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4308Y1 - a fixing apparatus of nursing bottle - Google Patents

a fixing apparatus of nursing bott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4308Y1
KR200294308Y1 KR2020020023484U KR20020023484U KR200294308Y1 KR 200294308 Y1 KR200294308 Y1 KR 200294308Y1 KR 2020020023484 U KR2020020023484 U KR 2020020023484U KR 20020023484 U KR20020023484 U KR 20020023484U KR 200294308 Y1 KR200294308 Y1 KR 2002943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le
fixing
fixing parts
hole
chi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3484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재철
Original Assignee
박재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철 filed Critical 박재철
Priority to KR20200200234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4308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43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4308Y1/en

Links

Landscapes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바닥부(8)와, 상기한 바닥부(8)의 상방으로 통공(4)이 형성되게 구성되는 제1,2 고정부(1,2)와, 그리고 상기한 바닥부(8)의 저부에 형성한 부착부(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젖병 고정구에 의하여 아이가 젖병의 우유를 편리하게 먹을 수 있게 젖병 고정 기구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한 제 1,2 고정부(1,2) 양단은 신축성이 없는 실에 의하여 연결부(30)가 이루어지게 구성하고, 상기한 통공(4)의 주위로는 신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 지는 신축부(3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한 젖병 고정구(10)의 바닥부(8) 저부에 형성한 부착부(7)는 가로로 긴 직사각 형태의 받침(40)에 형성한 고정부(9)에 부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 bottom part 8, first and second fixing parts 1 and 2 configured to form a through hole 4 above the bottom part 8, and the bottom part 8.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arts (1, 2) of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arts (1, 2) in configuring the baby bottle fixing mechanism so that the child can conveniently eat the milk of the baby bottle by the baby bottle fastener comprising the attachment part formed on the bottom of the Both ends are configured to be made of a connecting portion 30 by the elastic yarn, characterized in that the elastic portion 32 is made of a stretchable material is formed around the through-hole 4, the bottle The attachment portion 7 formed at the bottom of the bottom portion 8 of the fixture 1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ttached to the fixing portion 9 formed on the base 40 in the horizontally long rectangular shape.

Description

젖병 고정구{a fixing apparatus of nursing bottle}Bottle fixing device {a fixing apparatus of nursing bottle}

본 고안은 유아 즉, 젖을 먹는 아이들이 사용하는 젖병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by bottle fastener used by infants, ie, breastfeeding children.

종래 어린 아이들이 특히 젖을 먹는 유아의 경우, 젖병을 들고 수유할때, 한손으로는 아이의 목 부위를 받치고 다른 한 손으로는 젖병을 기울여서 아이에게 젖을 먹여 왔다Conventionally, young children, especially infants who are breastfeeding, have been breastfeeding a child by supporting the neck of the child with one hand and tilting the bottle with the other hand.

그러나 특히 주부의 경우, 어린 아이를 팔에 안고 먹이다 보면 팔이 저리거나 아퍼서 장시간 수유하기가 불편한 단점이 있다,However, especially for housewives, when feeding a young child in their arms, their arms are numb or painful, which makes them difficult to feed for a long time.

그렇다고 젖을 먹는 어린 아이를 바닥에 눕혀서 먹이게 되면 아이가 손을 사용하여 잘 잡고 먹는 아이도 있지만 대부분의 어린 유아는 젖병을 제대로 들고 있지 못하고, 흔들거나 또는 떨어 뜨리게 되어 사방으로 젖이 튀게되어 아이의 상의 뿐만 아니라 주위를 더럽힌다However, when feeding a young child who lies on the floor, the child uses the hand to hold and eat well. However, most young infants do not hold the bottle properly and shake or drop, and the milk splashes everywhere. I pollute not only the top

따라서 수시로 아이의 옷을 갈아 입혀야 하고 빨래를 자주 하여야 하는 매우 불편한 어려움이 있다.Therefore, there is a very uncomfortable difficulty in changing the clothes of the child from time to time and frequent laundry.

이를 감안하여 본 출원인은 소정의 고정구를 만들어, 여기에 젖병을 꽂아 편리하게 먹을 수 있게 고안한 것으로, 2002년 6월 3일자로 실용신안 등록출원 제 17031 호로 출원하였다.In view of this, the present applicant has made a predetermined fixture, and designed to be conveniently eaten by inserting a bottle there, and filed as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17031 on June 3, 2002.

여기에서는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부(8)와, 상기한 바닥부(8)의 상방으로 통공이 형성되어 젖병(5)을 끼울 수 있게 구성되는 제1,2 고정부(1,2)와, 상기한 제1,2 고정부(1,2) 사이를 연결하는 탄성재질로 이루어 지는 연결구(3)로 이루어 지는 젖병고정구(10)를 만들고, 이 젖병고정구(10)의 바닥에 부착부를 만들어 턱받이에 고정하여 유아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있다Here, as shown in Figure 1, the bottom portion 8 and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ortions 1, which are formed so that the through-hole is formed above the bottom portion 8 so as to fit the bottle 5, 2) and the baby bottle fastener (10) made of a connector (3) made of an elastic material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arts (1,2), the bottom of the baby bottle fixture (10) The attachment part is made and fixed on the bib so that the infant can use it conveniently.

그러나 이 고안은 실제 사용하여 본 결과, 젖병을 고정하는 연결구(3) 부위가 자주 끊어지고 젖병의 고정이 견고하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However, this design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actual use of the result, the connector (3) for fixing the bottle is frequently broken and the fixing of the bottle is not solid.

본 고안은 상기한 본 출원인에 의한 문제점을 더욱 개선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연결구의 절단을 방지하고, 그와 아울러 그 젖병 고정 부위를 더욱 신축성 있게 구성하여 젖병 고정구의 착탈이 편리하게 하였으며, 또 너무 어려서 아직 손을 잘 사용 하지 못하는 유아까지 더욱 편리하게 먹을 수 있게 한 것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mproves the problems caused by the present applicant,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cutting of the connector, and at the same time to configure the bottle fixing portion more elastic to facilitate the removal of the bottle fixture. Its purpose is to make eating even more convenient for infants who are too young to use their hands yet.

도 1 은 종래의 젖병 고정구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bottle fixture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젖병 고정구에 대한 사시도로 젖병을 제거한 상태의 도면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aby bottle removed in a perspective view of the fix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은 도 2 에서 제 1,2 고정부(1,2)에 대한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nection to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arts (1, 2) in FIG.

도 4 는 젖병 고정구(10)의 저면을 보여 주는 도면4 shows a bottom view of the bottle fixture 10.

도 5 는 도 2 에 도시된 젖병 고정구(10)가 부착되는 받침(40)을 보여 주는 도면FIG. 5 shows the base 40 to which the baby bottle fastener 10 shown in FIG. 2 is attached.

본 고안의 주요 구성은, 바닥부(8)와, 상기한 바닥부(8)의 상방으로 통공(4)이 형성되게 구성되는 제1,2 고정부(1,2)와, 그리고 상기한 바닥부(8)의 저부에 형성한 부착부(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젖병 고정구에 의하여 아이가 편리하게 우유를 먹을 수 있게 젖병 고정 기구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한 제 1,2 고정부(1,2) 양단은 신축성이 없는 실에 의하여 연결부(30)가 이루어지게 구성하고, 상기한 통공(4)의 주위로는 신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 지는 신축부(3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한 젖병 고정구(10)의 바닥부(8) 저부에 형성한 부착부(7)는 가로로 긴 직사각 형태의 받침(40)에 형성한 고정부(9)에 부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ttom portion 8,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ortions (1, 2) configured to form a through hole 4 above the bottom portion 8, and the bottom When the baby bottle fixing mechanism is configured so that the child can conveniently eat milk by the baby bottle fastener including the attachment part 7 formed at the bottom of the part 8,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arts 1, 2) Both ends are configured such that the connecting portion 30 is made by the elastic yarn, the elastic portion 32 is made of a stretchable material is formed around the through hole (4), The attachment portion 7 formed at the bottom of the bottom portion 8 of the bottle holder 1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ttached to the fixing portion 9 formed on the base 40 in the horizontally long rectangular shape.

상기한 특징 외의 다른 특징 및 구성에 대하여 이하, 첨부 도면과 함께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Other features and configurations than those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 은 본 고안에 따른 젖병 고정구(10)의 한 구성예이다Figure 2 is a configuration example of the bottle fixtur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에서는 제 1,2 고정부(1,2) 사이를 일체로 연결하여 연결부(30)가 형성되게 하였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part 30 is formed by integrally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arts 1 and 2.

그 연결 방법은 제 1,2 고정부(1,2)의 단부 각각을 본드칠 하여 도 3 과 같이, 본드부(31)를 형성한 후 이 양단을 부착한다.In the connection method, each end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arts 1 and 2 is bonded to form a bond part 31 as shown in FIG.

본드칠의 이유는 제 1,2 고정부(1,2)의 단부에서 버플이 생긴 것을 제거 및 방지하고, 또 이 양단을 꼬멜 때 더욱 견고하게 결합되게 하기 위한 것이다The reason for the bonding is to remove and prevent the occurrence of the baffles at the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arts (1, 2), and to make them more firmly coupled when twisting both ends.

그리고 이차로 제 1,2 고정부(1,2) 양단을 견고한 실 재질로 이루어지는 바느질로 결합시켜서 연결부(30)가 이루어 지게 한다. 이 연결부(30) 자체는 늘어나는 신축성이 없다.Then, the second and second fixing parts 1 and 2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sewing made of a solid thread material, thereby making the connection part 30 made. This connecting portion 30 itself is not stretchy.

그리고 도 2 에서 젖병이 들어가는 통공(4) 부위 주위를 신축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신축부(32)가 이루어지게 한다.And it is made in the elastic portion 32 made of a stretchable material around the through-hole (4) portion in which the bottle enters in FIG.

신축부(32)는 통공(4)의 아래 부분이 가장 넓은 면적으로 이루어진다. 즉 이 신축부(32)는 통공(4)의 상부로 올라갈수록 다시말해, 제 1,2 고정부(1,2)가 상방으로 오므려 질수록 제 1,2 고정부(1,2)의 형상에 따라 좁아 지게 형성된다.The elastic portion 32 is made of the widest area of the lower portion of the through hole (4). In other words,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portion 32 is in the upper portion of the through hole 4, that is, as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ortions 1 and 2 are closed upwards, It is formed narrower according to the shape.

전체적으로는 연결부(30)를 제외 하고는 통공(4) 내경이 신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 진다Except for the connection part 30 as a whole, the inner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4) is made of a stretchable material

신축부(32)는 촉감 좋고 신축성 있는 재질 예들들어, 수영복에 사용되는 잘 늘어 나는 스판 재질 등을 이용한다. 그리하여 연결부(30)에서의 신축은 일어나지 않고 고정구(10)의 통공(4) 주위에서 신축이 일어나게 된다.The stretchable part 32 uses a soft and stretchable material, for example, an elongated span material used in a swimsuit. Thus, expansion and contraction at the connecting portion 30 does not occur, and expansion and contraction occurs around the through hole 4 of the fixture 10.

젖병고정구(10)의 저면엔 도 4 와 같이 부착부(7)를 형성한다. 부착부(7)는 예들들어, 매직테이프로 구성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똑딱이 단추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The bottom of the baby bottle fixture 10 forms an attachment portion 7 as shown in FIG. The attachment part 7 consists of a magic tape, for exampl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tick button or the like may also be used.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젖병 고정구를 붙이기 위한 받침(40)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 받침(40)에는 젖병 고정구(10)를 착탈하기 위한 고정부(9)를 형성한다.5 is a view showing the base 40 for attaching the bottle fix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40 is provided with a fixing portion 9 for attaching and detaching the baby bottle fastener 10.

받침(40)은 전체적으로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지며 부드러운 천 재질로 만들며, 아기의 목과 턱 주위를 충분히 덮을 수 있을 정도로 만든다.Base 40 is generally rectangular and made of a soft cloth, enough to cover the baby's neck and around the chin.

이 받침은 종래의 턱받이 보다 사용이 편리하다. 그 이유는 종래의 턱받이는 유아가 좌 또는 우로 목을 돌릴때 턱받이로 받치지 못하는 유아의 옷 부위에 우유나 입에서 나오는 침 등의 분비물로 더렵혀진다This base is more convenient to use than the conventional bib. The reason for this is that a conventional bib is soiled with secretions such as milk or saliva from the mouth of an infant's clothing that is not supported by the bib when the child turns his neck left or right.

그러나 이 받침(40)은 유아의 목 좌우에 까지 걸쳐 위치시켜 주므로 그러한 단점이 없다. 또한 종래 턱받이는 그 턱받이 끈을 아이의 목에 묶어 두지만 이 받침(40)은 아이의 목에 묶지 않고 그냥 목 아래에 펼쳐 두므로 아이가 우유를 먹을 때 더욱 편안한 상태에서 우유를 먹을 수 있다However, this support 40 has no such disadvantages because it is positioned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neck of the infant.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bib binds the bib strap to the child's neck, but the support 40 is not tied to the child's neck, but just spreads out under the neck, so that the child can eat milk in a more comfortable state when eating the milk.

한편 상기한 받침(40)에 형성되는 고정부(9) 역시 예들들어, 매직 테이프로 형성하여 붙였다 떼었다 할 수 있게 한다. 즉, 앞선 젖병고정구(10) 저면에 형성된 부착부(7)를 받침(40)의 고정부(9)에 부착한다.On the other hand, the fixing portion 9 formed on the support 40 is also made of, for example, a magic tape to be attached and detached. That is, the attachment portion 7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le feeding fixture 10 is attached to the fixing portion 9 of the base 40.

상기 구성에 따른 사용 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받침(40)을 유아의 턱 밑에 받치고, 젖병 고정구(10)의 통공(4)에 젖병(5)을 끼운 후, 이를 받침(40)의 고정부(9)에 부착한다.Referring to the use method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first, the support 40 is supported under the infant's chin, and the feeding bottle 5 is inserted into the through-hole 4 of the baby bottle fastener 10, and then the fixed portion of the support 40 Attach to (9).

그리고 유아의 손을 잡아서 젖병을 잡도록 하여 주면 유아는 젖병을 잡고 빨아 먹을 수 있다. 혹시 아가가 젖병을 손으로 놓치더라고 젖병이 굴러 떨어지거나 이탈되지 않으므로 아가는 젖병을 다시 잡고 젖을 먹을 수 있다If you hold the baby's hand to hold the bottle, the infant can hold the bottle and suck it. If the baby misses the bottle by hand, the bottle will not roll off or fall off.

약 2 개월 정도되는 매우 어린 유아의 경우엔 손도 제대로 사용하지 못한다. 그러나 본 고안에 따라 받침(40)을 목 근처에 펼쳐두고 젖병을 고정하여 먹이면 비록 수유자가 전화 등을 받기 위하여 유아를 돌보지 않고 잠깐 자리를 비워도 유아는 제 위치에 놓인 젖병을 빨 수 있어서 혼자서 먹을 수 있다.Very young infants, about two months old, can't use their hands properly. 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base 40 is placed near the neck and the bottle is fixed and fed, the infant can suck the bottle placed in place and eat it by himself, even if the nursing person does not take care of the infant in order to receive a call. have.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더욱 편리한 상태에서 유아가 젖을 먹을 수 있고, 또 수유자 상술한 바와 같이 역시 더욱 편리하게 유아에게 우유를 먹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infant can feed the milk in a more convenient state, and the nursing mother can also feed the milk to the infant more conveniently as described above.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젖병고정구에 의하면, 신축부(32)의 구성에 의하며 젖병의 크기에 상관 없이 신축성 있게 사용 가능하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baby bottle fix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configuration of the elastic portion 32 can be used elastically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bottle.

또 이 신축부(32)는 그 형성이 둥근 원형 전체에 걸쳐 형성되므로 그 신축성이 매우 우수한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elastic portion 32 is formed over the entire round circle, its elasticity is very excellent.

또한, 제1,2,고정부(1,2)가 견고하게 연결되어 있어서 쉽게 끊어질 염려가 없다.In addition, since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arts 1 and 2 are firmly connected, there is no fear of breaking easily.

Claims (3)

바닥부(8)와, 상기한 바닥부(8)의 상방으로 통공(4)이 형성되게 구성되는 제1,2 고정부(1,2)와, 그리고 상기한 바닥부(8)의 저부에 형성한 부착부(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젖병 고정구에 의하여 아이가 젖병을 잡고 먹을 수 있게 젖병 고정 기구를 구성함에 있어서,On the bottom part 8,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arts 1 and 2 configured to form a through hole 4 above the bottom part 8, and the bottom of the bottom part 8. In constructing a bottle fixing mechanism so that a child can hold and eat a bottle by means of a bottle fixing member including the formed attachment portion 7, 상기한 제 1,2 고정부(1,2) 양단은 신축성이 없는 실에 의하여 연결부(30)가 이루어지게 구성하고, 상기한 통공(4)의 주위로는 신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 지는신축부(3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병 고정구Both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arts 1 and 2 are configured such that the connection part 30 is made by an elastic yarn, and the elastic part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round the through hole 4. Feeding bottle holder, characterized in tha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한 젖병 고정구(10)의 바닥부(8) 저부에 형성한 부착부(7)는 가로로 긴 직사각 형태의 받침(40)에 형성한 고정부(9)에 부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병 고정구The baby bottle characterized in that the attachment portion 7 formed on the bottom portion 8 bottom of the baby bottle fastener 10 is attached to the fixing portion 9 formed on the base 40 in the horizontally long rectangular shape. Fixtur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한 1,2 고정부(1,2) 양단에는 본드부(31)를 미리 형성시키고, 바느질에 의하여 연결부(30)가 형성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병 고정구Both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arts (1, 2), the bonding portion 31 is formed in advance, the feeding bottl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ng portion 30 is formed by sewing
KR2020020023484U 2002-08-06 2002-08-06 a fixing apparatus of nursing bottle KR200294308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3484U KR200294308Y1 (en) 2002-08-06 2002-08-06 a fixing apparatus of nursing bott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3484U KR200294308Y1 (en) 2002-08-06 2002-08-06 a fixing apparatus of nursing bott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4308Y1 true KR200294308Y1 (en) 2002-11-04

Family

ID=73084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3484U KR200294308Y1 (en) 2002-08-06 2002-08-06 a fixing apparatus of nursing bott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4308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47384A (en) Pacifier tether for use in enhancing an infant's developmental reflexes
US10172394B2 (en) Bib toy teething device
US6000664A (en) Baby bottle support bib
US20020166173A1 (en) Neck support pillow with bib
US4726551A (en) Baby bottle holder
US20070288056A1 (en) Mitten teether/pacifier
CA237295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ositioning a garment while breastfeeding
US5263975A (en) Pacifier tether for use in enhancing an infant's developmental reflexes
US20120078143A1 (en) Vibrating pacifier
KR200486170Y1 (en) Waterproof bib for table
US20200352828A1 (en) Apparatus Useful for Infant Teething and Suckling
KR200483956Y1 (en) Waterproof bib for baby table
US20020082642A1 (en) Pacifier wrist tether
US10695268B2 (en) Combination bottle holder, bottle holding trainer, and bib
US20050261738A1 (en) Simulated breast comfort aide system
KR200294308Y1 (en) a fixing apparatus of nursing bottle
US20030116520A1 (en) Liquid absorbent drink container device
WO2008068785A1 (en) Holder for a comforter, and method for keeping a comforter near a user's mouth
KR101296296B1 (en) Nursing cushion for sucking
KR200288487Y1 (en) a fixing apparatus of nursing bottle
KR100708821B1 (en) Newborn baby clothes
CN218589387U (en) Hand-eating-preventing molar soothing gutta-percha
KR20160046084A (en) Finger sucking prevention Braces
KR101815883B1 (en) Bib with attachable pacifier
KR960003797Y1 (en) Apparatus for holding milk bott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