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4071Y1 - 좌변기용 볼 탭 - Google Patents

좌변기용 볼 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4071Y1
KR200294071Y1 KR2020020019203U KR20020019203U KR200294071Y1 KR 200294071 Y1 KR200294071 Y1 KR 200294071Y1 KR 2020020019203 U KR2020020019203 U KR 2020020019203U KR 20020019203 U KR20020019203 U KR 20020019203U KR 200294071 Y1 KR200294071 Y1 KR 2002940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lower body
water
groove
sea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92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정섭
Original Assignee
신정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정섭 filed Critical 신정섭
Priority to KR20200200192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407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40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4071Y1/ko

Links

Landscapes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좌변기용 볼 탭에 관한 것이다.
상측은 수조의 내측에 배치되고 하측은 수조의 하측을 향하여 관통되는 유입구가 보스에 의해 형성되며 그 내주면에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며 레버의 팽창부재가 안착되는 안착부에는 덮개가 결합되는 홈이 형성되며 수조로 통하는 유로가 형성된 하체; 상기 하체의 내측에 끼워지며 하측에는 상기 보스로 유입되는 수량을 조절하는 디스크 패킹이 탄성부재 및 돌기에 의해 끼워지며 외측에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고 내측의 일측에는 상측으로 유입구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물이 입수되고 레버가 통과하는 입수 홀과 상기 레버가 결합되는 돌기부가 형성된 분출부재; 상기 하체의 상측에 밀폐 결합되며 상측으로 관통된 홀이 형성되되 상기 분출부재의 중심과 상응하는 높낮이 조절부재와 지지부재가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상체; 일측은 상기 하체에 형성된 입수 홀을 통하여 상기 분출부재 내측의 돌기부에 결합되며 타측은 상기 하체의 안착부에 안착되는 팽창부재를 포함하는 레버; 상기 안착부를 덮는 덮개의 일측에는 상기 결합 홈에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내로 수량이 유입되는 개폐 홈으로 구비된다.
따라서, 절수 조절이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상 편리성을 부여함은 물론 제품의 부피를 축소시켜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타제품과의 경쟁력에서도 신장시키게 된다.

Description

좌변기용 볼 탭{Ball tap for seat toilet stool}
본 고안은 좌변기용 볼 탭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절수 조절이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상 편리성을 부여함은 물론 제품의 부피를 축소시켜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타제품과의 경쟁력에서도 신장시킬 수 있는 좌변기용 볼 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좌변기용 볼 탭은 좌변기의 수조에 설치되어 외부의 물을 끌어들인 후 좌변기를 향해 배수할 때 사용하는 것이다.
이미 알려진 바와 같이 좌변기용 볼 탭은 입수 측과 배수 측으로 양분되며 입수 측은 주로 절수를 위한 구조로 이미 여러 종류의 것이 다양한 형태로 제안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좌변기용 볼 탭은 절수 측면에서 그 기능이 탁월하지 않았고, 특히 전체적으로 구조가 투박한 것이 구조적인 단점으로 제시되고 있었다.
뿐만 아니라 절수를 하기 위한 수위 조절장치의 구조가 매우 복잡하여 사용상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제안된 것으로, 본 출원인이 선 출원등록중인 실용신안등록번호 2002년 267775호를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의 구조에 있어서는 볼탭의 구조를 변경하여 제품의 부피를 축소시킴으로써 수조 내부의 구조를 단순화시키고 사용상 편리성을 부여한 반면 부품의 구조가 복잡하고 제작이 어려워 제조단가를 상승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즉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와 같이 본 출원인이 선 등록중인 실용신안등록번호 2002년 267775호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부품의 구조를 단순화시키며 제작을 용이하게 하여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는 좌변기용 볼 탭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요부를 보이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서 적용되는 좌변기용 볼 탭의 결합 단면도.
도 3a, 3b는 본 고안의 동작상태를 보인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서 적용되는 유로의 요부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하체 11;보스
12,25;유입구 13,21,72;입수 홀
14,24;가이드 홈 15;유로
16;안착부 17;결합 홈
20;분출부재 22,26;돌기부
23,61;가이드 돌기 27;걸림 홈
28,62;탄성부재 30;디스크 패킹
31,41,43;홈 40;레버
42;팽창부재 50;상체
51;높낮이 조절부재 52,71;결합부
60;지지부 70;덮개부
72;개폐홈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상측은 수조의 내측에 배치되고 하측은 수조의 하측을 향하여 관통되는 유입구가 보스에 의해 형성되며 그 내주면에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며 레버의 팽창부재가 안착되는 안착부에는 덮개가 결합되는 홈이 형성되며 수조로 통하는 유로가 형성된 하체; 상기 하체의 내측에 끼워지며 하측에는 상기 보스로 유입되는 수량을 조절하는 디스크 패킹이 탄성부재 및 돌기에 의해 끼워지며 외측에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고 내측의일측에는 상측으로 유입부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물이 입수되고 레버가 통과하는 입수 홀과 상기 레버가 결합되는 돌기부가 형성된 분출부재; 상기 하체의 상측에 밀폐 결합되며 상측으로 관통된 홀이 형성되되 상기 분출부재의 중심과 상응하는 높낮이 조절부재와 지지부재가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상체; 일측은 상기 하체에 형성된 입수 홀을 통하여 상기 분출부재 내측의 돌기부에 결합되며 타측은 상기 하체의 안착부에 안착되는 팽창부재를 포함하는 레버; 상기 안착부를 덮는 덮개의 일측에는 상기 결합 홈에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내로 수량이 유입되는 입수 홀을 포함하는 좌변기용 볼 탭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팽창부재는 그 가장자리가 상기 안착부의 상측에 형성된 테두리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입구와 상응하는 상기 레버의 일측에는 상기 유입구에 대해 선택적으로 밀착되거나 격리되는 홈부가 더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스크 패킹의 결합 홈에 끼워지는 상기 돌기에는 물이 입수되는 간극을 형성하되 입수되는 물에 함유된 이물질을 걸러주거나 물의 역류를 방지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걸름홈이 높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고안에 따른 좌변기용 볼 탭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고안에 따른 좌변기용 볼 탭의 전체를 보인 결합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a, 3b에는 본 고안에 따른 좌변기용 볼 탭이 작동되는 요부를 보인 확대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유로의 요부를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볼 탭은 하체(10)와 상체(20)로 크게 구분된다.
상기 하체(10)는 도면 표현을 생략한 수조(T)의 내측에 배치되고 하측은 수조(T)의 하측을 향하여 관통되는 유입구(12)와 보스(11)가 형성되며 그 내주 면에 다수의 가이드 홈(14)과 유로(15)가 형성된다.
또 상기 하체(10)의 상측에는 후술하는 상체가 결합되어 구비된다.
상기 하체(10)의 내측에는 다수의 가이드 홈(14)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홈(14)과 대응되게 분출부재(20)의 외측에 형성된 다수의 가이드 돌기(23)에 의해 결합 된다.
상기 분출부재(20)의 일측에는 레버(40)가 통과하고 물이 입수되는 입수 홀(21)과 상기 입수 홀(21)을 통과하여 상기 레버(40)의 홈(41)이 결합되는 상기 돌기부(22)와 디스크 패킹(30)으로 수량이 유입되는 유입구(25)가 상측으로 형성된다.
또, 상기 분출부재(20)의 하측에는 상기 유입구(25)를 통해 입수된 수량에 의해 상기 유입구(25)가 개폐되도록 탄성력을 가지는 상기 디스크 패킹(30)이 탄성부재(28)와 함께 상기 분출부재(20) 하측에 형성된 돌기(26)에 결합된다.
상기 하체(10)의 일측에 형성된 입수 홀(12)과 상기 분출부재(20)내의 입수홀(21)을 통해 상기 돌기부(22)에 결합되는 상기 레버(40)의 일측에는 덮개(50)의 일측에 형성된 개폐 홈(72)으로 유입된 수압에 의해 하측으로 부풀게 되는 팽창부재(42)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팽창부재(42)가 상기 안착부(16)에 안착된 후 상기 덮개(70)의 결합부(71)와 상기 하체(10)의 상기 안착부(16)에 형성된 결합 홈(17)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상기 하체(10)의 상측에 결합되는 상체(50)에는 높낮이 조절부재(51)가 나사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분출부재(20) 내측의 상기 돌기부(22)에 상기 레버(40)의 상기 홈(41)이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돌기부(22)에 탄성부재(62)가 끼워진 다음 상기 분출부재(20) 내측에 형성된 가이드 홈(24)에 대응되게 외측에 가이드 돌기(61)가 형성된 지지부(60)가 결합된다.
상기 높낮이 조절부재(51)의 상,하 조절에 의해 상기 지지부(60)는 상기 레버(40)와 함께 상기 분출부재(20)의 내측에 형성된 상기 유입구(25)를 통해 상기 디스크 패킹(30)의 내부로 입유되어 상기 디스크 패킹(30)을 팽창시켜 상기 유입구(12)를 개폐하도록 하는 물의 량을 조절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팽창부재(42)는 그 가장자리가 상기 안착부(16)의 상측에 형성된 테두리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입부(25)와 상응하는 상기 레버(40)의 일측에는 상기 유입부(25)에 대해 선택적으로 밀착되거나 격리되는 홈부(43)가 더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스크 패킹(30)의 결합 홈(31)에 끼워지는 상기 돌기(26)에는 물이 입수되는 간극을 형성하되 입수되는 물에 함유된 이물질을 걸러주거나 물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걸름홈(27)이 높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즉, 본 고안에 따른 볼 탭이 결합된 상태는 도 2, 도4와 같은 상태이다.
또 이 상태는 볼 탭의 구성요소인 상, 하체(50)(10)는 수조(T)의 내측에 배치되고 하체(10)의 하방에 형성된 유입구(12)는 수조(T)의 하방 외측으로 관통되어 도면 표현을 생략한 수도관과 연결될 것이다.
상기 보스(11)를 통해 상기 유입구(12)로 분출된 물은 상기 하체(10) 일측에 형성된 유로(15)를 통하여 유입되고, 이와 같이 유로(15)를 통하여 유입된 물은 도 4의 화살표와 같이 배수되며 그와 같이 배수되는 물은 수조(T)의 내측에 저수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동작에 의해 저수되는 물의 양이 점차 많아지게 되면 그 물은 볼 탭의 상체(50)를 점차 침수시키게 되고, 그와 같이 수조(T)에 저수되는 물의 량이 점차 많아지게 되면 저수되는 물은 상기 안착부(16)를 덮고 있는 상기 덮개부(70)의 일측에 형성된 입수 홀(72)을 통하여 입수된다.
그리고 수조(T)의 내측으로 저수되는 물의 양이 많아지게 되면 그 수압은 입수 홀(72)을 통하여 작용될 것이고, 그와 같이 입수 홀(72)을 통하여 작용되는 수압에 의해 상기 레버(40)에 장착된 팽창부재(42)는 도 2와 같이 점차 팽창된다.
상기와 같이 팽창부재(42)가 수압에 의해 점차 팽창되며 하측으로 부풀게 되면 그 팽창부재(42)에 장착된 레버(40)의 타측은 하측으로 팽창되는 팽창부재(42)와 함께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그와 상반된 레버(40)의 일측에 구비된 상기 지지부(60)와 상기 지지부(60)에 결합되어 있는 상기 탄성부재(62)를 상기 높낮이 조절부재(51)가 압축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높낮이 조절부재(51)가 상기 지지부(60)와 상기 탄성부재(62)를 압축하고 있는 상태에서 장착된 레버(40)의 일측이 수압에 의해 상기 팽창부재(42)가 팽창하면 상기 레버(40)의 일측에 형성된 홈(43)이 도 3a와 같이 상기 분출부재(20)에 형성된 상기 유입부(25)를 밀폐하게 된다.
따라서 이때에는 수조(T)의 수압이 도 3b 와 같이 유입부(25)을 통하여 입수 되던 물이 상기 디스크 패킹(30)내측으로 작용하여 상기 디스크 패킹(30)이 하측으로 팽창하게 되고 그에 따라 보스(11)의 상측에 대해 밀착된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디스크 패킹(30)이 상기 보스(11)의 상측으로 밀착되면 상기 하체(10)에 형성된 유로(15)를 통하여 물은 유입되지 못하고 그에 따라 수조의 내측으로 공급되는 물은 공급을 중지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높낮이 조절부재(51)를 도 2의 화살표와 같이 회전시키며 상측으로 위치시켜 느슨하게 하거나 하측으로 위치시키면서 타이트하게 하며 상기 분출부재(20) 내측에 형성된 상기 유입구(25) 내로 유입되어 상기 디스크 패킹(30)을 하측으로 패창시키는 수량을 적절히 조절하며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좌변기용 볼 탭에 의하면, 절수 조절이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상 편리성을 부여함은 물론 제품의 부피를 축소시켜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타제품과의 경쟁력에서도 신장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는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한정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경 사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그와 같은 변경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함이 명백하다.

Claims (4)

  1. 상측은 수조의 내측에 배치되고 하측은 수조의 하측을 향하여 관통되는 유입구가 보스에 의해 형성되며 그 내주면에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며 레버의 팽창부재가 안착되는 안착부에는 덮개가 결합되는 홈이 형성되며 수조로 통하는 유로가 형성된 하체;
    상기 하체의 내측에 끼워지며 하측에는 상기 보스로 유입되는 수량을 조절하는 디스크 패킹이 탄성부재 및 돌기에 의해 끼워지며 외측에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고 내측의 일측에는 상측으로 유입구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물이 입수되고 레버가 통과하는 입수 홀과 상기 레버가 결합되는 돌기부가 형성된 분출부재;
    상기 하체의 상측에 밀폐 결합되며 상측으로 관통된 홀이 형성되되 상기 분출부재의 중심과 상응하는 높낮이 조절부재와 지지부재가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상체;
    일측은 상기 하체에 형성된 입수 홀을 통하여 상기 분출부재 내측의 돌기부에 결합되며 타측은 상기 하체의 안착부에 안착되는 팽창부재를 포함하는 레버;
    상기 안착부를 덮는 덮개의 일측에는 상기 결합 홈에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내로 수량이 유입되는 개폐 홈을 포함하는 좌변기용 볼 탭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부재는 그 가장자리가 상기 안착부의 상측에 형성된 테두리에 장착되는 것을 포함하는 좌변기용 볼 탭.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와 상응하는 상기 레버의 일측에는 상기 유입구에 대해 선택적으로 밀착되거나 격리되는 홈부가 더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볼 탭.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에는 물이 입수되는 간극을 형성하되 입수되는 물에 함유된 이물질을 걸러주거나 물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걸름홈이 높이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볼 탭.
KR2020020019203U 2002-06-25 2002-06-25 좌변기용 볼 탭 KR2002940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9203U KR200294071Y1 (ko) 2002-06-25 2002-06-25 좌변기용 볼 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9203U KR200294071Y1 (ko) 2002-06-25 2002-06-25 좌변기용 볼 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4071Y1 true KR200294071Y1 (ko) 2002-11-04

Family

ID=73077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9203U KR200294071Y1 (ko) 2002-06-25 2002-06-25 좌변기용 볼 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407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21361A (en) Float operated fill valve
US6155288A (en) Fill valve
US7516938B2 (en) Flush valve diaphragm orifice insert and rib design
JPH0712248A (ja) 洗浄弁流量制御用の補充リング
JPH11152780A (ja) 洗浄弁のバイパスおよびフィルタ
JPH10204952A (ja) トイレット水槽用流量調節自在フラッパ弁
CN2937265Y (zh) 便器冲洗水箱装置
JPH0712247A (ja) 洗浄弁フィルタ及びバイパス・オリフィス
KR200294071Y1 (ko) 좌변기용 볼 탭
JP2012522199A (ja) 洋風便器のフィルバルブのリム側給水管物量調節弁
KR200271585Y1 (ko) 양변기용 대소변 구분 절수기
KR200267775Y1 (ko) 좌변기용 볼 탭
KR200246081Y1 (ko) 저수탱크의수위제어장치
KR200316382Y1 (ko) 좌변기용 볼 탭
KR200423762Y1 (ko) 연결관을 구비한 양변기 저수조용 볼탭
KR100276050B1 (ko) 절수식 대변기 세척밸브
AU758581B2 (en) Float valve for filling a flush tank
JP2010509524A (ja) 節水型洋式便器
KR20080095558A (ko) 유량조절카트리지
US20100293706A1 (en) Water refilling device for water saving toilets
KR100517838B1 (ko) 변기밸브의 대, 소변 구분급수장치
KR200343398Y1 (ko) 좌변기용 볼 탭의 역류 방지장치
JP3635390B2 (ja) フロート弁構造
US6834399B1 (en) Pressure vessel
KR20030005446A (ko) 양변기 저수조의 급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2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