밀봉용기(3)의 내부가 외기와 연통되어 대기압이 내용물의 상부에 원활하게 작용하여 내용물이 스트로우(1)를 통하여 원활하게 유출이 되어 내용물을 손쉽게 마실 수 있으며, 사용자가 밀봉용기(3)를 가압하지 않아도 되므로 내용물이 개봉막과 스트로우 상간으로 누출되는 문제점도 일소할 수 있고, 그 구성이 간단하고 기존 스트로우 제조공정에 간단히 접목시켜 양산할 수 있어 산업상 이용가능성도 매우 우수한 고안이다.

Description

스트로우{A straw}
본 고안은 스트로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밀봉용기 등에 수납된 액상 내용물(음료 등, 이하 '내용물'이라 통칭한다.)을 마실 때 개봉막이 형성된 유출공에 스트로우를 꽂으면 외기가 밀봉용기 내부로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하여 내용물이 원활하게 유출되어 마시기가 용이하고 내용물이 쏟기는 등의 폐단을 일소할 수 있도록 한 스트로우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통상 각종 액상 내용물은 밀봉용기내에 주입하여 유통되고 있으며, 사용자가 이를 마시고자 할 경우는 밀봉용기에 형성되며 개봉막으로 밀폐된 유출공으로 첨단부를 가진 스트로우를 꽂아 밀봉용기를 손으로 가압하면서 내부의 내용물을 스트로우를 통해 유출시켜 마시게 된다.
이러한 밀봉용기에 사용되는 스트로우는 합성수지재를 사용하여 관체상으로 구성되며, 선단부는 개봉막을 개봉할 수 있도록 첨단부로 이루어져 있고, 개봉막에 꽂으면 외기는 스트로우를 통해서만 유입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스트로우의 상단부에 입을 대고 내용물을 마실 경우는 강한 흡입력으로 내용물을 빨아 마셔야하고, 또는 밀봉용기를 한손으로 가압하여 가압력에 의해 밀봉용기내의 내용물이 스트로우를 통하여 유출되도록 하여 내용물을 마시게 된다.
결국, 기존의 밀봉용기내의 내용물을 마시고자 할 경우는 밀봉용기 내부로 외기가 원활하게 유입되지 않으므로 사용자가 한번 내용물을 빨아 마시게 되면 밀봉용기내의 내용물이 배출된 만큼 밀봉용기가 찌그러지게 되고, 다시 마시고자 할 경우는 스트로우에서 입을 떼고 밀봉용기 내부로 스트로우를 통하여 외기가 유입되도록 한 후 내용물을 재차 빨아 마셔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사용자가 내용물을 쉽게 마시기 위하여 밀봉용기를 가압하게 되면 개봉막과 스트로우 상간의 틈새로 내용물이 누출되어 밀봉용기를 잡고 있던 손이나 의류 등에 내용물이 묻는 등 다수의 불편점이 있었던 것이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기존 밀봉용기 내에 수납된 액상의 내용물을 스트로우를 사용하여 개봉막을 개봉 후 마시고자 할 때 발생하는 제반 불편사항과 문제점을 일소할 수 있는 스트로우를 제공코자 하는 것으로서,
본 고안은 특히 스트로우에 외기를 밀봉용기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는 외기유입수단을 형성하여 스트로우를 개봉막에 꽂으면 바로 외기유입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내용물을 마시기가 극히 용이하며 내용물이 개봉막과 스트로우 상간으로 누출되는 폐단도 동시에 일소할 수 있는 스트로우를 제공함에 고안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고안을 완성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사용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사용상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
1:스트로우 2:외기유입수단
3:밀봉용기 4:개봉막
5:통기홈 6:통기관
6a:첨단부
도 1은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스트로우(1)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2는 이의 사용상태를 보인 단면도 등으로서, 이들 도면과 함께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스트로우(1)의 상부에 외기유입수단(2)을 형성한 데 특징이 있는것으로서, 상기 외기유입수단(2)은 스트로우(1)를 밀봉용기(3)의 개봉막(4)에 꽂았을 때 개봉막(4)의 상하로 연접되는 위치에 요입형의 통기홈(5)을 형성한 것이다.
상기 통기홈(5)은 그 횡단면이 반원형 내지는 삼각형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도시한 예는 개략 삼각형으로 구성한 경우이다.
한편, 도 3,4는 본 고안의 일부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는 상기 외기유입수단(2)을 스트로우(1)에 일체형으로 형성하되 돌출형의 통기관(6)으로 구성한 경우이다. 이때 상기 통기관(6)의 하단은 스트로우(1)를 개봉막(4)에 꽂을 때 손쉽게 개봉막(4)을 천공할 수 있도록 첨단부(6a)로 구성한다.
도면중의 부호 1a는 스트로우(1)의 하단에 형성되는 첨단부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본 고안의 스트로우(1)는 외기유입수단(2)을 구비함으로써 밀봉용기(3)내의 내용물이 원활하게 유출이 되어 내용물을 마실 때 매우 편리하게 마실 수 있으며, 내용물이 누출되는 폐단도 일소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이의 작용 등을 이하에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음료와 같은 각종 내용물이 보관된 밀봉용기(3)의 내용물을 마시고자 할 경우 밀봉용기(3)의 상부 일측으로 형성된 개봉막(4)에 스트로우(1)를 결합하면, 스트로우(1)가 밀봉용기(3) 내부로 진입하게 되고, 스트로우(1)를 밀봉용기(3)의 바닥면까지 인입시키면 스트로우(1) 상부에 형성된 외기유입수단(2)이 개봉막(4) 상하로 연접하게 되므로 밀봉용기(3)의 내부와 외기가 연통하게 되어 밀봉용기(3)의내부 내용물 상면에 대기압이 작용하여 사용자가 스트로우(1)의 상부에 입을 대고 내용물을 흡입하게 되면 매우 원활하게 내용물이 유출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스트로우(1)상에 형성되는 외기유입수단(2)은 요입형의 통기홈(5) 내지는 관체형의 통기관(6)으로 이루어지므로 스트로우(1)를 밀봉용기(3)상에 꽂아주면 외기유입수단(2)은 자동으로 개봉막(4) 상하로 연통되어 밀봉용기(3)의 내외기가 연통되므로 신속, 간편하게 밀봉용기(3) 내부로 외기유입을 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스트로우(1)는 밀봉용기(3)에 보관되어 있는 음료와 같은 내용물을 스트로우(1)를 사용하여 마시고자 할 때 외기유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스트로우(1) 상부에 일체형으로 외기유입수단(2)을 형성함으로써 스트로우(1)만 밀봉용기(3)의 개봉막(4)에 꽂으면 밀봉용기(3)의 내부가 외기와 연통되어 대기압이 내용물의 상부에 원활하게 작용하여 내용물이 스트로우(1)를 통하여 원활하게 유출이 되어 내용물을 손쉽게 마실 수 있으며, 사용자가 밀봉용기(3)를 가압하지 않아도 되므로 내용물이 개봉막과 스트로우 상간으로 누출되는 문제점도 일소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그 구성이 간단하고 기존 스트로우 제조공정에 간단히 접목시켜 양산할 수 있어 산업상 이용가능성도 매우 우수한 고안이다.

Claims (3)

  1. 각종의 액상 내용물을 보관하는 개봉막(4)을 갖는 밀봉용기(3)내의 내용물을 마시기 위하여 사용하는 스트로우(1)에 있어서;
    상기 스트로우(1)를 개봉막(4)을 통하여 밀봉용기(3)에 꽂았을 때 개봉막(4)과 상하로 연접하는 부분에 외기유입수단(2)을 스트로우(1)에 일체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기유입수단(2)은 스트로우(1)에 요입형으로 형성되는 통기홈(5)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기유입수단(2)은 스트로우(1)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통기관(6)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우.
KR2020020025830U 2002-06-27 2002-08-29 스트로우 KR200297509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20036197 2002-06-27
KR1020020036197 2002-06-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7509Y1 true KR200297509Y1 (ko) 2002-12-11

Family

ID=73078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5830U KR200297509Y1 (ko) 2002-06-27 2002-08-29 스트로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750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76783B2 (en) Container for food and beverage
US5186347A (en) Spill-proof closure
US6213339B1 (en) Liquid container with a straw therein
US5560513A (en) Spill-proof drink container assembly
KR100616705B1 (ko) 작동용 유출대를 갖고 있는 구부가 일측으로 숙여지도록된 용기뚜껑
CN210842543U (zh) 具有自吸功能的饮料杯
KR200297509Y1 (ko) 스트로우
CN100398031C (zh) 防漏阀、配此防漏阀之杯盖及配此杯盖之饮杯
CN110870651A (zh) 组合式吸管容器
KR200193549Y1 (ko) 음료용기 부착형 빨대
KR200317779Y1 (ko) 공기 유입 요철부를 갖는 빨대
KR20030015167A (ko) 액체용기 마개
CN204642564U (zh) 座式弯曲吸管盖
CN204587609U (zh) 可扳动柱子式吸嘴盖
KR970005842Y1 (ko) 유체 저장탱크의 주입구 캡
CN218419280U (zh) 多口式盖子、容器及咖啡杯
US20020033398A1 (en) Leak- proof drinking container
JPH0127697Y2 (ko)
KR200185021Y1 (ko) 스트로우 내장형 음료수 용기
JPS6237515Y2 (ko)
JPH0216664Y2 (ko)
KR200188691Y1 (ko) 음료컵
KR200239942Y1 (ko) 음료용기의 내용물 유출구조
JPH04121267U (ja) 液体注出口
KR200198780Y1 (ko) 1회용 맥주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