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0807Y1 - 실내 장식용 패널 부착장치 - Google Patents

실내 장식용 패널 부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0807Y1
KR200290807Y1 KR2020020019808U KR20020019808U KR200290807Y1 KR 200290807 Y1 KR200290807 Y1 KR 200290807Y1 KR 2020020019808 U KR2020020019808 U KR 2020020019808U KR 20020019808 U KR20020019808 U KR 20020019808U KR 200290807 Y1 KR200290807 Y1 KR 2002908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wall
hanger
decorative panel
interior deco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98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광노
Original Assignee
윤광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광노 filed Critical 윤광노
Priority to KR20200200198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080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08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0807Y1/ko

Links

Landscapes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실내 장식용 패널 부착장치는 각종 무뉘가 전면에 입혀진 장식용 패널(10)과, 상기 장식용 패널(10)의 배면에 종방향으로 순차되게 이격되어 고정되는 패널걸이구(110)와, 상기 패널걸이구(110)와 대응되도록 벽체(20)에 고정되는 간격조절구(130)와, 상기 간격조절구(130)의 전면에 부착되어 패널걸이구(110)와 상호 끼움 결합되는 벽체걸이구(120)로 구성하여 실내장식에 칸막이 공사를 할 때 장식용 패널(10)을 간단하게 벽체(20)에 견고히 걸어두는 방식으로 시공함으로써, 장식용 패널(10)의 시공성을 향상시키고 공사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되며, 더불어 벽체(20)에 장식용 패널(10)을 완전한 일직선상으로 고정시킬 수 있어 미려한 실내장식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한번 시공한 장식용 패널(10)은 다시 재활용하거나 교체를 쉽게 할 수 있어 공사비용의 절약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실내 장식용 패널 부착장치{sticking device of a panel for interior}
본 고안은 실내 장식용 패널 부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 장식용으로 사용되는 무뉘가 입혀진 장식용 패널을 벽체에 보다 쉽고 간편하게 걸어두는 방식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실내장식의 장식용 패널의 시공성을 향상시키면서 동시에 벽체에 설치되는 장식용 패널이 상호 완전한 평면을 이룰 수 있도록 하여 실내장식을 미려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실내 장식용 패널 부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장식은 건물 내부를 그 용도에 알맞게 미학적(美學的)으로 구성하는 것으로서, 생활의 실제와 밀착된 기능적이고도 조화를 이루는 공간구성이어야 한다는 합리적인 생각이 대두됨으로써 장식이라는 측면보다는 오히려 설계로서의 기술이 요구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실내장식은 실내의 바닥, 벽, 천장 등 건축물 내장의 표면 마무리공정에서부터 다루게 되는 분야로서, 그 실내의 사용목적에 준하여 실내장식을 위한 소재의 선택과 배치의 기준 및 연출방법을 파악하여 장식의 목적을 뚜렷이 밝혀놓는 일이 중요하다.
이중 일반 사무실 등에 적용되는 실내장식은 업무의 능률향상 및 쾌적한 사무환경 조성의 목적을 위해 커뮤니케이션, 융통성, 쾌적성 등의 개념을 고려하여야한다.
이를 기준으로 사무실내에서의 공간차단 및 독립적인 공간을 연출하도록 이용되는 칸막이는 통상 장방형체의 목재로 전면에 무뉘가 입혀져 있는 장식용 패널(10)을 벽체(20)에 고정시켜 실내 장식을 하게 된다.
이를 시공하는 방법으로는 장식용 패널(10)을 천장과 바닥에서 소정의 길이로 이격되게 벽체(20)에 위치시킨 다음 다수개의 나사못 등을 사용하여 장식용 패널(10)을 벽체(20)에 고정시키는 방법으로 벽체(20)에 다수의 장식용 패널(10)을 서로 연접되게 설치하게 된다.
다음으로 벽체(20)에 고정된 장식용패널(10)의 천장과 바닥측의 이격된 간격에 마감부재를 이용하여 칸막이 마감공사를 실시하면서 동시에 장식용패널(10)의 전면에 도배, 페인트, 무뉘목, 필름마감 등을 붙여 장식용패널(10) 전면에 육안으로도 확인되는 나사못 등의 고정수단이 보이지 않도록 하는 공정을 통하여 최종 칸막이 공사가 마무리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장식용패널(10)을 벽체에 못 등을 이용하여 고정시키는 방법을 사용함으로서 장식용패널(10)을 조립 및 해체 작업시 일일이 고정수단인 못 등을 제거 시켜야 함으로서 장식용패널(10)의 설치 및 해체에 대한 시공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칸막이의 용도를 변경시에도 장식용패널(10)이 고정수단에 의해 흠집이 발생됨으로서 장식용패널(10)의 재활용률이 높지 않아 공사비용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주 목적은 장식용 패널과 벽체에 대응되도록 패널걸이구와 벽체걸이구를 각각 고정시킨 다음 상호 끼움 결합으로 걸어 간단하게 고정시킴으로서 장식용 패널의 시공성을 향상시켜 실내장식의 공사비용 및 공사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실내 장식용 패널 부착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전면이 평탄하지 않은 벽체에 장식용 패널이 완전한일직선상이 될 수 있도록 조절하는 간격조절구를 고정시켜 보다 미려한 실내장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내 장식용 패널을 벽체에 부착하는 상태를 나타낸 결합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내 장식용 패널 부착장치를 나타낸 요부 분해 사시도.
도 3는 본 고안의 실내 장식용 패널을 벽체에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은 본 고안의 실내 장식용 패널을 벽체에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장식용 패널 20 : 벽체
100 : 패널 부착장치 110 : 패널 걸이구
111 : 플레이트 112 : 돌출턱
113 : 결합홈 114 : 고정수단
120 : 벽체걸이구 121 : 플레이트
122 : 돌출턱 123 : 결합홈
130 : 간격조절구 131 : 지지대
132 : 결합공 133 : 숫나사
134 : 안착블럭 135 : 나사공
140 : 마감부재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실내 장식용 패널 부착장치는 각종 무뉘가 전면에 입혀진 장식용 패널과, 상기 장식용 패널의 배면에 종방향으로 순차되게 이격되어 고정되는 패널걸이구와, 상기 패널걸이구와 대응되도록 벽체에 고정되는 간격조절구와, 상기 간격조절구의 전면에 부착되어 패널 걸이구와 상호 끼움 결합되는 벽체걸이구로 구성으로 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내 장식용 패널을 부착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내 장식용 패널 부착장치를 나타낸 요부 분해 사시도이며,도 3은 본 고안의 실내 장식용 패널을 벽체에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실내 장식용 패널을 벽체에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내 장식용 패널 부착장치는 각종 무뉘가 전면에 입혀진 장식용 패널(10)과, 상기 장식용 패널(10)의 배면에 종방향으로 순차되게 이격되어 고정되는 패널걸이구(110)와, 상기 패널걸이구(110)와 대응되도록 벽체(20)에 고정되는 간격조절구(130)와, 상기 간격조절구(130)의 전면에 부착되어 패널걸이구(110)와 상호 끼움 결합되는 벽체걸이구(120)로 구성한다.
상기, 패널걸이구(110) 및 벽체걸이구(120)는 동일한 형상으로 장방형체의 플레이트(111,121) 전면에 상향으로 만곡되도록 돌출시킨 돌출턱(112,122)을 일체로 형성시키면서 그 내측에 결합홈(113,123)을 형성시켜 구성한다.
이러한, 패널걸이구(110)와 벽체걸이구(120)는 상호 대칭되면서 상,하 방향이 반대로 되도록 장식용 패널(10)과 간격조절구(130)에 각각 고정시켜 상호 돌출턱(112,122)이 결합홈(113,123)에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패널걸이구(110)와 벽체걸이구(120) 각각의 돌출턱(112,122)은 그 형상이 자유선상으로 만곡되어 상호 결합홈(113,123)에 결합시 돌출턱(112,122)의 끝단이 결합홈(113,123)의 내측까지 완전하게 끼워지면 동시에 결합홈(113,123)이 탄력적으로 벌어져 각각의 돌출턱(112,122)을 더욱 결속력 있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간격조절구(130)는 양측에 결합공(132)을 형성시킨 지지대(131)의 중심부에 숫나사(133)를 돌출시켜 중심부에 나사공(135)를 관통시킨 플랜지 형상의 안착블럭(134)을 체결시켜 완성되며 이러한 간격조절구(130)는 벽체(20)에 수평선상이 되도록 하면서 등간격으로 이격시켜 지지대(131)의 결합공(132)을 통하여 고정수단(114)으로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된 실내 장식용 패널 설치방법은 다음과 같다.
벽체(20)의 표면에 복수개의 간격조절구(130)를 수평선상이 되도록 부착하는 단계와, 상기 간격조절구(130)의 고정이 완료되면 다수개의 간격조절구(130)의 안착블록(134) 전면이 일직선상으로 지지대(131)에 안착블럭(134)을 결합하여 안착블럭(134)의 전단이 일직선상으로 형성되도록 조절하는 단계와, 상기 안착블럭(134)의 전면이 일직선상으로 배치가 완료되면 간격조절구(130)의 안착블럭(134)에 벽체걸이구(120)를 고정시키는 단계와, 상기 안착블럭(134)에 벽체걸이구(120)의 고정이 완료되면 장식용 패널(10)의 배면에 패널걸이구(110)를 벽체걸이구(120)와 상호 대칭되면서 상,하측이 반대 방향이 되도록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장식용 패널(10)에 패널걸이구(110)의 고정이 완료되면 장식용 패널(10)에 고정된 패널걸이구(110)를 벽체(20)의 벽체걸이구(120)에 걸어 장식용 패널(10)을 순차적으로 연접되게 설치하면서 장식용 패널(10)의 전면 및 수직높이를 맞춤 조절 단계와, 상기 다수개의 장식용 패널(10)을 벽체(20)에 설치가 완료되면 마감부재(140)를 장식용 패널(10)의 상하에 마감부재(140)를 설치하는 단계로 최종 칸막이 공사를 마무리한다.
상기와 같은 단계로 이루어지는 실내 장식용 패널설치 방법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간격조절구(130)는 칸막이 공사의 기초를 이루고 있는 벽체(20)는 전면이 통상적으로 평판하거나 고르지 않기 때문에 벽체(20)에 고정되는 다수개의 장식용 패널(10)의 전면이 일직선상을 이룰 수 있도록 벽체(20)의 표면에 복수개의 간격조절구(130)를 수평선상이 되도록 부착한 다음 간격조절구(130) 지지대(131)의 숫나사(133)에 체결시킨 안착블럭(134)의 체결깊이를 조절하여 각각의 간격조절구(130)의 안착블럭(134) 전면이 완전한 일직선상이 되도록 한다.
이때, 전면이 고르지 않은 벽체(20)에 따라 숫나사(133)에 체결되는 깊이가 서로 다른 안착블럭(134)의 나사공(135) 외부으로 숫나사(133)가 돌출되면 이를 잘라내어 안착블럭(134)의 전면이 벽체걸이구(120)의 배면에 완전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각각의 간격조절구(130)의 안착블럭(134) 전면이 상기와 같이 수평선상을 이루도록 하는 작업이 완료되면 다수개의 간격조절구(130) 안착블럭(134) 전면에 벽체걸이구(120)의 돌출턱(122)이 상향으로 향하도록 한 다음 벽체걸이구(120)의 배면을 안착블럭(134)의 전면에 횡방향으로 밀착시켜 고정수단(114)으로 벽체걸이구(120)의 전면측을 통하여 안착블럭(134) 숫나사(133)의 중심측 내부로 고정시킨다.
다음으로 안착블럭(134)에 벽체걸이구(120)의 고정이 완료되면 장식용 패널(10)의 배면에 벽체걸이구(120)와 동일한 간격으로 패널걸이구(110)의 돌출턱(112)이 하방으로 향하도록 한 다음 패널걸이구(110)의 전면측을 통하여 장식용 패널(10)의 배면에 고정수단(114)을 이용하여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이, 장식용 패널(10)에 패널걸이구(110)의 고정이 완료되면 벽체(20)에 고정된 벽체걸이구(120)의 결합홈(123)에 패널걸이구(110)의 돌출턱(112)을 걸어 끼움 결합한다. 이때, 끼움 결합되는 패널걸이구(110)와 벽체걸이구(120) 각각의 결합홈(113,123)에 결합되는 돌출턱(112,122)은 상호 자유선상으로 절곡된 부분이 상호 완전 밀착되면서 돌출턱(112,122)의 끝단이 결합홈(113,123)의 끝측까지 완전하게 끼워지게 된다. 이때 결합홈(113,123)은 돌출턱(112,122)의 끝단에 의해 탄력적으로 벌어져 패널걸이구(110)와 벽체걸이구(120)가 더욱 결속력 있게 억지 끼움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다수개의 장식용 패널(10)을 상호 연접되게 벽체(20)에 걸면서 장식용 패널(10)의 전면과 상하단이 일직선상을 이룰 수 있도록 하며 다수개의 장식용 패널(10)을 벽체(20)에 설치하고 나면 다시 한번 각각의 장식용 패널(10)의 전면과 상,하단이 완전한 일직선상을 이루었는지 확인하고 다시 조절되어야 될 부분의 장식용 패널(10)은 따로 떼내어 배면과 벽체(20)의 전면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패널걸이구(110)와 벽체걸이구(120) 및 간격조절구(130)의 셋팅위치를 조절하여 장식용 패널(10)이 보다 정밀하게 셋팅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장식용 패널(10)의 셋팅 조정작업이 완료되면 벽체(20)에 걸려 있는 장식용 패널(10)의 천장과 바닥의 간격 사이에 마감부재(140)를 연접되도록 덧대어 칸막이공사의 마감처리를 한다.
마지막으로 마감부재(140)의 설치가 완료되면 실내 분위기에 따라 장식용 패널(10)의 전면에 도배, 페인트, 무뉘목 및 필름마감 중 하나를 선택하여 다시 한번 입혀 실내장식을 더욱 더 미려하게 하는 단계로 최종 칸막이 공사를 마무리한다.
이와 같이 실내장식에 칸막이 공사를 할 때 장식용 패널(10)을 벽체(20)에 간단하면서도 견고히 걸어두는 방식으로 시공함으로써, 장식용 패널(10)의 시공성을 향상시키고 공사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되며, 더불어 벽체(20)에 장식용 패널(10)을 완전한 일직선상으로 고정시킬 수 있어 미려한 실내장식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내 장식용 패널 부착장치는 각종 무뉘가 전면에 입혀진 장식용 패널(10)과, 상기 장식용 패널(10)의 배면에 종방향으로 순차되게 이격되어 고정되는 패널걸이구(110)와, 상기 패널걸이구(110)와 대응되도록 벽체(20)에 고정되는 간격조절구(130)와, 상기 간격조절구(130)의 전면에 부착되어 패널걸이구(110)와 상호 끼움 결합되는 벽체걸이구(120)로 구성하여 실내장식에 칸막이 공사를 할 때 장식용 패널(10)을 간단하게 벽체(20)에 견고히 걸어두는 방식으로 시공함으로써, 장식용 패널(10)의 시공성을 향상시키고 공사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되며, 더불어 벽체(20)에 장식용 패널(10)을 완전한 일직선상으로 고정시킬 수 있어 미려한 실내장식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한번 시공한 장식용 패널(10)은 다시 재활용하거나 교체를 쉽게 할 수있어 공사비용의 절약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3)

  1. 장식용 패널(10)과,
    상기 장식용 패널(10)의 배면에 종방향으로 고정되는 패널걸이구(110)와,
    상기 패널걸이구(110)와 대응되도록 벽체(20)에 고정되는 간격조절구(130)와,
    상기 간격조절구(130)의 전면에 부착되어 패널걸이구(110)와 상호 끼움 결합되는 벽체걸이구(1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장식용 패널 부착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걸이구(110) 및 벽체걸이구(120)는 동일한 형상으로 띠형상의 플레이트(111,121) 전면에 상향으로 만곡되도록 돌출시킨 돌출턱(112,122)을 일체로 형성시키면서 그 내측에 결합홈(113,123)을 형성시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장식용 패널 부착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구(130)는 양측에 결합공(132)을 형성시킨 지지대(131)의 중심부에 숫나사(133)를 돌출시켜 중심부에 나사공(135)를 관통시킨 플랜지 형상의안착블럭(134)을 체결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장식용 패널 부착장치.
KR2020020019808U 2002-07-02 2002-07-02 실내 장식용 패널 부착장치 KR2002908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9808U KR200290807Y1 (ko) 2002-07-02 2002-07-02 실내 장식용 패널 부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9808U KR200290807Y1 (ko) 2002-07-02 2002-07-02 실내 장식용 패널 부착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7953A Division KR100471664B1 (ko) 2002-07-02 2002-07-02 실내 장식용 패널 부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0807Y1 true KR200290807Y1 (ko) 2002-10-07

Family

ID=73125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9808U KR200290807Y1 (ko) 2002-07-02 2002-07-02 실내 장식용 패널 부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080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4908B1 (ko) 2007-07-16 2007-10-09 (주)국광플랜 벽면부착용 소형 간판의 설치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4908B1 (ko) 2007-07-16 2007-10-09 (주)국광플랜 벽면부착용 소형 간판의 설치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0499B1 (ko) 벽체 마감장치
US20170258249A1 (en) Art wall for customized installation of shelves
CN105464280A (zh) 一种拆装式转角吊顶层及其形成方法
KR200410714Y1 (ko) 건물의 외벽재 고정장치
KR20140022946A (ko) 건물용 외장 패널 고정용 고정수단 및 그 고정수단을 이용한 외장 패널 시공 방법
KR100471664B1 (ko) 실내 장식용 패널 부착장치
WO2019059815A1 (ru) Универсальная декоративная подвесная рамочная потолочная и стеновая система
CN207620194U (zh) 软膜天花安装结构
KR200290807Y1 (ko) 실내 장식용 패널 부착장치
KR102113530B1 (ko) 목재판 벽면 시공용 고정클립
CN210976286U (zh) 设备点位处的天花装饰玻璃的拼接固定组件
CN210713464U (zh) 一种天花装饰玻璃的拼接固定构件
CN209891542U (zh) 一种装配式墙体安装组件及墙体
CN210685134U (zh) 一种天花装饰玻璃的封边固定构件
CN209990004U (zh) 一种明暗接合式天花系统
KR200274992Y1 (ko) 벽면 마감부재
KR101797048B1 (ko) 스크린 루버 설치용 브라켓
KR200404719Y1 (ko) 천장에 패널을 장착하는 구조
KR20140108013A (ko) 벽체
CN215888793U (zh) 一种适用于平整楼板的装配式吊顶
CN213682989U (zh) 一种带装饰线的可拆卸嵌入式墙板用龙骨结构
RU205392U1 (ru) Интерьерное мозаичное зеркальное панно (варианты)
KR20040091517A (ko) 픽쳐레일이 장착된 천정용 마감 몰딩
KR200423527Y1 (ko) 천정 마감패널 고정구
KR20100002171U (ko) 욕실용 천장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