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8253Y1 - 영구차용 장식구 - Google Patents

영구차용 장식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8253Y1
KR200288253Y1 KR2020020017555U KR20020017555U KR200288253Y1 KR 200288253 Y1 KR200288253 Y1 KR 200288253Y1 KR 2020020017555 U KR2020020017555 U KR 2020020017555U KR 20020017555 U KR20020017555 U KR 20020017555U KR 200288253 Y1 KR200288253 Y1 KR 2002882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alyx
decorative
vehicle
hear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75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연
Original Assignee
김준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준연 filed Critical 김준연
Priority to KR20200200175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825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82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8253Y1/ko

Links

Landscapes

  • Hooks, Suction Cups, And Attachment By Adhesive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영구차용 장식구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장착되는 영구차 차량의 차체에 부착되며, 얇은 판 형상을 가지며, 두께 방향으로 관통된 관통공을 가지는 꽃장식지지판과, 상기 꽃장식지지판을 상기 영구차 차체에 부착하기 위하여 마련되며, 그 꽃장식지지판의 일면에 결합되는 제1고정흡착판과, 상기 꽃장식지지판의 관통공을 관통하며, 상면에는 내부를 향하여 파여진 수용홈을 가지는 제2고정흡착판 및 상기 제2고정흡착판의 수용홈에 끼워지며, 상기 영구용 차량에 장식되는 장식용 조화가 결합되는 꽃받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영구차를 장식하는 장식구를 영구차에 설치 및 제거하는 시간이 단축되며, 조화를 사용함으로써 계속적인 사용이 가능해지므로 저렴한 가격에 공급이 가능하며, 영구차의 고속주행 시에도 이탈되지 않으며, 선택적인 부분에 대한 교체가 가능하므로 유지관리가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영구차용 장식구{Decoration device for funeral carriage}
본 고안은 꽃장식용 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탈, 부착 및 꽃장식이 가능한 영구차용 장식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이 태어나 살다가 그 숨을 다하는 것이 죽음이고 그 죽음을다루는 의례를 상례(喪禮)라 한다. 이러한 상례 시에 죽은 망자(亡者)를 장지까지 싣고 가는 운반하는 제구(祭具)로서 영여(靈與)와 상여(喪輿)가 사용된다.
오늘날의 장례행렬에서는 근거리의 이동시 영여 대신 죽은 이의 사진을 어깨에 걸고 상여 앞에 서는 것이 일반적이며, 원거리의 이동시의 영여와 상여 대신 죽은 이의 사진이나 혼백을 실은 승용차가 앞장을 서고, 뒤에 주검을 실은 영구차가 따르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오늘날에 사용되는 영어차 및 영구차(이하 "영구차"라 한다)는 승용차나 버스가 주로 쓰이며 꽃상여와 같이 영구차에 꽃장식을 하기도 하는데 일반적인 용도 및 기독교, 천주교 등에서는 국화꽃을, 불교적인 의미로는 연꽃을, 국가적인 의미로는 무궁화꽃 등을 사용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에 사용되는 영구차에 쓰이는 꽃장식은 생화(生花)를 사용하므로 그 제작기간이 오래 걸릴 뿐만 아니라, 영구차에 한번 사용한 꽃장식은 버리게 되는 일회성이므로 낭비가 심하며, 또한 그 가격이 고가이어서 널리 보급될 수 없으며, 영구차의 고속주행 시에는 그 꽃장식이 떨어질 염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영구차 장식구를 영구차에 설치 및 제거하는 시간이 단축되며, 조화를 사용함으로써 계속적인 사용이 가능해지므로 저렴한 가격에 공급이 가능하며, 영구차의 고속주행 시에도 이탈되지 않으며, 선택적인 부분에 대한 교체가 가능하므로유지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영구차용 장식구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영구차용 장식구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장치의 꽃받침과 제2고정흡착판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장치가 영구차에 장착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꽃장식지지판 12. 관통공
20. 제1고정흡착판 30. 제2고정흡착판
32. 수용홈 34. 돌기수용홈
40. 꽃받침 42. 돌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영구차용 장식구는 장착되는 영구차 차량의 차체에 부착되며, 얇은 판 형상을 가지며, 두께 방향으로 관통된 관통공을 가지는 꽃장식지지판과, 상기 꽃장식지지판을 상기 영구차 차체에 부착하기 위하여 마련되며, 그 꽃장식지지판의 일면에 결합되는 제1고정흡착판과, 상기 꽃장식지지판의 관통공을 관통하며, 상면에는 내부를 향하여 파여진 수용홈을 가지는 제2고정흡착판 및 상기 제2고정흡착판의 수용홈에 끼워지며, 상기 영구용 차량에 장식되는 장식용 조화가 결합되는 꽃받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구차용 장식구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영구차용 장식구의 분리사시도를,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장치의 꽃받침과 제2고정흡착판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를, 도 3 및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장치가 영구차에 장착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영구차용 장식구(100)는 꽃장식지지판(10)과, 제1고정흡착판(20)과, 제2고정흡착판(30)과, 꽃받침(4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꽃장식지지판(10)은 장착되는 영구차 차량의 외곽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차체의 외곽을 덮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사각 또는 임의의 형태로 구성될 수있으며, 그 두께는 얇은 판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꽃장식지지판(10)은 복수개가 서로 연속하여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장착되는 영구차의 외곽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영구차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버스나 승용차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꽃장식지지판(10)에는 그 두께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관통된 관통공(12)을 가지고 있다.
한편, 상기 꽃장식지지판(10)은 영구차 외부 전체에 설치되는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영구차 외부전체에 설치되면 영구차 운전자의 시야를 가릴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꽃장식지지판(10)은 영구차 전면부 유리창 및 헤드라이트부위, 양 측면부와 뒷면의 유리창 부위 등에는 부착되지 않는다.
상기 제1고정흡착판(20)은 상기 꽃장식지지판(10)을 상기 영구차(7) 차체에 부착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으로서, 그 꽃장식지지판(10)의 후면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1고정흡착판(20)은 원통형의 연결부(24)와 상기 연결부(24)로부터 연장되며 넓은 원판형상의 흡착부(22)로 구성된다. 상기 흡착부(22)는 일정한 힘을 가하면 변형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그 중앙부위가 오목하게 파여져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24)가 상기 꽃장식지지판(10)의 후면에 결합되어 있다. 즉, 상기 제1고정흡착판(20)을 대상물체의 표면에 대고 그 길이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상기 흡착부(22)의 오목하게 파여진 부위가 변형되어 상기 흡착부(22) 전체가 상기 대상물체에 밀착되고 그 대상물체의 표면과 제1고정흡착판(20) 사이의 공기가 빠져나가 진공상태가 유지되면서 상기 제1고정흡착판(20)은 대상물체의 표면에 견고히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제2고정흡착판(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꽃받침고정판(10)의 관통공(12)을 관통하여 그 관통공(12)에 끼워지며, 전체적으로 원통형 파이프(pipe) 형상을 가지며 그 하단에는 상기 제1고정흡착판(20)과 같은 제2흡착부(36)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그 상면에는 내부를 향하여 길이방향으로 파여진 수용홈(3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용홈(32)에는 상기 제2고정흡착판(30)의 외주방향으로 조금 파여진 돌기수용홈(34)이 마련되어 있다. 이 돌기수용홈(34)에 후술하는 꽃받침(40)의 돌기(42)가 수용된다.
상기 꽃받침(40)은 상기 제2고정흡착판(30)의 수용홈(32)에 그 하단이 끼워지며, 영구차에 장식할 장식용 조화(50)가 그 상단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꽃받침(40)의 하단에는 그 외주방향으로 돌출된 돌기(42)가 마련되며, 상기 돌기(42)가 제2고정흡착판(30)의 돌기수용홈(34)에 수용되어 상기 꽃받침(40)과 제2고정흡착판(30)과의 상호 결합이 더욱 견고히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진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영구차용 장식구(100)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먼저, 꽃장식지지판(10)의 관통공(12)에 영구차량으로 사용되는 버스(7)에 장식될 조화(50)를 끼울 수 있는 제2고정흡착판(30)을 끼운다. 이 상태에서 꽃장식지지판(10)의 후면에 설치된 제1고정흡착판(20)을 영구차량으로 사용되는 버스(7)의 차체에 밀착시킨다. 이러한 제1고정흡착판(20)의 밀착은 도 3의 화살표(A)방향으로 상기 제1고정흡착판(20)을 누르면 상기 제1고정흡착판(20)의 흡착부(22)가 오목하게 가운데 부위가 파여진 상태에서 변형되어 납작하게 평평해지면서 상기 흡착부(22)가 버스(7)의 차체와 밀착하게 된다. 이렇게 흡착부(22)가 버스(7) 차체에 밀착되면서 흡착부(22)와 버스(7) 차체 사이의 공기가 빠져나가면서 흡착부(22)와 버스(7) 차체 사이에는 진공 상태가 되면서 상기 제1고정흡착판(20)이 버스(7) 차체에 견고히 결합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고정흡착판(20)과 결합된 꽃장식지지판(10)이 버스 차체에 견고히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영구차용 버스(7)에 부착된 꽃장식지지판(10)이 임의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어, 버스(7)가 고속으로 주행하더라도 상기 꽃장식지지판(10)이 버스(7)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1고정흡착판(20)을 버스(7)로부터 분리시키면 상기 꽃장식지지판(10)을 버스(7)로부터 탈착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분리는 상기 흡착부(22)의 끝단을 뒤로 제쳐서 당기면 흡착부(22)와 버스(7) 차체 사이에 공기가 유입되게 되므로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제2고정흡착판(30)을 도 3의 화살표(A)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힘을 주어 제2고정흡착판(30)이 버스(7) 차체에 견고히 결합되도록 한다. 이러한 제2고정흡착판(30)의 버스(7) 차체에의 결합도 상술한 제1고정흡착판(20)이 버스(7) 차체에 결합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제2고정흡착판(30)의 제2흡착부(36)가 버스(7) 차체와 밀착되면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상기 꽃받침(40)을 제2고정흡착판(30)의 수용홈(32)에 끼운다.
상기 꽃받침(40)과 제2고정흡착판(30)과의 상호 결합은 상기 꽃받침(40)의 돌기(42)가 상기 수용홈(32)의 돌기수용홈(34)에 수용되면서 더욱 견고히 이루어질수가 있다. 이렇게 하여 상기 꽃받침(40)이 제2고정흡착판(30)으로부터 임의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어 버스(7)가 고속으로 주행하여도 상기 꽃받침(40)이 제2고정흡착판(3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어서, 상기 꽃받침(40)에 영구차를 장식할 조화(50)를 끼운다. 이 때 상기 제2고정흡착판(30)과 꽃받침(40)은 사용자가 꽃장식을 하기를 원하는 위치에 설치하면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꽃받침(40)을 결합시킨 꽃장식지지판(10)을 복수개 배열하여 영구차량으로 사용되는 버스(7)의 외곽 형상과 동일하게 버스(7) 전체를 장식하거나 혹은 원하는 부위만을 장식하면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꽃장식지지판(10)은 사각형상과, 버스(7)의 바퀴부분을 제외시키기 위하여 사각형상의 한 꼭지점을 기준으로 하여 임의의 반지름을 가진 원호를 사각형상에서 제거한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꽃장식지지판(10)은 임의의 형태의 형상을 가질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만약 상기 꽃받침(40)이나 제2고정흡착판(30)이 파손된 경우는 그 파손된 꽃받침(40)이나 제2고정흡착판(30)만을 교환하면 되므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영구차용 장식구(100)의 유지관리가 용이하다. 그리고 꽃받침(40)에 끼워져 수용되는 조화(50)도 다양한 종류의 꽃을 선택하여 끼울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제1고정흡착판(20)을 통하여 꽃장식지지판(10)을 영구차인 버스(7)에 견고히 결합시켰지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물론 아니며,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다양한 고정장치의 변형이 가능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영구차용 장식구에 의하면, 영구차 장식구를 영구차에 설치 및 제거하는 시간이 단축되며, 조화를 사용함으로써 계속적인 사용이 가능해지므로 저렴한 가격에 공급이 가능하며, 영구차의 고속주행 시에도 이탈되지 않으며 선택적인 부분에 대한 교체가 가능하므로 유지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2)

  1. 장착되는 영구차 차량의 차체에 부착되며, 얇은 판 형상을 가지며, 두께 방향으로 관통된 관통공을 가지는 꽃장식지지판;
    상기 꽃장식지지판을 상기 영구차 차체에 부착하기 위하여 마련되며, 그 꽃장식지지판의 일면에 결합되는 제1고정흡착판;
    상기 꽃장식지지판의 관통공을 관통하며, 상면에는 내부를 향하여 파여진 수용홈을 가지는 제2고정흡착판; 및
    상기 제2고정흡착판의 수용홈에 끼워지며, 상기 영구용 차량에 장식되는 장식용 조화가 결합되는 꽃받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차용 장식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꽃받침과 제2고정흡착판과의 상호 결합을 견고히 하기 위하여,
    상기 꽃받침의 하단에는 그 길이방향과 직각인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제2고정흡착판의 내주에는 상기 꽃받침의 돌기가 수용되는 돌기수용홈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차용 장식구.
KR2020020017555U 2002-06-08 2002-06-08 영구차용 장식구 KR2002882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7555U KR200288253Y1 (ko) 2002-06-08 2002-06-08 영구차용 장식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7555U KR200288253Y1 (ko) 2002-06-08 2002-06-08 영구차용 장식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8858A Division KR20030095368A (ko) 2003-08-25 2003-08-25 영구차용 장식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8253Y1 true KR200288253Y1 (ko) 2002-09-09

Family

ID=73124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7555U KR200288253Y1 (ko) 2002-06-08 2002-06-08 영구차용 장식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825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9703B1 (ko) * 2006-11-09 2008-05-14 송충석 장례 선두차용 장식용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9703B1 (ko) * 2006-11-09 2008-05-14 송충석 장례 선두차용 장식용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452203S1 (en) Decorative surface of a tire sidewall
USD494482S1 (en) Surface configuration of a vehicle cockpit display
USD456332S1 (en) Front face for a vehicle wheel
USD446155S1 (en) Santa Claus ornament with sign
USD520923S1 (en) Surface configuration of a parking brake release for a vehicle
USD449576S1 (en) Decorative surface of a tire sidewall
USD532355S1 (en) Vehicle wheel
KR200288253Y1 (ko) 영구차용 장식구
USD389420S (en) Traffic master light wand
USD474440S1 (en) Automotive wheel
KR20030095368A (ko) 영구차용 장식구
USD446748S1 (en) Vase
USD449792S1 (en) Dynamic wind propelled sculpture
USD522585S1 (en) Tire sign holder
USD450622S1 (en) Geometric design for a poster
USD415724S (en) Surface decoration for a tire sidewall
USD420957S (en) Decorative sidewall for a tire
USD526946S1 (en) Vehicle wheel
KR200288252Y1 (ko) 영구차용 장식구
USD476286S1 (en) Wheel ornament
USD447227S1 (en) Automotive bra air freshener for attachment to rear view mirror
USD480343S1 (en) Automotive wheel
USD447105S1 (en) Tire rim with viper design
USD442133S1 (en) Tire rim with dragon
USD423997S (en) Decorative zebra sidewall for a ti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