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9438Y1 - 마그네트를 이용한 힌지 - Google Patents

마그네트를 이용한 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9438Y1
KR200289438Y1 KR2020020017932U KR20020017932U KR200289438Y1 KR 200289438 Y1 KR200289438 Y1 KR 200289438Y1 KR 2020020017932 U KR2020020017932 U KR 2020020017932U KR 20020017932 U KR20020017932 U KR 20020017932U KR 200289438 Y1 KR200289438 Y1 KR 2002894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hinge
poles
arm
cylindr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79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여근
안준범
Original Assignee
(주)대한특수금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한특수금속 filed Critical (주)대한특수금속
Priority to KR20200200179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943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94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9438Y1/ko

Link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마그네트를 이용한 힌지에 관한 것으로서 노트북 또는 전자계산기 등과 같은 각종 전기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힌지는 스프링 등에 의하여 자동으로 일정 위치로 복귀하는 형태와 이러한 복귀수단을 구비하지 않은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 사용의 불편함 또는 구성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어 이를 해결하고자 고안된 것으로 사이드암과 힌지암이 결합함으로 이루어지는 통상의 힌지부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암에는 내측 원주상으로 수 개의 N극과 S극이 형성된 원통 형상의 제 1 마그네트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힌지암에는 상기 제 1 마그네트의 내주면에 상응하는 직경을 가진 외측 원주상으로 수 개의 N극과 S극이 형성된 원통 형상의 제 2 마그네트가 돌출되어 상기 제 1 마그네트에 삽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를 이용한 힌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마그네트를 이용한 힌지{A honge for use of magnet}
본 고안은 마그네트를 이용한 힌지에 관한 것으로서, 노트북 또는 전자계산기 등과 같은 각종 전기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힌지는 스프링 등에 의하여 자동으로 일정 위치로 복귀하는 형태와 이러한 복귀수단을 구비하지 않은 경우가 있는데 이경우 사용의 불편함 또는 구성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어 이를 해결하고자 고안된 마그네트를 이용한 힌지에 관한 것이다.
종래 노트북이나 전자계산기 같은 전자기기와 냉장고나 전자렌지 같은 가정제품 중 힌지를 포함하고 있는 제품은 상당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힌지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를 내부에 장착하여 개폐되도록 한 것이 있으나 그 구성이 복잡하고 더군다나 힌지를 통하여 케이블이 나누어져 작동하도록 하고 있는 경우에는 그 구성과 제작이 복잡해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인이 선 출원한 특허출원 제10-2000-0085038호 '마그네트를 이용한 휴대폰 힌지'에 따르면 스프링과 같은 탄성수단을 구비하지 않고도 마그네트를 이용하여 힌지부가 절첩되는 힌지를 고안하였다.
도 4은 이러한 종래 마그네트를 이용한 휴대폰 힌지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사이드암(11)과 힌지암(12)이 결합하므로 구성된 통상의 휴대폰 힌지부(21)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암(11)과 힌지암(12)의 접촉면에 원통형상의 마그네트(22)를 각각 일체로 형성하되 상기 마그네트(22)의 접촉면에는 수 개의 N극과 S극이 형성되어 힌지부(21)가 닫힌 상태와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 각각 다른 자극이 만나 인력이 작용하도록 하며 중간상태에서는 다른 자극이 만나 척력이 작용하도록 구성되었다.
따라서 상기 힌지부(21)의 내부에 압축코일 스프링을 장착하여 휴대폰을 여닫을 필요 없이 힌지암(12)과 사이드암(11)에 마그네트(22)를 장착하여 자극간에 작용하는 인력과 척력으로 작동하도록 함으로서, 힌지부(21)에서 스피커와 액정케이블 등이 연결되는 폴더형 휴대폰과는 달리 힌지부(3)에 마이크(23)를 장착하는플립형의 힌지암(21)의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기존의 휴대폰과 같이 상기 플립(24)이 지속적으로 닫히거나 열리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지만 처음엔 지나치게 강한 힘이 작용하고 점차 탄성력이 줄어 느슨하게 여닫히던 것에서 상기 고안에서는 지속적이며 부드럽게 작동하도록 하였다.
하지만 상기 고안에서는 회전축과 직각인 두개의 면에서 인력과 척력이 작용함으로 이루어지며 이 경우 직접적인 회전력이 작용하는 것에 비하여 회전력의 손실 우려가 있게 되어 중량에 따른 힌지부의 저항력이 큰 노트북이나 여러 가지 가전제품의 경우 적합하지 않다.
또한 냉장고의 예를 들면 힌지는 별다른 고정장치가 없는 것이 대부분이며 문이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는 문짝과 그 대응하는 면에 장착된 자석으로 밀착되도록 하고 있으나 문짝이 일정위치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마땅한 수단이 없어 물건을 꺼내거나 넣을 때 불편함을 느끼거나 냉장고문이 완전히 닫히지 않은 상태로 방치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곤 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전자기기나 가전제품에서 힌지부의 구조를 간단하게 하고 또한 그 개폐가 용이한 힌지부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힌지에 의한 개폐가 원하는 각도에서 단계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있다.
또 마그네트에 의한 힌지축의 회전력을 최대한으로 이끌어내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사이드암과 힌지암이 결합함으로 이루어지는 통상의 힌지부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암에는 내측 원주상으로 수 개의 N극과 S극이 형성된 원통 형상의 제 1 마그네트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힌지암에는 상기 제 1 마그네트의 내주면에 상응하는 직경을 가진 외측 원주상으로 수 개의 N극과 S극이 형성된 원통 형상의 제 2 마그네트가 돌출 되어 상기 제 1 마그네트에 삽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를 이용한 힌지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1 및 제 2 마그네트의 극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
도 3a ~ 3c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작동관계를 나타낸 개념도
도 4는 종래 마그네트를 이용한 힌지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사이드암 12 : 힌지암
13 : 제 1 마그네트 14 : 제 2 마그네트
21 : 힌지부 22 : 마그네트
23 : 마이크 24 : 플립
이에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해사시도이며 도2는 상기 제1 및 제2 마그네트(13, 14)의 극구성을 일 실시 예를 나타낸 개념도로서, 사이드암(11)과 힌지암(12)이 결합함으로 이루어지는 통상의 힌지부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암(11)에는 내측 원주상으로 수 개의 N극과 S극이 형성된 원통 형상의 제 1 마그네트(13)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힌지암(12)에는 상기 제 1 마그네트(13)의 내주면에 상응하는 직경을 가진 외측 원주상으로 수 개의 N극과 S극이 형성된 원통 형상의 제 2 마그네트(14)가 돌출되어 상기 제 1 마그네트(13)에 삽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를 이용한 힌지를 나타내었다.
또한 상기 도면에서는 노트북의 예를 들어 나타내었으며 이 경우 힌지를 통한 각종 케이블의 연결이 필요하게 되며 원통형상으로된 제 2 마그네트(14)의 중공을 통하여 이를 연결하도록 할 수 있으며 노트북을 제외한 각종 계산기나 가전제품 등에도 상기 힌지를 장착하고 용이하게 케이블의 연결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기존에 노트북은 닫혔을 때와 사용상태의 부분을 제외하고 일정 각도에서 고정하는 수단이 구비되지 않아 힌지부분은 마찰력을 높여 부드럽게 열리지 않도록 하여 만약의 충격에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였으나 본 고안에서는 그 중간에 하나 이상의 고정구간을 두어 단계적으로 개폐되도록 하면 상황에 따라 각도의 조절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힌지부의 움직임도 훨씬 부드럽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힌지부의 용이한 회전을 위하여 상기 제 1 마그네트(13)와 제 2 마그네트(14)의 사이에 윤활제와 같은 것을 첨가하여 용이하게 회전하도록 하거나 일정 간격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도록 하는 구성을 추가하여 그 작동효율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도 3a~3c는 본 고안의 작동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개념도로서, 개폐되는 상태를 단계적으로 나타내었으며 도 3a 및 3c는 각각 힌지에 의하여 닫혔을 때와 열린 상태를 나타내었으며 도 3b는 그 중간단계를 나타내었다.
즉 닫혔을 때와 열렸을 때는 서로 다른 극이 인접하여 그 상태를 유지하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며 그 중간단계에서는 서로 같은 극으로 인하여 반발력으로 위치에 따라 닫히거나 열리는 쪽으로 힘이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종래 마그네트를 이용한 힌지에서 면 사이의 인력 또는 척력에 의하여 회전력을 주는 것보다 제 1 마그네트(13)와 제 2 마그네트(14)의 내주면과 외주면에 작용하는 인력 또는 척력에 의하여 작동하게 되므로 마그네트에의한 회전력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고안에 따른 힌지는 종래 휴대폰 힌지 뿐만 아니라 노트북, 전자계산기와 같은 전자기기와, 냉장고와 전자레인지와 같은 가전제품과, 그 외에 일반 힌지부가 장착된 가구 등 그 적용범위를 넓힐 수 있을 것이다.
또 상기 도면과 같이 6개의 극으로 나누면 인력이 작용하여 고정되는 부분은 3부분이 존재하게 되나 적용 대상에 따라 극의 수를 늘려 고정부의 수를 늘이거나 줄이는 여러 다양한 실시 예의 적용이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가능하게 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전자기기나 가전제품 등에서 힌지부의 구조를 간단하게 하고 또한 그 개폐가 용이한 힌지부를 제공하여 힌지부를 통한 케이블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고 종래 마그네트를 이용한 힌지보다 인력 또는 척력에 따른 회전력이 증가하여 보다 큰 저항을 갖는 힌지부에 적용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힌지에 의한 개폐가 원하는 각도에서 단계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사용자는 상황에 따라 문의 개폐를 일정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어 사용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사이드암(11)과 힌지암(12)이 결합함으로 이루어지는 통상의 힌지부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암(11)에는 내측 원주상으로 수 개의 N극과 S극이 형성된 원통 형상의 제 1 마그네트(13)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힌지암(12)에는 상기 제 1 마그네트(13)의 내주면에 상응하는 직경을 가진 외측 원주상으로 수 개의 N극과 S극이 형성된 원통 형상의 제 2 마그네트(14)가 돌출 되어 상기 제 1 마그네트(13)에 삽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를 이용한 힌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마그네트(13)와 제 2 마그네트(14)는 같은 수의 극을 가지고 있으며 힌지부가 닫힌 상태와 열린 상태에서 서로 다른 자극이 만나 인력이 작용하도록 하며 그 중간 단계에서는 척력이 작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를 이용한 힌지.
KR2020020017932U 2002-06-12 2002-06-12 마그네트를 이용한 힌지 KR2002894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7932U KR200289438Y1 (ko) 2002-06-12 2002-06-12 마그네트를 이용한 힌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7932U KR200289438Y1 (ko) 2002-06-12 2002-06-12 마그네트를 이용한 힌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2935A Division KR20030095643A (ko) 2002-06-12 2002-06-12 마그네트를 이용한 힌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9438Y1 true KR200289438Y1 (ko) 2002-09-16

Family

ID=73076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7932U KR200289438Y1 (ko) 2002-06-12 2002-06-12 마그네트를 이용한 힌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943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65427B2 (en) Electronic device and hinge assembly thereof
US20030179880A1 (en) Magnetic hinge apparatus
CN201267069Y (zh) 一种便携式电子设备
US8861224B2 (en) Magnetic hinge electronic mobile device
JP3160706U (ja) 折畳装置
KR101690794B1 (ko) 접이형 휴대 장치의 스냅 힌지 장치
JP2010518774A (ja) 携帯端末機用ヒンジ式蓋開閉装置
EP0959399A3 (en) Dual function hinge assembly housing with an access door
TWI337229B (e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with dual hinges
KR200289438Y1 (ko) 마그네트를 이용한 힌지
US11372311B2 (en) Variable aperture device, camera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KR200211457Y1 (ko) 플립형 휴대전화기
KR101612962B1 (ko) 접이형 휴대 단말기의 프리 스톱 힌지 장치
KR20030095643A (ko) 마그네트를 이용한 힌지
KR101023495B1 (ko) 폴딩 방식의 휴대 단말기용 힌지장치
CN212927494U (zh) 一种自动开门关门的烹饪电器
CN209467526U (zh) 一种耳机充电盒的旋转机构
JP2002139020A (ja) 小型ヒンジ
WO2003019804A1 (en) A hinge unit of cellular phone
KR20020055810A (ko) 마그네트를 이용한 휴대폰 힌지
CN211173629U (zh) 一种简易闭门装置
US20120099248A1 (en) Hinge assembly for foldable electronic device
CN215734406U (zh) 带转动支架的手机壳
CN207096712U (zh) 一种基于眼动跟踪的智能家居控制器
CN115059682B (zh) 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0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