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5655Y1 - 요동세척판을 갖는 식기세척기 - Google Patents

요동세척판을 갖는 식기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5655Y1
KR200295655Y1 KR2020020026231U KR20020026231U KR200295655Y1 KR 200295655 Y1 KR200295655 Y1 KR 200295655Y1 KR 2020020026231 U KR2020020026231 U KR 2020020026231U KR 20020026231 U KR20020026231 U KR 20020026231U KR 200295655 Y1 KR200295655 Y1 KR 2002956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ode
washing
dishwasher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62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윤용
Original Assignee
황윤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윤용 filed Critical 황윤용
Priority to KR20200200262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565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56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5655Y1/ko

Link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요동세척판을 갖는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장치는 원하는 모드로 식기 세척을 하기 위한 키를 입력하는 키입력부와, 세척할 식기를 수용하는 세척판의 저면에 일체로 형성하는 승강판과, 승강판의 네 모서리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하로 이동하는 승강수단과, 키입력부의 키입력신호에 따라 승강수단을 구동하여 원하는 모드로 승강판을 이동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회로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장치는 식기의 세척면에 골고루 세제 및 물이 분사되므로 식기세척의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아울러 세제와 물도 절약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요동세척판을 갖는 식기세척기{DISH WASHER HAVING SHAKING RACK}
본 고안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식기세척을 위한 세척판을 상하로 요동치도록 설치하여 세척 및 헹굼시에 분사되는 물이 식기의 세척면과 이루는 각도를 변경시켜 골고루 분사되어 세척효과를 극대화 함과 동시에 세제 및 물자원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하는 요동세척판을 갖는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기세척기는 물, 전기, 세제를 이용하여 식기를 자동으로 씻어주고 건조 및 살균까지 시켜주는 주방가전제품이다.
최초의 식기세척기는 1850년 조엘 호크톤(Joel Houghton)에 의해 개발된 것으로서, 수동으로 바퀴를 돌려 그릇에 물을 뿌려주는 나무로 된 단순한 기계에 불과했다. 이후 조세핀 코크레인(Josephine Cochrane)이 손으로 동작되는 식기세척기를 제작하여, 1893년 만국 박람회에서 공개 후 큰 관심사가 되자, 직접 회사를 세워 식기세척기를 만들기 시작하였는데 이 회사가 오늘날의키친에이드(KitchenAid)의 효시이다.
또한, 계속적으로 개량된 식기세척기는 가열건조(heated drying), 그릇의 물때(Water Spots) 방지, 소음 및 물 사용 절감 기술 등이 적용된 완전 자동화 장치로 발전하였다.
식기세척기는 하우징의 내부에 식기를 세팅하고, 세제와 린스를 보충한 후, 세척 버튼을 누르면, 불림세척, 본세척, 다수의 행굼세척 등의 일련의 과정을 수행한 후 건조 과정을 진행하며, 건조가 끝나면 전원이 자동으로 차단된다.
한편, 업소용 식기세척기의 경우 대량의 식기들을 처리할 수 있는 대용량 구조의 하우징과, 하우징의 일측면에서 슬라이드식 상하 승강 링크를 구비한 세척실과, 세척실의 하부로 하우징 내부에 위치된 펌프와, 세척기의 동작 프로그램을 제어하는 제어회로와, 세척수 탱크와, 헹굼수 탱크와, 온/냉수 공급장치와, 세제 공급장치 및 물 분사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런 종래의 업소용 식기세척기에서 물 분사장치는 통상적으로 헹굼분사노즐들이 구비된 상, 하회전판과, 이런 상, 하회전판의 수직 상부 또는 하부에서 세척 분사를 수행하기 위해 물이 공급되도록 결합된 파이프 형상의 세척분사노즐들을 갖고 있다. 그리고 식기들이 장착되는 바구니와 같은 랙 내지 세척판은 세척실의 내표면에 고정된 거치대에 놓여짐으로써, 회전판들의 사이에 배치되게 된다. 이후, 각각의 헹굼분사노즐과 세척분사노즐들이 식기세척기의 작동시에 회전판과 함께 회전하면서, 온수 내지 냉수를 분사하게 된다. 분사된 물 줄기는 소정 압력과 노즐 경사각 또는 회전에 따른 경사각에 의해, 세척판에 장착된 식기들의 내표면과외표면에 수압을 작용함으로써, 식기의 오물과 물때를 세척 및 행굼하도록 된다.
그러나, 종래의 업소용 식기세척기의 경우 헹굼분사노즐과 세척분사노즐에서 나오는 물줄기가 회전판의 회전에 상응하게 변화를 가지면서 회전하기 때문에, 일정한 패턴으로 고정된 위치에 놓여진 식기 표면 일부에만 압력을 작용함으로써, 일명 물의 압력이 작용하지 않는 '사각 지대'를 만들고 있다.
이런 사각 지대의 오물 및 때는 물론 식기세척기가 오랜 시간 동안 작동하거나, 세제를 많이 사용하고, 또는 온수 온도를 증가시키거나, 물이 식기 표면상의 오물에 접촉하여 불려질 때까지 기다림으로써 대부분 깨끗하게 세척되겠지만, 이로 인하여 식기세척기의 작동의 주요 사용 자원으로 사용되는 물, 세제, 전기의 소모가 더욱 증가하는 단점을 갖게 된다. 이런 종래의 식기세척기는 상대적으로 작동 효율 및 성능이 떨어지게 되며, 제작 단가보다 유지비가 더 많이 들어가는 문제점을 만들어내고, 국가적으로 환경 및 자원낭비를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식기세척기의 세척판의 모서리를 상, 하방향으로 이동시켜 전체적으로 세척판이 요동되게 움직이도록 하는 승강수단을 이용하여 식기의 세척면에 물과 세제가 골고루 분사될 수 있으므로 보다 효율적으로 식기세척이 가능하도록 한 요동세척판을 갖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동세척판을 갖는 식기세척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제어회로부의 상세블록도,
도 3은 도 1의 식기세척기의 주요 부위를 설명하기 위한 조립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승강판과 승강수단의 작동상태도,
도 5는 도 1의 승강수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적용된 승강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7a는 본 고안에 적용된 승강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7b는 도 7a의 A-A'의 부분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승강판 200 : 제어회로부
201 : 모드판단부 202, 203, 204 : 제 1 내지 제 3모드릴레이부
205 : 모터구동부 300 : 승강수단
301 : 자유단 302 : 작동축
303 : 하우징 304 : 기억박스
305 : 모터 306 : 구동기어
307 : 랙기어 308 : 피니언기어
400 : 세척판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요동세척판을 갖는 식기세척기는 원하는 모드로 식기 세척을 하기 위한 키를 입력하는 키입력부와, 세척할 식기를 수용하는 세척판의 저면에 일체로 형성하는 승강판과, 승강판의 네 모서리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하로 이동하는 승강수단과, 키입력부의 키입력신호에 따라 승강수단을 구동하여 원하는 모드로 승강판을 이동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회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승강수단은 하우징내부에 작동축을 중심으로 상단에 자유단을 구비하며, 작동축의 하단에 모터에 의해 구동되어 회전하는 구동기어와 피니언기어에 따라 랙기어가 상하로 이동하여 승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승강수단은 상단에 자유단을 구비하며 자유단의 아래로 유압액츄에이터가 있으며 유압액츄에이터의 제 1 및 제 2포트로 모터의 작용에 의해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여 승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승강수단은 작동축의 상단에 자유단을, 그 하단에 커넥팅로드를 포함하며, 하우징내부에 있는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크랭크축의 회전운동에 의해 자유단이 상하로 이동하여 승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제어회로부는 키입력부로부터 모드선택신호를 입력받아 판단하는 모드판단부와, 모드판단신호를 입력받아 해당 모드의 릴레이신호를 출력하도록 연결된 제 1 내지 제 3모드릴레이부, 및 릴레이신호에 따라 해당모터로모터구동신호를 출력하는 모터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 1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입체적 요동선반을 갖는 식기세척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동세척판을 갖는 식기세척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먼저, 도 1에서 박스형 하우징(10) 내부에 세척 공간을 형성하도록 하면이 개방되며, 세척을 위해 개폐되는 상부커버(11)와 내부에 하기 상세히 설명할 부품들을 구비한 기저부(12)를 구비한다.
상부커버(11)의 정면에는 세척기의 작동상태를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유리재질의 확인창(13)이 형성된다. 또한, 상부커버(11)의 양 측면에는 핀으로 제 1 및 제 2링크절(26, 27)들이 결합되어 있다.
제 1 및 제 2링크절(26, 27)들은 상부커버(11)를 감싸게 배치한 파이프 손잡이(14)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제 1링크절(26)은 상부커버(11)의 측면에 결합되어 파이프 손잡이(14)의 중앙에 힌지식으로 결합되며, 제 2링크절(27)은 기저부(12)의 배면쪽에서 상향으로 연장된 레일(25) 상단에 결합되어 파이프 손잡이(14)의 배후쪽에 힌지식으로 결합된다.
여기서, 레일(25)은 베어링을 결합한 선형 신축레일로 상부커버(11)의 레일홈(28)에 결합되어 상부커버(11)가 상하로만 이동할 수 있도록 구속한다.
또한, 파이프 손잡이(14)의 뒤쪽 끝단은 고탄성 스프링(15)의 일단에 결합되며, 스프링(15)의 반대쪽 일단이 기저부(12)의 배면 아래쪽 고정부에 결합되어 있다. 이런 스프링(15)은 상부커버(11)의 중량을 이겨낼 수 있는 정도의 고탄성력을 가지며 파이프 손잡이(14)의 뒤쪽 끝단과 기저부(12)에 의해 지지되어 잡아당겨진다. 따라서, 사용자가 파이프 손잡이(14)를 들거나 내릴 때, 스프링(15)의 탄성력과 링크절(26, 27)의 작용에 의해, 상부커버(11)가 기저부(12)의 상부인 열림 위치에 배치되거나 기저부(12)의 상면에 근접한 닫침 위치에 배치되게 한다.
특히, 제 2링크절(27)이 파이프 손잡이(14)와 레일(25)의 사이에서 링크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제 1링크절(26)을 더욱 지지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상부커버(11)의 개폐작동을 안정적으로 유도한다.
한편, 기저부(12)는 상부에 안착 공간을 형성하되, 회전모터(29)에 의해 작동되는 중심의 피봇축(24)은 헹굼노즐관(18)과 세척노즐관(20)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헹굼노즐관(18)은 물이 분사되도록 하는 복수개의 헹굼노즐(22)을 갖으며, 세척노즐관(20) 또한 복수개의 세척노즐(23)을 갖는다.
또한, 상부커버(11)에도 기저부(12)에 구비하는 세척노즐관(20)과 헹굼노즐(22)에 대응되도록 세척노즐관(31)과 헹굼노즐(30)을 구비한다.
이러한 기저부(12)의 안착공간에 세척판(도 3의 400)저면에 위치하는 승강판(100)이 있으며, 승강판(100)의 네 모서리와 만나는 승강수단(300)을 구비한다.
승강수단(300)의 상하 승강운동에 의해 승강판(100)의 네모서리가 요동치게 되므로 식기의 세척면에 골고루 세척액과 헹굼물이 분사되어 세척이 완료된다.
이러한 승강수단(300)은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하기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이런 기저부(12)의 안착 공간 상면에는 세척시 발생한 오수와 이물질들을 배출시키는 배출구(19)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기저부(12)의 정면 패널에는 전체 작동 제어에 관련된 전원 스위치, 작동 표시등, 작동 시간 입력 스위치, 세척 모드(mode) 선택 스위치 등이 배열되고 기저부(12) 내부의 제어회로부(200)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키입력부(21)가 배치되어 있다.
이하, 도 1의 요동세척판을 갖는 식기세척기의 모드별 작동예를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제어회로부의 상세블록도이며, 도 3은 도 1 식기세척기의 중요 부위를 설명하기 위한 조립 사시도이다.
도 2는 모드별로 세척하기 위한 제어회로부(200)의 일부 블록도를 보여준다. 도 2에서, 제어회로부(200)는 키입력부(21)로부터 모드선택신호를 입력받아 판단하는 모드판단부(201)와, 모드판단신호를 입력받아 해당 모드의 릴레이신호를 출력하도록 연결된 제 1 내지 제 3모드릴레이부(202, 203, 204), 및 릴레이신호에 따라 해당모터로 모터구동신호를 출력하는 모터구동부(205)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키입력부(21)를 이용해서 모드선택신호를 입력한다. 여기서, 제 1모드는 경사모드로 하고, 제 2모드는 요동모드, 및 제 3모드는 자동모드로 설정된 예로 한다.
제 1모드인 경사모드는 한 쌍의 승강수단(300)을 작동시키고, 반대쪽 한 쌍의 수직이동수단을 비 작동시킴으로써, 일정 시간 간격으로 승강판(100)이 경사와 비경사 상태가 된다.
제 2모드인 요동모드는 승강수단(300) 각각이 순차적으로 승하강되어 승강판(100)의 네 모서리가 상향으로 돌출되었다가 다시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오는 운동을 순차적 반복함으로써, 전체적으로 회전하는 듯한 기우뚱한 상태가 된다.
제 3모드인 자동모드는 경사모드와 요동모드가 순차적으로 반복되도록 한다.
사용자가 모드를 선택하면, 모드판단부(201)는 사용자가 선택한 모드가 무엇인지를 판단하고, 제 1모드인 경우에는 제 1모드릴레이부(202)로, 제 2모드인 경우에는 제 2모드릴레이부(203)로, 제 3모드인 경우에는 제 3모드릴레이부(204)로 모드판단신호를 출력한다. 모터구동부(205)는 제 1 내지 제 3모드릴레이부(202, 203, 204)중의 어느 하나로부터 릴레이신호가 입력되면, 해당 모드로 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구동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모터는 각 승강수단(300)에 대응되도록 설치되어 해당 구동신호에만 구동하도록 한다.
즉 도 3을 보면, 사용자는 세척을 요하는 식기들을 세척판(400)위에 올려놓고, 세척판(400)을 승강판(100)위에 올려놓는다. 승강판(100)의 네 모서리부분에 형성된 노치(101)는 세척판(400)의 안착시 걸림쇠역할을 하여 안정감을 준다. 그리고, 승강판(100)은 네 개의 승강수단(300)의 바로 위에 위치한다. 즉, 승강수단(300)의 승강운동에 따라 승강판(100)이 일체로 승강되도록 위치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키입력부(21)를 이용해 작동신호를 입력하는 경우는 내부에 설치된 제어회로부(200)의 제어에 의해 세척동작이 수행되는 것이며, 모드를 선택한 경우에는 앞서 설명한 도 2 의 상세회로도에 의해 동작한다.
이하에서는 여러 가지 모드로의 동작을 가능하도록 하는 승강수단(300)에 대해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도 1의 승강판과 승강수단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4의 승강수단(300)은 승강판(100)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안착되며 도 4는 승강수단의 승강에 따라 승강판(100)이 이동하는 상태를 보여준다.
또한, 승강판(100)의 상부면에는 노치(101)가 설치되어 세척판(400)이 안정감있게 안착되도록 한다. 노치(101)는 하부에 탄성체를 가지고 있으므로, 세척판(400)이 안착된 경우는 아래로 이동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는 위로 돌출된 형상을 유지한다.
도 5는 도 1의 승강수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의 승강수단(300)은 작동축(302)을 중심으로 상단에는 자유단(301)을 가지며, 자유단(301)은 일정 스트로크만큼의 상하이동을 수행한다. 작동축(302)은 하우징(303)으로 감싸고 있으며, 하우징(303)의 하부에는 기어박스(304)를 구비한다.
기어박스(304)의 내부에는 모터(305)가 설치되며, 모터(305)는 제어회로부(200)의 모터구동부(205)의 모터구동신호에 따라 구동된다.
또한, 기어박스(304)는 모터(305)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기어(306)와, 피니언기어(308), 및 피니언기어(308)의 회전에 맞물려 상하운동을 하도록 하는 랙기어(307)를 포함한다.
즉, 제어회로부(200)의 모터구동부(205)의 모터구동신호에 따라 모터(305)가 동작하고, 구동기어(306)와 피니언기어(308)의 회전에 따른 랙기어(307)의 상하운동에 따라 자유단(301)이 상하운동을 하게 된다.
도 6은 본 고안에 적용된 승강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6에 개시된 유압식 승강수단은 상단부에는 자유단(601)을 구비하며, 자유단(601)의 상하운동을 위한 유압액츄에이터(602)가 하단부에 위치한다. 유압액츄에이터(602)에는 유체가 유입되는 제 1 및 제 2포트(603, 604)를 구비하며, 모터(미도시)에 의해 구동되는 유압원으로부터 유체가 유입된다.
제 1포트(603)로 유체가 유입되면, 유압에 의해 자유단(601)이 상부로 이동하게 되며, 제 2포트(604)로 유체가 유입되면, 유압에 의해 자유단(601)이 하부로 이동하게 되므로, 승강수단은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도 7a는 본 고안에 적용된 승강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7a에 개시된 클랭크식 승강수단은 상단에 자유단(701)을 포함하며, 하우징(702) 내부에 모터(703)를 구비한다.
도 7b는 도 7a의 A-A'의 부분단면도로, 상부에 자유단(701)의 아래로 하우징(702)내부에는 작동축(704)을 중심으로 한다. 그리고, 작동축(704)의 아래로 커넥팅로드(705)와 크랭크축(706)을 포함한다.
모터(703)의 구동에 의해 크랭크축(706)이 회전운동을 하게 되면, 커넥팅로드(705)의 로딩에 의해 자유단(701)이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본 고안은 식기세척시에 식기세척판의 네모서리가 순차적으로 상하로 이동하여 요동치도록 하여 식기의 세척면에 골고루 세제 및 물이 분사되므로 식기세척의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아울러 세제와 물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식기 세척에 소요되는 시간도 절약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5)

  1.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원하는 모드로 식기 세척을 하기 위한 키를 입력하는 키입력부(21);
    세척할 식기를 수용하는 세척판(400)의 저면에 일체로 형성하는 승강판(100);
    상기 승강판(100)의 네 모서리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하로 이동하는 승강수단(300);
    상기 키입력부(21)의 키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승강수단(300)을 구동하여 원하는 모드로 승강판(100)을 이동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회로부(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동세척판을 갖는 식기세척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300)은 하우징(303) 내부에 작동축(302)을 중심으로 상단에 자유단(301)을 구비하며, 작동축(302)의 하단에 모터(305)에 의해 구동되어 회전하는 구동기어(306)와 피니언기어(308)에 따라 랙기어(307)가 상하로 이동하여 승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동세척판을 갖는 식기세척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300)은 상단에 자유단(601)을 구비하고, 자유단(601)의 아래로 유압액츄에이터(602)가 있으며 유압액츄에이터(602)의 제 1 및 제 2포트(603, 604)로 모터의 작용에 의해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여 승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동세척판을 갖는 식기세척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300)은 작동축(704)의 상단에 자유단(701)을, 그 하단에 커넥팅로드(705)를 포함하며, 하우징(702)내부에 있는 모터(703)에 의해 구동되는 크랭크축(706)의 회전운동에 의해 자유단(701)이 상하로 이동하여 승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동세척판을 갖는 식기세척기.
  5. 제 1항 내지 제 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회로부(200)는
    상기 키입력부(21)로부터 모드선택신호를 입력받아 판단하는 모드판단부(201);
    모드판단신호를 입력받아 해당 모드의 릴레이신호를 출력하도록 연결된 제 1 내지 제 3모드릴레이부(202, 203, 204); 및
    상기 릴레이신호에 따라 해당모터로 모터구동신호를 출력하는 모터구동부(20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동세척판을 갖는 식기세척기.
KR2020020026231U 2002-09-02 2002-09-02 요동세척판을 갖는 식기세척기 KR2002956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6231U KR200295655Y1 (ko) 2002-09-02 2002-09-02 요동세척판을 갖는 식기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6231U KR200295655Y1 (ko) 2002-09-02 2002-09-02 요동세척판을 갖는 식기세척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2545A Division KR20040021096A (ko) 2002-09-02 2002-09-02 요동세척판을 갖는 식기세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5655Y1 true KR200295655Y1 (ko) 2002-11-21

Family

ID=73128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6231U KR200295655Y1 (ko) 2002-09-02 2002-09-02 요동세척판을 갖는 식기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565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8863B1 (ko) * 2018-11-27 2019-10-31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압박진동형 식기세척기
KR102075387B1 (ko) * 2019-05-22 2020-02-10 주식회사 에이치케이금속 수압과 초음파를 이용한 다기능 식기세척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8863B1 (ko) * 2018-11-27 2019-10-31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압박진동형 식기세척기
KR102075387B1 (ko) * 2019-05-22 2020-02-10 주식회사 에이치케이금속 수압과 초음파를 이용한 다기능 식기세척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6906B1 (ko) 식기세척기 및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CN109310262B (zh) 一种水槽式洗碗机
US5131419A (en) Multi-function warewashing machine
KR101208280B1 (ko)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US8357246B2 (en) Obstacle sensing spray arm for a dishwashing machine
KR101130787B1 (ko) 싱크대 일체형 식기세척장치
WO2006075385A1 (ja) 食器洗浄機
CN203693527U (zh) 可锁闭的水槽式清洗机箱体
KR20080025714A (ko) 초음파 세척기
KR200295655Y1 (ko) 요동세척판을 갖는 식기세척기
KR20040021096A (ko) 요동세척판을 갖는 식기세척기
KR101213919B1 (ko)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CN204950853U (zh) 家用洗碗机
KR101130378B1 (ko)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20034828A (ko) 자동 식기 세척기
KR20060124260A (ko) 식기세척기 및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KR100758525B1 (ko) 원격 조정이 가능한 업소용 식기세척기
JPH0386136A (ja) 食器洗浄機
JPH0433632A (ja) 食器洗浄機
CN210749087U (zh) 洗碗机
KR20060124278A (ko) 식기세척기 및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CN209932635U (zh) 一种家用洗碗机
KR20060010363A (ko) 회전랙 구조가 구비된 식기 세척기의 구동 방법
KR20070056284A (ko) 식기 세척기의 제어 방법
CN215777894U (zh) 一种多功能洗碗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