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5493Y1 - Beverage Container - Google Patents

Beverage Contai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5493Y1
KR200295493Y1 KR2020020019745U KR20020019745U KR200295493Y1 KR 200295493 Y1 KR200295493 Y1 KR 200295493Y1 KR 2020020019745 U KR2020020019745 U KR 2020020019745U KR 20020019745 U KR20020019745 U KR 20020019745U KR 200295493 Y1 KR200295493 Y1 KR 2002954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w
container
beverage
storage
straw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9745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현주
Original Assignee
이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현주 filed Critical 이현주
Priority to KR20200200197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5493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54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5493Y1/en

Links

Landscapes

  • Package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료수 용기에 내장된 빨대가 용기 밖으로 돌출 형성되고 용기 상단의 수납부에 삽입 수납됨으로써 별도의 도구 없이도 음료를 쏟을 염려 없이 취음할 수 있도록 하며, 남은 음료를 보관시에도 음료가 유출되지 않도록 몸체와 빨대와 뚜껑을 모두 연결형으로 일체화한 빨대 수납형 음료수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는 특히 어린이의 안전하고 위생적인 음료수 취음에 효과적이며 또한 주행중인 자동차 등 흔들리는 공간에서 특히 유용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the straw is built into the beverage container is formed to protrude out of the container and inserted into the storage portion of the container top so that you can drink without worrying about spilling the drink without any tools, the beverage does not spill even when storing the remaining beverage It is to provide a straw storage type beverage container in which both the body, the straw and the lid are integrated, which is particularly effective for safe and hygienic drinking of children, and is particularly useful in shaking spaces such as driving cars.

Description

음료수 용기 {Beverage Container}Drink Container {Beverage Container}

종래의 음료수 용기 속에 담겨진 음료수를 마시기 위해서는 용기에 직접 입을 대고 마시거나 빨대, 컵을 이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주행중인 차안에서는 음료를 쏟을 염려도 크며, 특히 취학기 전후의 어린이에게는 어른의 도움이 필요한 경우가 많다. 또한 마시고 남은 음료수를 빨대와 함께 위생적으로 보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특히 어린이의 경우 뚜껑을 분실하거나 오염시킬 문제가 크다.In order to drink a beverage in a conventional beverage container, there is inconvenience of having to drink directly into the container or use a straw or a cup, and there is a risk of spilling a drink in a car while driving, especially for children before and after school age. This is often necessary.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hygienically store the leftover drink with a straw, especially in the case of children, there is a big problem to lose or contaminate the lid.

이러한 종래의 용기들은 휴대시 용기의 목부분이나 몸체를 잡아야 하므로 특히 어린이가 음료 용기를 들고 다니기 불편하고, 하나의 용기에 담겨진 음료를 두명 이상 음용하기에는 불편하고 비위생적인 문제점도 있다.These conventional containers have to hold the neck or the body of the container when carrying, in particular, it is inconvenient for children to carry the beverage container, there is also an uncomfortable and unsanitary problem to drink more than one beverage in one container.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한번에 해결하기 위한 음료수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음료수 용기에 빨대를 일체형으로 형성하고, 용기의 다른 면에 빨대의 수납부를 돌출 굴곡형으로 형성하며, 빨대를 수납부에 삽입하여 연결한 후 잠글 수 있는 잠금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음료수 용기와 빨대와 뚜껑을 모두 일체화하여 위생과 편리함을 추구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everage container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at once, the straw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beverage container, the storage portion of the straw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container protruding bent, straw It is characterized by providing both a beverage container, a straw and a lid by integrating a locking device that can be locked after being inserted into the storage unit and pursuing hygiene and convenience.

도 1)은 잠금장치로 음료수 용기를 밀폐한 용기의 측면 사시도,1) is a side perspective view of a container sealing a beverage container with a locking device,

도 2)는 잠금장치를 풀어놓은 용기의 측면 사시도Figure 2) is a side perspective view of the container release lock

도 3)은 취음시 빨대를 수납부로부터 적출한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traw extracted from the storage unit at the time of blowing

도 4)은 수납부 내부에 형성된 음료유출방지용 차단막의 예시도4) is an exemplary view of a beverage spill prevention film formed inside the receiving portion

도 5)는 수납부 내부에 형성된 음료유출방지용 차단막의 다른 예시도Figure 5 is another example of a beverage leakage prevention blocking film formed inside the receiving portion

도 6)는 수납부의 내부에 빨대집이 형성된 사시도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traw formed inside the housing

도 7)는 수납부의 기둥에 주름부가 형성된 사시도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wrinkle portion formed in the pillar of the receiving portion

도 8)은 수납부와 빨대가 맞물리는 부분의 예시도8) is an illustration of a portion where the storage unit and the straw is engaged

도 9)는 수납부와 빨대가 맞물리는 부분의 다른 예시도9) is another example of a portion in which the storage unit and the straw is engaged

도 10)은 다인용 음료수 용기의 예시도10 is an illustration of a multi-use beverage container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Main Parts of Drawing>

10. 용기의 몸체 23. 음료주입구10. Body of the container 23. Beverage inlet

11∼19. 빨대부 24. 잠금장치 하단 걸림부11-19. Straw section 24. Lock bottom

20∼21. 수납부 25-27. 음료유출방지용 차단막20-21. Storage 25-27. Beverage spill prevention barrier

22. 잠금장치22. Lock

이하 본 고안을 실시예로 도시한 그림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igure showing the present invention as an embodiment.

도 1은 빨대(18-19)가 수납부(20)에 사선형으로 삽입된 후 잠금장치(22)로 빨대의 나선부(17)까지 완전히 밀폐된 상태로서 음료수 용기가 바닥에 굴러도 음료가 흘러나오거나 빨대의 취음구부(18∼19)가 오염되지 않게 된다. 또한 빨대와 수납부가 잠금장치로 연결됨으로써 고리가 형성되어 손가락을 걸거나 가방끈에 거는 등의 방법으로 간편하게 휴대할 수가 있다.1 is a state in which the straw 18-19 is inserted into the storage portion 20 in a diagonal shape and then completely closed to the spiral portion 17 of the straw with the locking device 22, even though the beverage container rolls on the floor. It does not come out or become dirty of the intake part of the straw (18-19). In addition, the straw and the storage unit are connected by a locking device to form a ring, which can be easily carried by a method such as hanging a finger or hanging on a bag strap.

도 2는 빨대의 취음구부(18∼19)가 수납부에 수평으로 삽입되는 음료용기의 예시도이며, 잠금장치로 빨대의 나선부(17)까지 연결잠금되지는 않은 상태로서, 빨대(18)가 수납부구(21)내에 밀착 삽입되기 때문에 잠금장치(22)를 굳이 사용하지 않아도 음료수가 쉽게 새어 나오지는 않으므로, 음료수를 수시로 음용할 경우나 세워서 보관할 경우에는 잠금장치를 일일이 개폐 작동할 필요없이 빨대만 수납부에서 간단히 빼내어 사용하고 다시 수납부(20-21) 깊숙히 밀착 삽입하면 되는 것이다.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beverage container in which straw suction holes 18 to 19 are horizontally inserted into a storage unit, and the straw 18 is not locked to the spiral portion 17 of the straw by the locking device. Is tightly inserted into the storage port 21, so the drink does not leak easily even if the lock device 22 is not used. Therefore, when drinking the drink frequently or standing up, the lock does not need to be opened and closed manually. Simply remove it from the housing and use it, and then insert it back into the housing (20-21).

도 3은 취음을 위해 수납부에서 빨대를 빼내었을 경우를 보여주는 사시도로서,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ase where a straw is removed from a storage unit for sound absorption;

빨대의 주름부(12,13)는 빨대의 수납과 적출을 용이하게 하는 탄력부의 기능을 하며, 음용시 빨대를 원하는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The wrinkles 12, 13 of the straw functions as an elastic portion to facilitate the storage and extraction of the straw, it is possible to move the straw in the desired direction when drinking.

빨대의 일부(15)에 미끄럼 방지 돌기(14,16)를 형성함으로써 빨대를 수납, 적출할 시에 손가락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한다. 이 돌기중 하나(16)는 용기를 밀폐할 경우 잠금장치(22)가 돌려져 잠궈지는 한계 지지대 역할을 한다. 이 돌기(16)와 빨대의 취음구부(18) 사이에는 나선의 돌기(17)를 형성함으로써 수납부의 잠금장치를 돌려가며 연결하여 잠글 수 있는 것이다.The non-slip protrusions 14 and 16 are formed on a part of the straw 15 so that the fingers do not slip when the straw is stored and removed. One of these projections 16 serves as a limiting support in which the locking device 22 is turned and locked when the container is sealed. By forming a spiral protrusion 17 between the protrusion 16 and the suction hole 18 of the straw, it is possible to lock by rotating the locking device of the housing.

빨대부(11∼19)는 주름부(12,13)를 제외하고는 모두 견고하게 제작하여 변형되지 않도록 한다.Straws (11 to 19) are all made firmly except the wrinkles (12, 13) so as not to be deformed.

수납부에 삽입되는 빨대의 부분은 직선(18)으로 시작하여 끝부분까지는 점차 좁아지는 형상(19)을 함으로써 수납구에 쉽게 삽입될뿐만 아니라 빨대(18)가 수납부구(21)내에 밀착 수납되어 음료를 수시로 음용할 경우에는 굳이 잠금장치를 일일이 사용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The portion of the straw inserted into the receiving portion starts with a straight line 18 and gradually narrows from the end to the end portion 19 so that the straw is not easily inserted into the storing opening and the straw 18 is tightly stored in the storing opening 21 so as to drink If you drink from time to time, you do not have to use a lock.

빨대 수납부에 있어서는, 용기 몸체의 음료 주입구(23)로부터 연결돌출된 수납부(20∼21)를 빨대의 방향으로 절곡함으로써 빨대의 수납, 적출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잠금장치(22)가 아래로는 굴곡부 하단(24)에 걸리고 위로는 수납부구의 나선 돌기(21)에 걸려 분실될 염려가 없는 것이다. 또한 이 굴곡부는 손가락 걸개가 되어 빨대를 수납부에 삽입하거나 빼낼 때 지지대 역할을하며, 용기를 휴대시에 손가락에 걸고 다닐 수가 있는 것이다.In the straw accommodating portion, the accommodating portions 20 to 21 connected to and protruded from the beverage inlet 23 of the container body are bent in the direction of the straw to facilitate the storage and extraction of the straw, and the locking device 22 There is no fear of being lost by hooking the lower end 24 of the bent portion and hooking the spiral protrusion 21 of the receiving portion. In addition, the bent portion becomes a finger holder and serves as a support when inserting or removing a straw into the storage unit, and the container can be carried around the finger when carrying.

취음을 위해 빨대를 수납부로부터 적출하였을 경우 용기 내부의 음료가 수납구 밖으로 분출될 염려가 있으므로 수납부의 내부에 탄성있는 막(25)을 형성한다. 도 4는 이러한 음료유출 차단막을 여러 모양으로 예시한 것으로서, 빨대 수납시에는 빨대에 밀려 점선의 위치로 갔다가 빨대 적출시에는 원래 위치로 돌아가면서 수납부를 외부와 차단함으로써 음료가 밖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음료의 맛과 향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크게 줄일 수 있다.When the straw is removed from the housing for the purpose of sound absorption, the beverage inside the container may be ejected out of the storage port, thereby forming an elastic membrane 25 inside the housing. Figure 4 illustrates the beverage spillage barrier in various shapes, when the straw is stored in the straw is pushed to the position of the dotted line to go back to the original position when the straw is removed to prevent the beverage from leaking out by blocking the storage unit from the outside In addition, the taste and aroma of the drink can be greatly reduced.

도 5와 같이 수납부의 내부에 막(27)을 한쪽 벽(28)에 거의 맞닿도록 길게 형성하여 음료의 분출을 막을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5, the membrane 27 may be formed long to substantially contact one wall 28 to prevent the beverage from being ejected.

또한 빨대가 수납부에 좀더 밀착 수납되고, 빨대가 적출되었을 때 음료가 용기 밖으로 튀어 올라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6과 같이 수납부의 내부에 빨대형상에 따른 빨대집을 형성하고 그 끝에 차단막(26)을 형성한다.In addition, the straw is more closely stored in the housing, and in order to prevent the beverage from popping out of the container when the straw is extracted, as shown in FIG. To form.

도 7는 빨대 수납부의 기둥에 주름 처리를 함으로써 빨대를 수납부에서 적출한 후 수납부를 수직으로 길게 세울 수 있도록 하여 주행중인 차량 등에서 음료가 상방향으로 튀어 올라오는 것을 더욱 방지하는 장치이다.FIG. 7 is a device for preventing the beverage from popping upward in a driving vehicle by extracting a straw from the storage unit and then vertically extending the storage unit by pleating the pillars of the straw storage unit.

도 4의 수납부 내부 차단막(25), 도 5의 수납부 내부막(27), 도 6의 빨대집 및 차단막(26), 도 7의 수납부 기둥 주름(29) 등은 빨대 적출시 음료가 용기 밖으로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 주된 목적이므로 그 중 한 가지 형상만 채택해도 무방할 것이다.The inner blocking film 25 of the storage part of FIG. 4, the inner film 27 of the storage part of FIG. 5, the straw and blocking film 26 of FIG. 6, the pleats 29 of the storage part of the storage part of FIG. Since the main purpose is to prevent the flow out of the container, only one of them may be adopted.

빨대를 수납부에 삽입하고 잠금장치로 연결해서 잠글 때 수납부의 나선(21)과 빨대의 나선(17)이 잘 맞물려야 잠금장치가 잘 돌아가게 되므로, 도 8과 같이 연결부분을 서로 맞물리는 형상으로 하거나, 도 9와 같이 수납부구(21)의 구멍을 직사각형(30)으로 형성하고 이에 삽입되는 빨대부분(18a∼19a)도 같은 형상으로 하여 삽입시 서로 쉽게 맞물리도록 한다.When the straw is inserted into the storage compartment and locked by the locking device, the locking device rotates well when the spiral 21 and the straw spiral 17 of the storage unit are well engaged. Or, as shown in FIG. 9, the hole of the receiving portion 21 is formed into a rectangle 30, and the straw portions 18a to 19a inserted therein also have the same shape so as to be easily engaged with each other when inserted.

도 10는 하나의 음료수 용기에 여러 개의 빨대와 수납부를 형성하고 빨대와 수납부를 서로 다른 색깔로 구분함으로써 여럿이도 위생적이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음료 용기의 일예이다.FIG. 10 is an example of a beverage container that can be used in several sanitary and convenient ways by forming several straws and storage units in one beverage container and distinguishing the straws and the storage units from different colors.

첫째, 음료수 용기와 빨대 및 뚜껑기능의 잠금장치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물품제조비나 유통 운반비 등 사회적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First, it is possible to save the social cost, such as manufacturing costs and distribution transport costs because the beverage container and the straw and the locking device of the lid function is integrally formed.

둘째, 하나의 용기로 두명 이상이 음료를 마실 수 있고 음료를 리필하여 여러 번 사용할 수 있으므로 자원의 절약은 물론 버려지는 용기의 수를 줄일 수 있어 환경 오염을 줄이는 효과도 있다.Secondly, two or more people can drink a single container and refill the drink so that it can be used many times, thus saving resources as well as reducing the number of discarded containers.

셋째, 음용시 용기를 기울이지 않아도 되며, 별도의 도구가 필요 없고, 수납부내에 형성된 음료유출차단막 등의 장치로 인해 흔들리는 차량 안에서나 걸으면서도 음료를 흘릴 염려 없이 음용할 수 있다. 이 점은 특히 어린이나 노약자에게 유용한 점이다.Third, the container does not need to be tilted when drinking, and does not need a separate tool, and can drink without worrying about spilling the beverage while walking in a shaking vehicle due to a device such as a beverage spill barrier formed in the receiving unit. This is especially useful for children and the elderly.

넷째, 빨대와 수납부를 연결하는 잠금장치로 용기를 밀폐하여, 음용 후 잔량 보관시 용기가 기울어져도 음료가 새지 않아 옷이나 바닥을 더럽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입이 닿는 빨대의 부분은 항상 위생적이다.Fourth, the container is sealed with a lock that connects the straw and the storage unit, so that even when the container is inclined, the beverage does not leak even when the container is inclined, so as not to soil the clothes or the floor, and the part of the straw that the mouth touches is always hygienic.

다섯째, 외부와의 통기구가 좁고, 수납부내에 형성된 차단막으로 인해 여러 번 빨대를 빼내어 사용해도 음료의 맛과 향을 길게 보존할 수 있다.Fifth, the vent with the outside is narrow, and because of the blocking film formed in the receiving portion can be used to remove the straw several times to preserve the taste and aroma of the drink for a long time.

여섯째, 기존 대부분의 음료 용기는 몸체와 뚜껑이 분리되어 있어 뚜껑을 오염시키거나 분실하는 경우가 있지만, 본 고안의 용기는 뚜껑역할을 하는 잠금장치가 수납부에 밀착되어 있어 여하한 경우에도 분실할 염려가 없다.Sixth, most of the existing beverage containers are separated from the body and the lid may contaminate or lose the lid, but the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lock device that acts as a li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torage unit in any case can not be lost There is no concern.

일곱째, 빨대부를 단단하게 형성함으로써 빨대를 씹거나 하는 등의 이유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재활용의 목적을 더욱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Seventh, by hardly forming the straw portion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eformed, for example, by chewing the straw, it is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the purpose of recycling.

여덟째, 하나의 용기에 여러 개의 빨대와 수납부를 형성할 수가 있어 2인 이상 함께 이용할 수도 있고, 특히 수납부와 빨대를 각기 다른 색깔로 짝을 맞추어줌으로써 여럿이 사용할 경우에도 개인별 빨대와 수납부를 쉽게 구별 할 수 있다. 이는 가정에서 냉장고의 물이나 음료를 가족들이 수시로 마실 때 컵을 일일이 사용하는 번거로움과 설겆이감을 줄이는 장점이 있다.Eighth, multiple straws and storage units can be formed in one container, so two or more people can use them together.In particular, by matching the storage units and straws in different colors, individual straws and storage units can be easily distinguished even when used by several people. can do. This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the hassle and dishwashing of using a cup every day when family members frequently drink water or beverages from the refrigerator at home.

아홉째, 빨대가 삽입되는 수납부가 용기의 몸체로부터 돌출 굴곡된 형상이므로 그 부분에 손가락을 걸 수 있으므로 빨대를 적출하거나, 수납할 때 지지대 역할을 하며 또한 용기를 들고 다닐 때 걸개 기능이 되어 편리하다.Ninth, the storage unit is inserted into the straw is protruding bent from the body of the container, so that you can put a finger on the part, so that the straw is removed, or serves as a support when carrying the container, and is convenient as a hook when carrying the container.

Claims (9)

음료수 용기에 있어서, 일측면에 1개 또는 그 이상의 빨대를 용기와 일체형으로 형성하고, 용기의 다른 측면에 빨대 수납부를 1개 또는 그 이상 형성하며, 빨대와 수납부를 서로 연결해서 잠글 수 있는 잠금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용기 몸체와 빨대와 뚜껑을 모두 일체화한 음료수 용기In a beverage container, one or more straws are formed integrally with the container on one side, one or more straw storage units ar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container, and the locking device can connect and lock the straw and the storage unit together. Drink container with integrated container body, straw and lid 위의 청구항 1에서, 용기의 몸체와 연결되는 부분(12)과 중간 부분(13)에 주름부가 형성되어 있고, 손가락으로 집는 부분(15)의 양끝(14,16)은 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잠금장치로 잠궈지는 부분(17)에는 단단한 나선형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수납부에 삽입되는 부분은 단단하고, 일자형(18)으로 시작하여 점차 좁아지는 형상(19)을 한 빨대가 형성된 음료수 용기In claim 1 above, the portion 12 and the middle portion 13 is connected to the body of the container is formed with a pleat, the fingers 14, both ends 14, 16 of the finger picking portion 15 is formed with projections, The part 17 which is locked by the locking device is formed with a hard spiral protrusion, and the part inserted into the receiving part is hard, and the beverage container is formed with a straw having a shape 19 gradually starting from the straight shape 18. 위의 청구항 1에서, 도9와 같이 수납부구의 내부(30)와 이에 삽입되는 빨대의 부분(18a∼19a)이 원통형 이외에도 사각형, 삼각형, 타원형 등 서로 쉽게 맞물리는 모양으로 이루어져 빨대와 수납이 용이하도록 형성된 음료수 용기In claim 1, as shown in Fig. 9, the interior 30 of the accommodating port and the portions of the straws 18a to 19a inserted therein are formed in a shape that is easily interlocked with each other, such as a rectangle, a triangle, an oval, and the like, in addition to the cylindrical shape, so that the straw and the storage are easily Beverage containers formed to 위의 청구항 1에서, 용기의 일측면에 형성된 빨대 수납부(20)는 그 끝(21)에 나선형 돌기가 형성되어있고, 사선형, 직선형, 또는 몸체와 수평이 되게 돌출굴곡됨으로써 잠금장치(22)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며, 휴대시 손가락 걸개 역할을 하는음료수 용기In claim 1, the straw receiving portion 20 formed on one side of the container has a spiral projection formed at its end 21, and is bent diagonally, straight, or bent horizontally to the body locking device 22 ) Does not break out, drink container that serves as a finger hook when carrying 위의 청구항 1에서, 빨대 수납부의 기둥부분을 주름처리한 음료수 용기In the above claim 1, the beverage container pleated the pillar portion of the straw storage portion 위의 청구항 1에서, 빨대 수납부 내에 다시 빨대집을 형성하고 그 끝에 음료유출차단막을 형성한 음료수 용기In claim 1, the beverage container is formed again in the straw storage portion and the beverage outlet blocking film formed at the end thereof 위의 청구항 1에서, 빨대 수납부 내에 음료유출 차단막을 형성한 음료수 용기In the above claim 1, a beverage container in which a beverage spill prevention film is formed in a straw storage unit 위의 청구항 1에서, 용기 하나에 여러 개의 빨대가 형성되고 동시에 수납부에도 동수의 빨대 삽입구가 형성되고, 빨대와 삽입구가 한쌍씩 같은 색깔로 구별되는 다인용 음료수 용기In claim 1, a number of straws are formed in one container and the same number of straw inserting holes are formed in the receiving portion at the same time, multi-purpose drinking water container in which the straws and inserts are paired with the same color 위의 청구항 7에서, 음료유출 차단막은 빨대에 의해 위치가 변경될 수 있도록 탄성을 갖는 음료수 용기In the above claim 7, the beverage outflow barrier is a beverage container having an elastic so that the position can be changed by the straw
KR2020020019745U 2002-06-29 2002-06-29 Beverage Container KR200295493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9745U KR200295493Y1 (en) 2002-06-29 2002-06-29 Beverage Contai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9745U KR200295493Y1 (en) 2002-06-29 2002-06-29 Beverage Contai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5493Y1 true KR200295493Y1 (en) 2002-11-18

Family

ID=73084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9745U KR200295493Y1 (en) 2002-06-29 2002-06-29 Beverage Contai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5493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66322B2 (en) Tobacco dipping cup with saliva reservoir
US6752287B1 (en) Splash-proof beverage lid slide closure
US20040000551A1 (en) Trainer cup adapter lid for a beverage can
MXNL04000046A (en) Beverage can lid with articulated neck.
US11603246B2 (en) Beverage container with straw storage compartment
US7398893B2 (en) Cup and lid combination
JP3448262B2 (en) Beverage can caps and straws
US5052575A (en) Holder for an aseptic package
CN210842543U (en) Beverage cup with self-suction function
KR200295493Y1 (en) Beverage Container
US5325546A (en) Hand held spittoon
KR102212090B1 (en) Tumbler with straw
JP4041682B2 (en) Commercial bottle adapter
JP2001120414A (en) Muddler
CN106395113B (en) Beverage container
TWM573609U (en) Container with straw function
KR100312993B1 (en) Hygienic can for beverage container
US20240092535A1 (en) Beverage container with a straw storage compartment
KR200317779Y1 (en) Straw having uneven arrangement
KR200317780Y1 (en) Polygonal straw having air indraft hole
CN210618971U (en) Leakage-proof plastic cup
KR200188691Y1 (en) Beverage cup
KR200367252Y1 (en) drink can have a straw within
JP4367699B2 (en) Beverage container
KR200375757Y1 (en) Inside Straw Beverage Pa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