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3688Y1 - 선풍기 - Google Patents

선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3688Y1
KR200293688Y1 KR2020020023343U KR20020023343U KR200293688Y1 KR 200293688 Y1 KR200293688 Y1 KR 200293688Y1 KR 2020020023343 U KR2020020023343 U KR 2020020023343U KR 20020023343 U KR20020023343 U KR 20020023343U KR 200293688 Y1 KR200293688 Y1 KR 2002936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xygen
generator
outside
anion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33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재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양신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양신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양신리
Priority to KR20200200233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368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36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3688Y1/ko

Links

Landscapes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선풍기에 관한 것으로, 바람의 강, 약 조절 스위치(11)와 타이머(12)가 형성된 좌대(10)와, 상기 좌대(10) 상단에 회전축(21)을 갖는 모터(22)가 결합되어 있는 모터케이스(20)와, 상기 좌대(10) 내부 일측에는 고전압발생부(32)를 통해 발생되는 음이온을 외부로 방출하는 음이온방출부(33)가 형성된 음이온발생기(30)와, 상기 좌대(10) 내부 타측에는 산소발생기 본체(41)에 결합되어 있는 산소캔에서 배출되는 산소를 외부로 배출하는 산소배출관(42)이 형성된 산소발생기(40)와, 상기 모터(22)의 회전축(21)에 체결되어 회전되면서 바람을 외부로 송풍하는 회전날개(50)와, 상기 회전하는 날개를 보호하는 보호망(60)으로 구성한 것으로, 선풍기에 음이온 발생기와 산소발생기를 일체로 형성하여, 기존의 음이온발생량에 비해 음이온 발생량이 탁월하게 많이 방출되어 음이온의 효과를 최대로 누릴 수 있으며, 고압으로 작동하는 음이온발생부를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완전 밀폐시켜 고전압의 외부 유출을 차단하여 매우 안전하고, 밀폐된 공간으로 충분한 산소를 공급하여 쾌적한 생활을 유지하도록 함에 있다.

Description

선풍기{The Electric fan}
본 고안은 선풍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의 음이온발생량에 비해 음이온 발생량이 탁월하게 많이 방출되어 음이온의 효과를 최대로 누릴 수 있으며, 고압으로 작동하는 음이온발생부를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완전 밀폐시켜 고전압의 외부 유출을 차단하여 매우 안전하고, 밀폐된 공간으로 충분한 산소를 공급하여 쾌적한 생활을 유지하게 하는 선풍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음이온을 발생시키는데 필요한 고전압을 얻는 고전압 발생부와 음이온을 방출하는 전극부로 이루어진 코로나방식을 채택하여 사용하였다.
그러나, 상기 고압이 걸리는 전극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고전압이 외부로 유출되어 안전상에 문제점이 있었으며, 음이온이 바람 및 외부환경에 의해서 급격히 소멸되는 문제가 있었다.
뿐만 아니라 기존의 방식으로는 일반적으로 자연 숲속과 같은 환경에 요구하는 음이온량을 충족시키기가 어려웠다.
또한, 산업화가 더욱 진행됨에 따라 환경파괴로 인한 각종 공해와 오염에의 노출 그리고 무한경쟁 속에서의 끊임없는 스트레스는 피할 수 없는 일상생활의 한 부분이 되었고, 더불어 개개인 건강도 이런 열악한 사회환경에 의해 상당 부분 영향을 받고 있다. 따라서, 현대인들은 단순히 건강을 지킨다고 하는 소극적인 태도로부터 적극적으로 환경을 극복하고 대처하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수질오염의 심각성으로 야기된 '물'에 대한 관심이 생수를 사서 마시는 시대를 열었듯이, 최근 대기오염의 심각성으로부터 '공기'에 대한 관심이 더욱 고조되면서 공기도 사서 마시는 시대가 도래하고 있는 상황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선풍기에 음이온 발생기와 산소발생기를 일체로 형성하여, 기존의 음이온발생량에 비해 음이온 발생량이 탁월하게 많이 방출되어 음이온의 효과를 최대로 누릴 수 있으며, 고압으로 작동하는 음이온발생부를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완전 밀폐시켜 고전압의 외부 유출을 차단하여 매우 안전하고, 밀폐된 공간으로 충분한 산소를 공급하여 쾌적한 생활을 유지하도록 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바람의 강, 약 조절 스위치와 타이머가 형성된 좌대와, 상기 좌대 상단에 회전축을 갖는 모터가 결합되어 있는 모터케이스와, 상기 좌대 내부 일측에는 고전압발생부를 통해 발생되는 음이온을 외부로 방출하는 음이온방출부가 형성된 음이온발생기와, 상기 좌대 내부 타측에는 산소발생기 본체에 결합되어 있는 산소캔에서 배출되는 산소를 외부로 배출하는 산소배출관이 형성된 산소발생기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체결되어 회전되면서 바람을 외부로 송풍하는 회전날개와, 상기 회전하는 날개를 보호하는 보호망으로 구성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음이온발생기의 회로도.
도 3은 도 2의 다른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
도 4는 도 1의 산소발생기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선풍기 10: 좌대
20: 모터케이스 30: 음이온발생기
31: 전원부 32: 고압발생부
33: 음이온방출부 40: 산소발생기
41: 본체 42: 산소배출관
43: 저장공간 44: 밀착버튼
45: 산소분출관
50: 회전날개 60: 보호망
70: 몸체 80: 카본부러쉬
이하에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음이온발생기의 회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다른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산소발생기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이다.
이의 도면중 부호 100은 본 고안의 선풍기를 표시하고 있다.
상기 선풍기(100)는 바람의 강, 약을 조절하는 조절 스위치(11)와 시간을 제어하는 타이머(12)가 구비된 좌대(10)를 구성한다.
상기 좌대(10) 상단에는 회전축(21)을 갖는 모터(22)가 결합되어 있는 모터케이스(20)를 체결한다.
상기 좌대(10) 내부 일측에는 고전압발생부(32)를 통해 발생되는 음이온을 외부로 방출하는 음이온방출부(33)가 형성된 음이온발생기(30)를 형성한다.
상기 음이온발생기(30)는 전원선에 연결하여 선풍기(100)에 전원을 공급하면 바로 음이온발생기(30)가 가동되면서 음이온을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좌대(10) 내부 타측에는 산소발생기 본체(41)에 결합되어 있는 산소캔에서 배출되는 산소를 외부로 배출하는 산소배출관(42)을 갖는 산소발생기(40)를 일체로 형성한다.
또한, 상기 모터(22)의 회전축(21)에는 회전되면서 바람을 외부로 송풍하는 회전날개(50)를 체결하고, 회전날개(50) 외면에 날개를 보호하는 보호망(60)을 결합한다.
상기 음이온발생기(30)는, 첨부 도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전원부(31)와, 상기 직류전압으로 변환된 전류를 받아들려 고전압으로 변화시키고 이 과정에서 음이온을 발생토록 하는 고압발생부(32)와, 상기 고압발생부(32)에서 발생된 음이온을 외부로 방출하는 음이온방출부(33)로 구성된다.
또한, 첨부 도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음이온발생기(30)는, 전원부(31)와 고압발생부(32)를 합성수지로된 몸체(70) 내부에 완전 밀폐시키고, 고압발생부(32)에서 발생된 음이온을 탄소물질인 카본부러쉬(80)를 통하여 외부로 방출시켜 고전압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첨부 도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소발생기(40)는 내부에 산소캔을 저장하는 저장공간(43)을 갖는 본체(41)를 구성한다.
상기 본체(41) 일측에는 저장공간(43)에 삽입되어 있는 산소캔을 상측으로 들어 올려 산소를 공급하는 밀착버튼(44)을 형성하고, 타측에는 배출되는 산소를 산소분출관(45)을 통해 배출하게 된다.
이때, 산소분출관(45)에는 산소배출관(42)이 체결되어 있어 산소배출관(42)을 통해 외부로 산소를 배출한다.
또한, 몸체(41) 양측에는 안내 가이드홈(46)을 형성하여 선풍기(100) 내부에 착탈을 용이하게 하였다.
또한, 상기 몸체(41)의 밀착버튼(44) 상측으로 산소량 유출 조절스위치(47)과 시간 조절 타이머(48)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선풍기(100)에 전원을 인가하면 선풍기(100)의 회전날개(50)가 회전되면서 바람을 외부로 송풍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음이온발생기(30)의 전원부(31)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고압발생부(32)에서 음이온을 발생하게 되고 이를 음이온방출부(33)를 통해 외부로 방출하게 된다.
상기 음이온발생기(30)는 선풍기(100)의 회전날개(50)를 회전시키지 않고 전원을 공급만 하면 음이온을 발생하도록 전원선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음이온방출부(33)에는 카본부러쉬(80)를 형성하여 선풍기(100)의 바람에 의해 음이온이 소멸되지 않고 많은 량을 배출하게 된다.
또한, 상기 좌대(10) 일측에 산소발생기 본체(41)의 밀착버튼(44)을 하측으로 누르면 보관공간(43)에 삽입되어 있던 산소캔을 상측으로 밀려 올려 산소캔의 산소방출구가 본체(41)에 밀착되게 된다.
이때, 산소캔의 산소가 배출되어 산소분출관(45)에 연결되어 있는 산소배출관(42)을 통해 외부로 산소를 공급하게 된다.
상기 산소의 공급시간과 공급량은 산소량 유출 조절스위치(47)과 시간 조절 타이머(48)를 통해 조절하면 된다.
상기 산소발생기는 산소캔을 이용한 독자적 장치로 사용하게 만들으며, 본체와 착탈이 가능하여 분리 후에는 따로 연결호스를 이용한 직접적인 산소 호흡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선풍기에 음이온 발생기와 산소발생기를 일체로 형성였으며, 기존의 음이온발생량에 비해 음이온 발생량이 탁월하게 많이 방출되어 음이온의 효과를 최대로 누릴 수 있으며, 고압으로 작동하는 음이온발생부를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완전 밀폐시켜 고전압의 외부 유출을 차단하여 매우 안전하고, 밀폐된 공간으로 충분한 산소를 공급하여 쾌적하고 안락한 생활을 유지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바람의 강,약 조절 스위치(11)와 타이머(12)가 형성된 좌대(10)와,
    상기 좌대(10) 상단에 회전축(21)을 갖는 모터(22)가 결합되어 있는 모터케이스(20)와,
    상기 좌대(10) 내부 일측에는 고전압발생부(32)를 통해 발생되는 음이온을 외부로 방출하는 음이온방출부(33)가 형성된 음이온발생기(30)와,
    상기 좌대(10) 내부 타측에는 산소발생기 본체(41)에 결합되어 있는 산소캔에서 배출되는 산소를 외부로 배출하는 산소배출관(42)이 형성된 산소발생기(40)와,
    상기 모터(22)의 회전축(21)에 체결되어 회전되면서 바람을 외부로 송풍하는 회전날개(50)와,
    상기 회전하는 날개를 보호하는 보호망(6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발생기(30)는, 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전원부(31)와,
    상기 직류전압으로 변환된 전류를 받아들려 고전압으로 변화시키고 이 과정에서 음이온을 발생토록 하는 고압발생부(32)와,
    상기 고압발생부(32)에서 발생된 음이온을 외부로 방출하는 음이온방출부(33)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31)와 고압발생부(32)를 합성수지로된 몸체(70) 내부에 완전 밀폐시키고, 고압발생부(32)에서 발생된 음이온을 탄소물질인 카본부러쉬(80)를 통하여 외부로 방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KR2020020023343U 2002-08-05 2002-08-05 선풍기 KR2002936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3343U KR200293688Y1 (ko) 2002-08-05 2002-08-05 선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3343U KR200293688Y1 (ko) 2002-08-05 2002-08-05 선풍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3688Y1 true KR200293688Y1 (ko) 2002-11-01

Family

ID=73127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3343U KR200293688Y1 (ko) 2002-08-05 2002-08-05 선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368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02435A1 (ko) * 2014-01-02 2015-07-09 송재하 냉풍기능을 구비한 선풍기
CN110960719A (zh) * 2020-01-02 2020-04-07 东莞市全智能源科技有限公司 旋转式净化装置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02435A1 (ko) * 2014-01-02 2015-07-09 송재하 냉풍기능을 구비한 선풍기
KR101614099B1 (ko) * 2014-01-02 2016-04-21 송재하 냉풍기능을 구비한 선풍기
CN105874210A (zh) * 2014-01-02 2016-08-17 宋在夏 具备冷风功能的电风扇
US20160327066A1 (en) * 2014-01-02 2016-11-10 Jae Ha SONG Fan having cold air function
US10094396B2 (en) * 2014-01-02 2018-10-09 Jae Ha SONG Fan having cold air function
CN105874210B (zh) * 2014-01-02 2018-12-25 宋在夏 具备冷风功能的电风扇
CN110960719A (zh) * 2020-01-02 2020-04-07 东莞市全智能源科技有限公司 旋转式净化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7151B1 (ko) 파워리스 이온 에어건
KR101862089B1 (ko) 휴대용 산소마스크
HK1087752A1 (en) Miniature hydro-power generation system
CA2076408A1 (en) Equipment for respiratory protection against pollutants
KR101347635B1 (ko) 피부미용개선장치
KR200293688Y1 (ko) 선풍기
CN109173118A (zh) 一种充电柜消防装置
AU2003226834A1 (en) Separator for secondary electrical accumulators with gas recombination
KR200469698Y1 (ko) 피부미용개선장치
KR20200030229A (ko) 자동형 수분 분사식 휴대용 손선풍기
KR200292614Y1 (ko) 히터
CN206239031U (zh) 一种喷雾富氢杯
CN111840839A (zh) 正压式电动送风呼吸防护系统、维护整理箱及维护方法
CN209361706U (zh) 一种充电柜消防装置
CA2214801A1 (en) Lamp with safety features
US5018520A (en) Aeration or breathing apparatus
CN206828097U (zh) 臭氧发生器模块更换结构
CN206331570U (zh) 多功能烟雾发生器
BR0005094A (pt) Montagem ventilável de cobertura e lavagem de cabeçote de impressão a jato de tinta
WO2005008727A3 (en) Transient protection and current control of devices
CN106215435A (zh) 一种带提醒功能的舞台泡泡机
CN206792833U (zh) 防毒面具微型送风过滤一体装置
CN207661896U (zh) 负离子空气压缩罐
JPH0460251U (ko)
KR200473670Y1 (ko) 용접가스 흡입방지를 위한 용접헬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