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5384Y1 - 김치저장고 - Google Patents

김치저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5384Y1
KR200295384Y1 KR2020020024088U KR20020024088U KR200295384Y1 KR 200295384 Y1 KR200295384 Y1 KR 200295384Y1 KR 2020020024088 U KR2020020024088 U KR 2020020024088U KR 20020024088 U KR20020024088 U KR 20020024088U KR 200295384 Y1 KR200295384 Y1 KR 2002953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or
refrigerant
evaporator
condenser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40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익
Original Assignee
만도공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만도공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만도공조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240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538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53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5384Y1/ko

Links

Landscapes

  • Storage Of Fruits Or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내부에 저장실 및 기계실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기계실 내에 마련되어 냉매를 고온고압으로 압축하는 압축기와, 압축된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와, 응축된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를 갖는 김치저장고에 있어서, 일단은 상기 압축기와 상기 응축기 사이의 냉매배관에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응축기와 상기 증발기 사이의 냉매배관에 연결되어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고온의 냉매가 선택적으로 상기 증발기로 향하도록 바이패스 하는 바이패스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압축기의 빈번한 온오프(On/Off) 동작을 저지하여 압축기의 가동률을 높이면서도 그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김치저장고{Kimchi storage}
본 고안은 김치저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압축기의 빈번한 온오프(On/Off) 동작을 저지하여 압축기의 가동률을 높이면서도 그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김치저장고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김치저장고는 일반 냉장고와는 달리 김치를 숙성시킨 후, 장기간 보존하더라도 그 신선도가 유지되는 장점이 있다.
이에, 근자에 들어서는 김치저장고의 사용이 점차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도 1은 종래의 김치저장고의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김치저장고는 내부에 높이방향을 따라 저장실(112) 및 기계실(120)이 형성된 본체(110)와, 본체(110)의 상부에 마련되는 도어(111)를 갖는다.
상기 저장실(112) 내에는 김치 등이 보관된 복수의 저장용기(123)가 수납되어 있다.
상기 저장실(112)의 외벽면에는 압축기(126) 및 응축기(127)로부터의 냉매배관과 연통되며 저장실(112)의 외벽면을 고리상으로 감싸는 증발기(116)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기계실(120)의 전방에는 기계실(120)을 개폐하는 기계실커버(미도시)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기계실커버의 판면에는 외부의 공기를 기계실(120) 내로 유입시킬 뿐만 아니라 기계실(120) 내에서 발생된 열기를 외부로 방출시키는 복수의 공기통공(미도시)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기계실(120) 내에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126)와, 압축된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127)와, 압축기(126) 및 응축기(127)를 냉각시키는 냉각팬(128)이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압축기(126)가 가동되어 냉매를 고온/고압으로 압축하면 압축된 냉매는 응축기(127)에 의해 응축된 후, 도시 않은 모세관을 통해 저장실(112)의 외측에 배치된 증발기(116)로 향한다.
상기 증발기(116)에서는 응축된 냉매를 증발시키면서 주위의 잠열을 이용하여 저장실(112) 내로 냉기를 발생시키게 됨으로써 저장실(112) 내부는 소정의 온도로 냉각될 수 있다.
일정 시간이 지나 저장실(112)의 내부가 소정의 온도로 냉각되면 압축기(126)는 그 작동이 오프(Off)되며, 다시 저장실(112)의 내부가 높아지면 압축기(126)의 작동은 온(On)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김치저장고에 있어서는, 저장실(112)의 내부 온도에 기초하여 압축기(126)의 온오프(On/Off) 동작이 빈번하게 수행되고 있기 때문에 압축기(126)가 쉽게 소손될 수밖에 없어 그 내구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빈번하게 온오프(On/Off) 동작을 수행하는 종래의 압축기(126)는 그 가동률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압축기의 빈번한 온오프(On/Off) 동작을 저지하여 압축기의 가동률을 높이면서도 그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김치저장고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김치저장고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김치저장고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김치저장고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압축기, 응축기 및 증발기의 냉매 회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김치저장고의 제어블럭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1 : 도어
12 : 저장실 16 : 증발기
20 : 기계실 23 : 저장용기
26 : 압축기 27 : 응축기
34 : 냉매배관 35 : 모세관
40 : 바이패스관 42 : 단속밸브
44 : 밸브제어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내부에 저장실 및 기계실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기계실 내에 마련되어 냉매를 고온고압으로 압축하는 압축기와, 압축된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와, 응축된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를 갖는 김치저장고에 있어서, 일단은 상기 압축기와 상기 응축기 사이의 냉매배관에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응축기와 상기 증발기 사이의 냉매배관에 연결되어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고온의 냉매가 선택적으로 상기 증발기로 향하도록 바이패스 하는 바이패스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저장고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바이패스관에 마련되어 상기 바이패스관 내로 흐르는 냉매의 흐름을 단속하는 단속밸브와; 상기 단속밸브의 작동을 온오프(On,Off)시키는 밸브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때, 상기 단속밸브는 솔레노이드밸브로 채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김치저장고의 사시도 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김치저장고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김치저장고는 상향 개방된 투입개구를 가지며 내부에 높이방향을 따라 저장실(12) 및 기계실(20)이 형성된 본체(10)와, 저장실(12)의 상부 투입개구를 개폐하도록 본체(10)의 상부 후면에 설치된 힌지(13)를 축으로 하여 회동하는 도어(11)를 갖는다.
상기 본체(10)의 상부 전면에는 저장실(12) 내에 수용된 김치의 종류에 따른 숙성, 보관시간 및 온도조건 등을 선택하는 복수의 선택버튼(17a)과, 선택된 신호를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부(17b)를 구비한 컨트롤패널(17)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본체(10)의 측면에는 김치저장고의 파지를 위한 파지용 손잡이부(18)가 형성되어 있고, 본체(10)의 하단에는 복수의 푸트부재(19)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본체(10) 내의 상부에 마련된 저장실(12) 내에는 김치 등이 보관된 복수의 저장용기(23)가 수용되어 있다.
이러한 저장실(12)의 외벽면에는 외벽면을 고리상으로 감싸는 증발기(16)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증발기(16)는 냉매배관(34)에 의해 기계실(20) 내에 배치된 압축기(26) 및 응축기(27)와 상호 연통되어 있다.
상기 저장실(12)의 하부 영역에는 기계실(20)이 형성되어 있으며, 기계실(20)의 전방에는 기계실(20)을 개폐하는 판상의 기계실커버(미도시)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기계실커버의 판면에는 외부의 공기를 기계실(20) 내로 유입시킬 뿐만 아니라 기계실(20) 내에서 발생된 열기를 외부로 방출시키는 도시 않은 공기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기계실(20) 내에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26)와, 압축된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27)와, 압축기(26) 및 응축기(27)를 냉각시키는 냉각팬(28)이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냉각팬(28)은 팬하우징(30) 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응축기(27)의 하부에는 응축시 발생되는 응축수를 집수하는 받침플레이트(29)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계실(20) 내에 마련된 압축기(26) 및 응축기(27)와 저장실(12)의 외벽면에 마련된 증발기(16)는 냉매배관(34)에 의해 폐루프를 이루는 냉동사이클을 형성한다.
상기 응축기(27) 및 증발기(16) 사이에는 냉매를 팽창시키는 모세관(35)이 마련되어 있다.
이에, 상기 압축기(26)에서 냉매를 고온고압으로 압축하면, 압축된 냉매는 응축기(27)를 통해 응축된다.
그런 다음, 모세관(35)을 통해 팽창된 후, 증발기(16)에서 증발됨으로써 저장실(12) 내부는 냉매의 증발에 의한 주위의 잠열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
이때, 종래에는 상기의 냉동사이클이 단순하게 반복함으로써 압축기(26)의 빈번한 온오프(On/Off) 동작을 야기 시켰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는 냉동사이클 내에 바이패스관(40)을 마련하고 있다. 바이패스관(40)은 압축기(26)에서 압축된 고온의 냉매가 선택적으로 증발기(16)로 향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바이패스관(40)의 일단(40a)은 압축기(26)와 응축기(27) 사이의냉매배관(34)에 연통되고, 그 타단(40b)은 응축기(27)와 증발기(16) 사이의 냉매배관(34)에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바이패스관(40)에는 바이패스관(40) 내로 흐르는 냉매의 흐름을 단속하는 단속밸브(42)가 마련되어 있으며, 단속밸브(42)는 밸브제어부(44)에 의해 온오프(On/Off) 제어된다.
이때, 단속밸브(42)로는 여러 가지의 종류가 채용될 수 있으나, 본 고안에서는 밸브제어부(44)에 의해 전자식으로 제어 가능한 솔레노이드밸브로 채용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압축기(26)가 가동되어 냉매를 고온/고압으로 압축하면 압축된 냉매는 응축기(27)에 의해 응축된 후, 모세관(35)을 통해 팽창된 다음, 증발기(16)로 향한다.
그러면, 상기 증발기(16)에서는 응축 및 팽창된 냉매를 증발시키면서 주위의 잠열을 이용하여 저장실(12) 내로 냉기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로써 저장실(12)의 내부는 소정의 온도로 냉각될 수 있다.
이때, 밸브제어부(44)는 소정의 신호에 기초하여 단속밸브(42)의 온오프(On/Off) 상태를 제어한다.
즉, 밸브제어부(44)에 의해 단속밸브(42)가 개방되면 압축기(26)의 출력단(26a)으로부터의 고온의 냉매는 일부가 바이패스관(40)을 통해 증발기(16)로 향한다.
통상적으로 증발기(16)에서는 냉매를 증발시킨 저온의 기체가 형성되고 이러한 냉매는 압축기(26)의 입력단(26b)을 통해 압축기(26) 내로 유입되어야 한다.
이때, 상기 압축기(26)는 그 동작이 오프(Off)된 상태에서 입력단(26b)을 통해 저온의 기체가 유입되면 다시 그 동작이 온(On)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선택적으로 바이패스관(40)을 통해 증발기(16)로 고온의 냉매가 유입되고, 증발기(16)로부터 다시 고온의 기체를 제공받은 압축기(26)의 동작은 바이패스관(40)의 유로가 폐쇄되지 않을 때까지는 오프(Off)되지 않는다.
즉, 상기 압축기(26)는 밸브제어부(44)의 제어신호에 따라 단속밸브(42)가 개방된 상태의 일정 시간동안 계속 온(On)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압축기(26)의 빈번한 온오프(On/Off) 동작에 따른 압축기(26)의 가동률이 저하되는 것을 저지하면서도 그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일정 시간동안 압축기(26)가 온(On) 상태를 유지한 연후에는 밸브제어부(44)가 단속밸브(42)를 작동시켜 바이패스관(40)의 냉매유로를 폐쇄한다.
이때, 밸브제어부(44)에 의한 단속밸브(42)의 제어는 저장실(12)의 온도변화 혹은, 시간 설정 등에 기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밸브제어부(44)에 의해 단속밸브(42)가 온오프(On/Off) 제어되도록 하여 압축기(26)가 빈번하게 온오프(On/Off) 동작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압축기(26)의 가동률을 높이면서도 그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저장실(12)이 한 개로 도시되어 있고, 도어(11)가 상향 개폐식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사상은 저장실(12)이 두 개 이상으로 된 김치저장고에도 적용될 수 있고, 근자에 활발히 제조되는 서랍식 저장실(미도시)을 갖는 김치저장고에도 충분히 적용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압축기와 응축기 사이에서 응축기와 증발기 사이로 바이패스관을 연결함으로써, 압축기의 빈번한 온오프(On/Off) 동작을 저지하여 압축기의 가동률을 높이면서도 그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내부에 저장실 및 기계실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기계실 내에 마련되어 냉매를 고온고압으로 압축하는 압축기와, 압축된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와, 응축된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를 갖는 김치저장고에 있어서,
    일단은 상기 압축기와 상기 응축기 사이의 냉매배관에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응축기와 상기 증발기 사이의 냉매배관에 연결되어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고온의 냉매가 선택적으로 상기 증발기로 향하도록 바이패스하는 바이패스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저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관에 마련되어 상기 바이패스관 내로 흐르는 냉매의 흐름을 단속하는 단속밸브와;
    상기 단속밸브의 작동을 온오프(On,Off)시키는 밸브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저장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속밸브는 솔레노이드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저장고.
KR2020020024088U 2002-08-12 2002-08-12 김치저장고 KR2002953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4088U KR200295384Y1 (ko) 2002-08-12 2002-08-12 김치저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4088U KR200295384Y1 (ko) 2002-08-12 2002-08-12 김치저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5384Y1 true KR200295384Y1 (ko) 2002-11-21

Family

ID=73127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4088U KR200295384Y1 (ko) 2002-08-12 2002-08-12 김치저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538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06520B2 (en)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refrigerator
US20020002838A1 (en) Refrigerator for kimchi
KR100633077B1 (ko) 냉장고
US20070068193A1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same
KR100648943B1 (ko)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KR100382503B1 (ko) 김치보관용 냉장고의 운전제어방법
KR200295384Y1 (ko) 김치저장고
KR100541429B1 (ko) 김치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200298017Y1 (ko) 김치저장고의 냉매량 조절구조
KR100609849B1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100577420B1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20050023788A (ko) 냉장고의 온도제어장치
KR100379483B1 (ko) 진공 냉장고
KR100319694B1 (ko) 김치저장고의 운전제어방법
KR100531318B1 (ko) 양문형 냉장고
KR100443500B1 (ko) 김치저장고
KR20060024284A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100454063B1 (ko) 김치저장고 도어증발관의 유량조절 구조
KR100321245B1 (ko) 김치저장고의 운전제어방법
KR20000055093A (ko) 김치저장고의 냉장보관장치 및 방법
KR19990031033A (ko) 냉장고
KR200198165Y1 (ko) 김치저장고용 증발기 온도센서의 설치구조
KR100398636B1 (ko) 서랍식 김치저장고의 응축수 배출구조
KR100455582B1 (ko) 김치저장고의 기계실 냉각구조
KR0170887B1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1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