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0909Y1 - 이중 기능을 갖는 이어 마이크 잭 - Google Patents

이중 기능을 갖는 이어 마이크 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0909Y1
KR200290909Y1 KR2020020019694U KR20020019694U KR200290909Y1 KR 200290909 Y1 KR200290909 Y1 KR 200290909Y1 KR 2020020019694 U KR2020020019694 U KR 2020020019694U KR 20020019694 U KR20020019694 U KR 20020019694U KR 200290909 Y1 KR200290909 Y1 KR 2002909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harging
unit
microphone
stat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96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묵
류무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20200200196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09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09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0909Y1/ko

Links

Landscapes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이중 기능을 갖는 이어 마이크 잭은, 충전 전압 입력으로 사용하던 디씨 잭(DC Jack)으로서 이어 마이크 잭을 활용함으로써, 기구적인 단점을 줄일 수 있는 이중 기능을 갖는 이어 마이크 잭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외부 마이크와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마이크부; 외부 이어폰 및 DC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다중 연결부; 상기 마이크부 및 상기 다중 연결부에서 신호를 입력받고, 이를 통하여 외부 장치 장착 여부를 인식할 수 있는 제1 상태 신호를 생성하는 연결 제어 수단; 상기 다중 연결부에서 DC 전압을 인가받아 충전 동작을 수행하고, DC 인가 시 제2 상태 신호를 생성하는 충전 수단; 및 상기 연결 제어 수단으로부터 제1 상태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1 상태 신호가 제1 논리 단계인 경우 이어-마이크 제어를 수행하고, 상기 충전 수단으로부터 제2 상태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2 상태 신호가 제2 논리 단계인 경우 충전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이중 기능을 갖는 이어 마이크 잭{EAR MICROPHONE JACK HAVING DUAL FUNCTION}
본 고안은 이중 기능을 갖는 이어 마이크 잭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부 충전 회로를 사용함으로써 이어 마이크 기능 및 내부 충전 기능이 요구되는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되는 이중 기능을 갖는 이어 마이크 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데스크탑(Desk Top) 충전기의 휴대성 및 관리에 대한 불편함으로 인해서, 충전 회로를 단말기 내에 내장하는 형태로 바뀌어가고 있다. 충전 방식도 이에 따라서 충전 전압의 입력으로 DC 어댑터를 사용하고, 단말기에는 DC 잭을 이용하여 입력을 받아들이도록 설계된다. 또한, 단말기들은 사용자 편의를 위해 이어 마이크 기능을 갖추고 있으며, 별도의 잭으로 마이크 신호와 이어 신호를 전달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이어 마이크 잭 회로를 나타낸 예시도로서, 이러한 종래의 이어 마이크 잭 회로는, 외부 마이크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마이크부(110)와, 외부 이어폰과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이어폰부(120)와, 5개의 단자를 구비하고, 마이크부(110) 및 이어폰부(120)에서 출력한 신호를 인식하며, 이에 따라 연결 관계를 정하는 연결 제어부(130)와, 한 단자는 연결 제어부(130)의 5번 단자와 연결되고, 다른 한 단자는 접지된 제1 저항(R1)과, 한 단자는 연결 제어부(130)의 3번 단자와 연결되고, 다른 한 단자는 VCC에 연결된 제2 저항(R2)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도 2는 종래의 충전 회로를 나타낸 예시도로서, DC 전압을 인가하는 DC부(210)와, 8개의 단자를 구비하고, 1번 단자 및 2번 단자를 통하여 DC부(210)의 DC 전압을 인가받아 충전 동작을 수행하며, 6번 단자를 통하여 DC 인가시 충전 상태 인식 신호를 출력하는 충전부(220)와, 한 단자는 충전부(220)의 3번 단자와 연결되고, 다른 한 단자는 접지된 제3 저항(R3)과, 한 단자는 충전부(220)의 4번 단자와 연결되고, 다른 한 단자는 접지된 제4 저항(R4)과, 한 단자는 충전부(220)의 6번 단자와 연결되고, 다른 한 단자는 접지된 제5 저항(R5)을 포함한다.
상술한 종래의 장치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연결 제어부(130)는 마이크부(110) 및 이어폰부(120) 내에 마이크 및 이어폰이 삽입되어 있지 않은 기본 상태에서 2번 단자와 4번 단자, 3번 단자와 5번 단자가 각각 내부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즉, 3번 단자와 5번 단자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제어 신호 출력 단자(EAR_JACK_SEN/)를 통하여 제2 논리 단계(High)의 신호가 출력되어, 외부 제어기(도시되지 않음)는 이어-마이크의 미삽입을 인식할 수 있다. 한편, 마이크 및 이어폰이 삽입된 경우에는, 이러한 내부적인 연결이 분리되어, 4번 단자는 이어폰 부(120)의 입력을 받게 되고, 3번 단자는 마이크 부(110)의 입력을 받게 된다. 이 때, 3번 단자로 연결된 마이크 선에는 VCC가 제2 저항(R2)을 통하여 바이어스로 연결된다. 즉, 이어-마이크가 삽입되면, 3번 단자와 5번 단자가 분리되어 3번 단자는 오픈(Open) 상태가 되므로, 풀-다운(Pull-Down) 저항에 의해 제어 신호 출력 단자(EAR_JACK_SEN/)를 통하여 제1 논리 단계(Low)의 신호가 출력되며, 외부 제어기(도시되지 않음)는 이어-마이크의 삽입을 인식하게 되어, 마이크 신호 및 이어폰 신호가 연결 제어부(130)를 통하여 전달된다.
또한, 충전 과정에 있어서는, DC부(210)가 충전 전압을 인가하지 않고 있는경우에, 충전부(220)의 6번 단자는 제1 논리 단계의 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DC부(210)가 충전 전압을 인가하는 경우에, 충전부(220)의 6번 단자는 제2 논리 단계의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에 의해, 외부 제어기(도시되지 않음)는 충전 상태를 인식하게 된다.
상술한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충전 잭과 이어폰 잭이 따로 구비되어 있으므로, 실장면적이 클 뿐 아니라 기구적으로 외부 홀(Hole)이 증가함에 따라 기구적 단점이나 디자인의 복잡성, 비용 추가에 대한 문제점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고안은 충전 전압 입력으로 사용하던 디씨 잭(DC Jack)으로서 이어 마이크 잭을 활용함으로써, 기구적인 단점을 줄일 수 있는 이중 기능을 갖는 이어 마이크 잭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이어 마이크 잭 회로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종래의 충전 회로를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중 기능을 갖는 이어 마이크 잭을 나타낸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10 : 마이크부
320 : 다중 연결부
330 : 연결 제어 수단
340 : 충전 수단
350 : 제어 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이중 기능을 갖는 이어 마이크 잭은, 외부 마이크와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마이크부; 외부 이어폰 및 DC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다중 연결부; 상기 마이크부 및 상기 다중 연결부에서 신호를 입력받고, 이를 통하여 외부 장치 장착 여부를 인식할 수 있는 제1 상태 신호를 생성하는 연결 제어 수단; 상기 다중 연결부에서 DC 전압을 인가받아 충전 동작을 수행하고, DC 인가 시 제2 상태 신호를 생성하는 충전 수단; 및 상기 연결 제어 수단으로부터 제1 상태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1 상태 신호가 제1 논리 단계인 경우 이어-마이크 제어를 수행하고, 상기 충전 수단으로부터 제2 상태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2 상태 신호가 제2 논리 단계인 경우 충전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중 기능을 갖는 이어 마이크 잭을 나타낸 예시도로서, 이러한 본 고안의 이중 기능을 갖는 이어 마이크 잭은, 마이크부(310), 다중 연결부(320), 연결 제어 수단(330), 충전 수단(340) 및 제어 수단(250)을 포함하고 있다.
마이크부(310)는, 외부 마이크와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데, 마이크 신호를 후술하는 연결 제어 수단(330)으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마이크부(310)는, 제1 커패시터(C1) 및 제2 커패시터(C2)를 포함한다.
상기 마이크부(310) 내에 장착된 제1 커패시터(C1)는, 한 단자는 후술하는 연결 제어 수단(330)에 연결되고, 다른 단자는 마이크의 양의 단자에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커패시터(C1)는, 바람직하게는 1㎌이다.
또한, 상기 마이크부(310) 내에 장착된 제2 커패시터(C2)는, 한 단자는 접지되고, 다른 단자는 마이크의 음의 단자에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커패시터(C2)는, 바람직하게는 1㎌이다.
또한, 다중 연결부(320)는, 외부 이어폰 및 DC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데, 이어폰 연결 신호를 후술하는 연결 제어 수단(330)으로 출력하고, DC 입력 신호를 후술하는 충전 수단(340)으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다중 연결부(320)는, 제3 커패시터(C3), 제4 커패시터(C4) 및 제5 커패시터(C5)를 포함한다.
상기 다중 연결부(320) 내에 장착된 제3 커패시터(C3)는, 한 단자는 후술하는 연결 제어 수단(330)에 연결되고, 다른 단자는 이어폰의 양의 단자에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3 커패시터(C3)는, 바람직하게는 1㎌이다.
또한, 상기 다중 연결부(320) 내에 장착된 제4 커패시터(C4)는, 한 단자는 접지되고, 다른 단자는 이어폰의 음의 단자에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4 커패시터(C4)는, 바람직하게는 1㎌이다.
한편, 상기 다중 연결부(320) 내에 장착된 제5 커패시터(C5)는, 한 단자는 후술하는 연결 제어 수단(330)에 연결된 상기 제3 커패시터(C3)의 한 단자에 연결되고, 다른 단자는 접지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5 커패시터(C5)는, 바람직하게는 1㎌이다.
또한, 연결 제어 수단(330)은, 상기 마이크부(310) 및 상기 다중 연결부(320)에서 신호를 입력받고, 이를 통하여 외부 장치 장착 여부를 인식할 수 있는 제1 상태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제1 상태 신호를 후술하는 제어 수단(350)으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 제어 수단(330)은, 연결제어부(331). 제1 저항(R1) 및 제2 저항(R2)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 제어 수단(330) 내에 장착된 연결 제어부(331)는, 서로 간의 연결이 제어되는 5개의 단자를 구비하는데, 1번 단자 및 2번 단자는 접지되고, 3번 단자를 통하여 상기 마이크부(310)의 신호를 인식하는 동시에 바이어스 입력을 받으며, 4번 단자를 통하여 상기 다중 연결부(320)에서 출력한 신호를 인식하고, 5번 단자를 통하여 상기 제1 상태 신호를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연결 제어 수단(330) 내에 장착된 제1 저항(R1)은, 한 단자는 상기 연결 제어부(331)의 5번 단자와 연결되고, 다른 한 단자는 접지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저항(R1)은, 바람직하게는 27㏀이다.
한편, 상기 연결 제어 수단(330) 내에 장착된 제2 저항(R2)은, 한 단자는 상기 연결 제어부(331)의 3번 단자와 연결되고, 다른 한 단자는 VCC에 연결되어 바이어스 입력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제2 저항(R2)은, 바람직하게는 2.2㏀이다.
또한, 충전 수단(340)은, 상기 다중 연결부(320)에서 DC 전압을 인가받아 충전 동작을 수행하고, DC 인가 시 제2 상태 신호를 생성하여 후술하는 제어 수단(350)으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충전 수단(340)은, 충전부(341), 제3 저항(R3), 제4 저항(R4) 및 제5 저항(R5)을 포함한다.
상기 충전 수단(340) 내에 장착된 충전부(341)는, 8개의 단자를 구비하고, 1번 단자 및 2번 단자를 통하여 상기 다중 연결부(320)로부터 DC 전압을 인가받아 충전 동작을 수행하며, 5번 단자는 접지되고, 6번 단자를 통하여 DC 인가시 충전상태 인식 신호를 출력하며, 7번 단자 및 8번 단자를 통하여 VRATT 입력을 받는다.
또한, 상기 충전 수단(340) 내에 장착된 제3 저항(R3)은, 한 단자는 상기 충전부(341)의 3번 단자와 연결되고, 다른 한 단자는 접지된다. 여기서, 상기 제3 저항(R3)은, 바람직하게는 3㏀이다.
한편, 상기 충전 수단(340) 내에 장착된 제4 저항(R4)은, 한 단자는 상기 충전부(341)의 4번 단자와 연결되고, 다른 한 단자는 접지된다. 여기서, 상기 제4 저항(R4)은, 바람직하게는 3㏀이다.
또한, 상기 충전 수단(340) 내에 장착된 제5 저항(R5)은, 한 단자는 충전부(220)의 6번 단자와 연결되고, 다른 한 단자는 접지된다. 여기서, 상기 제5 저항(R5)은, 바람직하게는 27㏀이다.
한편, 제어 수단(350)은, 상기 연결 제어 수단(330)으로부터 제1 상태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1 상태 신호가 제1 논리 단계인 경우 이어-마이크 모드로 인식하고, 상기 충전 수단으로부터 제2 상태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2 상태 신호가 제2 논리 단계인 경우 충전 모드로 인식하는 역할을 한다.
상술한 본 고안의 이중 기능을 갖는 이어 마이크 잭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충전을 위하여 DC 잭이 다중 연결부(320)에 삽입될 경우, 이어-마이크 삽입 시와 동일하게 연결 제어부(331)의 2번 단자와 4번 단자, 3번 단자와 5번 단자는 단절되고, 3번 단자는 마이크부(310)에 연결되며, 4번 단자는 다중 연결부(320)에연결된다. 이 때, DC 전압이 다중 연결부(320)를 통하여 인가되며, 이는 충전 수단(340)의 충전 전압이 된다. 이 경우에, 충전부(341)의 6번 단자를 통하여 제2 논리 단계인 제2 상태 신호가 출력되고, 제어 수단(350)은 충전 모드임을 인식하게 된다. 제1 상태 신호 및 제2 상태 신호에 따른 제어 수단(350)의 인식 내용은 아래 표 1과 같다.
제1 상태 신호 제2 상태 신호 구분
0 0 이어-마이크 모드
0 1 충전 모드
1 0 미사용
0 0 미사용
이와 같이 제어 수단(350)은 두 신호의 상태를 통하여 모드를 인식하고, 그에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여기서, 충전 전압 인가시 제3 커패시터(C3)에 의해 DC 차단 동작이 수행되므로, 다른 회로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고안은, 2개의 잭을 이용하여 구현된 이어-마이크 기능 및 내부 충전 기능을 하나의 잭을 사용하여 구현함으로써, 기구적으로 2개의 홀을 1개로 줄이고, 디자인이 간단하며,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가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5)

  1. 외부 마이크와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마이크부;
    외부 이어폰 및 DC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다중 연결부;
    상기 마이크부 및 상기 다중 연결부에서 신호를 입력받고, 이를 통하여 외부 장치 장착 여부를 인식할 수 있는 제1 상태 신호를 생성하는 연결 제어 수단;
    상기 다중 연결부에서 DC 전압을 인가받아 충전 동작을 수행하고, DC 인가 시 제2 상태 신호를 생성하는 충전 수단; 및
    상기 연결 제어 수단으로부터 제1 상태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1 상태 신호가 제1 논리 단계인 경우 이어-마이크 제어를 수행하고, 상기 충전 수단으로부터 제2 상태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2 상태 신호가 제2 논리 단계인 경우 충전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기능을 갖는 이어 마이크 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부는,
    한 단자는 상기 연결 제어 수단에 연결되고, 다른 단자는 마이크의 양의 단자에 연결된 제1 커패시터; 및
    한 단자는 접지되고, 다른 단자는 마이크의 음의 단자에 연결된 제2 커패시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기능을 갖는 이어 마이크 잭.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연결부는,
    한 단자는 상기 연결 제어 수단에 연결되고, 다른 단자는 이어폰의 양의 단자에 연결된 제3 커패시터;
    한 단자는 접지되고, 다른 단자는 이어폰의 음의 단자에 연결된 제4 커패시터; 및
    한 단자는 상기 연결 제어 수단에 연결된 상기 제3 커패시터의 한 단자에 연결되고, 다른 단자는 접지된 제5 커패시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기능을 갖는 이어 마이크 잭.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제어 수단은,
    서로 간의 연결이 제어되는 5개의 단자를 구비하는데, 1번 단자 및 2번 단자는 접지되고, 3번 단자를 통하여 상기 마이크부의 신호를 인식하는 동시에 바이어스 입력을 받으며, 4번 단자를 통하여 상기 다중 연결부에서 출력한 신호를 인식하고, 5번 단자를 통하여 상기 제1 상태 신호를 출력하는 연결 제어부;
    한 단자는 상기 연결 제어부의 5번 단자와 연결되고, 다른 한 단자는 접지된 제1 저항; 및
    한 단자는 상기 연결 제어부의 3번 단자와 연결되고, 다른 한 단자는 VCC에 연결되어 바이어스 입력을 공급하는 제2 저항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기능을 갖는 이어 마이크 잭.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수단은,
    8개의 단자를 구비하고, 1번 단자 및 2번 단자를 통하여 상기 다중 연결부로부터 DC 전압을 인가받아 충전 동작을 수행하며, 5번 단자는 접지되고, 6번 단자를 통하여 DC 인가시 충전 상태 인식 신호를 출력하며, 7번 단자 및 8번 단자를 통하여 VRATT 입력을 받는 충전부;
    한 단자는 상기 충전부의 3번 단자와 연결되고, 다른 한 단자는 접지된 제3 저항;
    한 단자는 상기 충전부의 4번 단자와 연결되고, 다른 한 단자는 접지된 제4 저항; 및
    한 단자는 상기 충전부의 6번 단자와 연결되고, 다른 한 단자는 접지된 제5 저항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기능을 갖는 이어 마이크 잭.
KR2020020019694U 2002-06-29 2002-06-29 이중 기능을 갖는 이어 마이크 잭 KR2002909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9694U KR200290909Y1 (ko) 2002-06-29 2002-06-29 이중 기능을 갖는 이어 마이크 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9694U KR200290909Y1 (ko) 2002-06-29 2002-06-29 이중 기능을 갖는 이어 마이크 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0909Y1 true KR200290909Y1 (ko) 2002-10-04

Family

ID=73077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9694U KR200290909Y1 (ko) 2002-06-29 2002-06-29 이중 기능을 갖는 이어 마이크 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090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02167A (en) Hands-free device for use with a cellular telephone in a car to permit hands-free operation of the cellular telephone
CN203167074U (zh) 配置有复用接口的移动终端
WO2021135687A1 (zh) 电子设备与兼具快充与音频传输功能的配件
CN105740193B (zh) 一种usb接口电路、终端设备、信号接口和外接设备
CN108093329B (zh) 基于共用接口的外设类型检测电路及移动终端
US10021477B2 (en) Backward compatible system and method for using 4P audio jack to provide power and signal to headset with active noise cancellation
CN101102119A (zh) 一种电器设备的充电检测电路及充电检测方法
CN102073470A (zh) 一种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
CN212034122U (zh) 兼容usb2.0通信和type-c模拟耳机的电路
CN105611460A (zh) 一种耳机电路及智能移动终端
JP2016503210A (ja) 受信端を検出する方法、検出回路、光モジュール及びシステム
KR200290909Y1 (ko) 이중 기능을 갖는 이어 마이크 잭
CN210157357U (zh) 复用串口功能的耳机接口模块及移动终端
CN208156660U (zh) 双usb接口的切换电路及智能切换装置
KR20060095386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다기능 인터페이스 장치
CN206004880U (zh) 耳机
CN211480954U (zh) 一种type C切换host和device模式的切换电路
CN209462558U (zh) 一种断电复位装置及耳机、音箱
CN105554617A (zh) 一种耳机系统
CN111399424A (zh) 智能终端、智能底座设备以及智能控制系统
CN218734880U (zh) 一种兼容单端和平衡输出的耳机切换电路
KR100438434B1 (ko) 제어부와 종속부를 가지는 전자기기에서의 전원 및 신호제어 장치
CN214627346U (zh) 一种采用3.5mm接头控制的用于双模切换的电路
CN113821466B (zh) Type-C接口通用电路及使用该电路的驱动板
CN213342642U (zh) 串口控制开关、串口电路以及蓝牙耳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