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5296Y1 - 냉각용 컵뚜껑 - Google Patents

냉각용 컵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5296Y1
KR200295296Y1 KR2020020019238U KR20020019238U KR200295296Y1 KR 200295296 Y1 KR200295296 Y1 KR 200295296Y1 KR 2020020019238 U KR2020020019238 U KR 2020020019238U KR 20020019238 U KR20020019238 U KR 20020019238U KR 200295296 Y1 KR200295296 Y1 KR 2002952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cup
lid
beverage
cup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92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선우
변수경
Original Assignee
박선우
변수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선우, 변수경 filed Critical 박선우
Priority to KR20200200192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52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52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5296Y1/ko

Link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냉각용 컵뚜껑에 관한 것으로서, 컵 등 음료가 담기 용기에 장착하여 음료의 냉각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맥주 또는 음료 등을 음용자가 음용할 경우 장시간 차가운 상태를 유지하면서 식음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내부에 냉각물질저장공간이 형성되며, 상부 외측에 연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몸체와 몸체의 상부를 덮는 뚜껑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용 컵뚜껑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냉각용 컵뚜껑{Cooling cap for a vessel}
본 고안은 냉각용 컵뚜껑에 관한 것으로서, 몸체와 몸체의 상부를 덮는 뚜껑으로 구성되며, 몸체에는 컵 등의 용기에 장착되기 용이하도록 연결부가 형성되어 있다.
몸체에는 드라이아이스, 흡열반응물질, 얼음, 물, 기타 냉매물질 등이 수용되어 그 냉기가 컵 등의 용기에 수용된 맥주 및 음료 등을 차가워지게 할 뿐만 아니라 냉기가 장시간 유지될 수 있도록 한 냉각용 컵뚜껑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맥주, 각종 음료 등은 시원한 상태로 식음하여야 제 맛을 느낄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런데, 맥주 및 음료 등이 종래의 컵에 담아서 음용될 경우에, 맥주 및 음료 등이 처음에는 시원한 상태에 있었더라도, 음용자가 그것을 음용하는 동안, 기온 및 음용자의 손을 통해서 전달되는 체온 등으로 점차적으로 냉기를 빼앗기게 되어 맥주 및 음료 등의 청량성 등이 반감되는 것이 일반이다.
이러한 점에 있어서 종래의 컵은 맥주 및 음료 등의 냉기를 장시간 보존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맥주 또는 음료 등이 냉장상태에 있지 않은 경우에는 우선 냉각을 시켜주며, 냉장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음용자가 맥주 또는 음료 등을 음용할 때 장시간 차가운 상태를 유지하면서 음용할 수 있도록 한 냉각용 컵뚜껑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내부에 냉각물질저장공간이 형성되며, 상부 외측에 연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몸체와 몸체의 상부를 덮는 뚜껑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용 컵뚜껑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몸체는 드라이아이스, 흡열반응물질, 얼음, 기타 냉각물질을 수용할 수 있는 냉각물질 저장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며, 컵 등의 용기에 몸체가 장착되기 용이하도록 몸체의 상부 외측에 연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세하게는, 상기 몸체는 통상 원통형으로 되어 있는 컵의 하부까지 인입이 가능하도록 충분한 길이로 제작하며, 몸체의 상부는 컵에 걸쳐질 수 있을 정도의 표면적을 갖고, 아래로 내려올수록 좁아지는 형상을 구현하여 컵 등의 용기에 담을 수 있는 음료 등의 체적을 최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몸체는 플라스틱, PVC, PET, 비닐, 유리, 금속, 기타 어떠한 재질로도 제작할 수 있으며, 몸체 내부에 형광 또는 발광도료를 착색하거나, 몸체를 형광 또는 발광물질을 성분으로 하는 재질로 형성하거나, 몸체의 형태를 인체, 기타 상징물 등으로 형성하여 전시효과를 발생시킬 수도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사용자가 음료 등을 음용하는 동안 상기 몸체의 내부에 있는 냉각물질이 유출되지 않도록, 몸체의 상부의 소정부분과 뚜껑이 상호 일체로 체결되어, 전체적으로 냉각용 컵뚜껑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뚜껑의 형상 및 크기는 다양하게 형상화할 수 있는 바, 병마개 형식을 취하여 뚜껑을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몸체와 뚜껑을 냉매물질이 수용된 상태에서 일체로 밀봉하여 구성할 수 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냉각용 컵뚜껑의 분해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냉각용 컵뚜껑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냉각용 컵뚜껑이 컵에 장착된 구현의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냉각용 컵뚜껑에 있어서, 뚜껑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몸체 11 : 냉각물질저장공간
12 : 연결부 20a,20b : 뚜껑
21 : 뚜껑손잡이 100 : 냉각용 컵뚜껑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냉각용 컵뚜껑(100)의 분해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냉각용 컵뚜껑(100)의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주된 목적은 맥주 또는 음료 등이 냉장상태에 있지 않은 경우에는 우선 냉각을 시켜주며, 냉장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음용자가 맥주 또는 음료 등을 음용할 때 장시간 차가운 상태를 유지하면서 음용할 수 있도록 한 냉각용 컵뚜껑(100)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냉각용 컵뚜껑(100)은 다양한 컵 등의 음료 용기에 적용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형태와 직경 및 높이로 제작 가능하다.
상기 냉각용 컵뚜껑(100)의 용기 구성을 살펴보면, 내부에 냉각물질저장공간(11)이 형성되며, 상부 외측에 연결부(12)가 형성되어 있는 몸체(10)와 몸체(10)의 상부를 덮는 뚜껑(20a)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용 컵뚜껑(100)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몸체(10)는 드라이아이스, 흡열반응물질, 얼음, 물, 기타 냉각물질을 수용할 수 있는 냉각물질 저장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며, 컵 등의 용기에 몸체(10)가 장착되기 용이하도록 몸체(10)의 상부 외측에 연결부(1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연결부(12)는 대상 컵 등의 용기의 형상과 크기에 따라 다양한형식으로 제작 가능하다.
상세하게는, 상기 몸체(10)는 통상 원통형으로 되어 있는 컵의 하부까지 인입이 가능하도록 충분한 길이로 제작하며, 몸체(10)의 상부는 컵에 걸쳐질 수 있을 정도의 표면적을 갖고, 아래로 내려올수록 좁아지는 형상을 구현하여 컵 등의 용기에 담을 수 있는 음료 등의 체적을 최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몸체(10)는 플라스틱, PVC, PET, 비닐, 유리, 금속, 기타 어떠한 재질로도 제작할 수 있으며, 몸체(10) 내부에 형광 또는 발광도료를 착색하거나, 몸체(10)를 형광 또는 발광물질을 성분으로 하는 재질로 형성하거나, 몸체(10)의 형태를 인체, 기타 상징물 등으로 형성하여 전시효과를 발생시킬 수도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사용자가 음료 등을 음용하는 동안 상기 몸체(10)의 내부에 있는 냉각물질이 유출되지 않도록, 몸체(10)의 상부의 소정부분과 뚜껑(20a)이 상호 일체로 체결되어, 전체적으로 냉각용 컵뚜껑(100)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뚜껑(20a)의 형상 및 크기는 다양하게 형상화할 수 있는 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병마개 형식의 뚜껑(20b)을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몸체(10)를 냉매물질이 수용된 상태에서 밀봉하여 일체로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냉각용 컵뚜껑에 의하면, 맥주 또는음료 등이 냉장상태에 있지 않은 경우에는 우선 냉각을 시켜주며, 냉장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음용자가 맥주 또는 음료 등을 음용할 때 장시간 차가운 상태를 유지하면서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음용자가 맥주 또는 음료 등을 음용하는 동안, 또는 음용하기 위하여 대기하는 동안 몸체에서 특정색상의 형광을 발산하거나, 인체나 기타 상징물 형상으로 음용자나 제3자에게 시각적인 유흥을 주는 전시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3)

  1. 내부에 냉각물질저장공간(11)이 형성되며, 상부 외측에 연결부(12)가 형성되어 있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상부의 소정부분을 덮는 뚜껑(20a)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용 컵뚜껑(100).
  2. 내부에 냉각물질저장공간(11)이 형성되며, 상부 외측에 연결부(12)가 형성되어 있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상부의 소정부분에 돌출된 병마개 형식의 뚜껑(20b)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용 컵뚜껑(100).
  3. 내부에 냉매물질이 수용되어 밀봉된 냉각물질저장공간(11)이 형성되며, 상부 외측에 연결부(12) 가 형성되어 있는 몸체(1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용 컵뚜껑(100).
KR2020020019238U 2002-06-25 2002-06-25 냉각용 컵뚜껑 KR2002952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9238U KR200295296Y1 (ko) 2002-06-25 2002-06-25 냉각용 컵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9238U KR200295296Y1 (ko) 2002-06-25 2002-06-25 냉각용 컵뚜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5296Y1 true KR200295296Y1 (ko) 2002-11-18

Family

ID=73125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9238U KR200295296Y1 (ko) 2002-06-25 2002-06-25 냉각용 컵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529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21179B2 (en) Insulated and luminescent drinking vessel
US5001907A (en) Beverage container with refrigerant gel
US11659945B2 (en) Single-serve beverage cup
US6471085B1 (en) Temperature cup
US5507156A (en) Device for cooling liquids in a sport bottle
US20030076671A1 (en) Insulated beverage glow cup
US8746475B2 (en) Multi-chambered bottles for separating content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070090077A1 (en) Container arrangement
US20040035144A1 (en) Dry ice drinking vessel
US20120305571A1 (en) Portable beverage can cooler
US20230346168A1 (en) Cup
US7055706B2 (en) Drink bottle
US5067328A (en) Cooling vessel for beverages
US20180237186A1 (en) Individual beverage bottle accessory
KR200295296Y1 (ko) 냉각용 컵뚜껑
US20110226784A1 (en) Covered cooler assembly
JP2003095398A (ja) 汎用ペットボトルへの装着型クラッシュアイス用ペットボトル
KR200340429Y1 (ko) 보온 보냉이 가능한 이중용기
KR200256428Y1 (ko) 드라이 아이스가 내장된 음료용 컵
KR200314066Y1 (ko) 이중 분할 공간 구조의 음료수병 및 그 뚜껑
KR200290734Y1 (ko) 드라이아이스를 사용한 냉각컵
KR200371626Y1 (ko) 보냉 공간을 갖는 음료용기
KR20060029318A (ko) 보냉 공간을 갖는 음료용기
US20080083244A1 (en) Thermo-preserving container
KR200173734Y1 (ko) 개량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