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4835Y1 - A attaching and separating apparatus for warning micro waves - Google Patents

A attaching and separating apparatus for warning micro wav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4835Y1
KR200294835Y1 KR2020020025607U KR20020025607U KR200294835Y1 KR 200294835 Y1 KR200294835 Y1 KR 200294835Y1 KR 2020020025607 U KR2020020025607 U KR 2020020025607U KR 20020025607 U KR20020025607 U KR 20020025607U KR 200294835 Y1 KR200294835 Y1 KR 2002948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unit
warning device
mobile phon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5607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인호
Original Assignee
강인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인호 filed Critical 강인호
Priority to KR20200200256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4835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48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4835Y1/en

Links

Landscapes

  • Details Of Aerial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안테나 탈부착형 전자파 경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휴대폰의 안테나로부터 출력신호를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경고하는 경고장치 회로부(100)와 상기 경고장치 회로부(100)에 연결되어서 휴대폰의 안테나에 탈부착하는것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경고장치 접합부(200)를 포함하되, 상기 경고장치 회로부(100)는 휴대폰 안테나의 출력신호를 수신하는 감지 안테나부(110)와, 상기 감지 안테나부(110)에서 수신된 출력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출력신호가 소정 기준신호(Vref) 보다 크면 턴온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120)와, 상기 제어부(120)로부터 턴온신호가 출력되면 이를 사용자에게 경고하는 경고부(130)와, 상기 각 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40)를 포함하며, 상기 경고장치 접합부(200)는 상기 경고장치 회로부(100)와 연결되며 상기 감지 안테나부(110)를 휴대폰의 안테나와 소정 간격으로 일정하게 이격시키는 수단(210, 2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tenna detachable electromagnetic wave warning device, which is connected to the warning device circuit unit 100 and the warning device circuit unit 100 which detects an output signal from the antenna of the mobile phone and warns the user, and is detachable from the antenna of the mobile phone. It includes a warning device junction 200 formed to be possible, wherein the warning device circuit unit 100 is a sensing antenna unit 110 for receiving the output signal of the mobile phone antenna and the output signal received from the sensing antenna unit 110 A control unit 120 for detecting and outputting a turn-on signal when the output signal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signal V ref , a warning unit 130 for warning the user when the turn-on signal is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120, and And a power supply unit 140 for supplying power to each unit, wherein the warning device junction unit 200 is connected to the warning device circuit unit 100 and the sensing antenna unit 110.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eans (210, 220) to be spaced apart from the antenna of the mobile phon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Description

안테나 탈부착형 전자파 경고장치{A ATTACHING AND SEPARATING APPARATUS FOR WARNING MICRO WAVES}Antenna detachable electromagnetic wave warning device {A ATTACHING AND SEPARATING APPARATUS FOR WARNING MICRO WAVES}

본 고안은 안테나 탈부착형 전자파 경고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폰을 사용할 때 발생되는 인체에 유해한 전자파를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경고를 함으로써 일정치 이상의 전자파가 발생되는 상황을 휴대폰 사용자가 피하도록 유도할 수 있는 전자파 경고장치를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휴대폰의 안테나에 탈부착할 수 있게 하는 안테나 탈부착형 전자파 경고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tenna detachable electromagnetic wave warn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it detects an electromagnetic wave harmful to a human body generated when using a mobile phone and warns a user to induce a mobile phone user to avoid a situation where a certain level of electromagnetic waves are generat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tenna detachable electromagnetic wave warning device that enables a user to selectively attach or detach an electromagnetic wave warning device to a mobile phone antenna.

휴대폰은 어느곳 어느때라도 정보의 전달이 가능할 수 있도록 개발된 정보통신 미디어의 일종으로, 최근에는 그 편리성으로 인해 사용자가 급증하여 현대인의 필수품으로 자리잡고 있다.Mobile phones are a kind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media developed to be able to transmit information anytime and anywhere, and recently, due to its convenience, the number of users is rapidly increasing and is becoming a necessity of modern man.

현재까지의 휴대폰을 분류하면 송신입장에서 볼 때 824~849 MHz 주파수 대역의 셀룰러 휴대전화와 1750~1780 MHz 주파수 대역의 PCS가 있는데, 이러한 높은 대역을 사용하는 휴대폰은 사용시 휴대폰 내부의 고주파 회로에 의해서 증폭된 신호가 안테나를 통하여 전자파로 바뀌게 되는데 즉, 휴대폰 안테나의 근처에서는 아주 강한 전계 성분을 띈 전자파가 발생되게 되는데, 이러한 전자파는 그 안테나에 바로 인접한 인체, 특히 머리의 뇌에 유해한 영향을 주게 된다.In terms of cell phones to date, cellular phones in the 824-849 MHz frequency band and PCS in the 1750-1780 MHz frequency band are classified by the high frequency circuit inside the cell phone. The amplified signal is converted into electromagnetic waves through the antenna, which generates electromagnetic waves with a very strong electric field in the vicinity of the mobile phone antenna, which has a detrimental effect on the human body, especially the brain of the head, directly adjacent to the antenna. .

더군다나, 휴대폰은 그 특성상 통화를 하거나 또는 하지 않더라도 기지국과 끊임없이 교신하고 있는데, 기지국과의 거리가 멀어지거나 지역적 특성에 의해 전파가 일부 차단되는 장소에서 휴대폰은 휴대폰과 기지국간에 교신되는 전파가 약해지는 것을 막기 위해 전파의 출력 레벨을 높이게 되고 이러한 높은 출력 레벨은 더욱 강한 전자파를 인체에 대하여 방출하게 되는 것이다.Furthermore, mobile phones constantly communicate with base stations even if they do or do not make calls, and the mobile phones are weakened in the places where the radio waves between the mobile phones and the base stations are weakened in places where the distance from the base stations is far away or due to regional characteristics. To prevent this, the output level of the radio wave is increased, and this high output level emits stronger electromagnetic waves to the human body.

실제로 이러한 전자파로 인해 인체가 입게 되는 피해는 눈에 보이지 않는 전자파에 대한 무감각과 직접적인 자각증상이 없기 때문에 간과하기 쉽지만, 특히나 휴대폰에 의한 전자파의 인체 피폭이 심각한 우려의 대상인 것은 전자파의 방출량이 많고, 몸에 밀착상태로 항상 사용자가 휴대하며, 통화시에는 신체의 중추인 머리에 가까이 위치되어 사용되기 때문이다.In fact, the damage to the human body caused by these electromagnetic waves is easy to overlook because there is no insensitivity to the invisible electromagnetic wave and there is no direct subjective symptoms, but in particular, the exposure of the electromagnetic wave by a mobile phone is a serious concern. This is because the user is alway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dy and is used when the phone is located close to the head of the body.

하지만, 종래의 휴대폰 단말기는 사용자가 현재 자신의 휴대폰이 고출력 상태인지 인지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지 않아 사용자로 하여금 유해한 전자파를 회피할 수 있는 선택권을 주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mobile phone terminal has a problem that the user does not have a means for recognizing whether the current mobile phone is in a high power state does not give the user a choice to avoid harmful electromagnetic waves.

종래의 휴대폰에도 현재의 수신감도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는 수신감도표시부가 액정화면에 나타나지만, 이는 휴대폰의 출력레벨을 나타내는 것이 아닌, 전파의 수신감도 또는 휴대폰의 통화 가능지역을 표시하는 수단으로서 전자파의 인체 피폭에 대처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적절하지 않다.Even in a conventional mobile phone, a reception sensitivity display portion for the user to check the current reception sensitivity is displayed on the LCD screen. However, this does not indicate an output level of the mobile phone, but a means of displaying the reception sensitivity of a radio wave or a callable area of the mobile phone. It is not appropriate as a way to deal with human exposure.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휴대폰이 소정 기준치 이상의 출력레벨을 사용하고 있는 경우 이를 휴대폰 사용자에게 경고하여 이를 사용자가 인지하게 함으로써 휴대폰에 의한 전자파의 인체 피폭시간을 감소시키도록 유도하는 안테나 탈부착형 전자파 경고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s purpose is to warn the user of the mobile phone when the mobile phone is using an output level high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and to make the user aware of the exposure time of the electromagnetic wave by the mobile phone It is to provide an antenna detachable electromagnetic warning device to induce to reduce the.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전자파 경고장치가 휴대폰 안테나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접합부를 구성하여 휴대폰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전자파 경고장치를 사용하도록 하는 안테나 탈부착형 전자파 경고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ntenna detachable electromagnetic wave warning device for the mobile phone user to selectively use the electromagnetic wave warning device by configuring the junction so that the electromagnetic wave warning device is detachable to the mobile phone antenna.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안테나 탈부착용 전자파 경고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detachable antenna warning devic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안테나 탈부착용 전자파 경고장치의 헤리컬안테나를 사용한 안테나부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Figure 2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antenna unit using a helical antenna of the detachable electromagnetic wave warning devic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3는 본 고안이 적용된 안테나 탈부착용 전자파 경고장치의 발광소자를 이용한 경고장치 회로부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Figure 3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warning device circuit unit using a light emitting element of the detachable electromagnetic wave warning devic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4은 본 고안이 적용된 안테나 탈부착용 전자파 경고장치의 스피커를 이용한 경고장치 회로부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Figure 4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warning device circuit unit using a speaker of the detachable electromagnetic wave warning devic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00 : 경고장치 회로부 110 : 감지 안테나부100: warning device circuit unit 110: detection antenna unit

120 : 제어부 121 : 검출기120: control unit 121: detector

122 : 직류증폭기 123 : 비교기122: DC amplifier 123: comparator

124 : 스위치 130 : 경고부124: switch 130: warning unit

131 : 발광소자 132 : 스피커131: light emitting element 132: speaker

140 : 전원공급부 200 : 경고장치 접합부140: power supply 200: warning device junction

210 : 거리고정수단 220 : 안테나 수용수단210: distance fixing means 220: antenna receiving mean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측면에 따른 안테나 탈부착형 전자파 경고장치는는, 휴대폰의 안테나로부터 출력신호를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경고하는 경고장치 회로부(100)와 상기 경고장치 회로부(100)에 연결되어서 휴대폰의 안테나에 탈부착하는것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경고장치 접합부(200)를 포함하되, 상기 경고장치 회로부(100)는 휴대폰 안테나의 출력신호를 수신하는 감지 안테나부(110)와, 상기 감지 안테나부(110)에서 수신된 출력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출력신호가 소정 기준신호(Vref) 보다 크면 턴온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120)와, 상기 제어부(120)로부터 턴온신호가 출력되면 이를 사용자에게 경고하는 경고부(130)와, 상기 각 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40)를 포함하며, 상기 경고장치 접합부(200)는 상기 경고장치 회로부(100)와 연결되며 상기 감지 안테나부(110)를 휴대폰의 안테나와 소정 간격으로 일정하게 이격시키는 수단(210, 2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tenna detachable electromagnetic wave warning devic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connected to the warning device circuit unit 100 and the warning device circuit unit 100 to detect the output signal from the antenna of the mobile phone to alert the user. And a warning device junction part 200 formed to be detachable from the antenna of the mobile phone, wherein the warning device circuit part 100 includes a sensing antenna unit 110 for receiving an output signal of the mobile phone antenna, and the sensing antenna unit 110. The control unit 120 detects an output signal received from the control unit 120 and outputs a turn-on signal when the output signal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signal V ref , and warns a user when the turn-on signal is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120. And a power supply unit 140 for supplying power to each unit, wherein the warning device junction unit 200 is connected to the warning device circuit unit 100.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eans (210, 220) to regularly space the sensing antenna unit 110 and the antenna of the mobile phon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감지 안테나부(110)에서 수신된 출력신호에 비례하는 직류신호를 검출하는 검출기(121); 및 상기 검출기(121)로부터검출된 직류신호를 소정 기준신호와 비교하여 상기 직류신호가 기준신호(Vref) 보다 크면 턴온되는 스위칭 수단(123, 12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control unit 120 includes a detector 121 for detecting a DC signal proportional to the output signal received from the sensing antenna unit 110; And switching means 123 and 124 which are turned on when the DC signal detected by the detector 121 is compared with a predetermined reference signal when the DC signal is larger than the reference signal V ref .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경고부(130)는 발광소자(131) 또는 스피커(1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 preferably, the warning unit 13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 131 or the speaker 132.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에서 본 고안은 휴대폰 사용자에게 휴대폰의 소정치 이상의 고출력 여부를 알리는 전자파 경고장치를 휴대폰의 안테나에 선택적으로 부착하여 사용하도록 하는 안테나 탈부착형 전자파 경고장치를 바람직한 실시예로 설명할 것이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the following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antenna detachable electromagnetic wave warning device to be used to selectively attach to the antenna of the mobile phone to the mobile phone user of the high-frequency warning device of the predetermined value of the mobile phone, the present invention The technical spirit is not limited thereto, but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modif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안테나 탈부착용 전자파 경고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안테나 탈부착용 전자파 경고장치의 헤리컬안테나를 사용한 안테나부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고, 도 3는 본 고안이 적용된 안테나 탈부착용 전자파 경고장치의 발광소자를 이용한 경고장치 회로부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고, 도 4은 본 고안이 적용된 안테나 탈부착용 전자파 경고장치의 스피커를 이용한 경고장치 회로부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n antenna detachable electromagnetic wave warning devic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FIG. 2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n antenna unit using a helical antenna of the antenna detachable electromagnetic wave warning devic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3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warning device circuit unit using a light emitting element of an antenna detachable electromagnetic wave warning devic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FIG. 4 is a warning device using a speaker of an antenna detachable electromagnetic wave warning devic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 circuit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circuit unit.

본 고안이 적용된 안테나 탈부착형 전자파 경고장치는 휴대폰의 출력이 소정기준신호(Vref) 보다 크면 사용자에게 경고를 하는 경고장치 회로부(100)와 상기 경고장치 회로부(100)에 휴대폰 안테나를 일정간격 이격시켜 부착될 수 있게 형성된 경고장치 접합부(200)로 구성된다.Antenna detachable electromagnetic wave warning devic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warning device circuit unit 100 and the warning device circuit unit 100 to warn the user when the output of the mobile phone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signal (V ref ). It consists of a warning device junction 200 formed to be attached to.

도 1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탈부착형 전자파 경고장치의 경고장치 회로부(100)에 대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Referring to the warning device circuit 100 of the detachable antenna war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ure 1,

본 고안이 적용된 안테나 탈부착형 전자파 경고장치의 경고장치 회로부(100)는 감지 안테나부(110), 제어부(120), 경고부(130) 및 상기 각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40) 등을 포함한다.The warning device circuit unit 100 of the detachable antenna warning devic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ncludes a sensing antenna unit 110, a control unit 120, a warning unit 130, and a power supply unit 140 for supplying power to the respective units. Include.

상기 감지 안테나부(110)는 휴대폰 안테나에서 출력되는 출력신호를 수신하게 되며, 이러한 상기 감지 안테나부(110)의 안테나는 동축 급전선의 중심도체에 나선형(helical)의 도체를 연결하고 외부도체는 접지평면과 연결한 형태의 안테나인 헤리컬 안테나(herical antenna)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The sensing antenna unit 110 receives the output signal output from the mobile phone antenna, the antenna of the sensing antenna unit 110 connects a helical conductor to the center conductor of the coaxial feed line and the outer conductor is grounded. It is preferable to use a helical antenna, which is an antenna connected to a plane.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감지 안테나부(110)의 헤리컬 안테나에서 나선의 피치(pitch) 각 α는 다음의 수학식 1을 통해 계산된다.Referring to FIG. 2, the pitch angle α of the spiral in the helical antenna of the sensing antenna unit 110 is calculated through Equation 1 below.

여기서 D는 나선의 지름이고, C는 원둘레(=πD)이고, P는 나선의 중심에서 중심까지의 거리 즉, 1선회시 상승높이이다.Where D is the diameter of the helix, C is the circumference (= πD), and P is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helix to its center, that is, the elevation of the helix.

따라서, 상기 α는 12o~15o범위가 되도록 하며 권수는 적어도 3회 이상이 바람직하다.Therefore, the α is in the range of 12 o ~ 15 o and the number of turns is preferably at least three times.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감지 안테나부(110)에서 수신된 휴대폰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출력신호를 소정의 기준신호(Vref)와 비교하여 출력신호가 기준신호(Vref)보다 크면 턴온신호를 출력하게 된다.The control unit 120 receives the output signal of the mobile phone received from the sensing antenna unit 110 and compares the output signal with a predetermined reference signal V ref to turn on if the output signal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signal V ref . Will output a signal.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제어부(120)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어부(120)는 상기 감지 안테나부(110)에서 수신된 휴대폰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그 크기에 비례하는 직류신호를 출력하는 검출기(121)와, 상기 검출기(121)에서 출력된 직류신호를 입력받아 필요한 크기의 직류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기능을 가져서 연산증폭기나 기타 능동소자를 이용하여 설계가능한 직류증폭기(122)와, 상기 직류증폭기(122)에서 출력된 변환신호를 일단의 입력단에 입력받고 타단의 입력단으로는 기준신호(Vref)를 입력받아 상기 변환신호가 기준신호(Vref) 보다 크면 턴온신호를 출력하여 스위치(124)를 온 시키는 비교기(123)를 포함한다.3 to 4, the control unit 12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control unit 120 receives an output signal of a mobile phone received from the sensing antenna unit 110 and is a direct current signal proportional to its size. And a direct current amplifier (122) capable of designing using an operational amplifier or other active device, having a function of outputting a detector 121 and a direct current signal output from the detector 121 and converting the signal into a DC signal having a required size. And a conversion signal output from the DC amplifier 122 is input to one input terminal, and a reference signal V ref is input to the other input terminal, and when the conversion signal is larger than the reference signal V ref , a turn-on signal is output. And a comparator 123 for outputting and turning on the switch 124.

이때, 상기 비교기(123)는 변환신호와 비교신호(Vref)를 입력받고 이를 비교하여 턴온신호를 출력하게 되는데, 일예로 20dBm (100mW) 미만의 신호가 검출기(121)에 의하여 검출되는 경우에는 "0"(로우)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20dBm (100mW) 이상의 신호가 검출기(121)에 의하여 검출되는 경우에는 "1"(하이) 신호를 출력하여 스위치(124)를 온 시키도록 설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mparator 123 receives the converted signal and the comparison signal (V ref ) and compares them, and outputs a turn-on signal. It can be designed to turn on the switch 124 by outputting a "0" (low) signal and outputting a "1" (high) signal when a signal of 20 dBm (100 mW) or more is detected by the detector 121. have.

상기 경고부(130)는 상기 비교기(123)에서 출력된 턴온신호에 의해 스위치(124)가 온상태로 되면 사용자에게 기준치 이상의 전자파가 발생하고 있음을경고하게 된다. 이때, 상기 경고부(130)는 사용자에게 기준치 이상의 전자파가 발생하고 있음을 경고하기 위하여 도 3과 같이 발광소자(131)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경고하거나, 도 4와 같이 스피커(132)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경고할 수 있으며, 또는 발광소자(131) 및 스피커(132)를 동시에 이용하거나 진동을 일으키는 바이브레이터와 같은 다른 수단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When the switch 124 is turned on by the turn-on signal output from the comparator 123, the warning unit 130 alerts the user that electromagnetic waves exceeding a reference value are generated. In this case, the warning unit 130 warns the user by using the light emitting element 131 as shown in FIG. 3, or by using the speaker 132 as shown in FIG. It is possible to warn the user or to use the light emitting element 131 and the speaker 132 at the same time or other means such as a vibrator that causes vibration.

도 1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탈부착형 전자파 경고장치의 경고장치 접합부(200)에 대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Referring to the warning device junction portion 200 of the detachable antenna war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ure 1,

본 고안이 적용된 안테나 탈부착형 전자파 경고장치의 경고장치 접합부(200)는 거리고정수단(210), 안테나 수용수단(220) 등을 포함한다.Warning device junction 200 of the detachable antenna warning devic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ncludes a distance fixing means 210, antenna receiving means 220 and the like.

상기 거리고정수단(210)은 상기 경고장치 회로부(100)의 감지 안테나부(110)가 위치한 방향으로 연결되며, 삽입되는 휴대폰의 안테나를 상기 감지 안테나부(110)와 소정 간격을 두고 일정하게 이격시키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휴대폰의 안테나와 이를 감지하여 수신하게 되는 감지 안테나부(110)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게 되어 감지 안테나부(110)에 전달되는 수신전력이 변화하게 되어 발생될 수 있는 오차를 방지하게 된다.The distance fixing means 210 is connect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nsing antenna unit 110 of the warning device circuit unit 100 is located, and is regularly spaced apart from the sensing antenna unit 110 by the antenna of the inserted mobile phone. It has a function to make it. Therefore, the antenna of the mobile phone and the sensing antenna unit 110 to sense and receive the same maintain a constant interval to prevent an error that may occur due to a change in the received power delivered to the sensing antenna unit 110.

덧붙여, 상기 거리고정수단(210)은 휴대폰 안테나와 감지 안테나부(110) 사이의 거리가 너무 가까우면 휴대폰의 안테나 임피던스에 영향을 주고 안테나의 부정합을 유발할 수 있으며, 그 거리가 너무 멀면 감지 안테나부(110)에 수신되는 수신신호가 너무 낮아지게 되므로 0.5cm 정도로 이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distance fixing means 210 may affect the antenna impedance of the mobile phone and cause mismatch of the antenna if the distance between the mobile phone antenna and the sensing antenna unit 110 is too close, and if the distance is too long, the sensing antenna unit Since the received signal received at 110 becomes too low, it is preferable to space it about 0.5 cm.

상기 안테나 수용수단(220)은 상기 거리고정수단(210)에 의해 일정하게 경고장치 회로부(100)와 이격되게 되는 휴대폰 안테나가 수용되어 고정되도록 파여있는 홈으로 형성된다.The antenna accommodating means 220 is formed as a groove that is received to be fixed to the cell phone antenna that is constantly spaced apart from the warning device circuit unit 100 by the distance fixing means 210 is fixed.

이때, 상기 안테나 수용수단(220)은 휴대폰의 안테나가 삽입될 때 원활하게 삽입가능하도록 예를 들면, 신축성 있는 아크릴과 같은 재료를 사용하여 쉽게 휴대폰의 안테나가 삽입 및 탈착되도록 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antenna accommodating means 220 may be easily inserted and detached to the antenna of the mobile phone using a material such as elastic acrylic, so that the antenna can be inserted smoothly when the antenna of the mobile phone is inserted.

또한, 상기 안테나 수용수단(220)은 휴대폰 안테나의 형태에 따라 삽탈가능하도록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포핏밸브형이 아닌 휴대폰 안테나의 경우에는 클립과 같은 별개의 탄지수단을 사용하여 부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ntenna accommodating means 220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forms so as to be removabl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mobile phone antenna. For example, a cell phone antenna that is not a poppet valve type may be attached using a separate fingering means such as a clip.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attached It is not limited to the drawing.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나타난 안테나 탈부착형 전자파 경고장치는 휴대폰의 출력신호를 감지하여 이를 휴대폰 사용자에게 알림으로써 휴대폰 사용자로 하여금 전자파의 인체 피폭 시간 및 상황을 회피하도록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antenna detachable electromagnetic wave warning device shown in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an output signal of the mobile phone and notifies the mobile phone user, thereby inducing the mobile phone user to avoid the exposure time and the human body of the electromagnetic wave.

또한, 휴대폰 안테나에 탈착가능하도록 접합부를 형성하고 이러한 접합부에서 일정한 간격을 이격시켜 경고장치를 일체형으로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상황에따라 전자파 경고장치를 휴대폰에 선택적으로 부착하여 사용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forming a junction to be detachable to the mobile phone antenna, and a certain distance from the junction to configure the warning device integrally there is an effect that the user can selectively attach and use the electromagnetic wave warning device according to the situation according to the situation.

Claims (3)

휴대폰의 안테나로부터 출력신호를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경고하는 경고장치 회로부(100)와 상기 경고장치 회로부(100)에 연결되어서 휴대폰의 안테나에 탈부착하는것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경고장치 접합부(200)를 포함하되,Warning device circuit unit 100 for detecting an output signal from the antenna of the mobile phone to warn the user and a warning device junction portion 200 is connected to the warning device circuit unit 100 to be detachable to the antenna of the mobile phone, 상기 경고장치 회로부(100)는 휴대폰 안테나의 출력신호를 수신하는 감지 안테나부(110)와, 상기 감지 안테나부(110)에서 수신된 출력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출력신호가 소정 기준신호(Vref) 보다 크면 턴온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120)와, 상기 제어부(120)로부터 턴온신호가 출력되면 이를 사용자에게 경고하는 경고부(130)와, 상기 각 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40)를 포함하며,The warning device circuit unit 100 detects an output signal of the mobile phone antenna and a detec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detection antenna unit 110, and the output signal is a predetermined reference signal (V ref ). If greater than the control unit 120 for outputting a turn-on signal, the warning unit 130 to warn the user when the turn-on signal is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120, and the power supply unit 140 for supplying power to each unit Include, 상기 경고장치 접합부(200)는 상기 경고장치 회로부(100)와 연결되며 상기 감지 안테나부(110)를 휴대폰의 안테나와 소정 간격으로 일정하게 이격시키는 수단(210, 2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탈부착형 전자파 경고장치.The warning device junction 200 is connected to the warning device circuit unit 100,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means (210, 220) to regularly space the sensing antenna unit 110 and the antenna of the mobile phon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tenna detachable electromagnetic warning devic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감지 안테나부(110)에서 수신된 출력신호에 비례하는 직류신호를 검출하는 검출기(121);The control unit 120 includes a detector 121 for detecting a DC signal proportional to the output signal received from the sensing antenna unit 110; 상기 검출기(121)로부터 검출된 직류신호를 소정 기준신호와 비교하여 상기 직류신호가 기준신호(Vref) 보다 크면 턴온되는 스위칭 수단(123, 124)을 포함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탈부착형 전자파 경고장치.And a switching means (123, 124) which is turned on when the direct current signal detected by the detector (121) is compared with a predetermined reference signal and the direct current signal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signal (V ref ). Devic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경고부(130)는 발광소자(131) 또는 스피커(1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탈부착형 전자파 경고장치.The warning unit 130 is an antenna detachable electromagnetic warning device comprising at least one of a light emitting element (131) or a speaker (132).
KR2020020025607U 2002-08-28 2002-08-28 A attaching and separating apparatus for warning micro waves KR200294835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5607U KR200294835Y1 (en) 2002-08-28 2002-08-28 A attaching and separating apparatus for warning micro wav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5607U KR200294835Y1 (en) 2002-08-28 2002-08-28 A attaching and separating apparatus for warning micro wav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4835Y1 true KR200294835Y1 (en) 2002-11-13

Family

ID=73078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5607U KR200294835Y1 (en) 2002-08-28 2002-08-28 A attaching and separating apparatus for warning micro wav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4835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54448B2 (en) Electronic stylus
JP6463306B2 (en) Detection and evaluation of high-frequency radiation
US20130033400A1 (en) Antenna apparatus having sensing component coupled to first antenna component to additionally act as second antenna component and related signal processing device
TW200705950A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KR2009005755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ximity sensing of using two antenna sensitivity variation difference
JP5355741B2 (en) Wireless terminal device
US8363857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10103763B2 (en) Remedial signal generator
KR10060589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warning battery power source consumption
JP2006217200A (en) Radio communications device
KR200294835Y1 (en) A attaching and separating apparatus for warning micro waves
US7102511B2 (en) Radio wave detection device
US8903322B2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having stable calling quality
KR101575956B1 (en) Dual type charging apparatus for portable terminal
GB2523737A (en) Remedial signal generator
WO2020031412A1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method of installing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and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and method of changing installation positions of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and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JP2005159480A (en)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JP2008135975A (en) Portable radio device
JP4584062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20190068229A1 (en) Remedial signal generator
CN210274036U (en) Mobile terminal with antenna resonance state adjusting function
KR200441850Y1 (en) Portable Electromagnetic Wave Detector
JP2005038087A (en)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194626Y1 (en) Handphone receive/transmit auto alarm device
US20050174976A1 (en) Auto-switching channel method of unidirectional wireless recei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03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