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9904Y1 - 공기조절밸브를 갖는 물리원통캡 - Google Patents

공기조절밸브를 갖는 물리원통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9904Y1
KR200289904Y1 KR2020020018226U KR20020018226U KR200289904Y1 KR 200289904 Y1 KR200289904 Y1 KR 200289904Y1 KR 2020020018226 U KR2020020018226 U KR 2020020018226U KR 20020018226 U KR20020018226 U KR 20020018226U KR 200289904 Y1 KR200289904 Y1 KR 2002899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trol valve
physical
cylindrical cap
air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82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호
Original Assignee
박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호 filed Critical 박영호
Priority to KR20200200182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990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99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9904Y1/ko

Links

Landscapes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환부에 진공 밀착하여 사용되는 물리원통캡 상단에 별도의 공기조절밸브를 형성한 후, 물리원통캡 내부의 진공상태가 일정이상이 되면 공기조절밸브가 자동으로 작동되어 물리원통캡 내부가 적정의 진공상태로 유지되게 함으로써, 과진공으로 인한 통증을 해소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공기조절밸브에 수동레버를 장착하여 과진공의 상태 이전에 사용자가 수동레버를 작동하여 물리원통캡내로 공기를 유입시키어 사용자가 진공상태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공기조절밸브를 갖는 물리원통캡에 관한 것으로, 물리원통캡(1)의 상단부에 공기조절밸브(100)가 그의 하단 외주면은 물리원통캡(1)의 상단에 나사결합되고, 상단은 걸림턱(160)으로 구획되어 외부로 노출되며, 내부에는 공기통로(130)가 관통되어, 공기통로(130)내에 체크볼(140)이 스프링(150)에 의하여 탄성력있게 장착되어 물리원통캡(1)의 내부가 일정 이상의 진공상태가 되면, 체크볼(140)이 공기통로(130)를 열어 외부의 공기가 물리원통캡(1)내로 유입되도록 하는 공기조절밸브를 갖는 물리원통캡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절밸브(100)의 공기통로(130)의 스프링(150)이 장착되는 개구부에 공기유통구멍(31)이 형성된 스프링조절너트(30)가 나선조립되어, 상기 스프링(150)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되고, 상기 공기조절밸브(100)의 상단 개구부에 외부에서 상기 체크볼(140)을 작동할 수 있는 수동레버(10)가 장착되어, 체크볼(140)을 밀어 공기통로(130)를 통하여 외부의 공기를 물리원통캡(1)내에 강제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공기조절밸브를 갖는 물리원통캡{A tub cap have the air valve}
본 고안은 공기조절밸브를 갖는 물리원통캡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출원이 기 출원한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2-0014879호에서 수동레버부분을 개선한 것이다. 특히 환부에 진공 밀착하여 사용되는 물리원통캡 상단에 설치되는 공기조절밸브에 수동레버를 장착하여 과진공의 상태 이전에 사용자가 수동레버를 작동하여 물리원통캡내로 공기를 유입시키어 사용자가 진공상태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에 있어서의 수동레버가 레버유지스프링에 의하여 승강가능하게 형성하여 수동레버의 느름 및 원상복귀가 정확하고 또한 신속하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는 공기조절밸브를 갖는 물리원통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물리원통캡은 환자의 환부 즉, 뼈의 연결부위가 삐거나 근육통과 같은 환부에 침을 놓은 후, 이 부위를 진공 밀착시켜 환부의 사혈을 빨아 냄으로써 붓기를 가라 앉히게 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종래 물리원통캡은 도 1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인체와 밀착되는 개구부(4)를 가지는 물리원통캡(1)과, 이 물리원통캡(1)의 상단에 호스(3)로 연결되어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진공상태로 하는 흡배기펌프(2)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물리원통캡(1)을 이용하여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는 이점은 있으나, 물리원통캡 내부의 진공상태를 적정하게 조절하여 주는 별도의공기조절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물리원통캡의 내부가 일정이상의 과진공상태가 되면 신변에 통증이 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본 출원인은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51329호에 개시한 바와 같이 물리원통캡의 상단부에 몸체 일부분이 나사 결합된 상태에서 물리원통캡 내부가 일정 이상의 진공상태가 되면 외부의 공기를 일시 흡입하여 물리원통캡 내부가 적정한 진공상태를 유지케하는 공기조절밸브를 마련하여 이상 진공사태가 되면 자동으로 공기조절밸브가 열리어 외부의 공기를 물리원통캡내로 유입시키어 적정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제안한 바 있다.
위와 같이 공기조절밸브이 자동으로 작동하여 물리원통캡내의 압을 적정압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나, 상기 물리원통캡의 사용자의 신체 및 건강정도에 따라서 진공압의 강,약의 늦기는 정도가 서로 달라, 공기조절밸브가 작동하기 이전에 사용중에 통증을 느껴을 때 물리원통캡내로 약간의 공기를 흡입시킨 후, 잠시 멈춰다가 다시 사용할 수 있으면 하는 요청이 요구되었다.
또한, 본 출원인이 앞서 제시한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2-0014879호에서는 수동레버를 이용하여 체크볼의 누르는 작동이 스프링을 눌러서 공기가 유동되도록 하고 있으나, 오래 사용하다 보면 스프링의 탄성력이 약하여 제대로 작동하지 못할 수 있다는 설계상의 문제가 제기 될 수 있다고 하여 보완이 요구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물리원통캡 상단에 별도의 공기조절밸브를 형성하고, 또한 이 공기조절밸브에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는수동레버를 장착함으로써, 물리원통캡 내부의 진공상태가 일정이상이 되면 공기조절밸브가 자동으로 작동되어 물리원통캡 내부의 진공상태가 적정의 진공상태로 복귀되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이상압 이하에서도 수동레버를 작동시키어 공기조절밸브를 통하여 외부의 공기가 물리원통캡내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조건 및 컨디션에 따라서 진공압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수동레버를 작동시킬 수 있는 레버유지스프링을 장착하여 수동레버가 신속하고 또한 정확하게 작동할 수 있는 공기조절밸브를 갖는 물리원통캡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은 물리원통캡의 상단부에 공기조절밸브가 그의 하단 외주면은 물리원통캡의 상단에 나사결합되고, 상단은 걸림턱으로 구획되어 외부로 노출되며, 내부에는 공기통로가 관통되어, 공기통로내에 체크볼이 스프링에 의하여 탄성력있게 장착되어 물리원통캡의 내부가 일정 이상의 진공상태가 되면, 체크볼이 공기통로를 열어 외부의 공기가 물리원통캡내로 유입되도록 하는 공기조절밸브를 갖는 물리원통캡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절밸브의 공기통로의 스프링이 장착되는 개구부에 공기유통구멍이 형성된 스프링조절너트가 나선조립되어,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되고, 상기 공기조절밸브의 상단 개구부에 외부에서 상기 체크볼을 작동할 수 있는 수동레버가 장착되어, 체크볼을 밀어 공기통로를 통하여 외부의 공기를 물리원통캡내에 강제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됨을 기본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공기조절밸브의 상단에는 수동레버의 제어턱이 제어되어 작동되고, 외부의 공기를 유통시킬 수 있는 공기유통공을 가지는 고정캡이 체결결합되어 있다.
도 1 은 종래 물리원통캡에 흡배기펌프를 연결한 상태의 사시도,
도 2 는 본 출원인이 기 안출한 자동공기조절밸브가 물리원통캡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 은 도 2 의 확대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수동레버가 장착된 공기조절밸브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수동레버를 작동한 상태의 공기조절밸브의 요부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물리원통캡 10 : 수동레버
11 : 제어턱 20 : 고정캡
21 : 공기유통공 30 : 스프링조절너트
31 : 공기유통구멍 100 : 공기조절밸브
110 : 암나사 120 : 수나사
130 : 공기통로 140 : 체크볼
150 : 스프링 160 : 걸림턱
200 : 레버유지스프링 300 : 스프링수용부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물리원통캡(1)에 흡배기펌프(2)가 호스(3)로 연결되어 흡배기밸브(2)의 펀핑 작동에 의하여 물리원통캡(1)내에 공기를 흡입시키어 사용자의 인체에 개구부(4)를 긴밀하게 밀착시키어 공기의 유입을 차단함으로써, 물리원통캡(1)내를 진공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기본적인 작용은 종래와 같다.
특히, 본 출원이 앞서 제안한 기술내용에서는 도 2 및 도 3 에 나타낸 바와같이 개구부(4)를 가지는 통형상의 물리원통캡(1)의 상단부에 공기조절밸브(100)가 형성되어, 물리원통캡(1)의 개구부(4)를 신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흡배기펌프(2)작동시키면, 물리원통캡(1)의 내부가 점차 진공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또한 일정 이상의 진공상태가 되면, 상기 공기조절밸브(100)가 자동으로 작동하여 외부의 공기를 물리원통캡(1)내로 공급시키어 적정한 진공상태로 복귀하도록 한다.
상기한 공기조절밸브(100)의 하단 외주면은 도 3 과 같이 물리원통캡(1)의 상단에 형성된 암나사(110)와 나사 결합되는 수나사(120)가 형성되고, 이 수나사(120)의 상단에는 공기조절밸브(100)가 물리원통캡(1)에 나사 결합될시 더이상 나사 결합되는 것을 저지하는 걸림턱(160)이 형성된다.
그리고 공기조절밸브(100) 내부에는 수직으로 공기통로(130)가 형성되고 있는데 그 중 하부의 공기통로는 상부의 공기통로에 비하여 넓게 형성되어,체크볼(140)이 스프링(150)에 의하여 공기통로(130)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장착되어서, 물리원통캡(1)의 내부가 흡배기펌프(2)의 작동에 의하여 일정 이상의 진공상태(설정이하 압력)가 되면 체크볼(140)이 스프링(150)을 밀면서 하강하여 공기통로(130)를 개방시키어 물리원통캡(1)내로의 공기의 유입을 허락하게 된다.
여기서, 물리원통캡(1) 내부가 일정 이상의 진공상태가 되면 즉, 설정이하 압력이 되면 체크볼(140)이 공기통로(130)를 일시 개방하고, 물리원통캡 내부가 적정한 진공상태로 복귀된다. 이때 체크볼(140)을 원상복귀시키기 위해서는 스프링(150)의 장력이 중요하다.
따라서 스프링(150)의 장력은 물리원통캡(1) 내부의 진공상태가 일정이상의 과진공상태가 되면 체크볼(140)에 의하여 밀리게 되고, 적정한 진공상태가 유지되면 원상복귀될 수 있는 적정한 장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스프링(150)에 적정한 장력을 부여하기 위해 동원되는 기술수단은 통상 사용되는 기술내용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물리원통캡(1)의 상단에 암나사(110)를 형성하고, 체크볼(140), 스프링(150), 수나사(120), 공기통로(130) 및 걸림턱(160)을 갖는 공기조절밸브(100)를 각각 마련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암나사(110)와 수나사(120)를 이용하여 공기조절밸브(100)를 물리원통캡(1)에 나사 결합하면 되고, 나사 결합시 공기조절밸브(100)는 걸림턱(160)에 의해 더이상 나사 결합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공기조절밸브(100)는 외부의 간섭이나 외부 여건에 의해 풀리거나 유동되지 않게 된다.
물리원통캡(1)을 사용할 시에는 통상적인 사용방법과 같이 물리원통캡의 하단 개구부(4)를 인체의 피부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흡배기펌프(2)를 이용하여 물리원통캡(1) 내부의 공기를 흡인하여 제거하게 되면 이 흡인력에 의해 인체의 치료 및 단련이 이루어진다.
이때 물리원통캡(1) 내부의 진공상태가 적정상태이면 공기조절밸브(100)는 작동하지 않으나, 적정 진공상태에서 흡배기펌프의 흡인작동에 의해 적정 이상의 과진공상태가 되면 즉, 설정압력 이하가 되면 체크볼(140)이 스프링(150)을 아래쪽으로 압축하면서 공기통로(130)를 일시 개방하게 된다.
그러면, 외부의 공기는 공기통로(130)를 따라 물리원통캡(1) 내부에 소량 흡인되어 물리원통캡 내부의 진공상태를 적정하게 복원시키게 되고, 진공상태가 적정하게 유지되면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자동으로 체크볼(140)이 상승하여 공기통로(130)를 차단하게 된다. 따라서 물리원통캡 내부의 진공상태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인체 치료 및 단련시 과진공에 의한 통증이 오지 않게 된다.
특히, 본 고안은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공기조절밸브(100)의 공기통로(130)의 스프링(150)이 장착되는 개구부에 공기유통구멍(31)이 형성된 스프링조절너트(30)가 나선조립되어, 상기 스프링(150)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되고, 상기 공기조절밸브(100)의 상단 개구부에 외부에서 상기 체크볼(140)을 작동할 수 있는 수동레버(10)가 장착되어, 체크볼(140)을 밀어 공기통로(130)를 통하여 외부의 공기를 물리원통캡(1)내에 강제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공기조절밸브(100)의 상단에는, 수동레버(10)의 제어턱(11)이 제어되어 작동되고, 외부의 공기를 유통시킬 수 있는 공기유통공(21)을 가지는 고정캡(20)이 체결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동레버(10)의 제어턱(11)이 수용되는 스프링수용부(300)에 레버유지스프링(200)이 장착되어 상기 수동레버(10)가 상기 체크볼(140)에 누름 및 원상복귀력이 탄성력있게 작동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공기조절밸브(100)를 작동하여 물리원통캡(1)내에 공기를 배출하여 진공상태를 유지하면서 물리원통캡(1) 내부의 진공상태가 일정이상이 되면, 공기조절밸브(100)가 자동으로 작동되어 물리원통캡(1) 내부의 진공상태가 적정의 진공상태로 복귀되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이상압 이하에서도 수동레버(10)를 아래로 밀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동레버(10)는 레버유지스프링(200)의 탄성력에 의하여 하강하게 되고, 또한 이어서 체크볼(140)이 스프링(150)을 밀고 내려가서 공기통로(130)을 개방하여 공기조절밸브(100)를 통하여 외부의 공기가 물리원통캡(1)내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 조건 및 컨디션에 따라서 진공압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물리원통캡 상단에 별도의 공기조절밸브를 형성하고, 또한 이 공기조절밸브에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는 수동레버를 장착함으로써, 물리원통캡 내부의 진공상태가 일정이상이 되면 공기조절밸브가 자동으로 작동되어 물리원통캡 내부의 진공상태가 적정의 진공상태로 복귀되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이상압 이하에서도 수동레버를 작동시키어 공기조절밸브를 통하여 외부의 공기가물리원통캡내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 조건 및 컨디션에 따라서 진공압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Claims (1)

  1. 물리원통캡(1)의 상단부에 공기조절밸브(100)가 그의 하단 외주면은 물리원통캡(1)의 상단에 나사결합되고, 상단은 걸림턱(160)으로 구획되어 외부로 노출되며, 내부에는 공기통로(130)가 관통되어, 공기통로(130)내에 체크볼(140)이 스프링(150)에 의하여 탄성력있게 장착되어 물리원통캡(1)의 내부가 일정 이상의 진공상태가 되면, 체크볼(140)이 공기통로(130)를 열어 외부의 공기가 물리원통캡(1)내로 유입되도록 하는 공기조절밸브에 있어 상기 공기조절밸브(100)의 공기통로(130)의 스프링(150)이 장착되는 개구부에 공기유통구멍(31)이 형성된 스프링조절너트(30)가 나선조립되어, 상기 스프링(150)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되고, 상기 공기조절밸브(100)의 상단 개구부에 외부에서 상기 체크볼(140)을 작동할 수 있는 수동레버(10)가 장착되어, 체크볼(140)을 밀어 공기통로(130)를 통하여 외부의 공기를 물리원통캡(1)내에 강제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함에 있어서,
    상기 수동레버(10)의 제어턱(11)이 수용되는 스프링수용부(300)에 레버유지스프링(200)이 장착되어 상기 수동레버(10)가 상기 체크볼(140)에 누름 및 원상복귀력이 탄성력있게 작동되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절밸브를 갖는 물리원통캡.
KR2020020018226U 2002-06-15 2002-06-15 공기조절밸브를 갖는 물리원통캡 KR2002899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8226U KR200289904Y1 (ko) 2002-06-15 2002-06-15 공기조절밸브를 갖는 물리원통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8226U KR200289904Y1 (ko) 2002-06-15 2002-06-15 공기조절밸브를 갖는 물리원통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9904Y1 true KR200289904Y1 (ko) 2002-09-19

Family

ID=73076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8226U KR200289904Y1 (ko) 2002-06-15 2002-06-15 공기조절밸브를 갖는 물리원통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990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6721B1 (ko) 2008-06-19 2011-04-08 (주)대아실리테크 부항컵
KR101268313B1 (ko) * 2011-07-08 2013-05-28 주식회사 솔고 바이오메디칼 수직으로 이동되는 조사부를 갖는 레이저 부항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6721B1 (ko) 2008-06-19 2011-04-08 (주)대아실리테크 부항컵
KR101268313B1 (ko) * 2011-07-08 2013-05-28 주식회사 솔고 바이오메디칼 수직으로 이동되는 조사부를 갖는 레이저 부항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56868A3 (en) Breathing assistance apparatus
US7628158B2 (en) Cupping moxa utensil as herb medical auxiliary
KR970001820B1 (ko) 음경(陰莖)발기장치
SE8306106D0 (sv) Urinuppsamlingsdon
JPS62298352A (ja) 勃起を刺激する外科用器具
KR200289904Y1 (ko) 공기조절밸브를 갖는 물리원통캡
KR101165349B1 (ko) 높이조절형 베개
KR200286042Y1 (ko) 공기조절밸브를 갖는 물리원통캡
KR20070106349A (ko) 경혈침이 내장된 부항기
KR200299812Y1 (ko) 공기조절밸브를 갖는 물리원통캡
KR200251329Y1 (ko) 공기조절밸브를 갖는 물리원통캡
CN108992183A (zh) 用于颈部置管的托架
CN213666758U (zh) 穴位埋植治疗装置
CN212662761U (zh) 一种金银花浸泡装置
KR200362560Y1 (ko) 부항기
CN211485906U (zh) 一种新型排瘀治疗装置
KR200417539Y1 (ko) 부항기
KR200426370Y1 (ko) 음경발기보조기구의 안전밸브
KR880004439Y1 (ko) 착유기(搾乳器)
CN209122573U (zh) 髋关节术后康复辅助装置
TWI662957B (zh) 經絡舒活裝置
CN219662431U (zh) 一种负压可调节的吸痰管负压控制阀
KR200279559Y1 (ko) 저주파 치료효과를 갖는 부항기
CN219230622U (zh) 一种空气波理疗仪装置
CN209679225U (zh) 一种急诊科可调式吸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8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