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8328Y1 - 모니터용 힌지장치 - Google Patents

모니터용 힌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8328Y1
KR200288328Y1 KR2020020016564U KR20020016564U KR200288328Y1 KR 200288328 Y1 KR200288328 Y1 KR 200288328Y1 KR 2020020016564 U KR2020020016564 U KR 2020020016564U KR 20020016564 U KR20020016564 U KR 20020016564U KR 200288328 Y1 KR200288328 Y1 KR 2002883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ss
coupled
support plate
washer
hing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65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근
박창용
Original Assignee
김용근
박창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근, 박창용 filed Critical 김용근
Priority to KR20200200165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832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83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8328Y1/ko

Links

Landscapes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부품수가 절감되고 조립공수가 절감되도록 개선된 모니터용 힌지장치에 대해 개시한다. 이 장치는 일면이 디스플레이부재에 고정되고 단부에 보스(52)가 형성된 지지플레이트(51)를 가지는 회전부재(50)와, 일단이 스탠드에 고정되고 타단에 보스(52)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공(62c)이 형성된 고정레버(62)를 구비한다. 보스(52)는 지지플레이트(51)로부터 코킹(calking)에 의해 형성된다. 보스(52)에 결합된 고정레버(62)의 전후면 측에는 스프링와셔(61)와 마감와셔(64)가 결합된다. 스프링와셔(61)는 고정레버(62)와 지지플레이트(51) 사이에 위치되어 지지플레이트(51)를 탄력적으로 가압하게 되고, 마감와셔(64)는 보스(52)에 최종적으로 결합되어 보스(52)의 자유단부측에 위치된다. 마감와셔(64)가 보스(52)에 결합된 후, 보스(52)의 자유단부를 코킹(calking)하게 되면 마감와셔(64)는 보스(52)와 결합되게 된다. 이와같은 힌지장치는 회전부재의 회전축이 되는 보스가 지지플레이트와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부품수가 절감되고 이에 따라 조립공수가 경감되어 생산성향상에 유리하다.

Description

모니터용 힌지장치{Hinge assembly for monitor}
본 고안은 모니터용 힌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부재를 스탠드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기구의 구조를 개선하여 조립공수를 경감한 모니터용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의 화상표시장치 등에 사용되는 모니터는 일반적으로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탠드(21)와, 화상을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재(22)를 구비하고 있다. 스탠드(21)와 디스플레이부재(22) 사이에는 힌지기구(1)가 설치되며, 그 힌지기구(1)에 의해 디스플레이부재(22)는 스탠드(21)에 대해 소정각도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힌지기구(1)는 디스플레이부재(22)의 회전을 억제하는 저항력을 제공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며, 사용자는 그 사용자의 자세나 모니터의 설치위치등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재(22)를 스탠드(21)에 대해 원하는 각도가 되도록 회전시켜 둘 수 있다.
이러한 힌지장치(1)는, 상기 스탠드(21)에 고정될 지지부재(10)와, 디스플레이 부재(22)에 고정될 회전부재(12)와, 지지부재(10)에 고정된 지지축(11)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지지축(11)은 지지부재(10)와 회전부재(12) 사이의 간격유지를 위한 스페이서부(111)와, 회전부재(12)가 끼워지는 축부(112)와, 지지부재(10)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113)를 구비하고 있다.
지지부재(10)는 지지축(11)의 결합부(113)에끼워진 후, 그 결합부(113)의 선단부를 압착시키는 소위 코킹(calking) 가공에 의해, 지지축(11)으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된 상태로 고정된다. 회전부재(12)의 양측에는 와셔(15,16)가 설치되어 있다. 지지축(11)의 축부(112)에는 또한 접시스프링(13)들과 록킹부재(14)가 결합되어 있다. 록킹부재(14)는 접시스프링(13)들을 소정량만큼 탄성변형시키면서 축부(112)의 자유단부에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접시스프링(13)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록킹부재(14)에의해 탄성변형된 접시스프링(13)들은와셔(16)를 통해 회전부재(12)를 탄력적으로 가압하게 되며, 회전부재(12)의 회전시에 그 회전부재(12)와 지지축(11)의 스페이서부(111) 사이에는 상기 가압력에 의한 마찰토오크가 발생된다. 따라서, 회전부재(12)는 원하는 토오크 즉 마찰토오크를 극복할 수 있는 토오크에 의해서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재(22)의 자중 등 작은 외력에 의해 회전부재(12)가 임의로 회전되어 버리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힌지장치에 있어서는, 지지부재(10)와 회전부재(12)를 상호 회전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지지축(11)이 별도로 요구됨으로써 관리부품수의 증가를 초래하고 이에 따라 조립공수의 증가요인이 되고 있다.
또한, 접시스프링등 구성부품의 이탈을 방지시키는 록킹부재(14)가 별도 요구됨으로써 관리부품수의 증가 및 조립공수의 증가를 초래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부품수가 경감되고 이에 따라 조립공수가 대폭 단축된 모니터용 힌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힌지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 힌지장치가 채용된 모니터를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고안 힌지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힌지장치의 요부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회전부재 51...지지플레이트
52...보스 61...스프링와셔
62...고정레버 63...와셔
64...마감와셔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은 디스플레이부재를 스탠드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지지시키는 모니터용 힌지장치에 있어서,
일면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재에 고정되고 단부에 보스가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지지플레이트를 가지는 회전부재와,
일단이 상기 스탠드에 고정되고 타단에 상기 보스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공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고정레버와,
상기 보스에 결합되고 상기 고정레버와 지지플레이트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지지플레이트를 탄력적으로 가압하는 스프링와셔와,
상기 보스에 상기 고정레버가 결합된 후 상기 보스에 결합되고 상기 보스의 자유단부를 코킹하여 보스와 함께 결합되는 마감와셔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플레이트에는 원호형의 가이드공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레버의 단부에는 상기 가이드공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편이 형성되어서,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각도가 제한되도록 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 마감와셔에는 상기 보스의 코킹가공시 변형되는 보스의 일부분이 진입되는 매입공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단부에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와셔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결합홈에 결합되는 고정편이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본 고안 힌지장치는 회전부재의 회전축이 되는 보스가 지지플레이트와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부품수가 절감되고 이에 따라 조립공수가 경감되어 생산성향상에 유리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 힌지장치가 채용된 모니터를 나타낸 도 2를 참조하면, 이는스탠드(40)와, 화상을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재(30)를 구비한다. 상기 스탠드(40)와 디스플레이부재(30) 사이에는 본 고안 힌지장치가 마련되며, 이 힌지장치에 의해 디스플레이부재(30)는 스탠드(40)에 대해 소정각도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러한 힌지장치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일면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재(30)에 고정되고 단부에 보스(52)가 형성된 지지플레이트(51)를 가지는 회전부재(50)와, 일단이 상기 스탠드(40)에 고정되고 타단에 상기 보스(52)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공(62c)이 형성된 고정레버(62)를 구비한다. 상기 보스(52)는 지지플레이트(51)로부터 코킹(calking)에 의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보스(52)에 결합된 고정레버(62)의 전후면 측에는 스프링와셔(61)와 마감와셔(64)가 결합된다. 상기 스프링와셔(61)는 상기 고정레버(62)와 지지플레이트(51) 사이에 위치되어 지지플레이트(51)를 탄력적으로 가압하게 되고, 상기 마감와셔(64)는 보스(52)에 최종적으로 결합되어 보스(52)의 자유단부측에 위치된다.
상기 마감와셔(64)가 보스(52)에 결합된 후, 상기 보스(52)의 자유단부를 코킹(calking)하게 되면 마감와셔(64)는 보스(52)와 결합되게 된다.
즉,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감와셔(64)에는 복수의 매입공(64a)이 형성되어서, 보스(52)의 자유단부를 코킹할때 변형되는 보스(52)의 일부분이 매입공(64a)에 진입되면서 마감와셔(64)와 보스(52)가 함께 결합되게 된다. 이때 코킹에 의해서 고정레버(62) 및 스프링와셔(61)가 지지플레이트(51)측으로 가압되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플레이트(51)에는 원호형의 가이드공(5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레버(62)의 단부에는 상기 가이드공(54)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편(62b)이 형성되어서, 상기 회전부재(50)의 회전각도가 제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플레이트(51)의 단부에는 결합홈(53)이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와셔(61)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결합홈(53)에 결합되는 고정편(61a)이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이 경우 회전부재(50)가 회전될때 스프링와셔(61)도 함께 회전되며 마감와셔(64)와 고정레버(62) 사이에 결합되는 와셔(63)와 함께 고정레버(62)에 일정한 마찰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플레이트(51) 및 고정레버(62)는 한쌍으로 구비되는 바, 그 구성 및 작용은 동일하므로 한쪽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코킹에 의해 탄성변형된 스프링와셔(61) 및 와셔(63)는 회전부재(50)의 지지플레이트(51)를 탄력적으로 가압하게 되며, 회전부재(50)의 회전시에 스프링와셔(61)와 마감와셔(64) 사이에는 가압력에 의한 마찰토오크가 발생된다. 따라서, 회전부재(50)는 원하는 토오크 즉, 마찰토오크를 극복할 수 있는 토오크에 의해서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재(30)의 자중 등 작은 외력에 의해 회전부재(30)가 임의로 회전되어 버리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재(30)의 회전시 가이드공(54) 및 가이드편(62b)에 의해서 과도한 회전이 방지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본원의 정신과 범위를 이탈함이 없이 많은 변형을 가하여 실시될 수 있음은 두 말 할 것도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 힌지장치는 회전부재의 회전축이 되는 보스가 지지플레이트와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부품수가 절감되고 이에 따라 조립공수가 경감되어 생산성향상에 유리하다.
또한, 종래에서와 같이 접시스프링등 구성부품의 이탈을 방지시키는 록킹부재(14)가 별도 요구되었던 것과는 달리, 보스를 코킹하여서 와셔 및 고정레버들의 이탈을 방지시킴으로써 부품수가 절감되고 조립공수의 경감에 유리하다.

Claims (4)

  1. 디스플레이부재를 스탠드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지지시키는 모니터용 힌지장치에 있어서,
    일면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재에 고정되고 단부에 보스가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지지플레이트를 가지는 회전부재와,
    일단이 상기 스탠드에 고정되고 타단에 상기 보스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공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고정레버와,
    상기 보스에 결합되고 상기 고정레버와 지지플레이트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지지플레이트를 탄력적으로 가압하는 스프링와셔와,
    상기 보스에 상기 고정레버가 결합된 후 상기 보스에 결합되고 상기 보스의자유단부를 코킹하여 보스와 함께 결합되는 마감와셔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용 힌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원호형의 가이드공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레버의 단부에 상기 가이드공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편이 형성되어서,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각도가 제한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용 힌지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와셔에 상기 보스의 코킹가공시 변형되는 보스의 일부분이 진입되는 매입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용 힌지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단부에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와셔의 가장자리에 상기 결합홈에 결합되는 고정편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용 힌지장치.
KR2020020016564U 2002-05-30 2002-05-30 모니터용 힌지장치 KR2002883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6564U KR200288328Y1 (ko) 2002-05-30 2002-05-30 모니터용 힌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6564U KR200288328Y1 (ko) 2002-05-30 2002-05-30 모니터용 힌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8328Y1 true KR200288328Y1 (ko) 2002-09-10

Family

ID=73123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6564U KR200288328Y1 (ko) 2002-05-30 2002-05-30 모니터용 힌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832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68999B2 (en) 2003-08-01 2007-09-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68999B2 (en) 2003-08-01 2007-09-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04233B2 (en) Multi-stage hinge assembly
US5818689A (en) Computer Assembly with cam member for locking components
US6191937B1 (en) Display with gear type hinge
US8456437B2 (en) Touch pad module assembly structure
US6912120B2 (en) Tilting and shielding apparatus of monitor
US6038739A (en) Tilt hinge
US20200393077A1 (en) Quick release assembly and support
US20120145841A1 (en) Flat panel display including a hinge assembly
US20030167600A1 (en) Hinge device
WO2021164444A1 (zh) PCIe卡固定组件及服务器设备
US6442031B1 (en) Retaining structure for industrial console
US20030019822A1 (en) Modularized structure for industrial rack
US20060213030A1 (en) Hinge
KR200288328Y1 (ko) 모니터용 힌지장치
US6058565A (en) Lower hinge engaging structure for refrigerator
KR200288329Y1 (ko) 모니터용 힌지장치
US8276856B2 (en) Support mechanism having two detachable covers and hinge
KR200231316Y1 (ko) 액정 모니터용 스탠드
CN108468483B (zh) 一种具有把手换向结构的门锁
CN113915463A (zh) 快拆组件及支撑架
JP3341066B2 (ja) ビデオモニタの垂直回転支持機構
CN217001349U (zh) 铰链
TWI734627B (zh) 快拆組件及支撐架
CN214945708U (zh) 一种便于开关稳定性高的枢纽器结构
CN220550995U (zh) 铰链结构及柜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82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